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진시황산삼과 상황버섯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한국의 약초 스크랩 약용자원식물의 생리활성물질
불로초 추천 0 조회 99 07.10.26 19:35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약용자원식물의 생리활성물질
(생리활성물질의 개발 - 산채류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1. 서론

최근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무공해 작물에 대한 소비가 늘어났고, 약용작물 특히 산채류에 대한 중요성이 높이 평가되어 그 수요가 급증하므로 고품질 산채류의 안정적 공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산채류에 대한 영양적 측면, 약리작용, 과학적인 가공방법이나 저장방법 등에 대해서는 인식을 갖지 못하였다. 최근에 들어와서 각종 약용작물 특히 산채류에 대한 영양적인 면이나 약리적인 작용에 대해서 그 효능을 밝히려는 노력이 점차 고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약용작물중에서 특히 최근의 다양한 질환중 암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보고와 함께 그 수요가 급증하면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본 과정은 약용작물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전달하고 동시에 국내 약용작물의 일반적인 분류방법 및 약용작물중에서 국내에 자생하는 산채류로부터 몇가지 활성실험에 의한 천연자원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서 산채류뿐만 아니라 다양한 천연자원으로부터 약물, 사료, 식품등의 영양자원 개발 방향에 대한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2. 본론
1) 약용자원식물
(1) 특성
약용자원식물이라 함은 지금 약재로 쓰이고 있거나 각종 질병에 곧 이용이 가능한 것 또는 유효성분이 과학적으로 규명된 자원식물이라 정의할수있다.현재세계적으로약용자원식물로써 이용가능한 것은 수만종 이상에 이를 것으로 생각되며 이중 실제로 지금 사용되고 있는것은 수천 종에 달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재배 또는 야생약제는수백종에 불과하며 이중에서 재배가 중점적으로 되고 있는 것은 수십종밖에안되는실정이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서양의학이 들어오기 오래전부터 주변의 약용자원식물을 적극 사용하여왔으며 조선시대에는 허준에 의하여 동의보감이라는 훌룡한 의서를 출간하기에 이르렀다.

(2) 분류
약용 자원식물의 분류는 주로 사용부위에 따라서 나누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구분과 대상식물의 몇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가. 뿌리나 지하부를 이용하는 것
인삼, 마(산약), 천남성, 황련, 천문동, 택사, 대황, 감초, 작약, 당귀, 더덕(양유), 지황, 천궁, 패모, 황기,시로, 고삼, 반하, 하수오, 칡, 부자, 백지, 전호, 독활, 맥문동, 홍경천등

나. 수피를 이용하는 것
키니네, 석류피, 두충, 뽕나무(상백피), 황벽나무등

다. 목재를 이용하는 것
제라늄, 마황, 으름(목통)등

라. 잎을 이용하는 것
박하, 디키탈리스, 솔잎, 약모필(어성초), 알로에 (노희), 쑥 등

마. 꽃을 이용하는 것
호프, 사프란, 제충국, 홍화, 감국 등

바. 종자를 이용하는 것
달맞이꽃, 결명자, 아주가리(피마자), 들깨, 율무(의이인), 순비기나무(만형자), 우엉(우방자)등

사. 열매를 이용하는 것
오미자, 구기자나무, 모과나무, 매화나무(매실), 명자나무(노자)

(3) 현황
최근 20년동안의 약용자원식물의 수출입실적을 볼 것 같으면 1995년의 수출실적이 1975년에 비해 물량면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에 금액면에서 2.4배 증가하였으나 수입물량은 1995년이 1980년에 비해 14.2배 증가하였고 수입금액은 6.3배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거의 많은 약용작물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중국산 약용작물이 무차별로 수입되어 농약, 중금속 오염등이 심각하여 약용작물로서의 특성이 아니라 오히려 독약으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주요 약용자원식물의 재배실적을 볼 것 같으면 1994년 생산량으로 볼 때 당귀, 작약, 길경(도라지), 사삼(더덕), 산약(마), 두충, 천궁, 독활, 구기자, 황기의 10개품목이 1000M/T이상을 생산하였고, 1995년은 당귀, 작약, 길경, 황기, 사삼, 천궁, 산약, 두충, 의이인, 향부자의 10개품목이 1,000m/t이상을 생산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약용자원식물로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인삼이며 이는 전매품종으로 되어 있어 한국담배인삼공사에서 별도로 취급하고 있다.

약용자원식물의 생리활성

1)항암작용과 항 돌연변이작용

식품을 비롯한 각종 천연물에는 변이원을 억제시키는 항 돌연변이 물질이 존재함이 밝혀짐에 따라 천연물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들의 검색이나 작용기구에 관한 연구가 최근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돌연변이 생성을 억제시키는 항돌연변이 인자는 작용기작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는데 첫째, 발암물질이 세포내에 들어오지 못하게 미리 결합하여 발암물질을 제거하거나 발암전구물질들이 최종 발암원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직접 작용하여 이를 불활성화시키는 desmutagon과 들째, 발암물질이 세포내 DNA나 RNA에 작용하여 손상을 받은 세포에 대하여 돌연변이 유발빈도를 낮추는 bio-antimutagon 및 셋째, 변이원성 물질을 흡착 또는 이들과 결합하여 세포막 투과성이나 세포내 taket sites에 도달하는 이동성을 감소시켜 변이원성을 억제하는 기작이 있다. 식품중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활성성분들은 위의 이러한 과정을 차단할수 있으며 또는 여러 단계에 관여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도 많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 볼 때 약용작물중 산채류는 영양면에서 일반야채에 뒤떨어지지 않을뿐 아니라 종류에 따라서는 비타민, 무기질 및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휠씬 높다. 또한 혈관을 튼튼히 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리놀렌산같은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들어 있으며, 정장작용은 물론 독성물질의 흡수작용에도움을 주는 식이 섬유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특히 식물류에 존재하는 항암 성분으로는 carotene, Vitamin C,등의 비타민류, cystine, polyphenol류, indol류, peroxidase, protease inhibitor그리고 식물 sterol등이 보고 되고 있다.
현대인의 암은 90%이상이 물리적 환경 혹은 화학물질에 노출됨으로서 발생되며 이러한 요인중 40-60%는 식이와 관련된다고 보고 있다.이와 관련하여 최근 식이와 관련된 암의 원인물질을 검색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섭취하는 식품중에서 항암제로 이용하기 위한 물질이 탐구되고 있다.
현재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의 대부분은 합성물질로 부작용이 적으면서 유효한 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해 천연산물을 대상으로 항암성 테스트를 시도하고 있다.현재 항암제로 사용되고 있는 약물들의 대부분은 크게 두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중 하나는 약물 투여후 나타나는 심각한 부작용과 또 다른 하나는 사용하는 항암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는 암세포들의 출현이다. 특히 현재 사용되는 항암 요법제 대부분은 조혈 및 면역기능에 이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외에 정상 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내고 있어 특이적이며 선택적인 항암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최근에는 옛날부터 우리 나라를 비롯한 동양권에서 암의 치료에 이용되어 온 생약으로부터 부작용이 적고 항암력이 뛰어난 항암종양성 신물질을 찾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방이나 민간에서 궤양이나 감염 또는 종양에 응용되었던 생약을 중심으로 이런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종의 유효 성분들이 보고되었다.
우리나라에도 약 100여종의 산채류가 알려져 있으나 이중 도라지 , 더덕, 취나물, 달래, 씀바귀, 두릅등 24종류의 일부분만이 채취 또는 재배되어 이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부 약용식물 및 식용식물의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를 보고한바 있으나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항암성 산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도라지
산야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써 높이 40-100cm이고 뿌리가 길며 윗 줄기를 자르면 백색유액이 나온다.
잎은 윤생, 대생 또는 호생하고 긴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4-7cm, 나비 1.5-4cm로서 포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이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하늘색 또는 백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 또는 여러개가 위를 향해 달린다.
일반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산채식품이며 triterpenoid계 사포닌과 당질,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에 의하면 천연에 존재하는 도라지는 진정, 해열, 진통작용을 가지며 위궤양에 대한 방어 및 치유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항궤양과 혈압강하의 목적으로 임상응용의 가능성을 제시한바 있다. 장등과 김은 도라지의 사포닌은 인삼의 사포닌과 같이 가수분해되기 어렵고 식물체의 세포액중에 용해되어 있으나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이와같이 도라지의 성분중에서 일종의 사포닌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항암제로 널리 알려져 있는 인삼의 주된 약리작용은 주로 사포닌계 성분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최근에 항 돌연변이에 대한 도라지의 연구에 의하면 서 등은 식용식물의 항변이원성에 관한 연구에서 70%에탄올로 추출한 도라지의 천연 성분중에는 mitomycin C가 유발하는 변이원성을 억제하는 물질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1)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추출 성분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항암 물질로 도라지를 이용할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자료 및 식품산업에서 산채류를 이용한 기능성식품으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밝히고자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mouse DBA/2 strain유래의 백혈병성 임파모세포 및 인체 장암 세포에 대한 증식효과를 살펴 보았다.

