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자숨담
 
 
 
카페 게시글
알면 좋은 건강상식 스크랩 인체해부도
米沃 추천 0 조회 529 09.12.16 08:51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인체 해부도

http://cafe.daum.net/unisityko/6eIc/184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 사각근
 
37. 승모근

 38. 삼각근

 39. 대흉근

 40. 소흉근

 54. 봉공근

 76. 쇄골

 86. 서경륜

 93. 좌심실
 
94. 우심실

 97. 내경정맥

 99. 쇄골하정맥

100 상대정맥

102 폐동맥

105 액와정맥

107 완두정맥

109 상환정맥

140 기관

142 폐

147 식도

148 횡격막

149 간장

150 간겸상간막

154 위

156 소장

160 횡행결장

161 횡행결장간막

166 소망

167 장간막근

170 갑상선


62 상완이두근
 
65 요골근

 93 좌심실

 94 우심실

 95 대동맥

100 상행대동맥

102 폐동맥

103 폐정맥

115 문맥

118 비동맥

119 비정맥

126 상장간막동맥

127 상장간막정맥

128 하장간막동맥

129 하장간막정맥
135 비장

140 기관

141 기관지

147 식도

148 횡격막

149 간장

152 담낭

153 췌장

155 십이지장

157 맹장

159 상행결장

162 하행결장

163 에스상결장

168 장간막

178 방광

(그림이  보여지지 않을 때는 새로고침을)  

[인체해부도2]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로

장 기

기 능 과 증 상

비 고

 간 장

 

기능

혈액과 영양소저장/ 해독작용/ 생성작용 (알부민, 담즙)

 

증상

1) 눈관련 질환이 생긴다

 (시력저하/충혈/눈부심/안축연검/눈물/눈떨림/백내장/녹내장/눈꼽낌)

2) 배짱을 주관한다 (소심/합리적/행동보다 말이앞선다)

3) 감정을 주관 (짜증과 화를 잘 낸다)

4) 부종이 생긴다

5) 근육 관련 질환이 온다

6) 옆구리/안쪽다리이상/엄지발가락 내측 이상

7) 남성이 나빠진다(술/스트레스)

신경이 없으

므로 통증없다

 담

 (쓸개)

기능

단백질과 지방(기름진 음식)을 소화 흡수 시키는데 관여 한다

 

증상

1) 기름진 음식을 소화시키는데 불편하다

2) 잠을 주관 한다

3) 외측면 부위로 이상이 온다

(편두통/뒷목측면/어깨/옆구리/고관절/허벅지측면무릎/외측면/정강이외측면발가락4지외측면

4) 십이지장이 나빠진다 (염증/궤양)

5) 홧병이 오면 나빠진다

6) 여성이 주로 나빠진다

7) 이명/정신병/전신두통/현훈증/불면증/공상을 많이 한다

맛: 쓴맛

색: 노랑

 심 장

기능

심장은 온몸에서 모여든 정맥혈을 폐로 보내어 산소를 공급 받은 동맥혈을 다시 받아들여, 이것을 온몸에 나누어주는 펌프역할을 하고 있다

 

증상

1) 얼굴, 귀가 충혈 된다

2)혀이상(미각/언어장애/혓바늘돋움/색깔이상)

3) 기립취해 현상

4) 어깨 묵직 및 통증(혈액이 머리로 못가고 어깨로 몰려있기 때문이다)

5)어깨와 경추를 다스리고 머리혈을 다스릴 것

6) 겨드랑이 이상(통증/액취증)

7) 전면내측 팔 이상/손바닥5지내측 이상

8)비만이온다(지방/당이혈액에정체되어서온다)

9) 저녁에 피곤 하고 부종이 온다

10)육류, 술, 커피, 스트레스가 주범

11)열곳과 출혈이 일어난다

12)사혈로다스려야 한다(침몸살을하는유형이다

13)혈침시통증을 많이 느끼나 반응도 빨리온다

14)어깨와 경추를다스리고 머리혈을 다스릴 것

 

