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악산 상원사 대웅전 신중탱화
화엄성중(華嚴聖衆)에 대하여 ①
화엄성중(華嚴聖衆)이란 화엄경(華嚴經)에 등장하는 성스러운 신중(神衆)들을 말합니다. 다른 말로는 신장(神將)이라고도 합니다. 이들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하여 불법을 옹호하고 불자들을 보호해 주는 신중입니다. 특히 화엄성중은 화엄경을 호지(護持)하고 불법을 받드는 옹호성중(擁護聖衆)을 말합니다.
화엄경은 부처님께서 처음 성도(成道)하시고 보리수 밑에서 설법한 내용을 편집한 경전입니다. 부처님께서 처음 도를 깨달은 마가다국 아란야 법보리 도량 에서 화엄경을 설하셨는데 시방세계의 티끌수와 같은 많은 대중들이 모여들어 법문을 들었습니다.
그때 그 대중 가운데는 시방세계의 티끌수와 같은 보살들이 모여 있었고, 또 거기에는 금강신(金剛神)을 중심으로 한 신중신(身衆神), 족행신(足行神), 도량신(道場神), 성신(城神), 지신(地神), 산신(山神), 임신(林神), 약신(藥神), 가신(稼神), 하신(河神), 해신(海神), 수신(水神), 화신(火神), 풍신(風神), 공신(空神), 방신(方神), 야신(夜神), 주신(晝神),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喉羅伽), 야차(夜叉), 용(龍), 구반다(鳩槃茶), 건달바(乾闥婆), 월천자(月天子), 일천자(日天子), 도리천(忉利天), 야마천(夜摩天王), 도솔천(兜率天), 화락천(化樂天),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대범천(大梵天), 광음천(光音天), 변정천(徧淨天), 광과천(廣果天), 대자재천(大自在天) 등 39위 신장들이 그의 권속들과 함께 모여와 있었습니다.
39위 신장을 설명해 봅니다.
1. 금강신(金剛神)
절에 들어가는 문이나 전각의 입구 좌우에 서서 불법을 수호하는 신입니다. 이왕(二王), 이천왕(二天王), 금강역사(金剛力士), 밀적금강(密跡金剛), 금강수(金剛手), 지금강(持金剛), 나라연천(那羅延天), 집금강신(執金剛神), 불가월(不可越), 상향(上向) 등 다양한 명칭이 있습니다. 금강신을 범어로 벌절라다라(伐折羅陀羅 Vajradhara)로 부릅니다. 금강저(金剛杵)를 손에 든 자란 뜻입니다.
화엄경에서는 초발심행자가 믿음을 통하여 성불에 이르는 과정을 총 52 계단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화엄성중 가운데 각각의 성중에게 그들의 신력(神力)을 법에 맞추어 수행계위를 설명해 놓았습니다.
금강신은 수행계위 중 십주(十住) 가운데 제 2 치지주(治地住)에 해당합니다.
2. 신중신(身衆神)
법인(法忍)을 성취하여 생사 가운데서 중생을 마음대로 이익하게 하는 신입니다. 항상 큰 원을 성취하여 모든 부처님을 공양하고 찬탄합니다.
신중신은 수행계위(修行階位) 중 십주(十住) 중 제 3 수행주(修行住)에 해당합니다.
3. 족행신(足行神)
한량없는 세월을 두고 법성진여(法性眞如)를 체(體)로 삼아 여래(如來)를 가까이 하여 정진하므로써 운신(運身)에 자유를 얻은 신입니다.
족행신은 십주(十住) 중 제 4 생귀주(生貴住)에 해당합니다.
4. 도량신(道場神)
삼보(三寶)의 도량(道場)을 지키는 신입니다. 도량신이 인격적인 모습으로 나타날 때는 여성신으로 나옵니다. 이것은 자비의 이상을 인격적으로 나타내 보인 것입니다.
도량신은 십주(十住) 중 제 5 구족방편주(具足方便住)에 해당합니다.
5. 주성신(主城神)
성(城)을 지키는 신입니다.
주성신은 십주(十住) 중 제 6 정심주(正心住)에 해당합니다.
6. 주지신(主地神)
주지신은 땅을 지키는 토지, 대지신입니다.
주지신은 십주(十住) 중 제 7 불퇴주(不退住)에 해당합니다.
7. 주산신(主山神)
주산신은 산의 주인입니다.
주산신은 십주(十住) 중 제 8 동진주(童眞住)에 해당합니다.
8. 주림신(主林神)
주림신은 숲을 지키는 신입니다. 산이 있으면 나무가 있고 나무가 있으면 숲이 있는 데, 그 나무에도 각각 목신(木神)이 있지만 그들 나무와 나무를 총괄하는 주림신은 숲속의 왕입니다.