<재료 및 방법>

-재료-도라지: 경북 영주산을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건조 분말화
암세포: 인체장암 세포로 직장암세포인 HRT-18과 결장암세포인 HCT-48
mouse DBA/2 strain 유래의 백혈병성 임파모세포는 L1210

-암세포의 배가시간(doubling time)측정
L1210 암세포는 시험관에 2 X 104 cell/ml 이 되도록 분배한다음 다음 37도 항온기 내에서 수평을 유지시켜 배양

-일반성분분석
수분-105도 상압 가열건조법 / 조지방:soxhlet추출기에서 에틸에테르용매/ 조단백질:micro-kjeldahl법 사용하여 질소정량/조회분:550-600도건식회화법/ 조섬유: A.O.A.C법/ 탄수화물 : 100에서 수분, 조지방, 조단백, 조회분, 조섬유의 분석치를 뺀값

-도라지의 유효성분추출
수용성추출물: 도라지 (50g)에 증유수 1,000ml 첨가한후 90-100도사이에서 3시간 끓이것을 여과하여 총부피가 200ml 되게 증류수로 맞춘 뒤 이약을 30부간 원심분리한후 그 상층약을 멸균기로 멸균(121도,20분)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건조중량을 측정하고자 총량 200ml중 1ml을 취해 105도C건조법으로 건조중량을 측정하였다.

석유에테르추출물: 도라지(300g)를 석유에테르(3,000ml)을 용매로 실온에서 3일간 추출하여 상층액만 취해 0.22 ?m여과지로 여과하여 , 진공농축기(rotary vaccum evaporator)로 농축시키고,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날린 뒤, 건조중량을 측정하고 , 실험시에는 소량의 무수에탄올에 녹여 필요한 농도로 배양액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측정
도라지 추출 성분의 암세포증식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mouse DBA/2 strain유래한 백혈병성 임파모세포의 경우에는 각각의 추출물이 농도별로 함유된 배지에 세포를 2 X 104 cells/mL이 되도록 첨가한후 시함관에 배분하여 37도에서 배양하면서 배양시간별, 추출물농도별(0.1-0.3mg/mL)로 각군의 세포수를 세포수 측정기로 측정하여 대조군(추출물을 넣지 않은 군)과 비교하였다 암세포의 경우는 T-75 플라스크에서 배양한 HRT-18와 HCT-48의 암세포를 트립신 처리하여 분리한후 배양액으로 희석하고 35mm페트리접시에 각 3mL씩 분배 이식시킨후 24시간 배양하였다. 각 암세포가 접시에 부착증식되어 세포수가 약 4~5 X104 cells/3mL되었을 때 접시내의 배양액을 각각의 추출성분이 농도별 (0.25~2mg.mL)로 함유된 배양액으로 교체한후 24내지 72시간 배양하면서 일정시간에 각 접시에서 증식된 암세포를 트립신 처리하여 분리하고 식염수(0.9% Nacl)에 희석하여 세포수 측정기로 각 군의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3개의 페트리 접시의 값을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대조군은 실험군에서 각각의 추출액 첨가량에 해당되는 양의 증류수 또는 무수알코올(0.2%미만)을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하였고 대조군의 세포수를 기준하여 추출물 첨가 배양군들의 세포증식 억제 또는 사멸율을 산출하였다.


석유에테르 추출물의 분획
석유에테르 5mL에 도라지 석유 에테르 추출 성분(0.50g)을 녹여 실리카겔 칼럼(2.5X30cm)에 투여하였다.
순수석유에테르, 석유에테르:에틸에테르(9:1, v/v), 석유에테르:에틸에테르(8:2, v/v),
석유에테르:에틸에테르(7:3 v/v),를 각각 175ml씩 흘러 각 단계별로 분획을 회수하였다. 이렇게 모은 각 단계의 분획을 차례로 A,B,C,와 D로 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리된 성분의 조성을 실리카겔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이때 전개용매로는 석유에테르: 에틸에테르: 아세트산(90:10:1)를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였다. 전개가 끝나면 실온에서 완전히 말리고 30%황산용액을 골고루 분무후 120도에서 5분정도 발색시켰다.

<결과 및 고찰>
암세포의 배가시간
mouse DBA/2 strain유래의 백혈병성 임파모세포인 L1210의 배가시간은 약 12시간으로 정상적으로 증식되고 있음 알수 있었다.
출발세포수 2.3 X 104 cells/mL이던 것이 24,48 및 72시간 배양시 대조군은 각각 7.3 X 104 cells/mL 26.0 X 104 cells/mL, 54.0 X 104 cells/mL 로 배양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증식되는 반면 석유에테르 추출물첨가시에는 감소하였다. 도라지 수용성 추출물을 각각 배양액 ml당 0.1mg, 0.2mg, 및 0.3mg 첨가배양시 배양시간별 증식율이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도라지 석유 에테르 추출물의 경우 0.1mg/ml첨가 배양시에는 24,48 및 72시간에 각각 - 7%,-30% 및 4%증식되었고 0.2mg/ml 첨가군은 각각 -64%, -73% 및 -64%로 중식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L1210의 경우 도라지의 수용성 성분에 비해 석유에테르 추출물이 증식억제효과가 뛰어남을 보였다.
인체 직장암 세포인 HRT-18에 도라지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배양액에서 24내지 72시간 배양에서 수용성 추출물을 0.25mg/mL, 0.5mg/mL 및 1mg/ml첨가배양시 수용성 추출물 경우 1mg/mL첨가군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석유에테르 추출물 1mg/mL첨가군은 각각 21%, 8%alc, 6%로 증식하여 48시간이상 배양시 수용성 추출물의 증식율보다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도라지 석유 에테르 추출물 성분중에 인체 장암 세포인 HRT-18, HCT-48과 mouse DBA/2 strain유래의 백혈병성 임파모 세포인 L1210의 증식을 억제세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소나무(솔잎)
국내 부존 자원 중 솔잎은 경험 의약적으로 각종 약효가 발휘 된다고 알려져 있을 뿐 여러 가지 약리작용에 대해 완전히 밝혀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솔잎의 성분으로는 oni  ene, pinene, camphene 등의 정유성분, auercetin, kaemferol 등 flavonoid류, 수지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솔잎의 항암 효과검색을 위한 in vitro 1차단계로서 에탄올 추출물과 극성이 다른 용매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에 의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알아본다.

<재료 및 방법>
-시료추출 및 분획
적송, 잣나무, 리기다, 해송을 강원대 구내림과 학술림 및 동해 수련원에서 채취하여 물로 씻은 후 풍건하였다. willey mill 로 분쇄하여 중량의 10배 에탄올을 첨가하고 5시간씩 3회추출하여 추출액을 모아 감압 농축한후 동결건조하였다. 억제활성성분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은 다시 극성이 다른 용매들로 더욱 분획하였다. 즉 에테르, 에탄올과 물을 10:1:9의비율로 혼합하여 분획여두에서 분획하는 과정을 3회반복한 후 감압 농축하여 에테르 분획물을 얻었다. 또한 그 잔여물을 분획여두에서 다시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로 각각 3회싹 반복하고 마지막 남은 잔여물로부터 수층 분획물을 얻었다.

-세포주 및 배양
실험에 이용한 세포주 human gastric carcinoma(KATO3), Human lung carcinoma(A549),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Hep3B), human brest adenocarcinoma (MCF-7)은 Korea Cell Line Bank(KCLB)로부터 구입하였다.KATO3 ,A549, MCF-7은 RPMI1640배지에서 10%fetal bovine serum, 37도C, 5% CO2에 적응시켜 배양시켰으며 Hep3B은 MEM배지에서 같은 조건으로 배양시켰다.

-MTT assay
MTT assay는 cell의 생육 및 분화를 측정하는 colorimetric assay로서 살아있는 cell의 미토콘드리아 내 dehydrogenase enzyme이 노란 수용성 물질인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에의해 dark blue formazan생성을 기초로 하였다.

