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식품영양학적 측면에서의 건강 효능
대나무의 식품학적 의의는 죽순을 예로 들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죽순은 90% 이상이 수분이고 다른 영양소의 함량은 낮지만 고형분으로는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고 식이섬 섬유질이 많아 저칼로리 식품의 하나로 현대인의 식생활에 아주 적합한 식품이다. 죽순중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함량은 주로 타이로신, 아르기닌, 히르티딘, 로이신 등이다. 타이로신은 체내의 생화학적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죽순중의 지방을 구성하는 지방산도 포화지방산에 비하여 불포화지방산이 많고 필수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산과 리놀렌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 B1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무기물은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 특히 칼륨함량이 높아 칼륨이 결핍되기 쉬운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의 식생활에는 대단히 좋은 식품이고 빈혈의 원인이 되고 조혈작용에 필수적인 철분함량도 다른 채소에 비해 높은 식품이다.
죽엽의 경우, 함유된 영양성분 및 그 함량은 죽순에 비해 낮지만 영양학적 기능은 거의 유사하고 특히 대나무 잎차는 물에 이들 성분을 용출 시킨 후에 음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생리활성기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2) 약리학적 측면에서의 건강효능
죽엽의 이용은 식품학적 측면보다는 약리학적 측면에서 주로 이용하는 것인데, 대나무는 부위에 따라 존재하는 약리활성물질의 종류와 약리작용이 서로 차이가 있다.
약리적으로 이용하는 대나무의 각 부위는 다음과 같다.
(1) 죽여
죽여는 대나무의 속껍질을 말하는데 청록색을 띤 줄기의 겉껍질을 벗기고 안쪽에 있는 흰색의 얇은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 것이다. 죽여는 해열, 위열, 번열 등에 열내림약 또는 토혈, 육열 등에 피멎이약으로 쓰며 구역, 딸국질 등에 진토제로 쓴다.
(2) 죽력
화죽력 : 30cm 정도의 대나무 마디 사이를 자르고 가운데 부분을 불에 쪼여 두 끝에서 나오는 대나무 기름을 받은 것
생죽력 : 이른 봄에 대나무의 성장이 왕성할 때 대나무 끝을 잘라 나오는 즙액을 병에 받은 것
수죽력 : 대나무를 찬물 또는 더운물에 담가 수침액을 빼낸 것
죽력은 열내림약, 구풍약(위장에 가스가 찬 것을 제가하는)이며 고혈압, 중풍 등에 특히 졸중풍, 파상풍, 번민 소갈증, 소아경간증 등 일체 위급한 병의 치료에 쓴다.
(3) 죽엽
죽엽은 어린 대나무 잎을 채취하여 말린 것이다. 일반적으로 죽엽중의 약리성분으로는 페놀성분, 아미노산, 유기산, 당류 등이 함유되어 있고 포도상구균이나 녹농균의 생육도 억제하는 성분이 있으며 젖산균을 포함한 김치 발효미생물의 생육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뇨작용에 있어서는 뇨양을 증가시키는 작용은 약하지만 뇨중의 염화물의 배출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상당히 강하며 해열작용, 종양 및 당뇨병에 대한 효과, 혈당증가 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죽엽의 주된 효능을 청열제번(청열은 해열과는 의미가 조금 다른데 내열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의미이고, 제번은 번민, 짜증이 나는 것을 없앤다는 의미이다.)과 생진이뇨(생진은 진이 떨어진다는 반대 의미임으로 생기 또는 의욕을 불러 일으킨다는 뜻이고, 이뇨는 오줌을 잔 나오게 한다는 의미이다)로 요약할 수 있다.
3) 문헌에 나타난 죽엽의 약리효능
(1) 신농본초경
해역(해수 천식, 해수(기침)의 빈발이 자주 있는 때 기침이 치밀어 오르는 것), 근급(신체의 근이 갑자기 긴장하고 굴신 하기 힘든 현상), 상기익(얼굴이 달아 올라 붉어지는 것), 풍경의 병, 악양 및 소충을 살한다.
(2) 약성제요(藥性提要)
상초의 번열(煩熱)을 없애주고 담을 거하며 지갈(止渴) 작용이 있다.
*상초(신체를 상, 중, 하초로 구분했을 때, 상초는 횡경막 제일 위에서 머리까지)
(3) 고방약품고(古方藥品考)
허화상행(虛火上行)을 강량(降凉)시킨다.
(4) 고방약의(古方藥議)
허열을 풀어주고 역기(逆氣)를 하강시켜 준다.
(5)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열을 풀어주고 번(煩 : 불안정하며 일어섰을 때 또는 누웠을 때 불안한 경우)을 퇴치하며, 진(津)을 생하고 이뇨 작용이 있다.
열병의 번갈, 소아의 경간(깜짝 놀라서 생기는 질병), 면적(얼굴이 붉어지는 상태), 소변단적(小便短赤), 입안과 혀의 염증, 해역(천식), 토혈, 육혈 등에 사용할 경우 효능이 있다.
(6) 화한약물학(和漢藥物學)
청량(淸凉), 해열(解熱), 지갈(止渴), 진해제(鎭咳劑)로서 열성병(熱性病)등에 하루 3.0g ~ 5.0g씩 먹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