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丨(뚫을 곤)
뜻: 위아래로 소통한다
中 (가운데 중, 마음 중, 맞출 중)
부수: 丨(뚫을 곤)
* 中心: 중심
* 忠(충성 충)
= 中 + 心(마음 심)
丶(불똥 주)
뜻: 열 십의 음양이 만나는 가운데 접점
主(주인 주, 임금 주)
부수: 丶(불똥 주)
* 住(살 주)
= 人(사람 인) + 主
* 注(물댈 주)
= 水(물 수) + 主
* 柱(기둥 주)
= 木(나무 목) + 主
* 註(글 뜻 풀 주)
= 言(말씀 언) + 主
(ex. 주석)
* 駐(말 머무를 주)
= 馬(말 마) + 主
(ex. 주차장)
丿(삐침 별)
뜻: 하늘의 천기
*白(흰 백, 말할 백)
= 日(해 일, 가로 왈) + 丿(삐침 별)
乙(굽을 을)
뜻: 땅에서 올라오는 에너지
亅(갈고리 궐)이 부수가 되는 한자
* 于(어조사 우),
* 事(일 사, 섬길 사)
亠(머리 두, 높을 두)이 부수가 되는 한자
* 交(사귈 교)
= 亠 + 乂(다스릴 예, 벨 예)
* 校(학교 교)
= 木 + 交(사귈 교)
* 入(들 입)
: 사람이 고개 숙이고 들어가는 옆 모습
冂(멀 경)
: 어떠한 경계선을 뜻함
- 內(안 내), 周(두룰 주)
* 冖(덮을 멱)
:천으로 덮어놓은 모양을 본 땀
- 軍(군사 군, 무리 군) = 冖 + 車(수레 차)
- 冥(어두울 명, 저승 명) = 冖 + 日 + 六
* 冫(얼음 빙) = 冰
- 冬(겨울 동)
- 凍(얼 동) = 冫 + 東(동녘 동)
* 几(안석 궤) = 丿(삐침 별) + 乙(굽을 을)
: 어떤 도구를 만들었다는 뜻
- 凡(무릇 범, 일반 범, 평범할 범)
ex. 범사(凡事)
- 風(바람 풍)
* 凵(입 벌릴 감, 위터진그릇 감)
- 出(날 출, 나가다 출)
- 函(상자 함, 편지 함, 그릇 함)
* 刀(칼 도, 분명할 결정적일 도) = 刂
- 刈(벨 예) ex. 예초(刈草): 풀을 벰
- 刑(형별 형)
- 利(이로울 이) = 禾+刂: 벼를 베는 날이 정해짐
- 梨(배나무 리) = 利+木
* 力(힘 력)
- 劦(힘 합할 혁), 协(도울 협)
- 脅(위협할 협) = 劦 + 月(육달 월)
* 勹(쌀 포)
- 包(쌀, 포장할 포) = 勹 + 巳(뱀, 자식, 생명 사)
** 包(쌀 포) 이용한 형성자 만들어보기! !
1. 胞(태보, 세포, 포) = 月(몸 관련 뜻) + 包(음)
2. (물) 泡(거품 포) = 水(물 관련 뜻) + 包(음)
3. 飽(배부를 포) = (밥 관련 뜻) + 包(음)
4. 袍(두루마기 포) = 衣(옷 관련 뜻) + 包(음)
5. 鮑(어물 포) = 魚(물고기 관련 뜻) + 包(음)
* 匕(비수, 숟가락, 변화할, 사람, 거꾸러질 비)
:비수 모양, 숟가락 모양
- 北(달아날 배): 사람 둘이 등진다.
- 背(등 배) = 北(음) + 月(신체 뜻함)
- 旨(맛 지, 뜻 지)
* 匚(상자 방, 감출 혜)
: 상자 모양
- 匣(상자 갑) = 匚(상자 방) + 甲(갑옷 갑)
- 區(나눌 구, 구역 구) = 品(물건 품) + 匚(감출 혜)
** 區는 회의자, 區을 이용한 형성자
1. 嘔(토할 구) = 口 + 區
2. 驅(몰 구) = 馬(말 마) + 區
3. 鷗(갈매기 구) = 區 + 鳥(새 조)
4. 毆(때릴 구) = 區 + 殳(몽둥이 수)
* 十(열 십)
: 모양, 많다, 완성, 동서남북, 햇빛 등등
- 南(남녘 남)
- 針(바늘 침) = 金+十 (모양)
- 協(도울 협) = 十 + 劦(힘 합할 혁) (많다)
: 많은 사람이 도왔다.
* 卜(점 복)
- 갈라지는 모습, 점괘 등
- 朴(순수할 박, 성씨 박, 후박나무 박)
- 占(차지할 점, 점령 점)
: 좋은 곳의 자리를 차지함
** 占은 회의자, 占을 이용한 형성자
- 點(점찍을 점) = 黑(검을 흑) + 占
ex. 점심(點心), 점수(點數) ...
