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쟁명칭 |
소말리아 내전 |
지역
| 흑아프리카 |
분쟁유형 |
내분형 |
개황 |
분쟁지도 |
1969년 이후 집권한 Barre 군사정권 타도를 위해 결성된 통일소말리아회의(USC)가 1991년 쿠테타 성공후, 정권 쟁탈을 위해 3대 무장군벌인 아이디드, 모하메드( Mahdi파), 아토 등이 주축이 되어 시작된 내전. 1991년 가뭄에 의해 국민의 과반수가 넘는 420만명이 기아에 직면하자, 1992년 4월 유엔은 소말리아활동(UNOSMO) 결의하고 2차에 걸쳐 35300명을 파견. 당초 대량 아사를 막는 인도적인 개입에서 시작되었으나, 군벌간 무력 투쟁 격화와 PKO 군에 대한 공격 등에 따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다국적국군이 군사작전화. 유엔은 UNSOM2의 활동을 실패라고 규정, 1995년 3월 2일 철수 완료. 1995년 5월 아이디드가 대통령 취임 및 정부 수립을 선언하였으나 1996년 8월 사망. 그후 반군간에 정전을 모색하는 회의가 수차례 개최되었으나 매회 각 군벌간의 이해 상충으로 결렬됨. 3대 군벌간에는 정전이 합의되었으나, 군소 군벌에 의한 전투는 계속되고 있음. '99년 들어와 상황은 악화되었으며, 2000.2월 현재 남부지역 중심 심한 충돌 지속 2000.8월 과도의회에서 핫산을 대통령으로 선출 |
|
당사자 |
마레한: 아이디드: 모하메드(Madi파): 아토파(USC): 6개 부족 26개 정파.군벌) |
개입세력 |
UN/미국/소련/이디오피아/이집트 |
원인 |
정쟁/민족/종교/식민유산 |
원인발생 |
1960 |
대립개시 |
1991 |
대립종료 |
1111 |
원인소멸 |
1111 |
충돌연도 |
1988 1989B 1990A 1991A 1992A 1993B 1994B 1995B 1996B 1997C 1998C 1999B 2000B 2001C 2002C 2003C |
충돌강도 |
국지전 |
분쟁단계 |
위기 |
현국면 |
진정 |
인명피해 |
수십만사상, 수백만난민; 1992년만 40만 기아사망; '91, 6주동안 2만명 사상 |
주요일지 |
1960년 영국, 이태리로부터 독립. 1969년 쿠테타로 Barre 집권. 1977년 이디오피아와 충돌, 오데간 분쟁 발발. 1991년 반정부 통일소말리아회의(USC), 쿠테타로 Barre 축출. 3대 무장군벌 내전 개시. 1992년 유엔 소말리아활동(UNOSMO) 파견.1992년 미군 중심 다국적군 파견. 1993년 5월 UNOSMO2를 파견. 1993년 다국적군, PKO 참여 파키스탄병 사망관련 아이디드파 주요시설 공격. 1993년 12월 유엔 평화유지작전 실패 규정, PKO 철수 개시. 1995년 5월 아이디드, 신정부 수립 선언. 1996년 8월 아이디드 사망. 아들이 후계자로 추대됨. 1996년 10월 3대 무장 군벌, 정전 논의. 1997년 1월 26당파와 4명의 간사가 참여한 평화회의 개최. 1997년 12월 아이디드파와 마디파가 평화조약을 체결. 1998년 1월 26개 파벌 협의. 1998년 1월 3대 파벌 정전에 합의. 2000년 8월 지부티에서 각 부족원로를 중심으로 과도의회가 소집되어 핫산을 대통령으로 선출. 그러나 북부 소말리랜드와 반군 아이디드파는 신정부를 인정하지 않음. |
참고사항 |
* 1960년 7월 영국보호령(북부) 및 이태리 신탁통치(남부)로부터 독립. 1969년 10월 쿠데타 이후 소련지원하 사회주의지향. 1972년 초 이래 이티오피아내 소말리아인 활동 지원과 관련 1977년 Ogaden전투 발발 * 면적: 64만㎢(한반도 3배) * 인구('98): 984만명 * PGDP('96): 600$ * 민족: Somali인 98.8%, 인도인, 아랍인 등 1.2% * 종교: 이슬람 99%(수니) * 자원: 우라늄/철광석 * 병력/국방비('98): NA/4,000만$ * 외교관계: 1987년/북한 1967년 * 대한국교역('98): 수출 0$ 수입 52만$ |
충돌위험 |
보통 |
국제영향 |
고:H (* 대량난민) SR:중 (전략적 중요성) |
아국영향 |
미미 (* 난민구호작전 참가 철수후 미미) |
해결주체 |
UN/미국/서방각국/이집트/당사자 |
해결방법 |
중재조정/ 압력제재/평화유지/평화강제 |
유엔활동 |
참여 : UNSOM1(1992-93: 약4500명) UNSOM2(1993-95: 약 30,800명) |
아국활동 |
참여: UNOSOM II 공병대대 252명 1993.7-199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