-SRB(sulforhodamine B) assay
세포단백질염색을 이용하여 세포 생육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암세포형태의 관찰

<결과 및 고찰>
곰솔, 리기다, 잣나무, 적송잎의 에탄올 추출물들은 농도가 증가함에 다라 폐암, 간암, 유방암 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율이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각각의 디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수층 분획물 또한 농도증가에 따라 성장 억제율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0.25 mg/ml처리시 각각의 비교 결과 잣나무의 데엘틸에테르 분획물은 위암세포에 대해서는 억제효과가 보여지지 않았다. 현미경의 관찰하에서 암세포의 변화는 세포막의 경계가 흐트러지는 사명현상을 보였다.

(3)수리취
전국의 산지에 분포하고 있는 여러 해살이 식물로서 초록색의 착색매체로 이용되는 식용색소물이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종창, 부종, 지혈, 토혈, 안태, 이뇨, 방광염 등에 이용하여 왔으며 식용으로는 어린잎을 따서 가볍게 데친후 잠시 물에 우렸다가 쌈으로 먹거나 또는 양념 간장에 무쳐서 먹기도 하고 갈아 떡에 넣으며 우렸다가 나물로 볶아먹기도 하고 수리취떡을 만들어 먹기도 하였다.
수리취로부터 생즙, 가열즙, 에탄올 추출약을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변이원에 의해 유발된 변이원성에 대한 억제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수리취: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에서 구입
시료의조제: 생즙- 수리취를 증류수로 세척후 물기제거후 세절한 다음 시판용 녹즙기를 사용하여 생즙을 얻은 다음 원심분리한후 상등액을 여과하여 제균시킨다음 -80도의 냉동고에 보존
-가열즙- 위에서 얻어진 생즙을 100도에서 20분간 가열하여 식힌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여과하여 제균시킨후 -80도 냉동고 보존사용
-에탄올 추출물의 조제- 수리취를 물로 세척후 동결건조하여 분쇄한후 환류 냉각장치를 사용하여 에탄올로 3회중탕하여 추출. 추출액을 여과한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액을 동결건조한후 4도에서 냉장고 보존하면서 사용

-수리취 추출물의 돌연변이원성 작용
가각의 수리취 추출물에 대한 변이원성 실험은 Samonella TA98 과 TA100 두 균주를 이용하였으며 Ames test의 원법을 개량한 preincubation 법을 이용하였다. 미리 건열 멸균된 glass cap tube에 각각의 수리취 추출물 즉, 생즙10g/L, 가열즙10g/L 및 메탄올 extract 10g/L을 각각 가하고 여기에 TA배지에서 하룻밤 배양시킨 균배양액 100mL 와 대사 활성물질인 S-9mix 250L를 가한다음 0.2M sodium phosphate buffer(pH 7.4)로 총 700mL 가 되도록 하였다 이것을 37도에서 20분간 진탕배양한 다음 histidine/biotine이 첨가된 top agar배지를 45도로 냉각한후 2ml씩 가하여 잘 혼합한후 minimal glucose agar plate에 도말하고
37도에서 48시간 배양한후 his + revertant colony를 계측하여 돌연변이성 유무를 판정하였다.

-수리취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작용
수리취 추출물의 농도와 방법은 위와 같으며 mutagon의 농도는 plate당 2-AF 와 4NQO의 경우 TA98과 TA100두균주에 10mg 과 4mg씩 각각 첨가하였으며 Trp-P-1는 TA98 이 0.01g/L, TA100 이 0.1g/L로 첨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변이원의 농도로는 예비실험을 통하여 시료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측정하기에 적절한 농도로 결정하였다. 항 돌연변이 효과는 발암물질의 활성에 대한 시료의 억제율(inhibition, %)로 나타내었다.

(4)어성초
어성초는 삼백과에 속하며 다년생 초본으로서 줄기는 가늘고 잎은 심장모양을 한 식물로서 약모밀, 십약, 집채, 중약 등으로도 불리우며 생선비린내와 같은 독특한 냄새를 발산한다고하여 어성초라 불리어졌다.
어성초는 중국 및 일본이 원산지로 옛날부터 염증, 해독, 치질, 임질,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렴, 기관지염, 무좀, 약창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하며 , decanoyl acetaldehyde , methyl ketone, myrcene, lauric aldehyde, capric acid, codarine, quercitrin, isoquercitrin, reynoutrin 및 hyperin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중약 대사전에 기록 되어있으며 이에 관한 국내에서의 연구보고는 미미한 실정이어서 항균효과 및 특이 약효성분을 검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녹황색 채소류에서 항암 및 항돌연변이 물질 탐색 작업의 일환으로 어성초 추출물 중 활성의 정도가 비교적 높게 나왔던 즙액과 가열액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Salmonella와 Drosophila를 이용한 in vitro 및 in vitro 돌연변이 검출계를 사용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생어성초 즙액과 건조어성초 가열액을 추출하여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10에서 aflatoxinB1에 대한 항돌연변이성을 실험한 결과, 어성초 즙액은 농도 증가에 따라 저해효과가 76%에서 98%로 증가했으며, 가열액은 86-97%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5)쑥
한국산 쑥으로부터 얻어진 ethanol 추출물과 각 용매 분획에 대하여 in vitro로서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시험을 하여 자체 변이원성 유무와 4가지 양성 변이원 물질(3㎍/plate 2NF, 2㎍/plate Trp-P-2)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에 대한 쑥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쑥의 ethanol 추출물은 2-NF, AFB1, Trp-P-1 그리고 Trp-P-2 등으로 유도한 돌연변이 시험(Ames test)에서 변이원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돌연변이 억제시험에서는 frameshift type인 Sal. typhimurium TA 98에 대하여 직접 변이원인 2-NF에서는 19.7~22.9%, 간접 변이원인 AFB₁, Trp-P-1과 Trp-P-2에서는 각각 47.9~61.2%, 64.1~70.7% 그리고 67.4~78.7%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쑥의 ethanol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그리고 water로 각각 분획하여 직접변이원인 2-NF와 간접변이원인 AFB1을 사용하여 변이원성과 항돌연변이원성을 시험을 하였다. 돌연변이 시험에서 변이원성은 4가지 획분에서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직접 변이원인 9.4~33.7%, chloroform 획분은 n-hexane 획분은 ethyl acetate 획분은 2.4~21.9%를 나타내었다. 간접 변이원인 AFB₁로 유도된 돌연변이에 대하여 n-hexane 획분, chloroform 획분 그리고 ethytl acetate 획분들은 각각 63.0~80.0%, 77.5~82.1%, 68.5~83.1%로 높은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6)굴피나무
굴피나무는 가래나무과에 속하는 우리나라 전역에 풍부하게 분포하고 있는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잎은 기수우상복엽이고 작은 잎은 피침형으로 끝이 뵤족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항암활성을 갖는 천연물을 개발할 목적으로 항암 활성이 인정되는 고등식물을 선정하여(약 120종)b이들로부터 얻어진 solvent partition(dir 360종)에 대하여 5종의 human tumor cell lines에 대한 in vitro 에서의 cytotoxicity를 측정하여 이들을 data base화하고 이를 토대로 가장 강한 활성을 보인 굴피나무(Platycarya strobilacea) 잎으로부터 활성물질을 추적 단리구조를 구명하였다.
굴피나무잎의 MeOH Ex에 대하여 activity guided fractionation 에 의하여 8종의 active compound를 단리하였으며 이들은 각종 special data의 검토 및 표품과의 직접적인 비교에 의하여 각각 5-hydroxy-2-methoxy -1,4-naphthoquinone, ursolic acid, galic acid, 4,8-dihydroxy naphthalenel-O-?-D-glucoside, eriodictyol, quercetin 3-O-(2''-O-qalloyl-?- D- glucoside, quercetin-3-O-(2''-O-galloyl)-? -D-galactoside 및 quercetin 3-O-?-D-rhamnoside로 확인되었다. 분리된 화합물들의 인체 고형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5-hydroxy-2-methoxy - 1,4-naphthoquinone이 가장 강했으며 flavonoid게열의 화합물중에서는 flavone게열보다는 flavonone게열의 화합물이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7)백운풀
백운풀의 발아와 생육에 적합한 환경요인이 연구되었다. 백운풀의 종자는 광조사 주기를 12시간에서 24시간으로 증가시켰을 때 발아율과 발아세 모두 점진적으로 상승하였다. 광주기와 온도는 종자의 발아에 상승적으로 작용하였다. 자연상태하(6월-10월)에서 성장시킨 백운풀의 길이는 38.9±4.2cm(15.5-52.5cm)였으며, 3.3㎡당 건중량은 316.7±10.3g이었다.

