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2.5ℓ A WGT | 2.5ℓ A WGT | 2.5ℓ A VGT | 3.5ℓ 시그마 MPI |
2WD | 4WD | 4WD | 4WD | |
전장 | 4,570 | |||
(mm) | 4,625(범퍼가드 적용시) | |||
전폭 | 1,885 | |||
(mm) | ||||
전고 | 1,735 | |||
(mm) | 1,815(루프랙 적용시) | |||
축거 | 2,710 | |||
(mm) | ||||
윤거 | 1,580 | |||
(전, mm) | ||||
윤거 | 1,580 | |||
(후, mm) | ||||
승차 정원 | 7명 | |||
변속기 | 수동 5단 | 자동 5단 | 자동 4단 | |
자동 4단 | ||||
(이후 자동 5단으로 변경) | ||||
서스펜션 | 더블 위시본/5링크 코일 스프링 | |||
(전/후) | ||||
구동 형식 | 후륜 구동 | 4륜 구동 | ||
엔진 형식 | D4CB | G6CU | ||
연료 | 디젤 | 가솔린 | ||
배기량 | 2,497 | 3,497 | ||
(cc) | ||||
최고 출력 | 145/3,800 | 174/3,800 | 195/5,500 | |
(ps/rpm) | ||||
최대 토크 | 33.0/2,000 | 41.0/2,000 | 30.0/3,000 | |
(kg*m/rpm) | (이후 36.0/2,000으로 변경) | |||
연비 (km/ℓ) |
12.3(수동 5단)/ | 11.5(수동 5단)/ | 10.7(자동 5단) | 7.0(자동 4단) |
10.8(자동 4단) | 10.3(자동 4단) | |||
(이후 11.5(수동 5단)/ | (이후 11.6(수동 5단)/ | |||
10.3(자동 5단)으로 변경 | 10.1(자동 5단)으로 변경) |
뉴 쏘렌토(2006년 4월~2009년 4월)
2006년 4월 3일에 출시되었다. 기존 쏘렌토에 비해 라디에이터 그릴에 간결한 이미지를 강조했다. 대한민국산 SUV 최초로 아웃 사이
드 미러에 LED 리피터를 적용했고, 4륜구동에만 적용하던 2.5ℓ A VGT 디젤 엔진을 후륜구동에도 확대 적용했다. 새로 개발한 전·후
륜 서스펜션을 적용해 승차감을 개선시켰고, 엔진 룸과 차 바닥 등에 흡음재와 절연 패드를 추가해 정숙성도 높였다. 차체 자세 제어
장치, 브레이크 보조 시스템 등도 신규 적용되었다. 레그룸을 기존 860mm에서 890mm로 30mm 늘려서 실내 공간을 넓혔고, 3열 시
트 쿠션부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계해 공간 활용도도 높였다. AV 기능과 내비게이션 기능은 물론 차량 진단 기능까지 추가된 모젠 2
50과 독립 제어 풀 오토 에어컨, 후방 경보 장치, MP3 오디오 등 다양한 편의 사양이 새로 적용되었다. 2007년 4월에는 7인승보다 가
격이 저렴한 5인승을 추가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구분 | 2.5ℓ A WGT | 2.5ℓ A WGT | 2.5ℓ A VGT | 2.5ℓ A VGT | 2.5ℓ A VGT |
2WD | 4WD | 2WD | 4WD(수동 5단) | 4WD(자동 5단) | |
전장 | 4,590 | ||||
(mm) | |||||
전폭 | 1,885 | ||||
(mm) | |||||
전고 | 1,725 | ||||
(mm) | 1,805(루프랙 적용시) | ||||
축거 | 2,710 | ||||
(mm) | |||||
윤거 | 1,580 | ||||
(전, mm) | |||||
윤거 | 1,580 | ||||
(후, mm) | |||||
승차 정원 | 5명 | ||||
7명 | |||||
변속기 | 수동 5단 | 자동 5단 | 수동 5단 | 자동 5단 | |
자동 5단 | |||||
서스펜션 | 더블 위시본/5링크 코일 스프링 | ||||
(전/후) | |||||
구동 형식 | 후륜 구동 | 4륜 구동 | 후륜 구동 | 4륜 구동 | |