 소 장

기능

위장에서 내려온 음식을 영양화 시키는 일을 한다

 구 분

증상

1) 소화 불량(消化不良)이 일어난다

2) 소화 불량은 쓸개와 췌장효소/혈액순환이 주관한다

3) 만성 피로가 온다 (영양화 실패로 인하여)

4) 식사 후 배꼽부분이 적/취통 현상(더부룩하고 통증)이 있다

5) 십이지장염증과 궤양이 온다

6) 어깨/날개죽지에 이상이온다(오십견이라고 한다)

7) 뒷면 내측 팔에 이상이 온다

8) 뒷면 내측 새끼손가락 이상

9) 광대뼈에 충혈 및 통증이 온다

 

십이지장

공장

회장

 허 파

 (지라)

기능

소화운송과 몸 안의 수분과 습기도 주관하며 혈액을 통솔한다.

 

증상

1) 입술을 주관한다(입술마름, 갈라짐, 파랗게 됨, 입술 부스럼))

2) 살을 주관한다(비만: 위대비소 / 날씬: 위소비대)

3) 갑상선이 생긴다(항진: 위소비대 / 저하: 위대비소)

4) 복부 및 수족 냉증이 생긴다

5) 내측면 하체에 이상이 온다

6) 원인불명성 출혈(혈뇨/코피)

7) 중얼거림

8) 비위 약하고 침이나 주사를 무서워 한다

9) 까다롭다

 

면역기관

소화기관

 위 장

기능

음식을 영양화 되기 쉽게 곤죽으로 만드는 일을 한다

 

증상

1) 위산 과다 현상이 일어 난다

 (속쓰림, 신물 넘어옴, 트림, 위염, 위궤양, 위암)

2) 전면 라인에 이상 이 온다

 (승읍 부종, 안면마비, 턱 주변 종기 유방질환, 무릎 중앙 질환, 정강

 이 이상, 발등 이상)

3) 편두통이 온다

4) 명치밑 3촌 적취통 현상

5) 구취/트림/신물 넘어온다

6) 젖가슴이 작거나 크다

7) 위하수증이 온다 (신경성으로 폭식을 해서 생긴다)

8) 스트레스/자율신경실조/혈액순환불량/폭식/과식

9) 화가 들어오면 기관지뿐만 아니라 식도로 들어오므로 위장에 공기가

 차서 트림이 나오고 또한 식도와 위장이 나빠진다

10)화가 들어오면 위장을 거쳐 대장으로 유입되므로 대장/폐가 나빠진다

뮤신작용

 

 폐

 (허파)

기능

산소와 이산화 탄소를 주관하여 산소를 혈액으로 공급한다

영 향

증상

1) 코 관련 질환이 생긴다

 (비염, 축농증, 코막힘, 코골이, 비점막 종양)

2) 구강/기관지/식도(화때문) 이상

3) 변비/설사/깨스참/치질(화가 들어와서=신경성))가 생긴다

4) 피부질환이 생긴다 (알레르기/두드러기/멍/혈관멍/피부가 거칠고 검다)

 [피부질환은 혈액이 나빠서 오는 것이다]

5) 이마두통이 온다

6) 어깨가 아프다

7) 트림과 하품을 한다

8) 기침/가래/호흡곤란이 온다

8) 원인: 경추/화, 담배 유입시/ 대장 이상시/ 심장/지방과 당 유입시

9) 홧병이 생긴다

10)남자는 폐가 직접적으로 나빠진다(담배가 원인)

흡연

대장

변 참음

 대 장

기능

음식의 찌꺼기와 수분을 처리하고 배설 하는 기관이다

 구 분

증상

1) 설사가 생긴다(대장/직장 냉하여서=온수음용)

2) 변비가 생긴다(대장/직장 열이 있어=냉수음용)/변을 참아서

3) 치질이 생긴다 (변을 참고 변비가 있으므로)

4) 가스가 생기고 장에서 소리가 난다(방귀와 변을 참아서=직장이 원인)

