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택을 알자, O×퀴즈
1.평택(平澤)이라는 지명은 ‘평야가 발달하고 물(웅덩이)이 많다’라는 뜻이다. (O)
-평택(平澤)이라는 지명은 팽성읍에서 왔습니다. 의미는 평야가 발달하고 물이 많다는 뜻입니다. 평택 이전에는 ‘하팔(河八)’이라고 했습니다.
2.평택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은 부락산이다.(×)
-평택에서 가장 높은 산은 무봉산(해발 208.6m)이고, 부락산은 146m입니다.
3.평택지역에서 가장 큰 하천은 안성천이다. (O)
-평택지역에는 안성천, 진위천, 발안천을 비롯해서 52개의 하천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가장 큰 하천은 안성천입니다.
4.진위천은 하천이 크고 넓다고 해서 엣날에는 대천(大川)이라고 불렀다. (×)
-진위천의 옛 이름은 장호천 또는 구천이었습니다.
5.조선시대에 ‘진위(振威)’는 현재의 평택, 송탄, 팽성읍을 포함함 지명이었다.(×)
-조선시대 진위현의 범위는 안성천 북쪽, 진위천 동쪽지역(현재의 평택,송탄, 진위, 서탄, 고덕)이었습니다.
6.팽성읍은 조선시대에 충청도 지역이었다.(O)
-팽성읍은 조선시대 충청도 평택현이었고, 1914년에 평택시(진위군)로 편입되었습니다.
7.서평택지역(안중읍을 비롯한 5개 읍, 면)은 조선시대 모두 경기도에 속했다. (×)
-조선시대 서평택지역은 경기도 수원부, 양성현, 충청도 직산현, 평택현 지역이 혼재되어 있었습니다.
8.포승읍 홍원리와 원정리, 도곡리에는 국영 목장이 있었다. (O)
-홍원리에는 ‘홍원목장’, 도곡리에는 ‘양야곶목장’, 원정리에는 ‘괴태곶목장’이 있었습니다.
9.평택항이 있는 만호리 일대는 삼국시대에도 중국으로 가는 배가 있었다. (O)
-만호리는 삼국시대 ‘대진(大津)’으로 중국 당나라를 오가는 사신들과 상인들이 오가던 대당교역의 큰 항구였습니다.
10.MBC창작동요제 대상곡인 ‘노을’이라는 동요는 ‘평택’에서 만들어졌다. (O)
-국민동요 노을은 한광고등학교 미술교사를 지낸 화가 이동진선생이 작사하고 그의 제자 최현규가 작곡했고, 성동초등학교 이진숙 어린이가 불러 대상을 차지했습니다.
11.평택지역에는 조선시대 중등교육기관인 향교(鄕校)가 진위면, 팽성읍, 안중읍 세 곳에 있다. (×)
-향교는 조선시대에 각 고을마다 1곳씩 설치하였습니다. 평택지역은 진위현의 읍치(邑治) 봉남리와 평택현의 읍치(邑治) 객사리에만 향교가 있습니다.
12.팽성읍 객사리라는 지명은 큰 길을 지나던 사람들이 길가에서 많이 죽어서(객사를 해서) 유래되었다. (×)
-객사(客舍)는 조선시대 고을의 읍치(邑治)에 있었던 공공시설물로 지방을 여행하는 전현직 고관들이나 관리들이 묵었던 곳이며, 고을의 관리들이 망배례를 행했던 장소입니다.
13.평택의 국가지정문화재(국보, 보물, 중요무형문화재)는 모두 4개다. (O)
-평택의 국가지정문화재는 심복사석조비로자나불좌상, 만기사 철조여래좌상, 원균장군 선무공신교서, 평택농악 등 4개입니다.
14.문화재는 국가지정, 도지정, 향토유적으로 구분된다. (O)
-문화재는 국가지정, 도지정, 시지정(향토유적) 문화재로 구분됩니다.
15.평택시 향토유적 제1호는 팽성읍 신대리 ‘망해산 봉수’다. (×)
-팽성읍 신대리의 망해산 봉수는 문화재 지정이 안 되었고, 포승읍 원정리 ‘괴태길곶봉수’가 지정되었습니다.