- 店 (가게 점)
*卩(무릎마디 절, 병부 절)
비슷한 한자 조심!!
[巳(뱀 사), 己(몸 기), 已(이미 이)]
: 문을 뜻하는 단어로 많이 쓰임
- 卯(문열 묘, 2월 묘, 토끼 묘)
- 柳(버들 유)
* 厂(바위 엄, 언덕 엄)
* 又(오른손 우, 또 우)
- 左(왼 좌), 右(오른쪽 우)
- 友(벗 우) = 左 + 又
: 왼손과 오른손 만남 = 친구
* 又(또 우, 오른손 우)
: 문장 - 다시, 또한, 동시에 : 명사 - 오른손, 오른쪽
* 手(손 수) = 扌(손수 변)
: 손에 관련된 한자
ex. 잡다, 집다, 때리다, 밀다, 밀치다...
* 左(왼 좌, 왼손 좌) = 屮
: 工(장인 공)은 왼손이 장인
* 右(오른 우)
: 오른손으로 밥을 먹는다 해서 口가 들어감
* 共(함께 공)
: 양손이 함께 있다.
** 共(함께 공) 형성자
1. 供(이바지할 공) = 亻(사람) + 共
2. 恭(공손할 공) = 共 + 心(마음 심)
3. 拱(안을 공, 껴안을 공) = 扌(손) + 共
* 寸(마디 촌, 손 촌, 규칙 촌, 법도 촌)
: 손 마디를 통해 우리 몸의 건강 체크
- 壽(목숨 수, 장수 수) = 老 + 工 + 口 + 寸
* 支(가지 지, 지탱할 지)
: 오른손에 나뭇가지를 잡고 있는 모습
**支 형성자
1. 肢(사지 지) = 月 + 支
2. 技(재주 기) = 扌(손재주) + 支
3. 妓(아름다울 기, 기생 기) = 女 + 支
* 攴(칠 복, 복 복) = 攵(칠 복 변형)
: 회초리를 오른손에 들고 치는 모습
: 칭찬, 격려, 충고
: 오른손을 편 모습
- 村(마을 촌) = 木 + 寸
- 守(지킬 수)
* 小(작을 소)
- 少(적을 소, 젊을 소): 에너지가 적음
* 尢(절름발이 왕, 더욱 우)
- 就(나아갈 취, 이룰 취) = 京(높을 경) + 尢(더욱 우)
: 더 높은곳을 향해 나아가는 것
* 尸(주검 시, 사람 시)
- 居(살 거) = 尸 + 古(옛 고)
* 싹날 철(사진 참조)
* 山(산 산, 뫼 산, 메 산)
- 仙(신선 선)
* 川(내 천) = 巛
- 巠(지하수 경, 물줄기 경)
* 工(장인 공, 만들다 공, 구기 공)
- 功(일할 공, 공 공)
- 空(빌 공, 하늘 공)
* 己(몸 기, 자기 기)
: 유연한 몸을 뜻함
- 改(고칠 개): 개->기
- 紀(벼리 기), 記(기록할 기), 起(일어날 기)
* 巾(수건 건, 헝겊 건)
: 천 관련 한자에 쓰임
- 市(시장 시, 저자 시)
* 干(방패 간, 찌를 간, 막을 간)
- 刊(책 펴낼 간, 새길 간)
* 작을 요(사진 참조)
* 广(집 엄)
- 度(법도 도, 헤아릴 탁)
* 廴(길게 걸을 인)
- 廷(조정 정), 庭(뜰 정)
* 弋(주살 익)
* 弓(활 궁)
: 무기 관련 한자에 쓰임
* 彑=彐(돼지머리 계)
- 彖(끊을 단, 단 단)
- 緣(인연 연)
* 彡(터럭 삼)
: 세 개는 많은 것을 뜻함
- 林(수풀 림), 多(많을 다): 두 개도 많음
- 形(모양 형), 須(모름지기 수, 반드시 수)
* 彳(걸을 척)
- 行(다닐 행)
* 口(입 구)
: 입 모양 본 땀, 말하다
- 古(옛 고): 10대째 내려오는 옛날 이야기
- 言(말씀 언): 좋은 말
- 品(물건 품): 여러가지 모양의 물건
ex. 성품, 인품
- 吅(부르짖을 훤, 현)
- 哭(울 곡): 개가 부르짖는 것 처럼 부르짖음
* 口(에울 위)
: 둘러싸는 모습
- 國(나라 국) = 口 + 或(어떤이 혹)
- 因(인할 인) = 口 + 大(큰 대)
- 恩(은혜 은) = 因 + 心
- 囚(가둘 수, 죄인 수) = 口 + 人
- 溫(따뜻할 온): 죄수에게 마음과 밥을 주는 따뜻함
* 土(흙 토)
: 흙에서 싹이 나는 모양
- 吐(토할 토) = 口 + 土
- 奎(별 규, 문운 맡을 규) = 大 + 圭
- 佳(아름다울 가) = 亻 + 圭
- 圥(버섯 록): 버섯이 자라는 모양
- 陸(육지 육, 뭍 육)
* 士(선비 사) = 十 + 一
: 양과 음을 아는 학자를 선비라고 부름
- 仕(섬길 사) = 亻 + 士 : 선비가 먼저 섬김
- 志(뜻 지) = 士 + 心 : 선비가 마음을 가짐
- 誌(기록할 지) = 言 + 志 : 말과 뜻을 기록함
* 夂(뒤져올 치)
: 뒤져 오다, 천천히 걷는 모양
- 冬(겨울 동) = 夂 + 冫(얼음 빙) : 계절 중 제일 늦고 얼음
* 夊(천천히 걸을 쇠)
: 천천히 걷는 모습
- 夏(여름 하, 기우제 하) = 頁(머리 혈) + 夊
* 大(큰 대)
: 사람은 큰 일을 한다.