엔진 형식 | D4CB | ||||
연료 | 디젤 | ||||
배기량 | 2,497 | ||||
(cc) | |||||
최고 출력 | 145/3,800 | 174/3,800 | 174/3,800 | 174/3,800 | |
(ps/rpm) | (이후 178/3,800으로 변경) | (이후 178/3,800으로 변경) | |||
최대 토크 | 36.0/2,000 | 41.0/2,000 | |||
(kg*m/rpm) | |||||
연비 (km/ℓ) |
11.5(수동 5단)/ | 11.6(수동 5단)/ | 10.8(자동 5단) | 11.8(수동 5단) | 10.7(자동 5단) |
10.3(자동 5단) | 10.1(자동 5단) | (이후 10.9(자동 5단)로 변경) |
2세대(XM)
쏘렌토 R(2009년 4월~2012년 7월)
2009년 4월 2일에 출시되었으며, 그해 개최된 서울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R 엔진을 사용하는 첫 차종이고, 기존의 프레임 차체에서
현대 싼타페(2세대)와 플랫폼을 공유하는 모노코크 차체로 변경되었다. 2.2ℓ R VGT 디젤 엔진, 2.4ℓ 세타 Ⅱ MPI 가솔린 엔진, 2.7ℓ
뮤 LPI 엔진이 장착되었고, 2009년 6월부터는 2.0ℓ R VGT 디젤 엔진도 추가되었다. 내수 시장인 대한민국에서는 모든 엔진에 미션
오일을 교환할 필요가 없는 6단 자동변속기만 장착되었고, 수요가 적은 6단 수동변속기는 수출용만 장착되었다. 서브 네임인 R은 혁
명(revolution)에서 따온 것이며, 편안함(relaxation)의 의미를 담기도 한다. 기존 쏘렌토보다 전고가 15mm 낮아지고, 전장이 95mm
길어져 주행 안정성이 개선됐다. 차체 자세 제어 장치와 경사로 저속주행 장치 등이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되었다. 2010년 12월부터
모든 트림에 1열 사이드&커튼 에어백이 기본 적용되었고, 그해 기아자동차의 단일 차종으로는 최초로 미국에서 연간 누적 판매가 10
만 대를 돌파했다. 2011년 7월에는 미국 조지아 주 현지 공장에서 쏘렌토의 30만 대 생산을 돌파했다.
구분 | 2.0ℓ R VGT | 2.2ℓ R VGT | 2.2ℓ R VGT | 2.4ℓ 세타 Ⅱ MPI | 2.7ℓ 뮤 LPI |
2WD | 2WD | 4WD | 2WD | 2WD | |
전장 | 4,685 | ||||
(mm) | |||||
전폭 | 1,885 | ||||
(mm) | |||||
전고 | 1,710 | ||||
(mm) | 1,755(루프랙 적용시) | ||||
축거 | 2,700 | ||||
(mm) | |||||
윤거 | 1,618(R18) | ||||
(전, mm) | |||||
윤거 | 1,621(R18) | ||||
(후, mm) | |||||
승차 정원 | 7명 | ||||
변속기 | 자동 6단 | ||||
서스펜션 | 맥퍼슨 스트럿/멀티 링크 | ||||
(전/후) | |||||
구동 형식 | 전륜 구동 | 4륜 구동 | 전륜 구동 | ||
엔진 형식 | D4HA | D4HB | G4KE | L6EA | |
연료 | 디젤 | 가솔린 | LPG | ||
배기량 | 1,995 | 2,199 | 2,359 | 2,656 | |
(cc) | |||||
최고 출력 | 184/3,800 | 200/3,800 | 175/6,000 | 162/5,200 | |
(ps/rpm) | (이후 184/4,000으로 변경) | ||||
최대 토크 | 40.0/2,000 | 44.5/2,000 | 23.0/3,750 | 25.0/4,000 | |
(kg*m/rpm) | (이후 40.0/1,800~2,500으로 변경) | (이후 44.5/1,800~2,500으로 변경) | |||
연비 (km/ℓ) |
15.0(자동 6단) | 14.1(자동 6단) | 13.2(자동 6단) | 10.7(자동 6단) | 7.6(자동 6단) |