(8)지모( Anemarrbena aspbodeloides )
지모(Anemarrbena aspbodeloides)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근경이 원주형으로 상면에는 황갈색의 섬유가 조밀하게 붙어있고 하면에는 황갈색의 섬유가 조밀하게 나 있으며 한방의 요약으로 알려져 있다. 지모의 성분으로는 saponin,xanthone류 등이 분리보고되고 있으며, saponin으로는 timosaponin A-I-IV, B-1, B-2등이 xanthone 류로는 mangiferrin등이 분리보고되어 있다. 계절에 따라 성분이 다르다는 보고가 있고 주 saponin 인 sarsasapogenin, markogenin에 대해서는 여름에 채집한 것으로부터는 양자모두가 겨울에 채집한것으로부터는 sarsasapogenin만이 확인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지모의
약리작용으로서는 혈당강하작용, 해열작용이 보고 되었고, 한방에서는 소염, 해열, 지사, 이뇨, 진통약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9)사매( Dunchesnea indica herbs )
뱀딸기는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포복초본으로, 꽃은 4-5월에 황색으로 피고 열매는 붉은 색으로 식용할수 있으며, 줄기에는 긴털이 있고 열매가 익을 무렵에는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길게 벋는다. 산지, 특히 반음지에서 군락을 이루며, 우리나라 전역에 야생하고 있다. 전초를 사매, 사과초, 정칭초, 용토주, 사탄과, 야양매라 한다. 뱀딸기의 생약명은 사매이다.
뱀딸기는 청혈, 해독, 소염, 지혈, 항종양, 외과창상, 산결, 통월경, 소종, 진해작용이 있다고 하며 민간에서는 태열, 치통에 사용되며, 임상적으로는 백후, 세균성 이질에 치유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최근 뱀딸기의 haxane과ether 수용성 분획물이 Sacoma 180세포에 대해 함암 효과를 가진다는 보고가 있었다.

(10)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은 국화과에 속하는 야생국화로서 9-11월에 전국의 산야에 자생하며 1-1.5cm크기의 노란색꽃을 피우며, 일명 야국이라고 하는 다년생 초분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산국에 대한 성분연구로는 borneol,DL-camphor,pienene, limonene,?-thujone, luteolin, camphene, chrysanthenone, 알파-terpinene 등의 essential oil과 acacetin-7-rhamnoglucoside, luteoline-7-glucopyranoside 등의 배당체 , guaianolides, arteglasin A, angeloyajadin, yejuhua lactone 등의 sesquiterpenoids 그리고
chrysanthemin등이 보고되어 있다. 산국이 우리나라에서 민간요법에 이용되는 것은 종기의 통증을 멎게 하는데 잎을 잔 즙이 효과가 있다고 하며, 주독을 푸는데는 꽃을 그늘에 말렸다가 한숟갈정도를 뜨거운 물에 넣어 한참후에 마신다고 전해내려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국화주는 자양 강장제 또는 두통치료제로 효과가 있다고하여 예로부터 가정에서 상비약처럼 즐겨 담그던 술이었다고 한다. 현대의학적 연구로도 산국꽃의 추출물에는 중추신경의 진정작용이나 혈압강하작용, 결핵균 및 각종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폐암과 간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성분에 대한 명확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산국의 꽃으로부터 2종의 sesquiterpene lactone을 분리정제하였으며 각각 compound 1과 2로 명명하였으며 이 두물질을 Sarcoma 180에 감염된 ICR mouse에 대하여 항암 효과실험을 수행한결과 compound 1과 2의 투여농도가 10mg/kg일대 수명여장효과가 각각 143%, 134%로 나타났다. 또한 compound 1과 2를 1mg/kg씩을 섞어서 투여했을 때에 158%의 수명여장효과가 나타났다.

(11)강진향 (Dalbergia odorifera)
강진향(Dalbergia odorifera) 은 콩과 에 속하는 강향단으로 이 식물은 낙엽교본으로서 길이가 10여m가지 자라고 잎은 호생한다. 근부심재는 적갈색-갈자색으로 광택이 있고 단단하며 약재로서 근부를 취하여 외피를 제거한후 사용한다. 강진향의 성분으로는 (3R)-Vestitol, (3R)-Claussequinone, formononetin, Medicarpic, 등의 isoflavonoid 및 biisoflavonoid그리고 arylbenzoflavone등이 함유되어 있다.

(12)환삼덩굴
환삼덩굴의 생리활성물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환삼덩굴을 물과 메탄 올로 추출하여 돌연변이원성과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하고 TLC와 HPLC로 flavonoid 성분을 분리하였다. 환삼덩굴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test에서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환삼덩굴의 메탄올 추출물은 NPD와 NQO로 돌연변이를 유도한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에 대하여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 다. 분획별 항돌연변이 효과는 헥산분획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50% 돌연변이 억제농도(IC50)는 TA98에 대하여는 2.0 mg/plate, TA100에 대하여는 0.5mg/plate 였으며, 4.0 mg/plate의 농도에서 TA98에 대 하여는 약 58%, TA100에 대하여는 약 88% 정도의
돌연변이 억제활 성을 나타내었다. 환삼덩굴의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에서 quercitrin과 luteolin을 확인하였다.

(13)감잎
Bacillus subtilis H17(rec+)와 M45(rec-)를 사용한 spore rec assay 에서도 감잎 열수 추출물 및 감잎 탄닌은 MNNG에 대한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고, Escherichia coliPQ37을 사용한 SOSchromotest에서도 4-NQO의 돌연변이성이 크게 저해되었다. 또한 감옆차로 부터 탄닌을 추출하여 이미 그 효과가 알려진 녹차 탄닌과 함께 항돌연변이 효과를 살펴본 결과 시료의 농도에 비례해서 녹차 탄닌과 비슷한 수준으로 현저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들 항돌연변이 실험계에서 감잎 탄닌이 감잎 열수 추출물에 비해 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이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aflatoxin b1(AFB1), DMAB,MNNG, 그리고 4-NQO 의 돌연변이 유발성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메탄올 추출물이 다시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그리고 수용성층으로 분획하여 각 획분의 수득율과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하였다.

(14)마늘
마늘에는 alliin이 존재하여 주요한 약리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 세포가 파괴될 때, allinase라는 효소의 작용을 받고 분해과정을 거쳐 allicin, pyrubic acid 및 ammonia가 생성된다. 이때 allicin은 향취가 있고 살균력을 가지고 있으나 매우 불안정하고 증기에 의해서도 분해된다.
마늘에는 다량의 alliin이 존재하나 조리시 세포를 파괴하므로 실제로 allin이 체내로 들어가는 양은 극히 적으므로 세포를 파괴하더라도 alliin이 분해하지 않는 방법을 도입하여 마늘이 갖는 강장효과, 약리작용 등의 효능을 고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수 있다.

천연 항균제로서 마늘 성분의 항균작용물질로 감염증의 발생을 예방할수 도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져 예방적 목적으로서의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유해세균과 인체 장참 세포에 대한 다양한 농도에서의 마늘 추출물의 효과를 고양하고자 계획하였다.

<재료 및 방법>
-사용균주 및 암세포
고려대학교 병원과 한국식품위생연구원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E.coli외 10종의 유해세균과 암세포는 한국 과학기술연구언 생명공학연구소에서 방사 면역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항암제 screening에 응용하고 있는 세포들중 인체장암세포유래의 HCT-15를 RPMI1640(Grand island Biological Co., USA)배지에 Fetal bovine serum(Grand island Biological Co., USA)를 5%되게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시약 및 분석기기
HCT-15암세포의 배양에 사용된 배양액은 RPMI으로서 fetal bovine serum, trypsin-EDTA와 함께 Grand island Biological Co., USA제품을 사용하였으며 항암성 실험에 사용한 세포수 측정기는 hamacytometer(American optica, Buffalo, NY, USA)를 사용하였다. 세포모양관찰은 Zeiss(Germany)제품의 inverted microscope 였으며 , HCT-15암세포배양은 CO2항온기를 사용하였다.