- 天(하늘 천)
- 夫(지아비 부)
* 女(계집 녀, 여자 여)
- 姓(성 성)
- 如(같을 여)
- 恕(용서할 서)
* 子(자식 자, 아들 자, 그대 자, 씨 자, 불어날 자)
- 字(글자 자)
* 宀(집 면)
- 家(집 가) - 돼지를 잡아 집으로 오는 모습(회의자)
- 嫁(시집갈 가) = 女 + 家
* 寸(마디 촌, 손 촌, 규칙 촌)
: 오른손을 편 모습
- 村(마을 촌) = 木 + 寸
- 守(지킬 수)
* 小(작을 소)
- 少(적을 소, 젊을 소): 에너지가 적음
* 尢(절름발이 왕, 더욱 우)
- 就(나아갈 취, 이룰 취) = 京(높을 경) + 尢(더욱 우)
: 더 높은곳을 향해 나아가는 것
* 尸(주검 시, 사람 시)
- 居(살 거) = 尸 + 古(옛 고)
* 싹날 철(사진 참조)
* 山(산 산, 뫼 산, 메 산)
- 仙(신선 선)
* 川(내 천) = 巛
- 巠(지하수 경, 물줄기 경)
* 工(장인 공, 만들다 공, 구기 공)
- 功(일할 공, 공 공)
- 空(빌 공, 하늘 공)
* 己(몸 기, 자기 기)
: 유연한 몸을 뜻함
- 改(고칠 개): 개->기
- 紀(벼리 기), 記(기록할 기), 起(일어날 기)
* 巾(수건 건, 헝겊 건)
: 천 관련 한자에 쓰임
- 市(시장 시, 저자 시)
* 干(방패 간, 찌를 간, 막을 간)
- 刊(책 펴낼 간, 새길 간)
* 작을 요(사진 참조)
* 广(집 엄)
- 度(법도 도, 헤아릴 탁)
* 廴(길게 걸을 인)
- 廷(조정 정), 庭(뜰 정)
* 弋(주살 익)
* 弓(활 궁)
: 무기 관련 한자에 쓰임
* 彑=彐(돼지머리 계)
- 彖(끊을 단, 단 단)
- 緣(인연 연)
* 彡(터럭 삼)
: 세 개는 많은 것을 뜻함
- 林(수풀 림), 多(많을 다): 두 개도 많음
- 形(모양 형), 須(모름지기 수, 반드시 수)
* 彳(걸을 척)
- 行(다닐 행)
* 弋(주살 익. 푯말 익)
- 式(법 식)
- 試(시험 시)
* 戈(창 과)
- 戰(싸울 전) = 單(홑 단, 흉노임 선) + 戈
- 幾(기미 기, 몇 기), 機(베틀 기)
* 弓(활 궁)
- 弱(약할 약)
* 矢(화살 시)
- 躬(몸 궁), 窮(궁구할 궁, 다할 궁)
- 短(짧을 단, 모자랄 단)
- 疾(병 질, 빠를 질)
* 斤(도끼 근, 무게 근)
- 兵(병사 병)
* 心(마음 심) = 忄=㣺
- 愛(사랑 애)
- 悲(슬플 비)
- 感(느낄 감)
- 情(뜻 정)
-> 모두 마음이 포함된 뜻!
* 戶(지게 호, 외짝문 호, 집 호)
- 所(곳 소, 장소 소, 바 소)
: 도끼를 넣어 놓는 장소!,
문장으로 쓰이면 '그러나'로 쓰임
* 支(가지 지, 지탱할 지)
- 肢(사지 지): 육달 월
- 枝(가지 지): 나뭇가지
- 伎(재주 기): 손재주
* 攵(칠 복)
: 사랑의 매!
