|
오바마 "러시아는 지역강국, 미국에 최대 위협 아냐"
JTBC | 입력2014.03.26 07:27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는 세계 강국이 아닌 주변국을 위협하는 '지역 강국'에 불과하다며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 러시아의 군사 행동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버락 오바마/미국 대통령 : 러시아는 주변 국가를 위협하는 지역 강국에 불과합니다. 이는 힘을 표출하는 것이 아니라 연약함을 드러내는 겁니다.]
그러면서 미국도 이웃 국가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과 협력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침략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어 러시아는 미국 국가안보에도 최대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기사 주소 http://media.daum.net/v/20140326072707822
----------------
오바마, "러시아 문제보다 뉴욕에서 핵폭탄 터질 가능성이 더 걱정" 헤이그서 발언
뉴시스 | 차미례 | 입력2014.03.26 11:55
【헤이그(네덜란드)=AP/뉴시스】차의영 기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자신은 러시아의 최근 행동보다는 뉴욕에서 핵무기가 폭발할지도 모르는 사태가 더욱 걱정된다고 말했다.
네덜란드 헤이그 현지에서 25일 가진 기자회견에서 한 기자가 오바마에게 대선 때 그의 공화당 적수였던 미트 롬니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가 러시아는 미국 최대의 지정학적 원수라고 발언한 것이 일리가 있지 않느냐고 질문하자 오바마는 그렇게 대답했다.
그런 질문은 최근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한 후에 나온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러시아의 행동이 골칫거리이긴 하지만 미국에 대해서 최고의 위협은 아니라는 의미로 대답한 것이다. 오바마는 이어 "내가 계속해서 가장 걱정하고 있는 것은 맨해튼에서 핵무기가 폭발할 경우 우리 국가 안보가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점이다"라고 덧붙였다.
http://media.daum.net/v/20140326115505493
---------------
Obama: Russia Is 'A Regional Power,' Not Top Geopolitical Foe
BY CARRIE DANN
President Barack Obama says that Russia is a "regional power," rather than the top geopolitical enemy of the United States.
Asked whether he had reassessed former Republican presidential candidate Mitt Romney's assertion that Russia is "America's number one geopolitical foe," Obama called Russia a "regional power that is threatening some of its immediate neighbors -- not out of strength but out of weakness."
"Russia's actions are a problem," he said at a joint press conference at the Hague with Dutch Prime Minister Mark Rutte. "They don’t pose the number one national security threat to the United States. I continue to be much more concerned when it comes to our security with the prospect of a nuclear weapon going off in Manhattan."
http://www.nbcnews.com/storyline/ukraine-crisis/obama-russia-regional-power-
not-top-geopolitical-foe-n61601
---------------
Obama: Russia is a ‘regional power.’ Nuke in Manhattan is a bigger threat.
BY KATIE ZEZIMA March 25 at 12:13 pm
Instead, Obama poked at Russia, downplaying its influence on the world stage.
"Russia is a regional power that is threatening some of its immediate neighbors not out of strength but out of weakness," Obama said.
Russia's actions are a problem, but they're not what the U.S. worries about the most.
"They don’t pose the number one national security threat to the United States," Obama said. "I continue to be much more concerned when it comes to our security of the prospect of a nuclear weapon going off in Manhattan."
http://www.washingtonpost.com/blogs/post-politics/wp/2014/03/25/obama-russia-is-
just-a-regional-power-nuke-in-manhattan-is-a-bigger-threat/
---------------
Obama Answers Critics, Dismissing Russia as a ‘Regional Power’
By MICHAEL D. SHEAR and PETER BAKERMARCH 25, 2014
But despite Russia’s vast Cold War arsenal, the (미국의) administration does not view the country as an existential threat to the American homeland. On Tuesday, Mr. Obama again rejected Mr. Romney’s assertion, though he misquoted the former Republican governor slightly, saying that Russia does not “pose the No. 1 national security threat to the United States.”
“My response then continues to be what I believe today,” he said, referring to his answer to Mr. Romney in 2012. “Which is: Russia’s actions are a problem. They don’t pose the No. 1 national security threat to the United States. I continue to be much more concerned when it comes to our security with the prospect of a nuclear weapon going off in Manhattan.”
http://www.nytimes.com/2014/03/26/world/europe/hague-summit-focuses-
on-preventing-trafficking-of-nuclear-materials.html?hpw&rref=world&_r=0
오바마가 말한.....뉴욕 맨해튼에서 핵폭탄이 터질 수도 있음을
걱정하고 있다는 말을 이해하려면....사실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추가적 정보를 더 필요로 합니다.
즉, 미국국방부 장관이었던 패네타의 발언 등 미국측 발언 내용과
북측의 발언 내용들.....