-시료의 조제
마늘은 한지형의 충남 싼종으로 산지에서 구입 정선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균에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의 측정
-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농도의 측정 및 형태의 관찰

<결과 및 고찰>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는 그 최소한 발육저지 농도가 alliin의 경우에는 5,000-20,000ppm그리고 ethanol extract의 경우에는 1,250- 10,000ppm 이었으며, 또한 이들 성분의 암세포증식억제는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강하게 억제시킴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HCT-15의 형태적 관찰에서도 위축됨을 알수 있었으며, 위의 결곽들로부터 항균과 암세포증식억제에 있어서의 활성물질은 열에 안정하고 에탄올에의 추출되는 성분임을 알수 있었다.
여러 가지 유기용매로 추출한 마을의 항암성 성분을 in vitro에서 흰생쥐에 백혈병성 임파모 세포인 LI120과 P388, 인체 직장암 세포인 HRT-18과 인체 결장암 세포인 HCT-48과 HT-29 그리고 흰쥐 복수육종암 세포인 S-180세포를 대상으로 함암효과 및 in vitro에서의 면역증강효과에 관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4가지 추출물중에서 석유에텔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고, 알콜 추출물의 활성도 석유에텔 추출물의 활성과 비슷하였으며 회수율은 가장 높았다.
마늘의 메타놀 추출물을 클로로포름층과 수층으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의 aflatoxin B1(AFB1)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시험한 결과,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에서 클로로포름층이 가장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클로로포름층을 다시 silic gel column 및 thin layer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한 결과 4개의 분획을 얻었는데, 이중 ASC F2가 AFB1에 대해 항돌연변이 효과가 가장 컸었다.
화학적인 발암제인 DMBA(9,10-dimethyl-1,2-benzanthracene)을 이용하여 135마리의 햄스터를 협낭에 암을 유발시키면서 마늘에 항암효과가 있다는 한의학적 근거를 토대로 마늘즙을 투여하여 협낭의 종양 발생수와 크기를 관찰하고 각종 장기의 이상변이 있는가를 관찰하였다. 협낭의 결절 발생 정도는 실험경과 90일 경우 대조군에서는 61개, 3%마늘즙 투여군에서는 28개로 발생하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협낭의 결절 용적으로 실험경과 90일 경우 대조군의 평균값은 181,26mm3이고, 3% 마늘즙 투여군은 81.10mm3나타났다. 위와 신장에는 이상병변이 나타나지 않았고 간장은 대조군이
호산성 과립상의 세포질 비대현상이 나타나고 비장은 심한 위축현상이 관찰되었다.
마늘의 메탄올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한 클로로포름 분획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더욱 분리한 분획물들에 투여하여, 간의 microsomal 분획물에서의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과 glutathione 생성에 대한 이들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마늘의 메탄올 추출물(60mg/kg)과 마늘의 주요 활성물질의 하나로 알려진 ally sulfide(6mg/kg)를 1일 간격으로 2번 복강 주사하고 3일째에 aflatoxin B1(AFB1,7mg/kg)을 복강주사하고 다시 24시간 후에 간을 적출하여 조사한 결과, 간의 microsomal 분획물의 glutathione 과 이를 포함한 nonprotein-SH양은 마늘의 메탄올 추출물과 allylsulifide 투여군에서 73-123%까지
증가하였다.
화학적 발암제 DMBA를 이용하여 햄스터 협낭에 암을 유발시키면서 마늘을 투입시켜 마늘의 유의성있는 항암효과를 관찰하였다. 발암현상에 대한 마늘의 효과를 병리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실험군에서 암세포의 침윤증식상이 다소 감소되었다.
산마늘의 인경으로부터 2 종의 flavonoid 배당체 성분과 1종의 furostanol glycoside 입체 이성질체를 각각 분리하고 이들의 분광스펙트럽을 유사 화합물과 비교하여 astragalin,
kaempferol-3,4'-di-O-β-D-glucopyranoside 및 26-O-β-D-gluco-pyranosyl 22ζ-methoxy-(25R and S)-5α, 3β, 6β, 26-tetraol 3-O-β-D-glucopyranosyl
(1-->2)-O-[β-D-xylopyranosyl-(1-->3)]-O-β-D-glucopyranosyl-(1-->4)-β-D-galactopyranoside로 각각 그 구조를 밝혔다.

(15) 들깻잎
들깻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Salmonella typhimurum TA98과 TA100균주에서 AFB1, Trip-P-2 및 B(a)P의 돌연변이 유발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이들을 용매로 더 분획했을때 수층에서의 효과가 없었지만 헥산 획분과 부탄올 획분에서 항돌연변이 효과가 있다.

(16) 대두
대두중 주요 isoflavone은 genistein과 daidzein이 고 특히 genistein의 경우 유방암과 전립선암에 대한 항암작용이 알려져 있어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Genistein이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 메카니즘의 하나로서 genistein의 항산화적 특성이 지적되고 있다. Pratt 와 Birac은 Linoleic/?-carotene system에서 , Jha 등은 Fe2+/ADP/NAD-PH를 사용한 microsomal system에서 genistein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Tumor개시단계와 진행단계에서 활성 산소종이 광범위하게 관여하고 있고 Genistein은 유해한활성산소종을 소거하여 항산화효과를 나타냄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Kusonoki 등의 연구에 의하면 Neutrophil에의한 superoxide생성이 genistein에 의해 억제되었고 Record 등에 의하면 genistein이 liposome의자외선 및 peroxy radical에 의한 지질과 지질과산화의 방지에 효과적이었음을 밝히고 있어 genistein이 hydrogen peroxide의 효과적인 소거제역할을 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결과는 wei 등의 mouse 피부를 이용한 in vitro 와 in vivo연구에서 genistein 이 tumor promotor 인 hydrogen peroxide의 효과적인 소거제로 작용함이 규명된바 있고, genisein이 자외선과 Fenton반응에 의한 산화적 DNA손상을 막아줌이 Wei 등에 의해 밝혀진바 있다.
Pratt에 의하면 콩의 항산화효과원인 물질은 당과 결합하고 있어 냉수와 온수에 모두 잘 녹는다고 하였고, 이물질은 주로 메탄올로 추출되나 열수추출물에 의해서도 상당량 검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부는 콩의 여수추출물에서 단백질을 추출, 응고하여 제조하므로 항산화효과 물질들이 두부 순물 속에 잔류되어 있을 가능성이 매우크다.
대두로부터 항산화성 물질의 효과적인 추출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대두로부터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크로로포름, 벤젠, 에틸 아세테이트, 에테르, 디클로로케탄 및 헥산을 사용하여 30℃에서 상온추출 및 85℃에서 환류추출을 행하여 추출된 각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대두유 산화시 과산화물가와 난황레시틴리포좀 산화시 형성된 TBARS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추출물을 대두유에 첨가시켜 항산화효과를 관찰한 경우 날대두용매 추출물이 탈지대두 용매추출물보다 한산화 효과가 뛰어 나며, 볶은 과정을 거친 대두군에서는 탈지대두군이 항산화효과가 높았다.
합성 항산화제인 BHA와 천연 항산화제인 -toco[herol, NDGA, propyl gallate, sesamol 등의 항산화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식용대두유에 이들 항산화제를 첨가하여 가열처리한 후 2주간 보존할 때 일어나는 물리화학적인 변화와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항산화력은 BHA> -tocopherol>NDGA>propylgallate>sesamol의 순으로 BHA에 비하여 천연항산화제가 다소 떨어졌지만 -tocopherol의 경우는 BHA에 크게 뒤지지 않는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식용대두유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항산화제로서 Chelating agents의 항산화효과를 mild한 조건(67mlO2/min, 50℃)이하에서 A.O.M법으로 측정 하였으며 기기분석법(UV,IR,NMR)에 대한 측정의 가능여부를 시험한 결과 Chelating agents의 항산화 효과는 diphenic acid(109.3%),naphthoquinone (111.2%), pyromellitic acid(168.6%),Quinolinic acid(183.6%),naphthalic acid(921.2%)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Control에 비하여 각각 9.3, 11.2, 68.6 83.6, 821.2% 증가하였다.Chelating agents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으며, 철과 동을 첨가하였을 때 현저하였다.
들기름, 참기름, 콩기름에 Crude Soya Saponin을 첨가하면 과산화물값과 산값은 낮고 요오드값은 높아 항산화 및 안정성에 효과가 있었다.
식용유지 원료로 사용되는 종자류에 널리 분포되고 있는 대표적인 페놀화합물 10종을 선정하여 무수 대두 유기질과 대두유물 에멀죤기질에서 이들의 항산화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페놀화합물들은 대두유기질에서 보다는 대두유물 에멀죤기질에서 더 강한 항산화작용을 보였었다.