- 敎(가르칠 교)
* 方(모, 모서리, 방향 방, 바야흐로 방)
: 배 모습 또는 쟁기의 모습을 보고 만듬
** 方 형성자
- 芳(꽃다울 방) = 艹(풀 초) + 方
- 坊(동네 방) = 土(흙 토) + 方
- 彷(배회할 방) = 行(다닐 행) + 方
- 房(방 방) = 戶 + 方
- 紡(실뽑을 방)
* 无(없을 무)
: 하늘 아래 어딘가에는 있지만 지금은 없다는 뜻
* 日(해 일)
- 昌(창성할 창)
* 月(달 월, 육달 월, 배주 달월)
- 明(밝을 명), 肝(간 간), 前(앞 전) 등
-> 달 로 쓰일 때는 二를 띄워 씌고
사람 몸으로 쓰일 때는 二를 붙여쓴다.
배주 달월로 쓰일 때는 삐침 두개로 표현함!
* 木(나무 목)
- 末(끝 말): 나뭇가지 끝을 보고 만듬
- 未(아닐 미), 本(뿌리 본, 근본 본)
* 欠(하픔 흠, 모자랄 흠)
- 欽(공경할 흠)
- 次(버금 차): 으뜸 다음 2등인 버금
** 次 형성자
- 資(재물 자)
- 姿(모양 자, 자태 자)
- 恣(방자할 자)
* 뼈앙상할 알(사진 참조 ㅜㅜ)
- 死(죽을 사)
- 粲(정미 찬)
- 燦(빛날 찬)
* 毋(말 무, ~하지 말라 무)
- 母(어미 모)의 부수는 毋
- 拇(엄지손가락 무)
- 每(매양 매)
- 海(바다 해) = 水(물 수) + 每
- 苺(딸기 매) = 草(풀 초) + 母
* 比(견줄 비)
- 批(비평할 비): 손으로 비교하다
- 北(북녘 북, 달아달 배): 서로 등지고 있음
- 背(등 배) = 北(달아날 배) + 月(육달 월)
- 皆(다 개): 다 같은 말을 했다. ex. 개근
* 氏(성씨 씨, 뿌리 씨, 각시 씨)
-氐(근본 저, 밑 저): 나무뿌리는 밑에 있다.
- 低(낮을 저): 사람이 아래에 있다.
- 底(바닥 저) ex. 해저
- 邸(큰집 저) ex. 저택
- 紙(종이 지): 저 -> 지
* 기운 기(사진 참조)
- 氣(기운 기) = 기운 기 + 米(쌀 미)
: 쌀 먹으면 기운이 남
- 汽(물끓는 김 기)
* 爪(손톱 조) = 爫
: 손톱 모양을 본땀. 섬세한 일, 무기로 쓰임
- 爭(다툴 쟁) ex. 논쟁
- 淨(깨끗할 정) ex. 정수기
- 愛(사랑 애) ex. 애정
*瓜(오이 과) - 5획부수
* 爿(조각널 장)
**爿의 형성자
- 壯(씩씩할 장)
- 莊(무성할 장)
- 裝(꾸밀 장)
- 將(장수 장)
奬(권면할 장)
* 片(조각 편)
ex. 일편단심, 절편, 편육
* 牙(어금니 아)
: 어금니 모양을 보고 만듬
ex. 치아(齒牙)
- 芽(싹 아)
- 雅(맑을 아, 우아할 아)
- 邪(간사할 사)
* 牛(소 우) = 牜
: 희생의 뜻을 가짐
- 物(만물 물)
* 羊(양 앙) - 6획부수
: 희생의 뜻을 가짐
- 洋(큰 바다 양)
* 犬(개 견)
* 玄(검을 현, 아득할 현)
: 검은 실타래를 보고 만듬
- 絃(악기줄 현) ex. 현악기
- 眩(아찔한 현) ex. 현기증
- 炫(빛날 현)
- 弦(활시위 현) ex. 상현달, 하현달
*** 비슷한 한자!
玄(검을 현), 丝(실 사), 幺(작을 요)
* 玉(구슬 옥) = 王(구슬옥 변)
: 王(임금 왕)의 부수, 임금왕은 부수가 아님!
