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혈압, 폐렴, 당뇨 환자가 많아 혈압계, 혈당측정기, 분무기 등이 유망 -
□ 몽골의 질병 발생 현황
ㅇ 몽골 보건부 산하 보건개발센터 2016년 보고서에 의하면, 몽골 내 전염성 질환의 전파 경로는 1위 호흡기관(62%), 2위 성병(21%), 3위 소화기관(13%)으로 나타남. 또한 환절기에 각종 바이러스형 감기가 유행하는 편임.
- 유행빈도가 가장 높은 공기 혹은 간접 접촉으로 전파되는 전염성 질환으로는 바이러스형 감기, 홍역, 수두, 유행성 이하선염, 결핵 등이 많음. 전염환자의 대다수가 면역력이 약한 소아, 임산부, 노년기 층인 것으로 나타남.
ㅇ 비전염성 질환 발병원인은 1위 호흡기관 이상, 2위 소화기관 이상, 3위 심혈기관 이상임. 그러나 사망원인으로는 1위 심장질환, 2위 암, 3위 외형적 부상인 것으로 나타남.
- 급격한 도시화, 부적절한 식습관, 음주와 흡연, 운동 부족 등이 주 원인인 비전염성 질환은 45~65세 중노년기층 중 대다수(53.2%) 이상이 발병한 것으로 나타남.
- 비전염성 질환 환자 중 고혈압, 당뇨, 각종 간 질환, 암 등을 앓는 비중이 높음. 고혈압 환자수는 1만 명당 503명, 당뇨 환자는 1만명당 78.6명, 암 환자는 1만 명당 7.3명으로 나타남.
최근 10년간 5대 비전염성 질환 환자수(1만 명당 기준)

자료원: 몽골 보건부, 보건개발센터
ㅇ 입원 치료환자들의 대다수가 호흡기관 질환, 심혈기관 질환, 소화기관 질환 환자인 것으로 나타남.
- 호흡기관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중 52.4%가 폐렴 환자, 소화기관 질환 환자의 26%가 간 환자, 심혈기관 질환 환자의 40%가 고혈압 환자임.
- 암 환자 중 39.1%가 간암, 15.8%가 위암, 7.7%가 폐암, 6.9%가 자궁경부암 환자인 것으로 보임.
□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규모
ㅇ 몽골 가정용 의료기기시장이 총 의료기기 중 약 6% 차지
- 몽골 보건부에 의하면 2016년에 몽골의 11개 의약품∙의료기기 생산공장에서 약 33만6000만 달러의 의료기기(붕대, 소독약품, 1회용 주사기 등)를 생산했으며, 이는 수입 의료기기 중 1% 내외 수준임.
- 따라서 99%를 수입품에 의존하는 몽골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수입액 기준 약 1780만 달러이며, 2015년에 37%의 고성장률을 보였으나 2016년부터 몽골 경기 침체 및 환율 상승으로 다시 감소세를 보임.
- 몽골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5대 가정용 의료기기(혈압계, 분무기, 혈당측정기, 체온계, 마사지 기기)의 시장규모는 수입금액 기준 연간 약 100만 달러로 추정되며, 이 중 40%를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는 것으로 나타남.
최근 4년간 몽골 의료기기 시장규모
구분 | 2014 | 2015 | 2016 | 2017.10. |
GDP 규모(백만 달러) | 12,196 | 11,718 | 11,031 | 10,271 |
총 수입 규모(백만 달러) | 5,236 | 3,797 | 3,357 | 3,530 |
내과∙외과용 의료기기 시장규모(천 달러) | 19,559 | 26,912 | 14,382 | 10,671 |
5대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규모(천 달러) | 901.7 | 1,057.1 | 831.4 | 1,121.9 |
의료기기 수입 중 비중(%) | 4.6 | 3.9 | 5.7 | 10.5 |
자료원: IMF, 몽골 관세청
□ 5대 가정용 의료기기 수입동향
ㅇ 품목별 수입동향
- 몽골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질병 및 현지 의료시설 여건 등에 따라 혈압계, 분무기, 혈당측정기, 체온계, 마사지 기기 등의 가정용 의료기기가 가장 많이 수입되는 것으로 조사됨.
- 상기 5대 가정용 의료기기의 연간 수입액은 약 100만 달러임. 2017년 10월 금액 기준 마사지 기기가 약 61%, 혈압계 25.5%,분무기 7.5%, 혈당측정기와 체온계는 각각 약 3% 차지
최근 4년간 5대 가정용 의료기기 품목별 수입동향
(단위: 개, US$)
구분 | HS Code | 2014 | 2015 | 2016 | 2017. 10.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혈압계 | 9018.19, 9018.90류 중 | 16,830 | 307,388 | 28,691 | 312,348 | 13,200 | 217,497 | 18,124 | 286,766 |
분무기 | 9019.20류 중 | 2,411 | 85,535 | 3,601 | 69,299 | 7,366 | 58,757 | 36,683 | 83,614 |
혈당 측정기 | 9018.19, 9018.90, 9027.80류 중 | 5,721 | 99,780 | 64,080 | 37,584 | 2,506 | 24,140 | 3,651 | 32,689 |
체온계 | 9025.11, 9025.19류 중 | 21,434 | 53,459 | 36,069 | 33,514 | 33,275 | 38,137 | 23,472 | 31,383 |
마사지 기기 | 9019.10류 중 | 4,292 | 355,556 | 3,823 | 604,399 | 3,130 | 492,899 | 7,308 | 687,519 |
합계 | 50,688 | 901,718 | 136,264 | 1,057,144 | 59,477 | 831,430 | 89,238 | 1,121,971 |
자료원: 몽골 관세청
ㅇ 수입 대상국별 비중
- 최근 4년간 수입통계 기준 각 수입대상국 상위 5대 국가를 살펴보면 혈압계, 분무기, 체온계 등은 대다수 중국으로부터 수입했지만 혈당측정기와 마사지 기기는 한국으로부터 대다수 수입한 것으로 조사됨.