16.진위면 은산리에 유적이 있는 삼봉 정도전선생은 조선왕조 건국의 1등 공신으로 태조 이성계로부터 ‘유종공종(儒宗功宗)’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O)
-삼봉 정도전은 ‘조선왕조의 설계자’라는 말을 들을 만큼 조선개국 후 법과 제도, 문물정비에 가장 큰 공을 세워 ‘유학에도 으뜸이고 나라에 세운 공도 가장 크다’는 칭찬을 받았습니다.
17.도일동에 유적이 있는 원균장군은 이순신장군의 뒤를 이어 선무2등공신에 녹훈(錄勳)되었다. (×)
-원균은 이순신, 권율과 함께 선무1등공신에 녹훈되었습니다.
18.소사동 대동법시행기념비는 조선 효종 때 평택지역에 실시된 대동법(大同法)을 기념하여 세운 비석이다. (×)
-소사동 대동법시행기념비는 잠곡 김육이 충청도지역에 실시한 대동법을 기려 세웠습니다.
19.조선시대 평택지역을 지났던 대로(大路)는 삼남대로와 충청수영로다. (O)
-삼남대로(三南大路)는 평택을 지나 충청, 전라, 경상도로 내려가는 큰 길이었다.
20.충청수영로는 오늘날의 국도1호선이다. (×)
-지금의 45번 국도와 비슷하며, 조선시대 임금이 온양행궁에 온천욕을 하러 다니던 어로(御路)였습니다.
21.조선시대 삼남대로(大路) 평택구간에 설치한 원(院=국가에서 운영하던 주막)은 모두 3개였다.(×)
-조선시대 삼남대로 평택구간에 설치했던 원은 모두 5개(이방원, 장호원, 백현원, 갈원, 소사원)이고, 충청대로에 1개(상원)가 있었습니다.
22.현덕면의 주산인 고등산과, 송탄의 주산인 부락산 가운데 고등산이 더 높다.(×)
-고등산은 140m, 부락산은 148m입니다.
23.안중읍 안중리는 1989년 이전에는 오성면에 속했다. (O)
-안중읍은 본래 오성면이었다가 1989년 안중면으로 독립했습니다.
24.평택시는 14 동(洞), 2 읍(邑), 6 면(面)으로 형성되었다. (×)
-평택시는 14개 동 3개 읍, 5개 면으로 형성되었다.
25.평택시의 인구는 1945년 해방당시 10만 명이 넘었다. (×)
-해방 당시 평택지역 인구는 9만 명 수준이었다.
26.평택지역에서 가장 먼저 시(市)로 승격된 곳은 평택시다. (×)
-송탄시입니다. 송탄은 1981년, 평택시는 1986년에 시(市)로 승격되었습니다.
27.평택지역이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된 것은 1914년 행정구역통폐합에 의해서다.(O)
-1914년 행정구역 통합으로 진위군, 평택군, 수원군이 ‘진위군’으로 통합되었다.
28.‘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부터 ’평택군‘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합 때는 ‘진위군’이었다가 1938년 10월에 ‘평택군’으로 바뀌었다.
29.팽성읍 추팔리는 말을 타고 다니던 사람들이 쉬어가던 ‘역(驛), 역말(역촌)’이었다. (O)
-추팔리는 ‘화천역’이라는 역(驛)이 있었던 마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30.1905년 경부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평택지역에는 평택역, 서정리역, 진위역이 설치되었다. (O)
-철도 개통당시에는 평택역과 서정리역, 진위역이 설치되었습니다. 그러다가 1907년 경 진위역이 폐역되었습니다.
31. 평택지역을 지나가는 고속도로는 모두 4개다.(×)
-평택지역을 지나가는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제2서해안, 평택-제천, 화성-봉담 등 5개입니다.
32.평택지역을 지나가는 국도는 국도1호선, 국도38호선, 국도45호선, 국도39호선, 국도42호선이 있다. (×)
-국도 42호선은 인천에서 동해시까지 연결된 국도입니다.
33.조선시대 합정동 조개터 마을에서는 조개를 잡았다. (O)
-합정동 조개터 앞으로는 소사천, 백랑천같은 하천이 흘렀으며 부전조개, 말조개 등이 풍부했다고 합니다.
34.평택시 신장동에 주둔한 미군기지는 K-6캠프험프리즈다. (×)
-캠프 험프리즈는 안정리에 있고, 신장동에 주둔한 미군기지는 K-55 오산공군기지입니다.
35.K-55 오산공군기지 기지촌은 신장동에 있다.(O)
-K-6캠프험프리즈 기지촌은 팽성읍 안정리 일대, 오산공군기지촌은 신장동에 있습니다.