(17)사과
사과로부터 추출한 산소효소와 5종의 Polyphenol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진 사과효소 갈변반응 생성물들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는 N-methyl -N'-nitro-N-nitrosoguanidine, mitomycin, 4-nitroquinoline-1-oxide, benzo(α)pyrene(B(α)P) 그리고 3-amino-1,4-dimethyl-5H-pyrido(4.3-b)indole(Trp-P-1)에 대한 다섯 종류의 사과효소 갈변반응 생성물들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사과로 부터 추출한 polyphenol oxidase외 polyhpenol 화합물인 catechol, hydroquinone, homocatechol, hydroxyhdroquinone 그리고 pyrogallol 용액과 반응시켜 얻어진 사과효소 갈변반응 생성물에 대한 항돌연변이원성 효과를 검토하였다. SOS spot tese와 SOS chromotest에 사용된 균주는 E. coli PQ37/plasmid pKM 101 균주이며 spot tese에서 위 다섯 종류의 시료 모두 간변용액의 농도를 증가시켜 줌에 따라서 mitomycn C, 4-nitroquinoline-1-oxide, 그리고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등의 발암 물질들에 대해서 강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18)고구마
DNA breaking test에서 catechol- 및 hydrexyhydrequinone-SPEB-RPs는 Fe2- 존재하에서 DNA breaking effect를 저해하였다. Bacillus subtilis H17(rec-) 및 M45(rec-)를 이욧아한 spore rec assay에서 3,4-dihydroxytoluene-SPEBRP는 MNNG에 대하여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를 이용한 Ames test에서 pyrogallol-, 3,4-dihydroxytoluene-, hydroxyhydrequinone-SPEBRPs들은 발암물질인 Benzo(α)Pyrene에 대하여 67,71,63%의 강한 활성억제를 나타내었다.

(19)메밀
Spore rec-assay에서 메밀잎 에탄올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 항돌연변이 원성을 나타내었으나 높은 농도에서는 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Ames test에서 메밀잎 에탄올 추출물은 자체 변이원성은 없었으며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를 사용하였을 때 B(a)P., 2AE, Trp-P-1 및 MNNG에서 돌연변이 유발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20)초피
초피나무의 과피 부분의 메탄올 추출물과 이를 더욱 분리한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수층분획물들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Ames mutagenicity test와 SOS chromotest를 이용하여 검토하고 사람의 골육암 세포인 MG-63 cell의 증식에 대한 억제효과를 실험하였다. 초피의 메탄올 추출물은 Amesmutagenicity test 에서 aflatoxin B1(AFB1)과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의 돌연변이유발성을 크게 저해하였는데(p<0.01), AFB1에 대하여는 시료에 대한 20%농도 추출물의 첨가로 거의 90%이상까지도 억제시킬 수 있었다.


2)항산화작용
지질의 산화는 주로 유리라디칼에 의한 연쇄반응으로 생성되는 과산화물과 과산화물이 산화 분해되어 카르보닐 화합물 및 중합물을 생성하며, 지질과산화반응은 여러 가지 독성 화합물이나 약물에 의한 간손상발생의 기전으로 인정된다. 기전은 세포내 항상화적 방어력 감소로 인해 야기될수 있다. 반응성이 큰 과산화물들의 유리기는 생체내 단백질 또는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기능기를 파괴시키거나 다른 물질들과 가교 결합을 형성하여 여러조직에서 세포막의 변화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효소활성의 감소 및 DNA손상과 퇴행성 장해를 일으킨다. 그러나 생체에는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비타민 등의 항산화제가 존재하여 생성되는 유리기를 제거하여 체내 항상성을 유지한다.
또한 지방질 및 지방질 함유식물의 가공 또는 저장 중에 일어나는 지방질의 산화는 악취를 내고 필수 지방산과 지용성 비타민의 손실을 일으켜 식품의 품질을 저하시킬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alcohol류, aldehyde류, kotone류 등의 산화생성물들이 생체내에서 DNA를 손상시키거나 암을 유발하기도 하며, 세포의 노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지방질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산소제거, 자외선 차단, 항산화제 첨가등과 같은 방법은 이용할수 있으나 , 이중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항산화제를 직접 유지에 첨가하는 것이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항산화제로는 천연 항산화제인 tocopherol과 합성 산화제인 propyl gallate, BHA, BHT, TBHQ등이 있다. 이들 항산화제는 산소 존재나 고온 조건에서 기질의 유리 라디칼 생성을 지연시키거나 활성을 저해하므로서 지방질의 산화를 억제시켜주는데 합성 항산화제는 탁월한 효과와 경제성 때문에 푹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의 인체에 대한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 천연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tocopherol은 안전하기는 하나 단독으로는 산화연쇄반응 저지능력이 낮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들과 더불어 합성 항산화제의 안정성문제로 그 사용규제가 엄격하게 관리되면서 생리작용이 명확한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플라보노이드류는 항염, 항궤양, 항동맥경화, 항미생물, 항돌연변이, 항암, 및 항종양효과 등의 생리활성외에도 상당한 항산화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etha와 Seshaedi등은 돈지에 대해 25종의 flavonoid류의 항산화효과를 조사한 결과 , 3,7,8-trihydroxyflavone, fisetin, quercetin, dihydroquercetin, robinetin, myricetin, 3'4'5'- haxahydroxyflavane 등이 큰 항산화효과를 보였다고 하였다. Pratt등은 여러 야채의 열수 추출물들의 항산화작용을 조사한 결과, 강한 항산화작용을 지닌 열수 추출물들 중에 고농도의 quercetin이 함유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의 이화학적 성질 및 항산화효과를 비롯한 여러 생리적 작용은 aglycone 도는 당과 결합된 배당체 형태등 구조적 특성에 다라 각각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Yamaguchi 등은 12종의 flavonoid류의 항산화효과를 조사한 결과, flavonol의 8위치에 OH를 갖는 gossypetin과 herbacetin은 강한 항산화효과를 보였으나 gossypectin의 8위치에서의 OH제거에 의해 유래된 quercetin의 항산화력은 약 1/2정도로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힌 quercetin의 3위치의 OH를 저거함으로써 유래되는 Kaempherol은 거의 항산화력을 보이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1)양파
양파중에는 quercetin 4'-glucoside, quercetin 4'7'-dialycoside, quercetin 4'-glucoside, quercetin 4'7'-diglycoside, quercetin 3,7-diglycoside, quercetin 3,4'-diglycoside, quercetin aglycone, isorhamnetinmonoglycoside, kaempferol, monoglycoside 등의 flavonoid류가 함유되어있으며 이중 80%가 quercetin diglycoside, monoglycoside, quercetin aglycone 으로 구성되어 있다. bilyk등은 양파종류에 따라 flavonol의 농도변화가 커서 노란 양파와 붉은 양파의 경우 flavonol 농도는 60mg/kg에서 1,000mg/kg의 범위를 나타낸다고 하였고, 색을 가진 마른 껍질에 특히 flavonol함량이 높아 2.5-6.5%로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의 함량은 산지, 품종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재료: 무안에서 재배된 양파를 구입하여 수세 정선 및 탈수과정을 거쳐 -60도에서 동결한후 도열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건조한 양파겁질을 분쇄한 분말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추출 및 용매분획 :양파껍질분말에 10배의 methanol를 가하고 환류 냉각하에서 3회추출한후 여과 농축하여 methanol추출물을 얻었다. 이 methanol추출물을 적당량으 lanf에 분산시킨후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anol, 및 water faction의 순으로 순차용매분획하였다. 용매분획물은 rotary evaporator로 농축하여 중량법으로 추출율을 측정하였으며 추출율은 추출전 양파분말의 무게에 대한 추출물의 무게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항산화효과측정: methanol추출물을 소량의 methanol에 녹인후 linoleic acid(Sigma co. Ltd., U.S.A.)에 0.01%, 0.02% 및 0.03%농도로 첨가하였다. Methanol 추출물이 농도별로 첨가된 기질은 각가 50ml의 beaker에 20g씩 분취하여 40도를 유지하는 항온기에 저장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과산화물가(AOCS official Method cd 8-58)를 측정하였다. 또한 Methanol추출물로부터 얻어진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hanol 및 water fraction 은 위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0.02%의 농도로 기질에 첨가하여 행하였다. 한편 유도기간은 각 기질의 저장중의 과산화물가 40 meq/kg oil 에 도달할때가지의 시가으로 임의적으로 정하였다.

