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dern Art and Cultural Design [2] Contemporary Artist Louis Choi Chul-joo's Contemporary Artwork Review & Penimist Painting: Choi Chul-joo's Literary and Art Criticism from an Ideological View
Literature Review/ Literature Critic Choi Chul-joo Art Literature review: Penimist Painting from an Ideological Perspective/ Choi Chul-joo Literary Art Criticism - Na Hye-seok's <Suwon Hwaseong Gate, Hwahong Gate> - Na Hye-seok Academic Conference, 23rd Na Hye-seok's Get to know right away Symposium (Online, April 25, 2020)
visionary feminism
Suwon Hwaseong Gate emphasizes the geometric dimensions by putting objects on the canvas, but the more they focus on ideological gaze, the more they approach the contemporary social structure system.
<Suwon Hwaseongmun> is a perspective visual system that focuses on the flatness of <Suwon Hwaseongmun> by drawing vertical tre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nting and exposing the boundaries of the canvas. This imprints flatness as another reality in the illusionary picture of perspective. And it actually reveals the "woman's bondage" as a meaning that has shifted ideologically and actually away from the contemporary mannerist image, which is a symbol as an invisible reality. It is a contemporary laundry site, which is the actual meaning of Honghwa Gate as a geometric image in "Suwon Hwaseong Gate", which means that the social status of men in a patriarchal institutional society is inappropriate. Here, a woman and a child express the duality of "Suwon Hwaseongmun" as the cause of her feminist desire by recalling a woman's bond.
The duality of "Suwon Hwaseong Gate" features a woman going to wash clothes in the geometric "Suwon Hwaseong Gate" to express the duality of a concealed object that reveals the real situation of the woman and the dualism of the woman's bridle. The object's expression method omits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women, children, and Hwahongmun, leading them to approach the actual meaning separated from the image contained on the canvas. She transforms "Suwon Hwaseong Gate" into a system of signs on symbolic representations, breaking away from the perspective perspective visual system and recognizing that the bond of contemporary women is just a picture. This shows an absurd practical representation of social mannerism by depicting the meaning of "Suwon Hwaseong Gate" as a reality on a flattened canvas. In addition, "Suwon Hwaseong Gate" is not a real geometric image, but a non-real system reproduced in a symbolic sense containing the bonds of contemporary women. In this way, Na Hye-seok approaches with the spirit of geometric reality and reveals feminism.
As another reality of Suwon Hwaseong Gate, she demonstrates feminism by recreating the manneristic social image of women's relationships along with the dual representation of the geometric reality revealed in society.
Abstractionism in <Suwon Hwaseongmun> is a symbolic image concealed by the desires of others and is the subject of the object. The subject of the object concealed by the distorted image constitutes the shape of the concept of desire in terms of desire. This is an existential symbolic image that expresses the existential meaning of feminism in the cognitive system. In other words, another reality separated from the reality of Suwon Hwaseong Gate is not to reproduce the object of expression in the meaning of the image, but to express the concept of feminism existing in the image as a new subject in the actual object.
In <Suwon Hwaseong Moon>, the actual image is used as an example of revealing the existence of the image as the subject of an object that reveals the hidden desires of others. This is because the subject of a hidden object existing in virtual reality is recognized as the meaning of an existential image formed by the desire of others. This is a cognitive system that connects the perspective image of <Suwon Hwaseong Moon> and the discussion of feminism in virtual reality. Na Hye-seok's feminism is the subject of objects concealed in the <Suwon Hwaseong Gate>, which exists as a symbol image hidden in the desires of others in the cognitive system.
This is a visionary feminist like George Sand.
Na Hye-seok is a woman who developed visionary feminism in Korea at a time when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was central in 19th-century France, a romantic era in Korea in the 20th centur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Euclidean formulation structure, consisting of the Euclidean formulation principle in which parallel lines do not intersect, is a picture that applies a perspective view of the virtual reality space from a visual point of view and expresses a different shape from the phenomenon (現象) of modern paintings.