- 유목문화로부터 도시문화로의 전환기를 겪고 있는 몽골의 도시인구를 위주로 각종 마사지 기기, 침대, 미용마사지 기기 등의 수요가 커지고 있음. 수입 비중은 한국산이 70%, 중국산 5.4%, 프랑스산이 3.3%임.
- 가장 높은 사망원인으로 꼽히는 심혈기관 질환 환자들의 40%가 고혈압 환자인 만큼 혈압계 수요가 많음. 수입 비중은 중국 41%,베트남 16%, 독일 12%로 나타남.
- 폐렴 환자가 많은 몽골에는 감기 유행기 때에는 의료시설이 매우 부족함. 재택치료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필수 의료기기는 바로 분무기임. 분무기의 경우 63%가 중국, 14%가 독일, 9.2%가 이탈리아로부터 수입한 것으로 분석됨.
- 세계적으로 암 다음으로 위험성이 커지는 당뇨 역시 몽골에서 그 수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서 혈당측정기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 수입비중은 한국 42%, 독일 39%, 대만 13% 수준임.
- 체온계는 아이 키우는 부모뿐만 아니라 가정집에 하나씩 있어야 하는 의료기기임. 수입 비중은 중국산 66%로 대다수이며 다음은 대만 14%, 독일 6.7%임.
최근 4년간 5대 가정용 의료기기 국가별 수입비중(단위: %)
품목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혈압계 | 중국(41.2) | 베트남(16.1) | 독일(12.5) | 일본(8.2) | 한국(2.4) |
분무기 | 중국(63) | 독일(14.3) | 이탈리아(9.2) | 대만(5.4) | 한국(3.8) |
혈당측정기 | 한국(42.5) | 독일(39.6) | 대만(13.9) | 일본(2) | 중국(0.6) |
체온계 | 중국(66.9) | 대만(14.3) | 독일(6.7) | 한국(3.8) | 일본(2.8) |
마사지 기기 | 한국(70.4) | 중국(5.4) | 프랑스(3.3) | 독일(2.3) | 일본(1.3) |
자료원: 몽골 관세청
□ 대한국 수입동향
ㅇ 혈당측정기는 40% 이상, 마사지 기기는 70% 이상 한국산임.
- 5대 가정용 의료기기의 연간 대 한국 수입금액은 약 40만 달러이며, 2017년 10월 기준 전체 수입 중 95%가 마사지 기기, 4.6%가 혈당측정기임. 오로지 0.1%만이 혈압계이며, 분무기 및 체온계 수입은 전혀 없는 상태임.
- 혈압계, 분무기, 체온계 등은 대한국 수입이 전체 수입 중 3% 내외로 미미한 수준이지만 혈당측정기는 40% 이상, 마사지 기기는70% 이상이 한국에서 수입되고 있음.
- 대한국 혈당측정기 연간 수입금액 약 2만 달러이며, 현지 시장 유통 중인 한국 브랜드로 SD BIOSENSOR, GLUCOLAB, CARE-SENS PRO, G-MATE 등이 있음.
- 마사지 기기는 다양한 브랜드가 현지시장에 유통되고 있으며, 연간 수입액은 약 37만 달러로 2015년부터 현지 경기침체 및 환율 상승으로 지속 감소세를 보임.
최근 4년간 5대 가정용 의료기기의 대한국 수입동향
(단위: 개, US$)
구분 | HS Code | 2014 | 2015 | 2016 | 2017.9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혈압계 | 9018.19, 9018.90류 중 | 160 | 12,381 | 63 | 13,116 | 14 | 859 | 23 | 654 |
분무기 | 9019.20류 중 | 0 | 0 | 51 | 1,182 | 0 | 0 | 0 | 0 |
혈당측정기 | 9018.19, 9018.90, 9027.80류 중 | 1,541 | 23,196 | 62,866 | 28,027 | 2,008 | 14,933 | 2,490 | 16,330 |
체온계 | 9025.11, 9025.19류 중 | 142 | 4,806 | 6 | 29 | 10 | 1,033 | 0 | 0 |
마사지 기기 | 9019.10류 중 | 364 | 254,865 | 456 | 541,675 | 536 | 373,833 | 1,228 | 337,132 |
합계 | 2,207 | 295,248 | 63,442 | 584,029 | 2,568 | 390,658 | 3,741 | 354,116 |
□ 수입에 대한 규제사항
몽골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 중국과 한국산이 선두-전체-kotra 해외시장뉴스.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