주림신은 십주(十住) 중 제 9 법왕자주(法王子住)에 해당합니다.
9. 주약신(主藥神)
주약신은 약을 주재하는 신입니다.
주약신은 십주(十住) 중 제 10 관정주(灌頂住)에 해당합니다.
10. 주가신(主稼神)
주가신은 곡식신을 말합니다.
주가신은 십행(十行) 중 제 1 환희행(歡喜行)에 해당합니다.
11. 주하신(主河神)
주하신은 물신입니다. 화엄신중의 물신에는 하신(河神) 이외에도 우물신(井神)과 수신(水神), 바다신(海神), 강신(江神) 등 몇 분의 물신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수신 이외에는 모두가 물이 고여 있는 환경을 따라 우물, 강, 바다 등으로 지어진 것인데 이곳의 하신(河神)은 하천신(河川神)을 뜻합니다.
주하신은 십행(十行) 중 제 2 요익행(饒益行)에 해당합니다.
12. 주해신(主海神)
주해신은 바다신을 말합니다.
주해신은 십행(十行) 중 제 3 무변행(無邊行)에 해당합니다.
13. 주수신(主水神)
주수신은 물신입니다. 물은 생명력과 풍요의 원리로서 정화(淨化)의 힘을 가짐으로써 독특한 종교적 이미지를 갖게 되었습니다. 풍요의 원리는 우선 용왕으로 일컬어지고 용신 용왕은 용으로 관념화된 물신(水神)이 되었습니다.
주수신은 십행(十行) 중 제 4 무굴요행(無掘撓行)에 해당합니다.
14. 주화신(主火神)
주화신은 불을 담당한 신입니다. 불은 산소와 물질이 화합하여 연소하는 현상으로 빛과 열을 내는 에너지이므로 인류문명을 떠받쳐 준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주화신은 십행(十行) 중 제 5 무치란행(無治亂行)에 해당합니다.
15. 주풍신(主風神)
주풍신은 바람을 주관하는 신입니다.
주풍신은 십행(十行) 중 제 6 선현행(善現行)에 해당합니다.
16. 주공신(主空神)
주공신은 허공신(虛空神)을 말합니다. 허공은 텅텅 비어 있으면서도 온갖 것을 다 포용하고 색도 없고 모양도 없고 무게도 달 수 없고, 길이도 잴 수 없어 사람의 마음에 많이 비유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공신은 십행(十行) 중 제 7 무착행(無着行)에 해당합니다.
17. 주방신(主方神)
주방신은 방향을 수호하는 신을 말합니다. 방위는 근원적으로 인간이 가지고 있는 공간의식의 한 형태입니다.
주방신은 십행(十行) 중 제 8 난득행(難得行)에 해당합니다.
18. 주야신(主夜神)
주야신은 밤을 창조하고 지키는 신입니다. 주야신은 십행(十行) 중 제 9 선법행(善法行)에 해당합니다.
19. 주주신(主晝神)
주주신은 낮을 주관하는 신입니다.
주주신은 십행(十行) 중 제 10 진실행(眞實行)에 해당합니다.
이 열아홉 분들의 신장(神將)들은 하단(下壇)에 모셔져 있는 분들입니다.
|
첫댓글 이 글은 질문방에 있던 것을 옮겨 놓았습니다. 제2 제3부도 올려 놓겠습니다. 정월에는 신중기도를 많이 합니다. 7일간 신중기도를 합니다만 화엄신중이 어떤 분인가 알아보는 장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_()_
화엄성중 화엄성중 화엄성중_()_
오랜 만에 뵙 습니다. 명절 잘 보내 셨지요. _()_
감사합니다. 화엄성중
()()()
하엄성중_()_ 화엄성중_()_ 화엄성중_()_ 지난 명절때 화엄

찰 부석사 를 다녀 왔 습니다. 

찰 해인사도 화엄
이지요.
국보 17 호 18호 19호 45 호가 있 습니다. _()()()_ 지리산 화엄사엔 국보 5 점이 있지요.
법보
산수산님은 화엄에 대하여 일가견이 있으시군요. 화엄십찰 중 하나가 해인사였죠. 그래서 해인사에는 비로자나불을 많이 모시고 계십니다. 제가
인한 분만 네 분이네요. 화엄성중 
()()()
화엄성중 화엄성중 화엄성중
()()()
감사합니다. 화엄성중
()()()
()()()
감사합니다. 화엄성중
()()()
화엄성중 화엄성중 화엄성중 화엄성중 화엄성중 화엄성중 화엄성중 화엄성중 화엄성중 화엄성중_()_
감사합니다. 화엄성중
()()()
19신에 대한 설명 잘 읽었습니다. _()_
질문방에 있던 다시 한 번 올렸습니다. 감사합니다. 화엄성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