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레임.
지난번에 넥슨 측에다 이 해당글 쓰기 아래의 제가 쓴 글에 캡처 떠서 넥슨측에 보냈습니다.
그래서 쓰고 돌아온 답변은 이렇습니다.

이렇게 말이지요.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걸 증명해 보겠습니다.
처음에는 메모리 만으로 개선이 될 것 같지가 않을 것이라 예상은 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정답이였습니다.
지금 현재 제 시스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습니다.
cpu : amd fx8120
mb : asrock 970 pro3 R2.0
ram : 삼성전자 DDR3 12800U * 4ea (다나와에서는 12800으로만 제목에선 이렇게 나오지만 실제 제품은 12800U로 나옵니다.)
graphic : gtx 750 (이엠텍 제품이며 보조전원이 없는 녀석입니다. 1기가 메모리. 7770에서 대체품으로 받은 것.)
power : FSP500-50HPN 85+
ssd : 샌디스크 x110 128G
hdd : WD 1TB (웨디는 1테라가 7200rpm에 버퍼64메모리입니다.)
도시바 3TB (이것도 7200에 64메모리입니다.)
이정도가 되겠네요.
여기서 현재 바뀐 것은 메모리를 싱글에서 풀뱅크(4개)로 바뀌었습니다. 제조공정이 20나노 1개와 25나노 3개 이지만요.
피시 개선 전
랜더링 A - 대기시

이동시.

랜더링 B - 대기시

이동시.

각성이펙 off (랜더링B)

그림자옵션 - 캐릭터.

메세지. (메세지로 인한 프레임 변화를 보기 위함.)

메모리 업글 전 상태로 볼 경우 이전과 전혀 차이가 없었습니다.
혹시나 궁금한 나머지 각성이펙이 없는 캐릭터로 프레임 확인 해 봤지만 변화가 없었지만 각성이펙트가 보인 순간부터 프레임 저하가 보입니다. 오차율 감안해도 말이지요.
그림자 옵션의 경우에는 예전에 테섭에 그림자 옵션에 대한 프레임 하락에 대한 패치를 한 적이 있었을 것입니다.
별다른 공지가 없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정도의 수준이면 수정이 사실상 된 것과 다름 없습니다.
메세지(1:1)로 인한 프레임 저하 현상은 전에는 있었지만 지금도 있을까 의문이다 싶어 확인해본 것입니다.
오차율을 감안해 본다면 개인적으로는 크게 차이 느끼지 못할 정도로 개선이 되었다 라고 판단은 합니다.
전에 실시간 공지로 이런 공지를 올라온 적이 있었을겁니다.
1:1 로그 저장 이용시 프레임하락이 있다고요.
그야 있긴 하겠지만 텍스트(html)형식이라 ssd에 설치된 것이라면 렉이 발생하기 힘들 겠지만..
렉이 발생하는건 제가 아는 선에서는 이해 해주기가 힘들었습니다.
ssd는 용량에 따른 성능저하도 있긴 하고 ssd초기화 여부에 따른 ssd성능에도 영향은 있긴 하지만 뭘 해도 hdd보다는 빠를 것이며 그런 hdd시절(1:1 개선 전) 조차도 렉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말이지요. (본인은 개선된 1:1 로그 사용을 해본 바가 없음.)
정확히 1:1 1, 2차 전에는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이(제가 아는 것은 무료화 기준입니다.) 3차에서 렉이 발생한다면 1:1시스템에서 문제가 있는 것인가요?
따라서 렉이 발생 하는 것은 회사측의 실수라고 봅니다.
당연히 개선의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라 봅니다.
다음은 메모리 업글 후 시점입니다.
이 시점은 os도 재설치 후 했기 때문에 (고스트로 인한 성능 저하 건은 있긴 하지만 이 시점은 기억상으로는 4번 정도 했습니다.)
조금은 다를 수도 있겠지 라고 생각 했습니다.
하지만 그것도 아니였습니다.
다음은 그 스샷을 통해 보여드리겠습니다.
랜더링 A - 대기시

이동시.

랜더링B - 대기시

이동시

A에서는 크게 변화 하였고 B에서는 살짝 변화 한 것 같아 보였습니다.
수정패치 한 번 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공지상에서는 없는 내용으로 보이는데 말이지요.
변화가 약간 있는 것 말고는 없습니다.
오히러 ssd로 본다면 메몰 업글 떄가 더 하향입니다.
ssd 구조상 용량이 더 사용할수록 성능이 떨어집니다. 하지만 큰폭으로 떨어질 시기는 80% 이후인걸로 압니다.
전의 경우 전체 용량이 80~90G 사이 였지만 지금은 100기가를 넘습니다. 퍼센트로 치면 16% 정도 남았네요.
현재상황 (.....)