(이후 7.9(자동 6단)로 변경) |
뉴 쏘렌토 R(2012년 7월~2014년 8월)
2012년 7월 10일에 출시되었다.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K7(전기형)과 비슷한 형상의 새로 디자인된 리어 램프가 적용되는 등의 변화가
생겼고, 후측방 경보 시스템, 7인치 컬러 TFT-LCD 패널 내장 슈퍼비전 클러스터, 기아자동차의 최첨단 텔레매틱스 서비스 유보 시
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또한 페이스 리프트 차종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플랫폼이 바뀌었는데, 현대 싼타페(2세대)의 플랫폼에서 현대
싼타페(3세대)의 플랫폼으로 바뀌었다. 전륜구동만 있던 2.0ℓ R VGT 디젤 엔진에는 4륜구동이 추가되었다. 아울러 2.0ℓ R VGT 디젤
엔진 장착 트림 중 리미티드와 리미티드 스페셜을 제외한 LX와 TLX, TLX 스페셜은 기본 5인승에 3열 시트(7인승)를 옵션으로 마련
했다. 2013년 6월에는 LED 리어 램프, 인조 가죽 시트, 풀 오토 에어컨, 클러스터 이오나이저 등이 기본 적용되고, 19인치 크롬 스퍼
터링 알루미늄 휠이 추가된 2014년형이 선보였다.
구분 | 2.0ℓ R VGT | 2.0ℓ R VGT | 2.2ℓ R VGT | 2.2ℓ R VGT |
2WD | 4WD | 2WD | 4WD | |
전장 | 4,685 | |||
(mm) | ||||
전폭 | 1,885 | |||
(mm) | ||||
전고 | 1,700 | |||
(mm) | 1,745(루프랙 적용시) | |||
축거 | 2,700 | |||
(mm) | ||||
윤거 | 1,621(R18) | |||
(전, mm) | ||||
윤거 | 1,618(R18) | |||
(후, mm) | ||||
승차 정원 | 5명 | 7명 | ||
7명 | ||||
변속기 | 자동 6단 | |||
서스펜션 | 맥퍼슨 스트럿/멀티 링크 | |||
(전/후) | ||||
구동 형식 | 전륜 구동 | 4륜 구동 | 전륜 구동 | 4륜 구동 |
엔진 형식 | D4HA | D4HB | ||
연료 | 디젤 | |||
배기량 | 1,995 | 2,199 | ||
(cc) | ||||
최고 출력 | 184/4,000 | 200/3,800 | ||
(ps/rpm) | ||||
최대 토크 | 41.0/2,000~2,500 | 44.5/1,800~2,500 | ||
(kg*m/rpm) | ||||
연비 | 도심 12.9/고속 16.7/복합 14.4(자동 6단) | 도심 11.4/고속 15.6/복합 13.0(자동 6단) | 도심 12.3/고속 16.3/복합 13.8(자동 6단) | 도심 10.9/고속 14.7/복합 12.4(자동 6단) |
(km/ℓ) |
3세대(UM)
올 뉴 쏘렌토(2014년 8월~현재)
2014년 8월 28일에 출시되었다. 대한민국산 SUV 최초로 유로 6 기준을 달성했고, 모든 트림에 고급형 ISG 시스템이 달렸다. 전장과
축거가 각각 95mm, 80mm 늘었고, 트렁크 공간은 동급 최고 수준인 605ℓ(7인승, 3열 시트 폴딩 기준)이다. 2열 시트는 4:2:4 분할 폴
딩이 가능하도록 해 긴 화물 적재시에도 여유로운 탑승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트렁크 쪽에서 간단한 레버 조작을 통해 2열 시트를 접
어주는 리모트 폴딩 기능이 적용되어 적재 편의성을 높였다. 대한민국산 SUV 최초의 전방 추돌 경보 장치를 비롯해 어라운드 뷰 시
스템과 후측방 경보 시스템, 스마트 파워 테일 게이트 등이 적용되었다. 초고장력 강판 적용 비율이 기존의 24%에서 53%로 확대되어
안전성과 주행 성능을 높였고, 구조용 접착제 역시 기존의 60m에서 134m로 확대되었다. 차체 측면부 핫 스탬핑 공법이 적용되고, 차
체 주요 부위의 연결부를 강화해 차체 비틀림과 굽힘 강성을 향상시켰다.