Na Hye-seok's feministization is a conceptualization that does not accept non-real aspects like the parallel line of Euclidean. Feminism and practicality are inconsistent through concealment in the form of invisible reality that leads from reality to non-realism. When women in non-realization become a reality, there are no Japanese colonial era women reflected in the phenomenon, and the reality of women and children in the picture disappears. The reality that her feminism reflected at the same time seems to be a woman who has transferred from symbol to reality is a dual semantic structure in which symbolism is realized. At this time, the woman in the painting loses the symbolism of the contemporary space that existed, and the woman realized in symbolism as a meaning becomes a figure in which the feminism of women has disappeared as a meaning of the reality of the space that existed.
Trying to reveal physical reality as a three-dimensional space in a painting is a real reality that allows you to stare at the woman in the painting. Her feminism as a real reality stems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as a clear physical structure with a physical aspect of a dual semantic structure in the appearance of the Hwahongmun, a woman and a child.
Picasso painted women from multiple perspectives on one side and two sides at the same time, but her "Hwaseong Gate" doesn't show objects trying to feel realistic, it shows the submissive structure behind the actual structure of women's bon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particular, by removing ambivalence from the physical structure and clarifying the semantic structure to show an interpretation of feminism, we paradoxically suggest whether it is appropriate for women of the time to obey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structure the image of Suwon Hwaseong Gate flatly and express the bond of women in the Japanese occupation without the air of life, the woman in the laundry put realistic sounds like modern women into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Suwon Hwaseong Gate and the air of feminism. As such, Na Hye-seok aggregates what is perceived as reality into a three-dimensional semantic structure rather than a representation of women. This is to analyze objects with non-realistic semantic structures and see the form of visual representation that expresses objects and objects as representations of cognitive semantic structures in different meanings. In <Suwon Hwaseongmun>, the woman in the painting is another unrealistic image that reveals the meaning of reality as Na Hye-seok's realistic image as a semantic structure separate from the actual image.
In an unrealistic sense, the female image of Suwon Hwaseongmun hides the image of women's bond from the overall perspective of Suwon Hwaseongmun, transforms feminists into feminist desires, and holds hands with contemporary female images, but the reality has a conceptual meaning of suppressing oneself from an unrealistic and feminist perspective.
This is the image of Suwon Hwaseong Gate, where her feminism has transferred from a real phenomenon to a concept, and because the image is phenomenal, it is recognized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real imag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real image At this time, the image makes us realize the reality that appears to be real, that is, the meaning of desire feminism separated from the bondage of women.
Starting from pictorial representation, Na Hye-seok's feminism forms another unrealistic meaning separated from the real imag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new feminist concept that deviates from the real image.
In <Suwon Hwaseongmun>, women and Hwahongmun are visual structures that can be recognized in the Euclidean visual system, while the tree arrangement on the left and right contrasts with the non-realistic frame. Here, the perspective is that Hwahongmun is the social status of men in a patriarchal institutional society, and women and children are reminiscent of the bonds of contemporary women, which is the cause of her feminist desire and expresses the duality of objects.
In "Suwon Hwaseongmun", the woman in the work expresses the duality of contemporary reality phenomena and objects with women's bonds in a duality.
Like the dualism of Baudelaire literary art that influenced contemporary artists, Na Hye-seok variably expresses the modern situation and the bond between women at Suwon Hwaseong Gate, while a woman doing modern laundry appears at Suwon Hwaseong Gate, revealing the real situation of women and enhancing the bond with double elements.
In "Suwon Hwaseongmun", she shows an absurd and practical representation of social mannerism. It is not a visual image of reality, but an unrealistic picture that reproduces an image as reality in a flat painting space. Here, the female image is a symbolic image of the bondage of contemporary women. In other words, it reveals feminism by approaching it with the will of reality. Seeing this as a symbolic image of reality, Na Hye-seok recreated an unrealistic picture with the intention of revealing feminism and a variable element of art.
The boundary of the canvas is the boundary of the schematic city area, but she said in "Suwon Hwaseongmun" that the planar imagery of characters and trees reveals the boundary of the canvas, expressing the invisible "women's bond" in the painting technique of "Suwon Hwaseongmun" as an invisible reality that deviates from contemporary mannerism, which is actually a symbol, and through this, semantic feminism was drawn from her perspective. This means feminism that gives the impression of a flat canvas as another reality in perspective illusion.