그에 대해서 우리 카페 회원님들은 이미 태고적부터 정확히
잘 알고 있지만.....그러나 대부분의 무지랭이 한국국민들이나
국내, 해외의 찌라시 기자들에게는 그런 내용은
매우 어리둥절한 일이겠지요.
패네타 "북한 때문에 잠 못 이루는 밤"
2012/04/19
(서울=연합뉴스) 리언 패네타 미국 국방장관은 19일(현지시간) 북한은 밤에 자신을 깨어 있도록 만드는 일들 가운데 가장 위에 있다고 말했다.
패네타 장관은 이날 브뤼셀에 있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본부에서 가진 CNN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위협으로 인해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미국은 세계의 그러한 지역에서 거의 매일 전쟁을 할 뻔한 상황에 처해 있으며, 말하고 행동하는데 매우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패네타 장관은 이어 "북한을 다루는 데 있어 미국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패네타 장관은 북한이 로켓 발사에 실패한 뒤 과거에 했던 것처럼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과 관련해 "그러한 행동은 도발로 간주될 것이고 우리의 관계를 악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패네타 장관은 그러나 북한의 핵실험이 있을 경우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응방안에 대해서는 언급을 거부했다.
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2/04/19/0503000000AKR20120419130600009.HTML?template=5566
-------------------
패네타, 북 이동미사일 공개에 우려
2012-04-20
패네타 국방장관은 미 하원 군사위원회에서 열린 청문회에서 북한의 핵과 ICBM 개발 능력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면서 그 때문에 북한의 도발 행위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이 만일 실제로 대륙간 탄도미사일, ICBM의 이동발사 능력을 갖췄다면 북한의 잠재적 위협은 증가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http://www.ytn.co.kr/_ln/0104_201204200327310394
----------------------
Panetta: 'We're within an inch of war almost every day'
By the CNN Wire Staff
April 19, 2012 -- Updated 0827 GMT (1627 HKT)
Brussels, Belgium (CNN) -- The United States is prepared for "any contingency" when it comes to dealing with North Korea, Secretary of Defense Leon Panetta told CNN.
"We're within an inch of war almost every day in that part of the world, and we just have to be very careful about what we say and what we do," Panetta said Wednesday on "The Situation Room with Wolf Blitzer."
During a wide-ranging interview at NATO headquarters in Brussels, Panetta and Secretary of State Hillary Clinton talked about Syria, the Secret Service and North Korea. The two were in Belgium for meetings to prepare for a NATO summit in Chicago next month.
Panetta's assessment of North Korea followed last week's launch by Pyongyang of a long-range rocket. Despite the failure of the launch -- with the rocket breaking apart 81 seconds after liftoff, it drew condemnation from the United States and countries in the region.
When asked whether the threat posed by North Korea kept him awake at night, Panetta said: "Unfortunately these days, there's a hell of a lot that keeps me awake. But that's one that tops the list."
Clinton to Kim Jong Un: Reform N. Korea More disturbing U.S. troop photos emerge Sec. Clinton: Assad running out of time Is Syria's President a war criminal?
Since the failed rocket launch, there has been speculation that North Korea would carry out a nuclear test -- something it did before following a failed rocket launch.
Panetta said a nuclear test would be considered a provocation and "worsen our relationship," though he refused to discuss specific action the United States would take in response.
International leaders had urged North Korea to cancel the launch, but Pyongyang refused to back down, insisting the operation is for peaceful purposes.
North Korea said the rocket was designed to carry an observation satellite, though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Japan said it was a cover for a long-range ballistic missile test. The use of ballistic missile technology is a violation of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874.
Kim Jong Un, the grandson of Kim Il Sung, became the new head of the secretive regime in December, following the death of his father, Kim Jong Il. The leadership transition has added to uncertainties about Pyongyang's intentions.
"We really are waiting and watching to see whether he can be the kind of leader the North Korean people need. If he just follows in the footsteps of his father, we don't expect much other than the kind of provocative behavior and the deep failure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elite to take care of their own people," Clinton said.
Clinton said it was too early to determine if there was a prospect for a shift in rel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younger Kim, who lived outside of North Korea for a time.
"We believe that he may have some hope that the conditions in North Korea can change.
But again, we'll watch and wait," Clinton said. "He gave a speech the other day that was analyzed as being some of the same old stuff and some possible new approach. "
As a result of the launch, the United States has suspended an agreement reached in February to provide food aid to North Korea.
North Korea has been plagued by famine for years and unable to feed its 25 million people. The country lost a million people to famine in the 1990s. A report last year by aid agencies, who were invited to North Korea, found that the food shortage was so severe that North Koreans were being forced to forage for wild grasses and herbs.
