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 하면 큰 금액을 떠올리기 쉽지만 내 주변 소소한 물품 또한 훌륭한 나눔의 도구가 될 수 있다. 입지 않는 헌 옷가지와 생활용품, 다 읽은 책과 남는 식품은 물론 보탬이 될 일손까지. 작은 나눔을 통해 이웃사랑이라는 큰 보람을 얻을 수 있는 우리 동네 기부처와 기부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식품·현금·일손… 다양한 기부품목
강남구 개포동 강남장애인복지관 지하 1층에 있는 작은 매장. 세제·비누·치약 등 자잘한 생필품부터 과자와 라면, 쌀, 음료 등의 먹을거리 등이 가지런히 진열된 것이 언뜻 보기에는 여느 동네 슈퍼마켓과 다를 바가 없다. 하지만 찬찬히 매장을 살펴보면 눈에 띄는 특이한 점이 있으니 물건을 사가는 사람은 있으나 값을 치르는 사람은 없다는 것이다.
강남구가 운영하는 강남푸드마켓 미소(美所)는 혼자 사는 노인이나 노인부부 세대·장애인·한 부모 가정·국민기초생활보호 대상자 등 생활이 어려운 이들이 회원으로 가입해 한달에 한번 5개 물품을 무료로 가져갈 수 있는 매장이다. 제공되는 모든 물품은 개인이나 기업, 기관, 단체의 기부로 마련된다. 누구든 월 1만원 이상의 후원금을 내거나 유통기한이 넉넉한 식품과 생필품 등을 기부할 수 있고 물품 포장이나 차량 봉사 등 일손을 보태는 것도 가능하다. 현재 강남구 거주 1000여 세대가 이곳을 이용하고 있는데 수요에 비해 기부가 부족해 회원수를 늘리기가 쉽지 않은 상태다. 이곳 매장을 관리하는 사회복지사 변정은씨는 "이곳을 이용하고자 하는 회원가입 대기자는 점점 늘지만 그만큼 기부는 늘지 않아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강남푸드마켓 미소는 월~금요일 오전 10시~오후 5시 운영하며 지난 4월 강남구 대치동에 2호점을 열었다. 기부는 전화(02-554-1377) 또는 홈페이지(gnmiso.co.kr)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식품·현금·일손… 다양한 기부품목
강남구 개포동 강남장애인복지관 지하 1층에 있는 작은 매장. 세제·비누·치약 등 자잘한 생필품부터 과자와 라면, 쌀, 음료 등의 먹을거리 등이 가지런히 진열된 것이 언뜻 보기에는 여느 동네 슈퍼마켓과 다를 바가 없다. 하지만 찬찬히 매장을 살펴보면 눈에 띄는 특이한 점이 있으니 물건을 사가는 사람은 있으나 값을 치르는 사람은 없다는 것이다.
강남구가 운영하는 강남푸드마켓 미소(美所)는 혼자 사는 노인이나 노인부부 세대·장애인·한 부모 가정·국민기초생활보호 대상자 등 생활이 어려운 이들이 회원으로 가입해 한달에 한번 5개 물품을 무료로 가져갈 수 있는 매장이다. 제공되는 모든 물품은 개인이나 기업, 기관, 단체의 기부로 마련된다. 누구든 월 1만원 이상의 후원금을 내거나 유통기한이 넉넉한 식품과 생필품 등을 기부할 수 있고 물품 포장이나 차량 봉사 등 일손을 보태는 것도 가능하다. 현재 강남구 거주 1000여 세대가 이곳을 이용하고 있는데 수요에 비해 기부가 부족해 회원수를 늘리기가 쉽지 않은 상태다. 이곳 매장을 관리하는 사회복지사 변정은씨는 "이곳을 이용하고자 하는 회원가입 대기자는 점점 늘지만 그만큼 기부는 늘지 않아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강남푸드마켓 미소는 월~금요일 오전 10시~오후 5시 운영하며 지난 4월 강남구 대치동에 2호점을 열었다. 기부는 전화(02-554-1377) 또는 홈페이지(gnmiso.co.kr)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 ▲ 생활 속 작은 기부라도 어려운 이웃에게는 큰 힘이 될 수 있다. 사진은 기부받은 식료품 등 생필품을 저소득층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강남푸드마켓 미소.
