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에 대해서
秋夕: 한국의 3대 명절 가운데 하나이고 음력 8월 15일로 한가위․가위․중추절(仲秋節)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도 중추절이나 월석․추중(秋中)이라 하여 명절로 삼는다. 정확한 유래는 전하지 않으나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신라 유리왕(儒理王) 9년 나라 안 6부(六部)의 부녀자들을 두 편으로 가르고 두 왕녀(王女)를 각각 우두머리로 삼아 음력 7월 기망(旣望;16일)부터 한 달 동안 베를 짜게 하고, 마지막 8월 15일에 승부의 판정이 나면, 진 편에서 이긴 편에 음식을 대접하고 회소곡(會蘇曲)을 부르며 밤새도록 노래와 춤을 즐겼는데 이를 가배(嘉俳)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 <가배>가 오늘날 <한가위>의 <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뜻은 가운데(中) 또는 반(半)의 어근인 <갑>에 명사형 접미사 <-이>가 붙어서 가을의 반 즉 중추(仲秋)의 한국식 표기가 된 것으로 짐작된다. 승려 원인(成仁)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는, 산둥[山東]지방에 사는 신라인들이 신라가 발해와 싸워 이긴 8월 15일을 명절로 삼아 온갖 음식을 만들어 먹고 가무를 즐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추석에는 햅쌀로 밥을 짓고 송편을 빚으며 새 옷이나 깨끗이 손질된 옷을 입는데 이것을 추석빔이라고 한다. 추석날 아침에는 차례를 지낸다. 제수는 햅쌀로 만든 메․떡․술 등과 오색 햇과일로 마련하는데 이것을 천신(薦新)이라 한다. 차례를 지내고 모인 사람들이 음복(飮福)한 뒤 조상의 묘를 찾아 성묘(省墓)한다. 성묘에 앞서 벌초(伐草)는 미리 끝내 두거나 성묘 때 함께 한다. 추석에는 세시풍속으로 전승된 여러 가지 행사와 놀이가 행해진다. 사람들은 농악과 춤으로 흥겹게 지내는데, 한 마을에서 편을 가르거나 마을끼리 편을 짜서 하는 줄다리기는 널리 행해지는 놀이이다. 승부를 통하여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하는데, 서쪽을 나타내는 암줄이 이기면 풍년이 든다고 하며, 정월대보름이나 단오에도 행한다. 잔디밭이나 모래밭에서는 씨름판이 벌어지는데 이기는 사람을 장사(壯士)라 하고 광목․쌀․송아지 등을 준다. 전라남도 서해안지방에서는 추석날 저녁 달이 뜰 무렵 부녀자들이 넓은 공터에서 손에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강강술래를 즐긴다. 또한 남도지방에서는 닭싸움과 소싸움을 즐겼다고 한다. 이러한 놀이 외에도 여러 풍습이 전한다. 추석 무렵 그 해 농사에서 가장 잘 익은 곡식을 잘라 묶어서 기둥이나 방문 위 또는 벽에 걸어 두는 올게심니는 다음 해의 씨앗으로 쓰이면서 그 곡식의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가 들어 있다. 민가에서는 조왕신과 성주신(城主神)에게 햇곡식을 올렸으며 어촌에서는 뱃고사를 지내 바다에서 풍랑을 만나지 않고 만선(滿船)하기를 기원하였다. 추석의 일기가 청명하면 풍년이 들고 비가 오면 불길하다고 믿었으며, 밤에 달을 볼 수 있거나 흰구름이 많으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추석 음식으로는 송편 외에 햅쌀로 빚은 백주(白酒)와 봄부터 기른 닭으로 만든 황계(黃鷄) 안주가 있으며 몸을 보신하기 위하여 토란국을 끓인다. 감․밤․대추․호두․은행․모과 등이 요긴하게 쓰인다. 농가에서는 며느리가 떡․술․닭이나 달걀 등을 준비하여 친정에 근친(覲親)을 간다. 추석은 수확기를 맞아 풍년을 축하하고 조상의 덕을 추모하여 제사를 지내고 자기의 태어난 근본을 잊지 않고 은혜를 갚으며 이웃끼리 인심을 나누고 놀이를 즐기는 명절로서, 옛날부터 민간에서는 1년 중 가장 중요한 명절로 여겼다.
첫댓글 혹시 마우스로 드래그 한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한 건 아닌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