ex. 옥좌, 옥돌
- 珠(구슬 주)
- 碧(푸를 벽)
* 瓦(기와 와, 질그릇 와)
- 甑(시루 증)
* 甘(달 감)
- 甛(달 첨) -> ex. 참외
* 生(날 생)
** 生의 형성자
- 姓(성씨 성) ex. 성명
- 性(성품 성)
- 星(별 성) = 日(하늘 관련) + 生
- 牲(희생 생) = 牜(소 우) + 生
* 皮(가죽 피)
ex. 모피
- 疲(피곤할 피) ex. 피곤
- 波(물결 파) ex. 파도
- 婆(할미 파) ex. 노파
* 皿(그릇 명)
: 그릇보고 만든 글자
- 血(피 혈)
- 盟(맹세 맹)
- 益(더할 익, 많다 익) ex. 다다익선
- 溢(넘칠 일) ex. 해일
* 目(눈 목, 보다 목)
- 看(멀리볼 간, 자세히 살필 간)
= 手 + 目 (손 + 눈) ex. 주마간산, 간호
- 直(곧을 직) ex. 정직
* 矛(창 모)
: 생활도구
* 矢(화살 시, 빠를 시)
: 생활도구
- 疾(병 질)
* 石(돌 석)
- 岩(바위 암): 산에 있는 돌
- 破(깨뜨릴 파)
* 示(제사 시, 보일 시)
- 社(토지신 사, 모일 사) ex. 회사
<비슷한 한자 衣(옷 의, 6획)>
* 발자국 유(사진 참조)
- 禹(벌레 우, 하우씨 우)
- 禽(날짐승 금)
- 獸(길짐승 수)
* 禾(벼 화)
- 和(도울 화, 화할 화) ex. 화목
- 秋(가을 추 - 회의자) ex. 추수
- 鰍(미꾸라지 추 - 형성자)
鞦(그네 추 - 형성자)
*穴(구멍 혈)
- 窮(궁할 궁, 궁구할 궁, 다할 궁) ex. 무궁화, 짝궁
* 立(설 립)
- 泣(울 읍) ex. 읍소
- 笠(삿갓 입)
* 竹(대 죽)
: 글, 악기, 소리에 관한 글자에 쓰임
- 答(대답 답) = 竹 + 合(합할 합)
- 箸(젓가락 저) = 竹 + 者(사람 자)
- 著(나타날 저) = 草 + 者
- 笑(웃을 소)
* 米(쌀 미)
: 쌀 알 여러개를 보고 만든 글자
- 氣(기운 기): 기운이 나려면 쌀을 먹어야 함
- 迷(헤맬 미): 米가 '길'의 뜻으로 쓰임 ex. 미로
- 粉(가루 분): 쌀을 나누면 가루가 됨
* 丝(실 사)
: 실, 맺다, 이어주다, 천에 관한 뜻
- 紡(실 뽑을 방)
- 綠(푸를 녹)
- 紫(자주 빛 자)
- 紅(붉을 홍)
- 結(맺을 결)
- 約(맺을 약)
* 缶(장군 부, 질그릇 부)
鬱(답답할 울) ex. 우울증
* 网(그물 망) = 罒 = 罓
- 罔(그물 망)
- 羅(그물 라, 신라 라, 벌릴 라, 빛날 라, 비단 라)
* 羽(깃 우)
- 習(익힐 습) ex. 예습, 복습
- 翟(꿩깃 적) = 羽 + 隹(새 추)
- 曜(빛날 요) ex. 월요일, 화요일
- 濯(빨래 탁) ex. 세탁
- 躍(뛸 약) ex. 도약
* 老(노인 노, 노련할 노, 익숙할 노)
- 耄(늙은이 모, 70대)
* 而(말이을 이, 수염 이)
: (접속사) 그리고, 그러나 / 너 이, 뿐 이
ex.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
- 耐(견딜 내) ex. 인내
- 需(구할 수)
- 儒(선비 유)
* 耒(쟁기 뢰)
- 耕(밭갈 경) ex. 주경야독
* 耳(귀 이, 들다 이)
- 珥(귀고리 이)
- 聽(들을 청) ex. 청강, 경청
- 廰(관청 청)
* 聿(붓 율)
- 筆(붓 필) = 竹 + 聿
- 書(글 서) -> 曰(가로 왈)이 부수
- 畵(그림 화) -> 田이 부수
- 晝(낮 주) -> 日(해 일)이 부수
- 劃(그을 획)
* 臣(신하 신)
- 堅(굳을 견)
- 賢(어질 현)
* 艮(그칠 간)
- 根(뿌리 근)
- 銀(은 은) = 金 + 根(근 -> 은)
- 限(한계 한)
- 恨(한맺힐 한)
- 懇(정성 간)
* 良(어질 량, 좋을 량)
ex. 양호
- 浪(물결 낭) ex. 찰랑찰랑
- 娘(아가씨 낭) ex. 낭자
- 郎(사내 낭, 신랑 랑) ex. 낭군, 신랑
- 狼(이리 랑) ex. 낭패
* 色(빛 색)
ex. 안색
* 艸(풀 초): 부수 중 1위!