"The United States, as you know, was willing to try to reach out to him, which we did," Clinton said. "We had several high-level meetings. We agreed to provide some food aid in return for their ending some of their uranium enrichment and missile development, and they do what has been already termed by Leon (Panetta) and the rest of the world as a provocative action.
"It's hard for us to tell right now, is this the way it will be with this new leader or does he feel like he has to earn his own credibility in order to have a new path for North Korea?"
North Korea had drawn world attention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launch, which came during a two-day nuclear summit in South Korea that brought together leaders from the United States, Russia, China and dozens.
The launch also coincided with celebrations surrounding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its late founding leader, Kim Il Sung.
The regime had invited international journalists and space experts to view the launch pad and the satellite, and called the effort "an inspiring deed and an event of historic significance."
The last time Pyongyang carried out what it described as a satellite launch, in April 2009, the U.N. Security Council condemned the action and demanded that it not be repeated.
When asked about recent comments made by Republican presidential hopeful Mitt Romney who said North Korea's rocket launch highlights the "incompetence" of the Obama administration, Panetta said: "It's pretty clear that this administration took a firm stand."
"The fact is it was provocative, and we have made it very clear to them they should not taken any additional, provocative actions," Panetta said.
"I think that was a clear, strong message that not only our country, but the world sent to North Korea. That's the way, frankly, that United States ought to behave."
http://edition.cnn.com/2012/04/19/politics/pol-clinton-panetta-interview/index.html
(출처: http://cafe.daum.net/sisa-1/mvOx/46 )
---------------
미국의 라클리어(Samuel Locklear) 태평양군사령부(PACOM) 사령관 발언 원문 -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핵공격이 '가장 큰 걱정'
美사령관, 北의 핵공격 실제 발생 가능성 경고.."내 가장 큰 걱정"
조선일보 | 조선닷컴 | 입력2014.01.20 14:25 | 수정2014.01.20 15:20
"내 가장 큰 걱정은 예측할 수 없는 김정은, 그리고 한국을 대재앙(cataclysm) 속으로 밀어넣고
전 세계를 붕괴시킬 수 있는 그의 권한입니다."
미국의 새뮤얼 라클리어(Samuel Locklear) 태평양군사령부(PACOM) 사령관이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핵공격을 '가장 큰 걱정'이라고 언급하면서
실제 발생 가능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20일 미국 국방부에 따르면 라클리어 사령관은 지난 15일(현지 시각) 펜타곤(국방부) 인근 크리스털시티에서 열린 수상해군협회(SNA) 26회 연례총회에 참석해 북한 핵공격에 대한 우려감을 표명했다. 그는 이날 "섬광에서 비롯된 폭발(the flash-to-bang)은 한국에서 아주 짧은 시간(very, very, very shot)에 이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출처: http://cafe.daum.net/sisa-1/mvOx/536 )
-------------------
[단독 인터뷰: 제임스 서먼 전 주한미군사령관]
"북한 미사일, 미국에 실질적 위협"
2014.03.21
서먼 전 사령관은 2011년 7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주한미군사령관과 유엔군사령관 겸 미한연합사령관을 지냈습니다.
기자) 북한이 미국과 한국에 가하는 가장 큰 위협은 뭐라고 판단하시는지요 ?
서먼 전 사령관) 한국에 근무하는 내내 북한의 ‘판단 착오’를 걱정했습니다. 북한의 도발 이후 판단 착오로 상황이 급속도로 악화돼 결국 교전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까요. 그걸 매우 위험스럽게 생각했습니다.
http://cafe.daum.net/sisa-1/mvOx/544
============================
북, ‘미국에 할 말 다했다. 판가리 결판만 남아’
“미국 일격에 소멸 할 만단 준비 갖췄다” 강조
이정섭 기자
기사입력: 2014/03/26 [09:57] 최종편집: ⓒ 자주민보
북이 미국에 할말은 다했다며 남은 것은 판가리 결판이라며 미국을 일격에 소멸할 만단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해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선로동당 기관지인 로동신문은 26일 조선인민군 군관의 글을 통해 “미국이 대조선적대시정책을 그 어느 때보다도 악랄하게 추구하고 있는 오늘의 사태는 우리 민족에게 온갖 불행과 고통의 화근인 미제와는 반드시 결판을 내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조선인민군 군관은 ‘우리는 빈말을 모른다’라는 글에서 “미제는 우리를 몰라도 너무도 모른다. 한 두해도 아닌 수십년 간 자체의 힘으로 가장 포악한 미 제국주의와 맞서 오로지 승리만을 떨쳐온 것이 존엄높은 내 조국이고 불패의 백두산혁명 강군”이라고 말했다.