-수소공여능의 측정(HDA)
-총페놀함량분서-Folin-Denis법
-TLC에 의한 buthanol fraction 의 재분획:항산화효과가 가장 우수한 buthanol fraction의 TLC에 의한 재분획은 ethyl acetate: formic acid: water(10:2:3의 상층, v/v)의 전개용매를 이용하여 UV lamp(365nm)로 검출하였다.
분획물의 자외선 가시광선 흡수패턴- 200~500nm의 범위에서 측정

<결과 및 고찰>
양파껍질중에 존재하는 항산화물질을 여러 용매로 분획하여 그 항산화효과를 비교하고, butanol fraction의 TLC에 의한 재분획 및 총페놀함량, 수소공여능 및 UV spectral 분석을 행하였다. 메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메탄올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효과는 buthanol>ethyl acetate>ethyl ether>water fraction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항산화효과는 총페놀함량 및 수소공여능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TLC에 의한 butanol fraction의 재분획 결과 Rf치 0.20, 0.33, 0.49, 0.60 및 0.94을 나타내는 형광띠를 나타내었다. Rf치 0.94의 형광 band는 다른 형광 band에 비해 현저히 강한 것으로 보여 주었으며 flavonol의 존재를 나타내는 255nm와 317nm에서 강한 흡수가 보였다. Spectral analyses 결과 양파껍질중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항산화성 물질은 quercetin
aglycone(3,3',4',5,7-pentahydroxyflavon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파의 가식부와 갈색외피를 Absolute ethanol로 각각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은 어느 정도 항산화효과를 나타냈고 갈색외피의 추출물은 강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다. 이 항산화효과는 첨가농도가 짙을수록 비례해서 강하게 나타났고 Absolute ehtanol과 구연산을 병용했을 때 항산화작용은 상승하였으며 Ascorbic acid을 병용했을 때 항산화작용은 크게 상승하였다.

(2)붉나무
용매별 추출 수율은 methanol이 14.53%(w/w)로 가장 높았다. hexane,ethyl actate, methanol 그리고 ethanol(99%) 추출물 600ppm을 ascorbic acid 200ppm과 함께 팜유에 첨가하였을 때 antioxidant index(AI: 항산화제 첨가 유지의 유도 기간/대상 유지의 유도 기간)는 각각 1.83, 2.25, 2.81 그리고 2.85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고, 돈지의 경우는 추출물 600 ppm에 δ-tocopherol 200 ppm 첨가구가 가장 효과가 높아서 AI는 각각 3.64, 7.83, 7.34 그리고 9.30이었다.

팜유에 붉나무 조추출물과 인산을 각각 200ppm 첨가시, 유도기간은 무첨가구에 비해 2.89배 증가했으며, 붉나무 추출물으이 ethyl acetate 분획물 200 ppm과 인산 200ppm을 첨가했을 때 유도기간은 4.18배 같은 조건에서 chloroform 분획물은 2.48배의 유도기간 연장 효과가 있었다. 돈지의 경우 chloroform 분획물 600 ppm과 δ-Tocopherol 200 ppm을 첨가한 경우 13.41배의 산화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3)탈지들깨박
Chporogenic acid를 표준물로써 비색법으로 측정한 페놀화합물들의 총함량은 0.75%였고 총폐놀산중 유리페놀산, 페놀산, 에스터 및 물용성 페놀산 추출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87.5, 7.5, 5.0%였다. 이차원 전개법에 의한 paper chromatography 성분분석 결과 유리페놀산 형태의 추출물에서는 대부분의 페놀화합물이 chlorogenic acid와 일치하였고 소량의 caffeic acid와도 일치되었으나, 페놀산 에스터와 불용성 결합형 페눌산 형태의 추출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4)소목
소목을 여러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고, 75% 에탄올 추출물은 다시 용매 분획하여 Rancimat method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상업용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δ-tocopherol, BHA, BHT등과도 항산화력을 비교하였다. Ethyl acetate(EtOAc)조출출물 600ppm을 팜유와 돈지에 첨가시 AI(Antioxidant index;각 항산화제를 첨가한 실험구의 유도기간을 무첨가구의 유도기간으로 나눈 값)는 각 각 2.06, 7.40으로 비교적 높았으며 돈지에 대한 항산화 효과가 뚜렷하였다. 75%에탄올 추출물을 순차 분획하여 얻은 EtOAc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는 다른 분획물들 및 조추출물보다 높았다.

(5)고추
100mesh로 분쇄한 고추에 증류수를 가하여 감압증류시켜 정유성분을 추출하고, 잔사에 에틸알코올을 가하여 25℃에서 3시간 진탕 추출한 후 여과, 농축시켜 정유성분과 합하였다. 여기에 물과 유화제를 첨가, 유화 시켜 고추 oleoresin으로 하였다. 60℃에서 24시간 방치했을 때의 emulsion 생성율은 유화제를 4%첨가한 경우가 94.5%로 가장 높았고, 또한 100분간 원심분리(2000×g) 시킨 후에도 emulsion 잔존율은 80% 정도로서 유화안정성이 가장 좋았다. 고추 oleoresin의 항산화 활성은 가 열조리 온도 100℃의 경우 BHA의 효과 만큼은 미치지 못하나 상당한 항산화성을 나타내었고, 온도 150℃의 경우는 BHA첨가와 마찬가지로 항산화성 효과를 인정하기 어려웠다.
풋고추, 고추잎, 붉음고추 및 피망의 즙액은 아플라톡신 B1에서 대해서 항돌연변이 효과가 나타났는데, 첨가 농도 2.5와 5%에서 특히 고추잎의 즙액이 가장 현저한 항돌연변이 효과가 있었으며 붉은고추 역시40-45% 정도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N-methyl-N'-nitro-nitrosogyanidine(MNNG)와 4-nitro-quinoline-1-oxide(4-NQO)에 대한 각 시료 즙액들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실험한 결과 붉은고추를 제외한 나머지 시료들에서도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붉은고추의 즙액은 사용한 돌연변이원의 종류에 따라서 그 항돌연변이 활성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와 4-NQO에 대해서는 AFB1에서와는 달리 약한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거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약간의 보돌연변이원성이 관찰되었다.

(6)겨자
탈지 겨자박으로 부터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페놀산을 추출하여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항산화 효과를 0.02%(w/w)의 BHA, BHT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는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기질과 대조구를 45±1℃에서 25일간 저장하면서 매5일간 과산화물가, TBA가를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추정하였다.


3)생약재의 생물활성연구
생약재의 기능성 식품으로서 이용가능성을 확인 하기 위한 생물활성 검색 연구현황은 (표 )에 나타내었다.
기능성 식품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농림수산부 지정 주요 재배 생약식물을 중심으로 강활의 향균작용과 항산화작용, 길경의 항균작용고혈청, 간장, 분변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결명자의 아질염 소거작용, 구기자의항균작용과 간장장애 및 당뇨에 미치는 영향, 당귀의 항균작용, 목단의 항균 및항산화작용, 산수유의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오미자의 항상화 및 항균활성고 당뇨에 미치는 영향, 독성과 알콜대사에 미치는 영향, 혈청성분에미치는영향, 패모의 항산화효과, 향부자의 항균작용, 황금이 항암작용, 황기의 항산화효과 등이 보고 되었다. 이외에도 한방과 민간에서 약리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102종의 생약을 대상으로 171종의 생물활성이 검색되어 135편의 논문에 보고되었다. 이것은 생약류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인지 추출물 수준의 활성 확인의 연구에서 더 진전된 결과가 전무하다는 사실이 무척 아쉽게 느껴지며 기능성 식품의 과학적인 근거 제시라는 측면에서 앞으로는 이 분야에서도 유효성분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하여 본다.

표 . 생약류의 생물활성 검색 연구
Propolis Royal jelly 유지산화억제효과 추출용매별
가시오갈피 Acanthopanaxs enticosus 항보체활성 다당류
가자 Terminalia Thiqamine chebula 항산화작용 페놀성물질
면역세포 활성화 물추출물
갈참나무 Quercus aliena 항균작용 추출물
감잎 Diospyros kaki 소화효소활성저해,항균작용 페놀성 물질
항돌연변이원성 페놀성 물질
감초 Glycyrrhiza uralensis 균증식억제효과 75% EtOH추출물
강활 Ostericum koreanum 균주생육, aflatoxin생성 CHCl3추출물
권백 Selaginlla tamariscina 세포성장억제작용 수침엑기스
금은화 Lonicera japonica 항균작용 물,에탄올추출물
길경 Platcodon grandiflorum 항균작용 물,에탄올추출물
혈청,간장,분변의 지질함량변화 saponin
꾸지뽕나무잎 Cudrania tricuspidata 항균활성 EtOAc 분획
항염증활성 EtOAc,BuOH분획
결명자 Cassia tora 아질산염소거작용 MeOHex EtOAc가용부
계피 Cinnamomum cassia 항보체활성 다당류
구기자 Lycium chinense 항균작용 물, 에탄올추출물
간장장애 및 당뇨에미치는 영향 MeOH 추출물
녹각 간손상억제 및 재생효과 물, 80% 메탄올
녹나무 Cinnamomun camphora 항암작용 물, 유기용매추출물
느릅 Ulmus davidiana 항균작용 추출물의 분획별
단삼 Salvia miltiorrhiza 항균효과 물, 에탄올, 헥산추출물
닭의장풀 Commelina communis 혈당강하효과 분말
당귀 Angelica gigas 균주생육,Aflatoxin생성 CHCl3 추출물
대복피 Areca catechu 항보체활성 및 작용약식 다당류
대황 Rheum palmatum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물추출물
두릅 Aralia elata 돌연변이 억제작용 가열즙
두릅나무껍질 당뇨개선효과 MeOH추출물
두릅 항돌연변이효과 생즙
리기다 Pinus rigida 항균작용 추출물의 분획별
마황 Ephedra sinica S.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물추출물
메꽃 Calystegia japonica 혈당강하효과 분말
며느리배꼽 Persicaria perfoliata 혈당강하효과 분말
모과 Chaenomeles sinensis 소화효소활성저해, 항균작용, 페놀성물질
항돌연변이원성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물추출물