구분 | 2.0ℓ R VGT | 2.0ℓ R VGT | 2.2ℓ R VGT | 2.2ℓ R VGT |
2WD | 4WD | 2WD | 4WD | |
전장 | 4,780 | |||
(mm) | ||||
전폭 | 1,890 | |||
(mm) | ||||
전고 | 1,685 | |||
(mm) | 1,690(루프랙 적용시) | |||
축거 | 2,780 | |||
(mm) | ||||
윤거 | 1,628 | |||
(전, mm) | ||||
윤거 | 1,639 | |||
(후, mm) | ||||
승차 정원 | 5명 | |||
7명 | ||||
변속기 | 자동 6단 | |||
서스펜션 | 맥퍼슨 스트럿/멀티 링크 | |||
(전/후) | ||||
구동 형식 | 전륜 구동 | 4륜 구동 | 전륜 구동 | 4륜 구동 |
엔진 형식 | D4HA | D4HB | ||
연료 | 디젤 | |||
배기량 | 1,995 | 2,199 | ||
(cc) | ||||
최고 출력 | 186/4,000 | 202/3,800 | ||
(ps/rpm) | ||||
최대 토크 | 41.0/1,750~2,750 | 45.0/1,750~2,750 | ||
(kg*m/rpm) | ||||
연비 (km/ℓ) |
도심 12.4/고속 15.3/복합 13.5(18인치, 5인승)/ | 도심 11.1/고속 14.3/복합 12.3(18인치, 5/7인승)/ 도심 10.8/고속 13.1/복합 11.7(19인치, 5/7인승) |
도심 12.2/고속 15.3/복합 13.4(18인치, 5인승)/ | 도심 10.7/고속 14.1/복합 12.0(18인치, 5/7인승) 도심 10.6/고속 13.1/복합 11.6(19인치, 5/7인승) |
도심 12.0/고속 14.7/복합 13.1(18인치, 7인승)/ | 도심 11.6/고속 14.6/복합 12.8(18인치, 7인승)/ | |||
도심 11.7/고속 14.6/복합 12.9(19인치, 5/7인승) | 도심 11.3/고속 14.2/복합 12.4(19인치, 5/7인승)/ |
-------------------------------------------------------------------------------------------------
기아자동차의 SUV 모델. 이름의 유래는 이탈리아의 도시이면서,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 부근의 도시. 대신 철자가 약간 다
르다(Sorento. r이 하나 빠졌다.)
1. 1세대 (프로젝트 BL)
스포티지의 단종 이후 기아자동차의 SUV 라인업을 지탱해 오던 모델이다. 스포티지의 설계사상을 대부분 이어받은 바디 온 프레임
차체설계방식을 그대로 채택하였고, 전체적으로 풍만해진 디자인을 주요 특징으로 삼았다.
국내에서는 2500cc A엔진을 얹다가 후기형 모델은 터보차저를 WGT에서 VGT로 바꿔서 얹었다. 전체적으로 승용차의 주행 감각과 S
UV의 묵직함을 둘 다 갖췄다는 평가. 해외에서의 평가도 괜찮은 편이었으며, 특히 기아자동차의 북미/유럽시장 판매량 신장에 크게
일조한 모델로 평가받는다. 수출용에는 V6 3.5리터 시그마 가솔린 엔진도 달렸고, 내수용에도 잠깐 얹혀 나왔다. 주요 디자인 모티브
는 BMW의 X시리즈를 비롯한 타사의 여러 모델에서도 벤치마킹했을정도로 디자인도 잘 나온 편. 벤츠의 M클래스 2세대는 아예 베끼
다시피 했다. 하지만 원조는 렉서스 RX300 본래 수출용에는 원형의 K 엠블렘이 아닌 타원형 KIA 엠블렘이 달렸지만 내수용에는 원형
엠블렘이 달렸다. 후기형에는 기아자동차의 원형 바탕 K 엠블렘 대신 2세대 스포티지 출시와 함께 타원형 KIA 엠블렘 회귀 선언으로
비로소 내수용도 타원형 엠블렘으로 교체됬다.