5) 피부관련 질환이 생긴다

6) 어깨가 이상이 생긴다

7) 척추가 이상이 생기고 아프다

8) 원인: 배변습관/자율신경/척추이상/화 유입시/혈순환이상시/VC 부족시

9) 여성은 대변이 나빠서 폐가 나빠진다

10)하복부 적취통이 있다

1) 맹장

2) 결장

3) 직장

4) 항문

 췌 장

 (콩팥)

기능

혈액내의 잔여수분과 노폐물과 요산 및 염분을 정화 하는 기관

 형 상

증상

1) 귀 관련 질환이 생긴다 (중이염, 청각장애, 이명, 귀이지, 귀가려움)

2) 생식기 이상이 온다(여기가 나쁘면 굉장히 피곤하고 허리가 약하다)

 남자: 정력부족/전립선 비대증/불임/소변이상/허리근육이 아프다

 여자: 생리통/불순/자궁근종/난소이상/불임/허리근육이 나쁘다

3) 탈모나 흰머리가 생긴다

4) 부종이 온다(손/발/눈꺼풀)

5) 뼈가 약해진다(결석이 온다)(늦잠이나 한자세로 오래 있지못함/전후)

6) 칼슘은 소변으로 배출이 된다

6) 신체의 뒤편 이상(목/등/허리근육, 엉덩이, 오금, 장딴지, 발바닥, 발가락밑)

7) 원인: 소변습관 불량시/간이나쁠시/물을 많이음용시/술.커피.늦은야식/알부민

8) 성격은 돈키호테이고 고정관념과 편집증이 있다

생긴것은

콩모양임

색깔은

팥색깔임

 

(증 상)

허리근육

발목

피곤

생식기

 방 광

기능

신장에서 보내지는 오줌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증상

1) 부종이 생긴다

2) 요실금이나 오줌소태가 온다

3) 외측 눈초리가 이상해 진다

4) 신체 뒤편 이상

 (목/등/허리/근육, 엉덩이, 대퇴부, 오금, 장딴지, 발뒤꿈치

 발바닥, 발가락 열통과 마비)

5) 허리와 다리가 약하다

6) 생각이 앞서고 행동은 늦다

7) 늦잠이나 한자세로 오래 있지 못한다

8) 허리를 전.후가 힘들고 그러나 시원하다

9) 장딴지가 힘들고 아프다

10)외측 발목이 약하고 이상이 생긴다

 

 삼 초

기능

신체내의 보이지 않는 것들을 주관 한다

무형장기

증상

1) 열을 주관 한다

2) 기(氣)를 주관한다

3) 공기를 주관 한다

4) 심포(心包)와 함께 6장 6부를 형성한다

 

 

☞ 췌장의 기능

 췌장의 주된 역할은 소화액을 만드는 것(외분비)과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등 여러 호르몬을 만드는 것(내분비)입니다.

 췌장이 만드는 소화액은 췌액이라고 불리며 췌장 속에 그물처럼 존재하는 췌관이라고 하는 가느다란 관 속으로 분비됩니다.

 가느다란 췌관은 췌장 속에서 주췌관이라는 하나의 관으로 모이며, 간장에서 췌장 머리부분 속으로 들어오는 총담관과 합류한 후, 처음 소장부위인 십이지장의 유두라는 곳을 향해 열려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간장에서 만들어진 담즙과 췌장에서 만들어진 췌액은 함께 십이지장 속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이나 역으로 혈당을 높이는 글루카곤 등으로서, 이들은 혈액 속으로 분비됩니다.

 

 

 

 

 

 

상초

중초

하초

대흉근,소흉근은 가슴근육의 해부학 용어입니다. 대흉근은 손으로 직접 만져지는 가슴근육의 맨 바깥쪽부분이죠. 근데 소흉근은 대흉근 안쪽에 있기 때문에 만져지거나 보이지는 않습니다.

상완이두근은 흔히 이두박근이라고 말하는 근육이죠. 손바닥을 위로보게 한뒤 팔을 구부리면 알통이 뽈록 솟죠. 그것이 바로 상완이두근입니다. 하지만 상완근은 상완이두근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서 만져지거나 보이진 않습니다. 손 바닥을 아래로 보게한뒤 팔을 구부려보세요. 이때 수축하는 근육이 상완근입니다.