목단 Paeonia suffruticosa 균주생육, Aflatoxin생성 CHCl3 추출물
항균작용 물, 에탄올추출물

목단피 Paeonia suffruticosa 항산화작용 gallic acid, epigallocatechin

목향 Saussurea lappa 방부효과 epigallcatechin gallate

미연 Coptis japonica 항암작용 물, 유기용매추출물

민들레 Taraxcum platycarpum 항균작용, 항산화작용 추출물의 분획별

방기 Sinomenium acutum 균증식억제 효과 75% EtOH 추출물

백두옹 Pulsatilla chinensis 균주생육, Aflatoxin CHCl3 추출물

백작약 Paeonia japonica 균주생육, Aflatoxin CHCl3 추출물

백출 Atractylodes macrocephala 균주생육, Aflatoxin CHCl3 추출물

복분자 Rubus coreanus M 면역세포 활성화 물추출물

봉출 Curcuma zedoaaria 균주생육, Aflatoxin CHCl3 추출물

부자 Aconitua ssp. 항보체활성 다당류

붉나무 Rhus chinensis 항산화효과 순차용매추출물
항산화효과 에탄올추출물

비파엽 Eriobtrya japonica 암유전자발현의 감소 올솔레산

빈량 Areca catechu L.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물추출물

산사 Crataegus pinnatijida 항산화작용 에테르추출물, 페놀성물질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간기능, 혈액상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물추출물

산쑥 Artemisia montta 항산화효과 물, 에테르추출물

산채근 Wasabai montata 방부효과

산초 Zanthaxylum schinifolium 장운동성 물추출물
항산화효과 quercetin, hyperside

소리쟁이 Rumex crispus 돌연변이 억제작용 가열즙

소목 Caesallpinia sappan L.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물추출물

소엽 Perilla frutescens 방부효과

솔잎 Pinus densiflora 항산화작용 4-hydroxy-5- furanone-methyl-3[2H]
송화분 혈청,간장의 지방, 콜레스테롤저하효과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항산화효과 순차용매분획

쑥씨 미생물생육 정유성분

알로에 Aloe vera 항궤양작용 분말

알팔파 Medicago sativa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saponin

어성초 Houttynia cordat 항산화효과 순차용매분획
항돌연변이효과 생즙

연교 Forsythia suspersa 항균작용 물, 에탄올추출물

오갈피 Acanthopanax sessiliflorus 지방축적저해효과 열수추출액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대사, 항산화활성 부위별 물추출물
Alloxan 유도 당뇨에 미치는 영향 열매 물추출물
CCl4독성에 미치는 영향 열매 물추출물
알콜대사에 미치는 효과 열매 물추출물
항균작용 물, 에탄올추출물
혈청성분에 미치는 영향 MeOH 추출물

오배자 Rhus chinensis 방부효과

용담초 Gentiana scabr 방부효과

울금 Curcuma longa 항보체활성 다당류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돌연변이 억제작용 가열즙

유백피 Ulmus davidiana 항세균작용 MeOH추출물

율무쌀 Coix lachryma-jobi 성장 분말

은행 Ginko biloba 혈소판응집억제효과 지용성성분

은행잎 혈소판응집억제효과 지용성성분
항보체효과 다당류

음양곽 Epimedium koreanum 항산화효과 tocopherol, flavonoid류

익모초 Leonurus sibiricus 간장장애, 고혈당에 미치는 영향 녹즙
위액분비기능에 미치는 영향 녹즙

인동 Lonicera japonica 항보체활성 다당류

자근 Lithospermum erythrorhizon 간기능개선효과 수침액

자초 Arnebia euchrama 항균작용 물, 에탄올추출물

잔대 Adenophora triphylla 돌연변이 억제작용 가열즙

장뇌 Camphora 방부효과

정향 Syringa velutina 급만성위염 위손상에 대한효과 MeOH 추출물


정향 Eugenia caryophliata T.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물추출물

조각자 Gleditsia sinensis 항보체활성 다당류

지유 Sanguisorba officinalis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물추출물

진달래화분 Rhodendron mucronulatum 간독성 회복효과 화분

진황정 Polygonatum falcatum 백혈구감소성 methylfructose polymer

질경이 Plantago asiatica 항균작용 추출물의 분획별
항산화작용 용매별추출물

참나물 돌연변이억제효과 효소갈변반응성물

참마 Dioscorea japonoca 혈당강화효과 분말

참죽나무 Cedrela elata 항염증, 진통효과 quercetin, 메탄올추출물

천마 Gastrodia elata 국소적 관상순환기능 물, 50% EtOH추출물
초피 Zanthoxylum piperitum 항돌연변이,암세포증식 억제효과 MeOH추출물,과피
측백열매 Thuja orientalis 혈장콜레스테롤, 혈당 과피의 물추출액

치자 Gardenia jasminoides 항균작용 물, 에탄올추출물

칡뿌리 Pueraria thumbergian 소화효소활성저해, 항균작용 페놀성물질
돌연변이 억제작용 crude saponin
항산화효과 MeOH 추출물

컴프리 Symphytum officinale 항돌연변이효과 생즙, 가열즙

케일 Kale Hormine,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녹즙

택란엽 Eupatorium fortunei 항산화효과 용매별추출물

토란대 Colocasia antiquorum Thiamine 분해능 물추출물

토룡분 Eissenia foetida 성장, 혈액성분 시판제품

토사자 Cuscuta chinensis 간기능장애개선효과 MeOH추출물

패모 Fritillaria ussuriensis 항산화효과 순차용매분획

포공영 Taraxacum mongoiicum 항산화효과 용매별추출물

해동피 Kalopanaxii Cortex 간기능장애회복효과 MeOH 추출물

향부자 Cyperus rotundus 균주생육, Aflatoxin생성 CHCl3 추출물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항보체활성 다당류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항균성, 항산화성 용매분획별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항암작용 물, 유기용매추추물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항산화작용 용매별추출물

황백 Phellodendron amurense 방부효과, 항균작용 물, 에탄올추출물
항암작용 물, 에탄올추출물

-------------------------------------------------------------------



3. 결론

최근 산야초류에 대한 소비증가와 함께 생산량도 크게 늘어나 재배면적이 1989년도에는 1,195ha이었으나 5년후안 1994년도에는 4,739ha로 증가하였다. 생산량도 각각 3,783톤에서 37,393톤으로 증가하였는데 그 이유는 국민 소득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고 식생활의 양상이 주식위주에서 벗어나 점차 다양화되어가면서 저공해 채소류와 함께 약리적 기증이 우수한 산야초류에 대한 관심이 커졌기 때문이다. 채소를 비롯한 산야초류성분의 생리적 기능으로서는 지금까지 비타민 C, carotenoid, cellulose 등의 성분들이 항 돌연변이 원성을 비롯한 함종양활성, 암유발억제활성, 항산화성, 콜레스테롤저하작용, 또는 정장작용등의 생리적 기능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나 일부분에 관한 연구이다. 야채류의 생리활성연구는 잘 알려져 있으며 산야초류에 대해서는 최근 연구결과 높은 생리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산야초의 이용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가공 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극히 부진한 상태 이다. 지금까지의 산채류의 가공은 과거의 전통적인 방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생리적 기능이 우수한 산채를 원료로하여 음료로 가공함으로써 소비를 촉진하고 국민 건강에 기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1. 자원식물학, 임웅규외 5인 서일 1996

2. 기능성식품소재로서 생물활성 천연물의 국내 연구동향 , 황금희, 김현구, 식품과학과 산업 28(3), 1995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