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실적 달성 한 케이뱅크... ‘지난해 당기순이익 1281억’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11일 케이뱅크는 지난해 총 1281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2023년 당기순이익 128억 원의 10배에 달하는
이익 규모로 지난 22년 연간 실적(836억 원)을
넘어서는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케이뱅크에 따르면 가파른 고객 확대가
사상 최대 이익으로 이어졌습니다.
지난해에만 321만 명의 새로운 고객이 유입되며
지난해 말 케이뱅크의 고객은 1274만 명에 달했답니다.
가상자산 호조로 고객이 급증한 21년을 제외하고는
지난 17년 출범 이후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습니다.
케이뱅크가 지난해 3월 출시한
‘돈나무 키우기’는 고객 180만 명을 넘어서며,
케이뱅크의 · 고객 유입으로 이어져 수신도
가파른 성장을 보였다.
지난해 말 케이뱅크의 수신은 28조5700억 원으로
2023년 말 19조700억 원 대비 49.8% 늘었답니다.
특히, 요구불예금이 전체 수신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케이뱅크의 가계 수신 중 요구불예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말 47.1%에서 지난해 말 59.5%로 늘었답니다.
경쟁력 있는 금리를 앞세워 여신도 안정적으로 성장.
지난해 말 여신 잔액은 16조2700억 원으로
2023년말 13조8400억 원보다 17.6% 늘었답니다.
대출이동제 도입에 따른 아파트담보대출 잔액 증가와
은행권 최초의 비대면 개인사업자 부동산담보대출
(사장님 부동산담보대출) 출시에 따라
담보대출 위주로 잔액이 늘었는데요.
이에 따라 대출 중 담보 및 보증 대출의 비중은
2023년 말 39.0%에서 지난해 말 53.1%로 증가했습니다.
여수신 성장에 따라
케이뱅크의 이자이익은 4815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4504억 대비 6.9% 늘었답니다.
비이자이익은 613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338억 원보다 81.4% 늘었답니다.
MMF 등 운용수익이 늘어난 가운데,
가상자산 시장 호조에 따른 펌뱅킹 수수료 확대,
체크카드 발급 증가, 연계대출 성장,
플랫폼 광고 수익 본격화 등이
비이자이익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상생 금융 실천에도 힘썼답니다.
케이뱅크가 지난해 중저신용 고객에게 공급한 신용대출은
총 1조1658억 원입니다.
연간 평균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34.1%로
목표치(30%)를 넘겼으며,
특히 지난해 4분기 평균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35.3%로 인터넷은행 중 가장 높았답니다.
상생 금융 실천에 적극 나섰음에도
안전자산 비중 확대와 여신 관리 강화 노력으로
건전성은 개선됐답니다.
케이뱅크의 연체율은 23년 말 0.96%에서
지난해 말 0.90%로 낮아졌고,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86%에서
0.82%로 안정화됐습니다,.
대손비용률은 23년 2.35%에서
24년 1.59%로 개선됐답니다.
대손비용률은 대손비용을 여신 평균잔액으로 나눈 수치로
낮을수록 여신 자산 부실로 인한 대손상각비와
향후 부실 전망에 따른 추가 충당금이 적어
자산건전성을 양호하게 관리했다는 의미입니다.
여신의 지속적인 성장에도 이익 증가와
안전자산 비중 확대에 따라 지난해 말 BIS비율은 14.67%로
전년 말 13.18% 대비 높아졌답니다.
케이뱅크는 올해 IT 리더십을 기반으로
고객을 1500만 명까지 확대하고
기업대출 시장을 선점함으로써 성장을 이어가는 동시에,
상생 금융 실천과 사회공헌활동에도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은
“상품·서비스 경쟁력 제고를 통한 고객 증가와
포트폴리오 개선, 건전성 강화를 통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라며
“올해도 지속적인 이익 실현과 건전성 관리를 통해
성장의 기반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답니다.
케이뱅크는 지난 1월 트럼프 2기 출범과
탄핵 정국 등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시장에서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하에 상장 계획 철회습니다.
현재 연내 IPO 재추진 일정을 잡기 위해
시장 상황을 주시하는 중입니다.
앞서 2022년 9월 상장예비심사 승인받은 케이뱅크는
이듬해 2월 투자심리 위축 등을 이유로 상장을 철회했으며,
지난해 8월 상장 예비 심사를 통과한 케이뱅크는 IPO를 추진했으나,
수요예측 부진으로 상장 연기를 결정한 바 있답니다.
올해 1월 3번째 상장 도전이 무산된 만큼 투자자와 시장은
향후 행방에 관해 관심이 많습니다.
또한, 4번째 IPO 도전 시기에
업계 안팎으로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지만
최근 업비트의 중징계 처분이 자사의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업비트와 운영사 두나무는 지난해 국정감사(국감)에서도
시장 독과점 의혹과 이에 따른 시장 왜곡 현상을
지적받은 바 있는 만큼 연내 IPO 재추진에 걸림돌로
작용할지 이목이 쏠립니다.
▼ 기사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