According to the expression method of "Suwon Hwaseongmun",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women, children, and Hwahongmun was omitted and the color was drawn in a simplified color, so the image contained in the canvas was recognized as a practical meaning effect separated from subordinate reality.
The surface is expressed monotonously like type without focusing on perspective description. This removes the relational description of the real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real that existed in the perspective space. In other words, it is converted into a system of symbols and symbols. In <Suwon Hwaseongmun>, the image deviates from the perspective visual system, that is, the Quattrocento styles. The margins and objects are also characters and backgrounds that deviate from the real image. In this way, she planarizes the illusionary image of the painting to approach the perception that women's bonds are nothing but paintings.
Suwon Hwaseong Gate has increased the bond between contemporary women as images of women in the painting by arranging women, children, and gates horizontally to reduce visibility and minimize the level of materiality by separating women and children's colors from the shade.
Because pictures are metaphorical like language structures, the form and image of images are not the same, so reality is a practical semantic structure with different forms and images. By revealing the reality of "Suwon Hwaseong Gate", it represents a space of practical meaning as a non-representation on the back of society and objects, and in the sense of form and reality revealed in society, it reproduces the manneristic social image of a contemporary female bridle, showing the reality of "a woman holding a laundry in her head with a hand and holding a child with a different hand." /Writing. Literature critic Choi Chul-joo (Ph.D. in Cultural Design)
문학평론/ 최철주 문학평론가 라캉적 문학평론: 관념적 시선으로 본 페니미즘 회화/ 최철주 문학 미술평론- 나혜석의 <수원화성문水原華城門·화홍문> - 나혜석학술대회, 제23회 나혜석 바로 알기 심포지엄(온라인, 2020.04.25.)
나혜석, 수원화성문·화홍문, 캔버스에 유채 60.5x72.7cm, 1929. [출처: 한국데이터진흥원]
Penimist Painting: Choi Chul-joo's Literary and Art Criticism from an Ideological View
/ Na Hye-sok's feminist painting <Suwon Hwaseongmun> 나혜석 페미니즘 회화 <수원화성문>
<수원화성문 水原華城門>은 오브제를 캔버스에 넣어서 기하학적 입체성을 부각하지만 관념적 시선에 집중할수록 동시대의 사회구조 체계에 접근한다.
<수원화성문>은 투시도법 시각체계로 한 구조로서 그림의 좌, 우측면에 수직적 나무를 그려서 도식화된 시각적 범위로서 캔버스의 경계를 노출함으로써 <수원화성문>을 평면성에 시선을 맞춘다. 이것은 원근법에 대한 환영적 그림에서 또 다른 실재로서 평면성을 각인시킨다. 그리고 보이지 않는 실재로서 상징성인 동시대의 매너리즘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관념적 실제로 전이한 의미로서 ‘여인의 굴레’를 실제적으로 드러낸다. 그것은 <수원화성문> 속 홍화문의 의미 즉 기하학적 이미지로서의 실제적 의미인 동시대의 빨래터로서 화홍문은 가부장적 제도사회의 남성의 사회적 지위가 부적절한 것임을 말한다. 여기서 여인과 어린아이는 여인의 굴레를 연상시킴으로써 그녀의 페미니즘적 욕망의 원인으로써 <수원화성문>의 이중성을 표출한다.