복부주변의 근육에는 복직근,내.외복사근,복횡근이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복근은 바로 복직근이며 중앙 복직근 옆에는 외복사근이 있습니다. 외복사근 안쪽에는 내복사근이 있으며 보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가장 복부안쪽에는 복횡근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전완굴근은 일반적으로 손목을 구부릴 때 관련되는 근육의 총칭입니다. 세부적인 근육의 명칭이 너무 많아서 이정도만 알아두셔도 될겁니다.

대퇴사두근무리에는 대퇴직근,내측광근,외측광근,중간광근의 서로다른 4개의 근육들이 있습니다. 대퇴직근은 무릎에서 골반까지 연결된 유일한 근육이며 그외의 3개근육들은 무릎에서 대퇴골까지만 연결되어있습니다. 허벅지전면의 약간 안쪽부분이 내측광근이며 약간 바깥쪽이 외측광근입니다. 그리고 중간광근은 허벅지 중앙부분에 있으며 대퇴직근에 가려서 보이지 않습니다.

내전근 무리는 다리를 안쪽으로 모을 때 사용되는 근육들입니다. 허벅지에서 가장 안쪽부분이며 다리를 모을 때 서로 붙는 부분입니다.

전경골근은 종아리 맨 앞쪽입니다. 발끝을 들 때 사용됩니다.

인체 후면 해부도

삼각근은 3개의 근육으로 구성되는데 어깨앞쪽의 전면삼각근, 어깨중간의 중간삼각근, 그리고 어깨후면의 후면삼각근이 그것입니다. 삼각근은 흔히 어깨근육이라고 불리는 부분인데 모양이 삼각형으로 생겼죠.

광배근은 한자로 넓을광,등배자로 넓은 등이라는 뜻입니다. 광배근은 우리가 외모적으로 보았을 때 역삼각형을 만들어주는 근육입니다. 역삼각형으로 된 상체는 멋있게 보입니다. 가슴근육 뒤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승모근은 목과 어깨사이의 근육으로 어깨를 으쓱할 때 사용되는 근육입니다. 흔히 오랫동안 컴퓨터작업을 하고 있으면 뭉쳐서 뻐근해지는 부위입니다.

극상근은 승모근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깨관절의 안정성을 유지시킵니다.

극하근,소원근,대원근등은 대략 어깨죽지부근에 올망졸망 모여있는 잔잔한 근육들입니다.

능형근은 견갑골사이에 위치한 근육이며 흔히 팔을 벌려 가슴을 쫙 펼 때 수축되는 근육입니다.

척추기립근은 바로 허리근육을 말합니다. 골반에서 머리까지 척추선을 따라 연결되어있는 척추를 지지하고 있는 방대한 근육무리입니다.

삼두박근은 팔뒷면 근육이죠. 팔을 쭉 폈을 때 말굽모양처럼 보여지는 근육입니다.

전완신근은 전완굴근과는 반대개념의 근육입니다. 손목을 펼 때 사용되는 근육입니다.

엉덩이 근육무리에는 대둔근,중둔근,소둔근의 3가지 근육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엉덩이를 덮고 있는 근육이 대둔근이며 가장 큽니다. 그리고 그 윗편에는 중둔이 그리고 대둔근 아래에는 소둔근이 있습니다.

대퇴근막장근은 외전근에 속하며 다리를 바깥으로 벌릴 때 사용되는 근육입니다.

슬와근무리는 대퇴사두근과 정반대의 기능을 하는 근육무리입니다. 무릎을 구부릴 때 사용되는 근육으로써 대퇴이두근,반막양근,반건양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종아리근육에는 비복근가재미근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여지는 종아리근육은 바로 비복근입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는 일부 비복근에 덮여서 맨 아래 아킬레스건에 연결된 가재미근이 있습니다. 보통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때 서서하는 종아리 운동에는 비복근이 관련되며 앉아서 하는 종아리 운동에는 가재미근이 관련됩니다.

장비골근과 단비골근은 전경골근의 반대근육입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