군관은 “미국 놈들이 아무리 악다구니질을 해도 소용없다. 개는 짖어도 행렬은 간다고 우리는 자신이 선택한 자주의 길, 선군의 길을 따라 끝까지, 굽힘없이, 추호의 양보도 없이 억세게 나아갈 것이다. 바로 그런 힘과 의지가 우리 천만군민에게 핵폭탄마냥 만장약 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은 저들의 상대가 누구라는 것을 똑바로 알아야 한다. 미제는 핵무기로 다른 나라들을 위협 공갈할 줄만 알았지 그 맛이 어떠한 것인지는 아직 체험하지 못하였다.”면서 “막강한 자위적 핵억제력을 보유한 우리 군대와 인민은 하루 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르는 격으로 헤덤비는 미국을 일격에 타격 소멸할 만단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만약 미제가 지난날의 교훈을 잊어버리고 침략의 역사를 또다시 되풀이한다면 (미국에게) 지구상에 더는 남아있을 자리가 없게 될 것”이라고 미국에 공세를 취했다.
이어 “지금 우리 군인들은 억세게 벼려온 백두산총대로 침략자 미제를 지구상에서 씨도 없이 소멸하고 최후승리를 이룩할 신심 드높이 전투정치훈련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는 결코 빈말을 하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선인민군 군관은 끝으로 국방위원회 성명은 미제의 악랄한 대조선적대시정책에 대처한 나라와민족의 존엄과 자주권을 지키고 원수들과 결판을 보고야말려는 백두산 혁명강군의 단호한 선언이라며, “이제는 미국 호전광들에게 할 말은 다했다. 남은것은 판가리 결전뿐이며 그 결과는 승냥이 미제의 종국적인 멸망”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북은 키리졸브/ 독수리 한미연합훈련을 북침 전쟁 연습으로 규정하고 이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으나 한미 양국이 받아들이지 않고 훈련을 이어가자 미사일 발사와 강한 어조로 대응해 한반도는 기장 국면이 조성되어 있다.
http://www.jajuminbo.net/sub_read.html?uid=15509§ion=sc29§ion2=
하루 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르는 격으로 헤덤비는 미국
현재 미국은 중국은 아예 상대도 안되니 언급 조차도 안하고
엄청난 핵대국인 러시아 마저도 그저 동네깡패, 논두렁 조폭 정도로 취급하며
개무시 하는데.....
그런 미국을.....북한은 스스로를 범이라고 표현하고
미국을 하룻강아지로 표현하는군요.
뭔가 참 재미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북한의 실제 군사적 능력이 도대체 어느 정도나 되는지는
알 수 없지만 말입니다.
암튼, 위와 같은 고민에 빠져 밤잠을 못자는 오바마와 미국국방부장관이
갈 길은 과연 무엇일까요?
결국 그들은.....북측의 요구를 수용하여 북미평화협정 체결의 길로
나갈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왜냐면 미국이 북을 적으로 두는한
미국의 그러한 고민은 앞으로 세월 갈 수록 더욱 거세질 것이니 말입니다.
따라서 북미관계의 그러한 종착점은 이미 태고적부터
결정되어 있었던 셈이지요. 그래서 우리 카페 회원님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그런 귀결을 정확히 잘 알고 있었지요.
북한의 군사력 수준 및 북미대결
참고
북핵 초보자 입문서
http://cafe.daum.net/_c21_/bbs_list?grpid=1MsBh&fldid=nF1m
------------
2013년 3월~4월 북미 핵미사일 치킨 게임 경과 일지 - 대북무력시위 "플레이북" (playbook)
http://cafe.daum.net/sisa-1/p22D/3
------------
북미 핵미사일 치킨 게임 - 꼬랑지를 내린 나라는 과연 어느 나라인가?
노동미사일 2발 왜 쐈나
[중앙일보] 입력 2014.03.27 01:17 / 수정 2014.03.27 01:43
노동미사일은 핵탄두 탑재가 가능해 대량살상무기(WMD)로 분류된다.
첫댓글 오바마의 노화속도가 처량할 정도이던데 위 사진을 보니 폭삭 늙었군요..
깡패의 본질은 죽음을 두려워하지않는 깡다구에 있다고 봅니다.
그러므로 죽음이 두려운 나이롱 깡패들은 험악한 인상이나 문신 쪽수로
공포 분위기만 조성할뿐 실전을 기피하고 도망가기 바쁘죠.
다시말해서 로스케나 짱깨들은 덩치큰 무뉘만 깡패인 동네 양아치일뿐
진정한 깡패의 자질이 없다고봅니다....ㅎㅎ
삭제된 댓글 입니다.
정말 많이 늙었네요
불면증인가??????
憔悴초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