게임 내의 옵션으로 치자면
bgm 끄고 다른 소리는 적게 해둔 체 이고
게임 내의 옵션으로 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맵 내의 효과(눈 비 등) : off
팻 보이기 off
그림자옵션 : 캐릭터
3d : on
스킬 최소화 관계는 중간단계(흔들림 없지만 이펙트 효과는 보임)
데미지 최소화(텍스트) : on
나머지는 그대로입니다.
게임 해상도는 1280 X 800 입니다.
결국 개선은 해주지 않은 채 하드웨어 스펙으로 떄우기나 해야되는 것인지 회사측에 묻고 싶습니다.
예전(신규프레임 개선 옵션 있을 시기)에 같았으면 싱글 메모리 였으면 룬의 정원에서 (맨위의 테스트 기준) 300프레임 정도로 날아 다녔을텐데 말이지요.
다시 말하지만 1:1 프레임 저하건 포함한 프레임 개선을 요구하는 바 입니다.
기타 : 메몰 업글 후의 프레임 변화
아르카디아 필드보스 : 야히넬

새벽의 탑 (헬 5층)

필드보스 : 안나루티카


외국회사의 어떤 게임의 경우 게임 실행 관련 프로그램(클라이언트)를 싹 뜯어 고쳐서 핵들 차단 했다고 한 것 같은데 말이죠.
하지만 알 사람은 알겠지만 공격 : 방어가 무한인 시점에서 언제 뚫리지 모르는데 여기는 클라이언트 자체에 대한 개선의지 조차도 보이지가 않네요.
메모리 누수건과 v-sync(수직동기화)도 적용 시켜주지도 않고 있는 것을 본다면....
2. 윈10과 사인코드 관련들.
넥슨 고객센터를 본다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제가 윈 10을 사용하지를 않아 몰라서 저 빌드가 뭔지 검색 해 봤더니 TH2를 가리키는 것 같더군요.
그리고 그 TH2가 보안프로그램들과 충돌이 생겨서 생기는 현상인데..
현재 보안프로그램인 사인코드 관련 정보들을 모아볼려고 이리 저리 보는 것들 중에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더군요.



여기서 보이는 신기한 현상들이 있는데..
1. 게임 회사 측에서는 TH2가 보안프로그램과의 충돌현상이라고 언급을 하지 않은채 TH1을 사용하라고 강요하는 넥슨측.
제가 아는 정보에 의하면 TH2에서 많은 개선 현상이 보인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TH2 빌드에서도 몇몇 버그가 있는 것으로 봐선 완벽하게 개선된 것이 아니긴 하지만요. 그런 것을 버그 덩어리인 채로 윈10 되돌아 가라는 것은 많은 버그들을 안고 가라는 것과도 같습니다.
물론 TH1로 가라고 회사 측에서는 언급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간접적으로 버그 개선판 1번째인 TH1로 가라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요?
2. 게임 회사의 말과 보안프로그램인 사인코드 측의 답변이 다릅니다.
게임회사 측에서는 TH2빌드에서 그런 현상이 보인다고 답변 했지만 사인코드 측에서는 지원한다고 언급한 상태.
어느 곳이 정답인지 일반의 유저들은 햇갈릴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그러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사전 정보들 뿐이겠지요. 직접 검색 하라는 것 밖에는 없네요.
제가 봤을 땐 게임 회사측의 답변이 맞지만 원인을 설명하지 않은 체 해당 게임만 안된다는 언급을 하고 있는 상태는 잘못된 행동이라 봅니다. 즉, 결과물만 내 놓지 말고 원인도 언급해 주세요.
3. 사인코드 프로그램에 대해서...
나무위키의 언급된 이야기가 맞다면 저것은 상당히 놀라운 것입니다.
성능을 더 좋은 것으로 개선 하라고 했더니 더 안좋은 것으로 개선된 것입니다.
심지어 그보다 더 심한 것들이 있으니..
그 중 하나가 사인코드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감시 체개 활성화중...
이라는 글들도 보이긴 합니다.
다른회사도 마찬가지이긴 하지만 원칙적으로 하자면 이건 불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4. 보안프로그램이면 보안프로그램답게 행동하자.
보안프로그램이면 사용자를 안심시킬 수 있게 행동하는 프로그램일텐데...
위에서 글 쓴 대로 언급하자면
공격(해킹)과 방어(백신 및 보안프로그램 등)과의 싸움의 현재진행형입니다.
하지만 겉포장만 그럴듯하게 보이는게 지금까지의 상황입니다.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하는 것도 아니고 결국 겉포장만 그럴듯하게 한 것과 무엇이 다른가요?
이것도 알고보면 결국 우리나라 보안업계 전체가 관계 되 있네요. (금융권 포함한 우리나라 전체.)
종합적으로 봤을때 제가 쓴 2번째 (윈10과 사인코드) 의 경우에는 게임회사 측과 보안업계 측의 행동이 잘못되었고 os제작사인 ms측이 잘 한 내용인 것으로 보이네요.
보안을 위하라는 프로그램이 보안을 뚫어주세요. 라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요?
심지어는 업데이트 조차도 하지 않고....
보안업데이트 버전 조차도 보이지도 않고....
해결책을 내 놓아 주셨으면 합니다.
ps : 제 피시의 경우 계속적으로 업글 중입니다. (ssd과 cpu 업글을 단계적으로 예정)
amd 시스템 계속적으로 갈 것이며 인텔로 갈일은 현재로서는 느끼지 못하니 그럴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첫댓글 3월중순에 윈도우10 올렸는데 10586빌드 문제는 해결된건지.. 전혀 문제없습니다
'그리고 (and)' 라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봐서는 '혹은(or)' 내용이 아닌 것으로 보아 하드웨어 장치와 드라이버 버전 TH2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볼 경우에 블루스크린이 뜬다는 내용인 것 같네요.
근데 TH2가 버그 픽스 및 여러가지 개선 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 th2가 뭔지 검색을 해봤더니 현재 넥슨측에서 사용하는 보안프로그램인 사인코드하고 충돌생겨 에러가 난 내용으로 판단하고 저렇게 남긴 것이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