<수원화성문>의 이중성은 기하학적 <수원화성문> 속에 빨래하러 가는 여인을 등장시켜서 여인의 실제의 상황을 드러낸 실재적 현상과 여인의 굴레를 이원성으로 한 은폐된 오브제의 이중성을 표출한다. 그 오브제의 표현 방법은 여인과 어린아이 그리고 화홍문의 입체감을 생략하여서 캔버스의 담긴 이미지에서 분리된 실재적 의미에 접근하도록 유도한다. 그녀는 <수원화성문>을 상징적 표상에 기표의 체계로 전환하여서 투시도법적 시각체계에서 벗어나 <수원화성문>이 가진 환영적 이미지로서 동시대 여성의 굴레가 그림일 뿐이라는 인식을 하게 한다. 이것은 <수원화성문>을 실재로서의 의미를 평면화된 캔퍼스에 그려냄으로써 사회적 매너리즘의 부조리한 실제적 표상을 보여준다. 그리고 <수원화성문>이 실제의 기하학적 이미지가 아닌 동시대의 여성의 굴레를 담은 기표적 의미로 재현된 비실제임을 말한다. 이렇게 나혜석은 기하학적 실제의 기의로 접근하여 페미니즘을 드러낸다.
그녀는 <수원화성문>에 대한 또 다른 실재로서 여성의 굴레를 드러냄으로써 사회상에서 드러난 기하학적 형상과 실재의 이원적 표상으로 한 여성의 굴레에 대한 매너리즘적 사회상을 재현하여서 실제적 기의로서의 페미니즘을 보인다.
<수원화성문>에서의 폐미니즘은 타자의 욕망에 은폐된 기표 이미지로서 오브제의 주체다. 왜상적 이미지로 은폐된 오브제의 주체는 욕망적 관점에서의 형상을 구성한다. 이것은 존재적 기표 이미지에 인지체계에서 폐미니즘의 존재적 의미를 표출한다. 즉 <수원화성문>의 실재에서 분리된 또 다른 실재로서의 기표 이미지는 오브제를 재현하는 것이 아닌 실재의 오브제에서 새로운 주체의 기표 이미지에 존재하는 페미니즘 개념을 표출한다.
<수원화성문>에서 실제의 기표이미지를 예로 한 것은 은폐된 타자의 욕망을 드러내는 오브제의 주체로서 기표 이미지의 존재를 드러내기 위함이다. 이것은 가상적 실제에 존재하는 은폐된 오브제의 주체가 타자의 욕망으로 형성된 존재적 이미지의 의미로 인지되기 때문이다. 이것이 가상적 실제에서 <수원화성문>의 투시도법과 페미니즘 논의를 연결하는 인지체계다. 그 인지체계에서 타자의 욕망에 은폐된 기표 이미지로서 존재하는 <수원화성문> 속에 은폐된 오브제 즉 관념적 시선의 주체가 나혜석의 페미니즘이다.
이것은 조르주 상드처럼 선각적 페미니스트다.
그녀의 페미니즘은 사회적 남성 중심의 이데올로기에서의 기회와 권리를 여성이 평등하게 누리는 것이다.
19세기 낭만주의 시대 프랑스에서 조르주 상드가 시작한 여성의 정치 참여를 중심으로 한 선각적 페미니즘을 20세기 일제강점기 세대 한국에서 전개한 여성이 나혜석이다.
유클리드적 조형을 이루는 구조로서 평행선은 교접하지 않는다는 유클리드의 조형 원리로 구성된 형상이 가상적 실제 공간을 시각적 시점에서의 투시도법을 적용한 그림이다. 이것은 현대 회화의 현상(現象)과는 다른 형상의 표현이다.
나혜석의 페미니즘적 그림은 비실제의 무늬를 받아드리는 않는 구상화다. 비실제에서 비실제로 계속되는 드러나지 않는 실제의 형상은 은폐를 통해 페미니즘과 실제성은 불일치함을 연출한다. 만약에 그녀가 비실제적 그림 속의 여성이 실제가 된다면 현상에 비친 일제강점기 여성은 부재가 됨으로써 그림 속에 등장한 여성과 어린아이의 실제성은 사라진다. 동시대에 비친 그녀의 페미니즘이 상징성에서 실제성으로 전이된 여성으로 보이는 실제는 상징성이 실제화된 이중의미의 구조다. 이때 그림 속의 여성은 존재했던 동시대의 공간의 상징성을 잃고 또 의미로서 상징성에서 실제화된 여성은 존재했던 공간의 실제성 의미로써 여성의 페미니즘이 소멸한 형상이 된다.