- 花(꽃 화)
- 若(같을 약, 어릴 약, 너 약)
諾(허락할 락)
- 匿(숨길 익)
* 虎(범 호, 범 무늬 호)
* 蟲(벌레 충)
: 곤충에 관련된 한자
- 蝶(나비 접)
- 蝴(나비 호)
- 虹(무지개 홍)
* 血(피 혈)
- 衆(무리 중)
* 行(다닐 행, 행할 행, 항렬 항)
- 術(재주 술) = 行 + 朮(차조 출) ex. 예술
* 衣(옷 의, 입다 의) = 衤(옷의 변)
- 衾(이불 금)
- 褥(요 욕)
ex. 금욕(衾褥): 이부자리
- 製(지을 제) = 衣 + 制(절제할 제) ex. 제약, 제화
* 襾(덮을 아)
- 西(서녘 서)
- 栖(깃들일 서) ex. 서식지
- 要(중요할 요, 반드시 요) ex. 필요
- 腰(허리 요) ex. 요
* 見(볼 견, 뵐 현)
ex. 견학, 알현
- 現(나타날 현) ex. 현재
- 覺(깨달을 각) ex. 각오, 각성
* 角(뿔 각, 모서리 각, 닿을 각)
ex. 사각형
- 觸(닿을 촉) ex. 촉각
* 言(말씀 언, 다스릴 언)
: 머리에서 두번 생각하고 입으로 말해라
- 語(말씀 어) ex. 언어
- 話(말씀 화) ex. 대화
- 訓(가르칠 훈) ex. 교훈
- 訛(그릇될 와) ex. 와전
- 謁(아뢸 알) ex. 알현
* 谷(계곡 곡)
- 浴(목욕할 욕) ex. 목욕
- 俗(풍속 속) ex. 미풍양속
- 欲(바랄 욕) ex. 욕망
- 慾(욕심 욕) ex. 욕심
* 豆(콩 두, 제기 두, 호리병 두)
- 荳(콩 두) = 草 + 豆
- 登(오를 등)
- 壹(병하나 일, 갖은자 한 일)
* 豕(돼지 시): 통통한 큰 돼지
- 嫁(시집갈 가)
- 家(집 가)
- 逐(쫓을 축) ex. 각축전
- 豖(돼지발걸음 얽을 축, 못걸을 축)
- 琢(쫄 탁) ex. 절차탁마
* 亥(돼지 해): 아기돼지
- 咳(기침 해) ex. 백일해
- 核(씨 핵) ex. 핵가족
* 豸(발없는 벌레 치, 맹수 치, 해태 치)
* 貝(조개 패, 돈 패)
: 조개, 돈에 관련된 한자의 부수
- 賏(진주 꿰어 목에 걸 영, 목걸이 영)
- 嬰(예쁠 영, 갓난아이 영) ex. 영아
- 櫻(앵두나무 앵)
- 寶(보배 보) ex. 여보(如寶)
* 赤(붉을 적)
비슷한 색: 紅(붉을 홍), 朱(붉을 주)
- 赫(빛날 혁)
헷갈리는 한자: 亦(또한 역)
* 走(달아날 주, 달릴 주)
- 起(일어날 기)
- 越(뛰어넘을 월) = 走 + 戉(도끼 월) ex. 초월
* 足(발 족, 만족할 족)
: 발에 관련된 한자에 쓰임
* 身(몸 신)
* 車(수레 차, 수레 거) ex. 자전거, 자동차
- 물레 전
- 專(오로지 전)
- 傳(전할 전)
- 轉(구를 전, 옮길 전) ex. 전학
* 辛(매울 신, 죄인 신)
- 辜(허물 고) = 古 + 辛
* 辟(임금 벽, 피할 피, 비유할 비)
- - 壁(벽 벽)
- 避(피할 피)
- 譬(비유할 비)
* 辰(별 진, 날 신, 용 진, 3월 진)
- 脣(입술 순) ex. 순망치한
- 農(농사 농)
- 濃(짙을 농): 농사할 때 물이 짙어야함
ex. 농담: 濃淡(짙을 농 + 맑을 담)
- 辱(욕 욕) ex. 욕봤다
- 褥(요 욕)
* 辵(쉬엄쉬엄 갈 착) = 辶(착 받침)
: 주로 먼 길에 관련된 한자에 쓰임
- 道(길 도)
- 近(가까울 근)
:도끼들고 일하러 가까운 곳에 감
- 遠(멀 원): 辶 + 袁(옷 치렁거릴 원)
: 옷 치렁치렁 입고 멀리 감
* 阜(언덕 부) = 阝(좌부 방) - 좌측에 옴
<비슷한 한자>
邑(고을 읍) = 阝(우부 방) - 우측에 옴
-> 阝가 좌측에 오냐 우측에 오냐에 따라
뜻이 언덕인지 고을인지 결정됨
<언덕>
陸(육지 육), 降(내릴 강, 항복 항), 陵(언덕 능)
<고을>
部(떼 부, 무리 부), 鄕(시골 향, 고향 향)
* 酉(술 유, 술동이 유, 닭 유)
: 발효식품 관련 한자에 쓰임
- 酉時(유시) 17:00 ~ 19:00
: 일이 끝나고 술 마시는 시간대를 뜻함
- 醱(발효 발)
- 酵(발효 효)
* 釆(분별할 변)
- 番(차례 번)