서초구 새마을부녀회는 방배동 493-1 복개 도로변에 재활용나눔터(가칭)를 마련하고 오는 9월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주민들에게 기증받은 생활용품을 손본 뒤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고 수익금은 저소득층 지원에 쓰는 나눔 매장이다. 입지 않는 헌옷, 가전제품, 생활용품, 학생용품 등을 누구나 기부할 수 있다. 문의 (02)576-6597.
강서구 등촌3동 등촌7종합사회복지관이 운영하는 녹색가게 또한 중고 물품을 판매해 수익금으로 어려운 이웃을 돕는 매장이다. 기증받은 의류와 생활용품 등을 수선해 1000~2000원의 싼 가격에 판매하고 번 돈은 복지관의 다양한 복지사업에 쓴다. 월~금요일 오전 10시~오후 5시 문을 열고 운영시간 중 언제나 물품을 기증할 수 있다. 문의 (02)2658-6521.
양천구는 도움이 필요한 주민과 기부에 뜻이 있는 주민을 연결하는 희망나눔 일대일 결연 사업을 진행한다. 혼자 사는 노인이나 한 부모 가정, 중증질환자 가정 등 지속적인 도움이 필요한 가정과 기업, 기관 및 단체, 개인을 연결하고 일정 기간 동안 후원금을 기부하는 사업이다. 구청 주민생활지원과(02-2620-3338)나 거주지 동 주민센터에 신청하면 결연 가정을 연결해주고 협의를 통해 지원 기간과 금액 등을 결정하게 된다.
- ▲ (왼쪽부터)강서구 등촌3동의‘녹색가게’. / 용인시 기흥구청이 운영하는‘사랑베푸미나눔장터’.
■"다 읽고 쌓아둔 책, 이웃과 돌려 보세요"
책장을 차지하고 있는 예전에 읽은 책들. 다시 펼쳐들 요량이 아니라면 집 근처 도서관에 기부하는 것은 어떨까. 고양시는 12개 시립도서관을 통해 중고도서 기증을 받고 있다. 기증은 당해 기준 3년 이내, 즉 2008년 이후 발행된 도서만 할 수 있다. 기부된 책이 도서관에 없는 책이면 도서관에 비치하고, 기존에 소장하고 있거나 도서관에 비치할 성격에 맞지 않는 책은 지역 복지관이나 군부대 등에 재기증된다. 50권 이상 기부한 주민은 도서관에 마련된 기부현황판에 이름과 기부 권수를 적어 준다. 도서 기증 관련 문의는 전화(031-8075-9035)로 하면 된다.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성남중앙도서관도 주민들에게 책 기증을 받고 있다. 당해 기준 5년 이내, 2006년 이후 발행된 책을 대상으로 하며 기증받은 책은 도서관에 비치하거나 군부대, 사회복지시설, 각 동사무소 도서관 등에 재기증한다. 회원이 책을 10권 이상 기증하면 도서 대출한도를 4권에서 6권으로 늘려주고, 기증 도서가 많을 경우 사서가 가정에 방문해 가져가기도 한다. 문의 (031)729-4500.
용인시 기흥구청은 3~11월 매주 금요일 오전 10시~오후 4시 구청 광장에서 사랑베푸미나눔장터를 연다. 집에서 쓰지 않는 의류, 생활용품, 학생용품 등을 가지고 나와 판매하고 수익금을 기부하는 장터로 한여름 무더위를 피해 현재는 운영을 쉬고 있으며 8월 19일부터 다시 열린다. 신분증을 갖고 당일 구청 광장을 찾으면 참여할 수 있으며 현장에 비치된 기부함을 통해 모은 기부금은 기흥구 내 혼자 사는 노인들에게 전달할 반찬을 마련하는데 쓰인다. 문의 (031)324-6292.

글 이경석 기자 | 사진 김승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