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生三戰
사람이 살아 가면서 세 가지 싸움이 있습니다.
프랑스의 낭만파 작가 '빅토르 위고'에 의하면
인생(人生)에는 세 가지 싸움이 있다고 했습니다.
첫째는 자연과 인간과의 싸움입니다.
그는 이 싸움을 그리기 위하여 '바다의 노동자' 라는 작품을 썼다. 바다의 어부들이 살아가기 위해서 추운 날씨와 사나운 파도와 싸운다.
인간이 산다는 것은 자연과의 끊임없는 투쟁이다.
자연은 우리에게 따뜻한 어머니이기도 하지만,
때로는 잔인한 적이요, 라이벌이다.
과학과 기술과 기계는
인간이 자연과 싸우기 위한 위대한 무기요, 도구다.
인간이 산다는 것은 자연을 이용하고, 지배하고, 정복하기 위하여 항상 싸우는 것이다.
둘째는 인간과 인간끼리의 싸움이다.
'빅토르 위고'는 이것을 그리기 위하여 "93년"이라는 작품을 썼다.
개인과 개인간의 생존경쟁에서 부터
나라와 나라와의 전쟁, 민족과 민족의 싸움,
공산 세력과 자유 세력과의 투쟁에 이르기까지 인간세계에는
많은 싸움이 있다.
우리는 이런 싸움을 원치 않지만 생존하기 위하여
이 싸움을 아니할 수 없다.
우리는 생존을 위한 싸움과 자위를 위한 싸움과
정의를 위한 싸움을 해야 한다.
우리는 싸우면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
세상에 패배처럼 분하고 괴로운 것이 없다.
나라와 나라와의 싸움에서 패배한다는 것은
죽음으로 전락하는 것이요, 노예가 되는 것이다.
패배는 자멸을 의미한다. 얼마나 무서운 일인가.
무장이 없는 곳에 평화가 없고, 힘이 없는 곳에 자유가 없다.
이것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사의 냉엄한 현실이다.
셋째는 자기와 자기와의 싸움이다.
가장 중요한 싸움이 있다.
그것은 내가 나하고 싸우는 싸움이다.
'빅토르 위고'는
이 싸움을 그리기 위하여 유명한 '레미 제라블'을 썼다.
성서 다음으로 많이 읽혀진 이 명작은
쟝발장이라는 한 인간의 마음 속에서 벌어지는
선한 자아와 악한 자아의 내적 투쟁의 기록이다.
마침내 선한 쟝발장이 악한 쟝발장을 이기는 용감한 정신적 승리를 생생하게 그린 것이다.
우리의 마음은 선과 악의 싸움터다.
나의 마음속에는 항상 두 자아의 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용감한 나와 비겁한 나”, “커다란 나와 조그만 나”,
“너그러운 나와 옹졸한 나”, “부지런한 나와 게으른 나”,
“의로운 나와 불의의 나”, “참된 나와 거짓된 나”...
이러한 두 가지의 자아가 우리의 마음 속에서 항상 싸움을 하고있다.
내가 나하고 싸우는 싸움, 이것은 인간의 자랑이요,
영광인 동시에 고뇌와 비극의 원천이기도 합니다.
이 싸움이 있기 때문에 인간은 위대합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도 스스로 돕는자를 도우신다.
대구광역시 최무길 집사
이상.
첫댓글 너는 네 자신과 많이 싸워야 할듯싶다 네 자신의 흉포함과 우매함과 찌질함을 극복하거라
천국가는 것이 승리이다.
이 무길아.
길이 없는 무길이
최이무기리 라는 돼지에게 승리란?
=> 거짓모함질과 사료....
무기라?
넌 특혜받는 박수돼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