- 潘(쌀뜨물 반, 성씨 반)
<비슷한 한자>
采(캘 채, 풍채 채)
- 採(캘 채)
- 彩(빛날 채, 채색채)
* 里(마을 리)
- 理(다스릴 리, 이) ex 지리
- 鯉(잉어 리) ex. 고빙득리
- 埋(묻을 매) ex 매장
- 裏(속옷 리)
1. 金(쇠 금, 성 김)
: 광물에 관련, 성씨 김
- 銀(은 은)
- 銅(구리 동)
- 錫(주석 석)
- 鐵(쇠 철)
2. 長(긴 장, 자랄 장, 어른 장, 우두머리 장)
- 髟(머리 늘어질 표)
- 帳(장막 장)
- 張(베풀 장, 성씨 장) ex. 출장
3. 門(문 문)
- 問(물을 문), 부수 口
- 聞(들을 문), 부수 耳
- 開(열 개), 부수 門
- 閉(닫을 폐), 부수 門
- 閑(한가할 한), 閒(한가할 한)
- 闕(대궐 궐) = 門 + 欮(숨 내쉴 궐)
4. 阜(언덕 부)
- 陽(볕 양), 陰(그늘 음) -> 음양
5. 밑 이, 미칠 이(사진참조)
- 隸(종 예) ex. 노예
- 僕(종 복)
7. 隹(새 추): 꽁지 짧은 새에 쓰임
- 雀(참새 작) ex. 작설차
- 雁(기러기 안)
- 鷹(매 응) ex. 응시
- 應(응할 응) ex. 응답
- 集(모을 집)
- 雜(섞일 잡) ex. 잡동사니, 잡지, 잡채
* 鳥(새 조): 꽁지 긴 새에 쓰임
- 鷗(갈매기 구)
- 鳩(비둘기 구)
- 鶴(학 학, 두루미 학)
** 烏(까마귀 오)
: 부수는 鳥가 아니라 火에서 찾는다.
- 焉(노란까마귀 언, 어조사 언, 어찌 언)
8. 雨(비 우)
: 날씨 관련된 한자에 쓰임
- 雲(구름 운)
- 雪(눈 설)
- 彗(비 혜) ex. 혜성처럼
- 慧(지혜 혜)
- 霧(안개 무) = 雨 + 務(힘쓸 무)
- 雷(우뢰 뢰)
9. 靑(푸를 청)
: 붉은 씨앗(丹)이 나오면 푸른색이 나온다.
- 晴(갤 청): 날씨가 갰다.
- 請(청할 청)
- 淸(맑을 청) ex. 청정지역
- 情(뜻 정, 감정 정, 사랑 정): 청->정 ex. 우정
- 靜(고요할 정)
10. 非(아닐 비, 그칠 비)
: 나만 맞고 상대는 아니다라는 뜻
<-> 是(옳을 시, 바를 시)
ex. 시비
1. 韭(부추 구)
- 殲(죽일 섬)
- 纖(가늘 섬) ex. 섬섬옥수
- 籤(제비 첨) ex. 당첨
2. 面(얼굴 면, 고을 면)
: 얼굴 모양을 보고 만든 한자
3. 頁(머리 혈): 외형에 관련된 한자에 쓰임
- 頭(머리 두) ex. 두상
- 須(모름지기 수, 반드시 수) ex. 필수
- 願(원할 원) ex. 소원
4. 首(머리 수): 정신, 내면에 관련된 한자에 쓰임
- 道(길 도, 방법 도, 도리 도) ex. 방도, 도로
5. 革(가죽 혁, 바꿀 혁) ex. 개혁
- 覇(으뜸 패) = 雨 + 革 + 月 ex . 제패, 패권
: 칙칙한 가죽(밝은 부분도 있지만 어두운 부분도 있다.)
6. 韋(다룸가죽 위)
- 韓(한국 한, 나라 한, 클 한) ex. 대한민국
- 偉(클 위, 거룩할 위, 훌륭할 위) ex. 위인
- 衛(지킬 위) = 行 + 韋 ex. 호위
- 葦(갈대 위) 부수: 草(풀 초)
- 圍(둘레 위) 부수: 口(에울 위)
7. 食(밥 식, 먹을 식, 밥 사) = 뚜 껑 + 良(어질 량)
- 飮(마실 음) = 食 + 欠(하품 흠) ex. 음료수
-> 食이 다른 한자와 붙어나오면 한자 변형
- 餓(굶을 아, 주릴 아) = 食 + 我(나 아)
- 飢(주릴 기)
* 기아(飢餓) - 굶주린 아이
* 기아(棄兒, 버릴 기, 아이 아) - 버려진 아이
8. 香(향기 향) = 禾(벼 화) + 日(최고)
: 최고 좋은 향은 쌀 향이다
- 馨(향기 멀리 나갈 형)
9. 音(소리 음)
- 暗(어두울 암)
- 闇(어두울 암, 숨을 암, 망루 암)
10. 飛(날 비) ex. 비행기 (획순 주의)
: 새가 날고 있는 모습
11. 風(바람 풍) = 凡(무릇 범) + 䖝(벌레 충)
: 무릇 태풍이 지나간 다음에 병충이
많이 번식한다는 뜻(새로운 생명)
- 楓(단풍나무 풍)
1. 馬(말 마)
: 말은 빠르고 잘 놀라는 특성이 있다.