회화에서 입체적 공간으로써 물리적 비실제를 드러내고자 함은 사실적인 실제로서의 그림 속의 여인을 응시하게 한다. 사실적인 실제로서의 그녀의 페미니즘은 분명한 물리적 구조로서 일제강점기 시대에서 나온다. 그 구조적 물리성은 화홍문(華虹門)과 여인 그리고 어린아이의 모습에서 이중적 의미구조의 물리적 단면을 갖고 있다.
피카소는 동일한 시간에 다 시점으로 물리적 구조로서의 여인을 그렸다. 비실제적 회화에서는 한 개의 단면과 두 개의 측면을 하나의 시점에서 오브제를 비사실적으로 그린다. 그러나 그녀의 <수원화성문>에서는 사실적 입체감을 느끼게 대상을 보여주지 않고 일제강점기 여인의 굴레에 대한 실상적 구조의 이면적 페미니즘을 보여준다. 특히 물리적 구조에서 양감을 소거함으로써 의미적 구조를 명확하게 드러내어서 페미니즘에 대한 그녀의 해석을 보여줌으로써 동시대의 여성이 순행(順行)하는 도리가 적합한가를 역설적으로 보인다.
그녀는 <수원화성문>의 이미지를 평면화하여서 공기(空氣)가 사라진 일제강점기에 소리(所吏)가 없는 여성의 굴레를 표출하고자 동시대의 빨래터로서 수원 화홍문의 가상적 입체구조와 여인과의 사이에 공기를 넣어서 그녀의 페미니즘적 액션으로 한 소리(疏利)를 만든다. 이렇게 나혜석은 여인의 형상을 재현하는 것보다 입체적 의미구조로서의 실재로서 인식된 것을 총합화하고 있다. 이것은 비실제의 오브제를 의미구조로써 오브제를 분석하는 것으로 시각적 재현의 형태를 다른 의미에서 오브제의 것과 그 오브제를 인식적 의미구조의 재현 형태로 보는 것이다. <수원화성문>에서 그림 속의 여인은 실제의 이미지에서 분리된 의미구조로서 나혜석의 페미니즘이다. 이것은 실재로서의 의미를 드러내는 또 다른 의미적 이미지의 비실제다.
<수원화성문>에서 여인의 이미지는 비실제적 의미로서 <수원화성문>를 보는 전체 시점에서 여인의 굴레가 은폐된 이미지이다. 이것은 그녀의 페미니즘적 욕망에서 드러난 의미로 변형되고 개념적으로 상징화된 그녀의 페미니즘이다. 동시대 여인의 모습과 손잡고 있는 어린아이는 현상적 유사성을 갖지만, 실체는 비실제적 의미로서 그녀의 페미니즘적 관점에서의 그녀를 억압하고 있는 개념적 의미다.
이것은 실제의 현상에서 그녀의 페미니즘이 개념으로 전이한 <수원화성문>의 이미지이다. 이것의 이미지는 현상적이므로 실제적 이미지와 비교를 통해 실재적 이미지와는 다른 것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 이미지는 실제로서의 형상 즉 여인의 굴레에서 분리된 욕망적 페미니즘으로써 보이는 실제로서의 의미를 깨닫게 한다.
이렇게 회화적 재현에서 시작한 나혜석의 페미니즘은 실제 이미지에서 벗어난 새로운 페미니즘적 개념의 도입을 통해 실제 이미지에서 분리된 또 다른 비실제적 의미가 형성된다.
<수원화성문>에서 여인과 화홍문이 유클리드적 시각체계에서 인지할 수 있는 시각적 구조인 데 반해 좌, 우측면 나무의 배치는 비실제적 이미지의 틀이 대조를 이룬다. 여기서 원근법적 이미지는 화홍문은 가부장적 제도사회의 남성의 사회적 지위이며, 여인과 어린아이는 동시대 여인의 굴레를 연상시킨다. 이것은 그녀의 페미니즘적 욕망의 원인이자 오브제의 이중성을 표출한 실재다.
<수원화성문>에서 그림 속의 여인은 동시대의 실재적 현상과 여인의 굴레를 이원성으로 한 오브제의 이중성을 표출하고 있다.