2. 2세대 (프로젝트 XM)
2008년 프로젝트 XM이 공개되면서 풀 모델 체인지 예정임이 공개되었고, 2009년 서울모터쇼를 기점으로 프로젝트 XM을 쏘렌토 R이
라는 이름으로 공개, 2세대 모델로 교체되었다. 전체적인 특징은 기존의 쏘렌토와는 다른 모노코크 방식의 차체 설계, 1세대 모델에
비해 다운사이징된 엔진(2200cc R-디젤엔진이 주력, 이외에는 2400cc 세타2-휘발유와 2700cc 뮤-LPi엔진의 라인업으로 구성. 이후
2000cc R-디젤엔진이 추가되었고, 가솔린과 LPi 모델은 단종되었다.)의 탑재, 글라스루프 채택 등등 1세대 모델에 비해 좀 더 고급화
된 모습. 피터 슈라이어가 제창한 기아자동차의 새로운 디자인 아이덴티티인 '직선의 단순화'와 '슈라이어 라인'을 제대로 도입한 두
번째 모델로 꼽을 수 있으며, 1세대 모델에 비해서는 약간 날렵해진 모양을 하고 있다.
2세대 출시 후 북미 수출용은 국내에서 생산하지 않고 미국 조지아 주 기아자동차 현지공장에서 생산 중이다. 선대 모델인 1세대 쏘
렌토가 호평받아서 기대를 받긴 했지만 이 정도까지 분전할 줄은 몰랐다는 평이 대세.
현재 미국 미드사이즈 SUV 시장 판매 1위를 두고 분전 중. 형제차 산타페를 멀찌감찌 따돌리며 월 1만대 판매를 바라보는 기아의 주
력 차종이 되어버렸다.
전체적으로는 현대자동차의 형제모델인 현대 싼타페(CM)와 일정부분 비슷한 모양.
2012년 6월 부분변경모델인 뉴 쏘렌토 R이 공개되었는데, 페이스리프트 수준의 변경이라고 말하기가 애매한 것이 기본 디자인은 쏘
렌토R의 그것에 최근 기아차의 디자인 흐름이 반영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는데, 플랫폼까지 바꿔치워서 이것을 페이스리프트라고
하기에는 변화 폭이 큰지라 풀모델체인지와 페이스리프트(혹은 연식변경)모델의 중간쯤으로 보고 있다. 일단 메이커 측은 쏘렌토의
3번째 모델로 광고 중.
이병헌이 SBS 드라마 올인에서 타고 다녔던 차이기도 하다. 참고로 이때는 2세대인 쏘렌토R이 아닌 1세대인 쏘렌토.
3. 3세대 (프로젝트 UM)
2014년 7월 경 UM의 스파이샷이 유출되었다. 이후 7월 29일 기아자동차 유튜브를 통해 렌더링 영상이 공개되었으며, 8월 28일 정식
출시되었다.
4. 여담
2009년 다카르 랠리에 초대 쏘렌토가 참가해 완주, 2010년 다카르 랠리에도 참가 중인데 잘하면 이번에도 완주 가능한 듯. 그러나 이
번엔 2대가 나서서 한대가 이미 탈락, 365번 쏘렌토가 현재 국산차로 유일하게 달리고 있다. 드라이버는 지난 2009년 다카르랠리에서
도 쏘렌토를 탄 우터 반 더 비트(Wouter Van Der Beek) 선수. 지난 2009년에도 쏘렌토가 팀을 실망시키지 않았다는데, 이번에도 완
주에 성공했다!!!!
2010년 슈퍼볼 중간광고에 등장했다.
출처: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