- 馴(길들일 순)
- 駐(말 머물 주) ex. 주차장
- 馭(말 부릴 어) = 御(어거할 어, 임금 어)
- 驚(놀랄 경)
2. 骨(뼈 골)
- 骼(골격 격, 뼈 격)
- 骸(해골 해, 뼈 해)
- 體(몸 체)
3. 高(높을 고)
- 稿(원고 고) ex. 원고
- 稁(볏짚 고) ex. 고공품
- 膏(기름 고) ex. 고량진미
- 鎬(냄비 호, 호경 호)
4. 髟(머리 늘어질 표, 터럭 발)
- 髮(터럭 발) = 髟 + 犮(개 달아날 발)
- 髥(수염 염, 구렛나루 염)
- 鬚(수염 수)
5. 鬥(싸울 투, 싸울 두)
- 鬪(싸울 투) ex. 투쟁(鬪爭)
6. 鬯(울창 주창)
- 鬱(답답할 울, 막힐 울) ex. 우울증(憂鬱症)
7. 오지병 격(사진 참조 ㅠ.ㅠ)
8. 鬼(귀신 귀)
- 魂(넋 혼): (정신) 양 - 하늘
- 魄(넋 백): (몸) 음 - 땅
-> 혼백(魂魄), 혼비백산
1. 魚(물고기 어)
- 漁(고기 잡을 어) ex. 어부(漁夫), 어촌(漁村)
- 鯉(잉어 리) ex. 고빙득리
- 鰍(미꾸라지 추) = 漁 + 秋(가을 추) ex. 추어탕
- 鯨(고래 경) = 漁 + 京(서울 경, 높을 경)
- 魯(미련할 노, 둔할 노, 성씨 노)
2. 鳥(새 조)
: 꽁지가 긴 새에 쓰임,
꽁지가 짧은 새는 隹(새 추)를 씀
- 鳩(비둘기 구)
- 鷄(닭 계) ex. 계란(鷄卵)
- 鳧(오리 부)
3. 鹵(소금밭 노, 로)
: 짠 것에 관련된 한자에 쓰임
- 鹹(짤 함) = 鹵 + 咸(다 함) ex. 함초(鹹草)
- 鹽(소금 염)
4. 鹿(사슴 녹)
- 麗(아름다울 려) ex. 고구려
- 麒(기린 기), 麟(기린 린)
**麒麟兒(기린아)
:슬기와 재주가 남달리 뛰어난 젊은이
5. 麥(보리 맥, 밀 맥)
- 麵(국수 면) = 麪(밀가루 면)
6. 麻(삼 마, 참깨 마) ex. 마의
- 魔(귀신 마) ex. 마녀
- 痲(저릴 마) ex. 마비
1. 黃(누를 황, 황제 황, 넓을 황, 죽을 황)
ex. 황토(黃土), 황천(黃泉)
** 廿(스물 입), 世(세대 세, 인간 세)
- 廣(넓을 광)
- 鑛(광물 광)
- 橫(가로 횡, 갑자기 횡)
ex. 횡단보도, 횡사(橫死), 횡재(橫財)
2. 黍(기장 서, 메기장 서, 찰기 서)
3. 黑(검을 흑)
- 墨(먹 묵)
- 默(잠잠할 묵)
4. 바느질 치(사진참조ㅜㅜ)
- 黻(수놓을 불)
- 黼(수 보)
1. 鼎(솥 정)
2. 鼠(쥐 서)
- 鼯(다람쥐 오)
3. 鼓(북 고)
ex. 고무적이다
- 廚(부엌 주)
- 樹(나무 수, 세울 수) ex. 가로수, 수립
14획
1. 鼻(코 비, 처음 비)
** 始(처음 시)
시조(始祖) = 비조(鼻祖)
2. 齊(가지런할 제)
: 보리나 밀의 형태를 보고 만든 글자
- 濟(건널 제, 구제할 제) ex. 구제
- 劑(조제할 제) ex. 조제
- 臍(배꼽 제)
- 薺(냉이 제)
- 齋(서재 재, 목욕재계할 재)
1. 齒(이 치) 15획
- 齡(나이 령) = 齒 + 令(하여금 령)
** 年(해 년), 歲(나이 세)
ex. 연세(年歲), 연령(年齡)
2. 龜(거북 구, 귀, 터질 균) 16획
3. 맹꽁이 맹 13획
- 繩(노끈 승, 줄 승)
4. 龍(용 룡) 16획
- 聾(귀머거리 농)
** 啞(벙어리 아)
ex. 농아
: 귀로 듣지 못하고 입으로 말하지 못하는 것
- 寵(사랑할 총)
ex. 총애(寵愛)
5. 籥(피리 약) 17획
: 피리를 보고 만든 한자
- 俰(화할 화, 도울 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