36.평택지역의 국가산업단지는 모두 5개다. (×)
-평택시의 국가산업단지는 포승제1,2국가공단 2개 뿐입니다.
37.소사벌은 소사1동 앞에서 안성천까지만을 의미한다. (O)
-소사벌은 소사동 앞의 들판을 의미합니다.
38.6.25전쟁 전까지 평택역은 원평동에 있었다. (O)
-평택역은 6.25전쟁 때 유엔군의 폭격으로 파괴되어 휴전 뒤(1953.10) 현재의 위치로 옮겼습니다.
39.현재 평택지역의 시장(市場)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서정리장이다.(×)
-안중장입니다. 안중장과 비슷한 시기에는 소사장, 너더리장, 숙성리장, 진위장, 구거리장(구장터), 등이 있었습니다.
40.통합 평택시가 출범한 것은 2000년이다. (×)
-통합 평택시는 1995년 평택군, 평택시, 송탄시를 통합하여 이뤄졌습니다.
41.민세 안재홍 선생은 오성면 출신이다. (×)
-민세 안재홍선생은 고덕면 두릉2리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가, 학자, 언론인입니다.
42.송탄이라는 지명은 송장면과 탄현면이 통합되어 만들어졌다.(O)
-송탄(松炭)이라는 지명은 1914년 송장면과 탄현면(숯고개)이 통합되면서 두 면에서 한글자씩 취하여 만들어졌습니다.
43.삼남대로의 가장 높은 고개는 대백치(큰 흰치고개)다. (O)
-삼남대로의 가장 큰 고개는 대백치입니다. 송탄지역 사람들은 ‘흔치고개’라고도 부릅니다.
44.평택지역에서 가장 먼저 가설된 다리는 군문교다. (O)
-군문교는 평택역(1905)이 설치되고 국도45호선이 가설되면서 나무다리로 만들어졌습니다. 당시에는 ‘평택교’라고 불렀습니다.
45.평택지역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초등학교는 성동초등학교다.(×)
-진위초등학교입니다. 진위초등학교는 1899년에 설립되었고 성동초등학교는 1913년 개교했습니다.
46.평택지역에서 두 번째로 설립된 성당은 ‘평택성당’이다. (×)
-두 번째로 설립된 성당은 ‘서정동성당’입니다.
47.서정리초등학교는 안중초등학교보다 먼저 설립되었다. (×)
-안중초등학교가 먼저입니다. 안중초는 1922년 5월, 서정리는 10월입니다.
48.평택지역 최초의 3.1만세운동은 현덕면 기산리 옥녀봉 만세시위다.(O)
-1919년 3월 9일 옥녀봉에서 권관리, 기산리, 도대리 주민들이 만세부른 사건이 최초라고 합니다.
49.평택항은 1995년에 개항하였다.(×)
-평택항은 1986년 LNG선이 입항한 것을 기원으로 삼습니다.
50.삼성전자 평택공장 부지로 수용된 옛 한뉴목장은 한국과 뉴질랜드 합작 농장으로 출발하였다. (O)
-맞습니다. 1967년 한국과 뉴질랜드 합작으로 설립되었습니다.
51.평택호에 건설한 ‘한국소리터’의 대공연장 이름은 ‘이동백 홀’이다.(×)
-평택출신의 국악인 지영희를 기려 명명한 ‘지영희 홀’입니다.
52.평택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는 학현리 은행나무다. (O)
-안중읍 학현2리 하오개 마을의 은행나무로 약 850년 이상 되었다고 합니다.
53.무봉산 청소년 수련원 옆에 있는 사찰은 심복사다.(×)
-만기사입니다. 심복사는 현덕면 덕옥5리에 있습니다.
54.평택지역 대표농산물인 ‘평택배’는 조선후기부터 재배되었다. (×)
-평택지역에서 배를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1909년) 일본인들에 의해서입니다.
55.평택평야 가운데 가장 넓은 들판은 오성들이다. (O)
-오성들이 가장 넓고, 팽성읍의 도두리들, 중심들, 통한들, 번개들, 소사동의 소사벌, 등이 넓습니다.
56.이대원 장군은 임진왜란에서 큰 공을 세운 장군이다. (×)
-이대원 장군은 임진왜란 직전인 정해왜변(1587)에서 왜구들과 맞서 싸우다 전사하였습니다.
(2013년 작성, 2021년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