근대의 화가들에게 영향 주었던 보들레르의 예술의 이원성처럼 나혜석도 동시대의 상황과 여인의 굴레를 가변적으로 <수원화성문>에 표현한다. <수원화성문>에서 동시대의 빨래하는 여인을 등장시켜서 여인의 실제의 상황을 드러내고 이원성 요소로서 여인의 굴레를 들어낸다.
그녀는 <수원화성문>에서 사회적 매너리즘의 부조리한 실제적 표상을 보여준다. 실재로서의 이미지를 평면화된 회화 공간에 그려냄으로써 실재의 시각적 이미지가 아닌 재현된 비실제적 회화임을 말한다. 여기서 여인의 이미지는 동시대의 여성의 굴레를 담은 기표적 이미지다. 즉 실재의 기의로 접근하여 페미니즘을 드러낸 것이다. 이것을 실재의 기표적 이미지로 보면 나혜석이 페미니즘을 드러내려는 의도와 예술의 가변적인 요소로써 비실제적인 회화를 재현한 것이다.
캔버스의 경계는 도식화된 시각적 범위의 경계이지만 그녀는 <수원화성문>에서 인물과 나무의 평면적인 표현은 캔버스의 경계를 노출한다. 그리하여 <수원화성문>의 화법에서 평면성에 시선을 맞춤으로 그는 보이지 않는 실재로서 상징성인 동시대의 매너리즘에서 벗어나 실제로 전이한 의미로서 보이지 않는 ‘여인의 굴레’를 실재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렇게 그녀는 자신의 관점에서 의미적 페미니즘을 그렸다. 이것은 원근법에 대한 환영적 회화에서 또 다른 실재로서 평면적인 캔버스임을 각인시켜 주면서 페미니즘을 말한다.
<수원화성문>의 표현 방법을 보면 여인과 어린아이 그리고 화홍문의 입체감을 생략하고 세부적인 형태감을 주지 않았으며 색상은 단순화된 색상으로 그렸다. 그리하여 캔버스의 담긴 이미지는 매너리즘적 실제(實際)에서 분리된 실재적 의미효과로써 인지하도록 하였다. 그녀는 원근법적 묘사에 치중하지 않고 판화처럼 모노톤으로 표면을 보여준다. 이것으로 원근법적 공간에 존재했던 실제와 실제적 재현의 관계적 묘사가 없어진 것이다. 즉 상징적 표상에 기표의 체계로 전환한다. <수원화성문>에서 이미지는 원근법적 시각체계 즉 콰트로첸토(Quattrocento styles)에서 벗어나 있다. 여백과 오브제도 실제 이미지에서 어긋난 인물과 배경이다. 이렇게 그녀는 회화가 가진 환영적 이미지를 평면화시켜서 여성의 굴레가 그림일 뿐이라는 인식에 접근하게 만든다.
<수원화성문>에서 여인과 어린아이 그리고 홍화문은 수평적 배치로 되어 있어서 원근감이 떨어진다. 여기에 여인과 어린아이의 색을 음영을 분리하여 양감의 단계를 최소화함으로써 <수원화성문>에는 빛에 의한 피사체의 환영적 이미지가 최소화하여서 그림 속의 여인 이미지가 말하고 있는 동시대의 여성의 굴레를 들어내고 있다.
그것은 언어구조와 같이 은유적이므로 이미지의 형태와는 동일하지 않다. 그래서 실재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형태와 이미지가 다른 실재적 의미구조로서 드러낸다. 그녀가 <수원화성문>에 대한 실재를 드러냄으로써 사회상의 이면과 오브제에 비표상으로 실재적 의미의 공간을 표상한다. 그녀는 사회상에서 드러난 형상과 실재의 이원적 표상(repre-sentation)에서 동시대의 여성의 굴레에 대한 매너리즘적 사회상을 재현하는 기의에서 실재로서 기표적인 ‘머리에 빨랫감을 올려놓고 어린아이의 손을 잡은 여인’ 즉 자신의 사유적 페미니즘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