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꼰칠리움 레지오니스
THE
OFFICIAL HANDBOOK
OF THE
LEGION OF MARY
PUBLISHED BY
CONCILIUM LEGIONIS MARIAE
DE MONTFORT HOUSE, DUBLIN
IRELAND
New and Revised Edition, 1993
Nihil Obstat :
Joseph Moran, O.P.
Censor Theologicus Deputatus.
Imprimi Potest :
Desmond Connell
Archiep. Dublinen.
Hiberniae Primas.
Dublin, die 8 December 1993
ⓒ Copyright 1993
Printed in the Republic of Ireland
Mahons, Yarnhall Street, Dublin 1
차 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께서 이태리 레지오 마리애 단원들에게 하신 말씀.........15
프랭크 더프..............................................20
프랭크 더프의 생전 모습.....................................21
제 1 장 명칭과 기원....................................23
제 2 장 레지오의 목적..................................27
제 3 장 레지오의 정신..................................28
제 4 장 레지오의 봉사..................................29
1. 하느님께서 주시는 무기로 완전 무장을 해야 한다.........29
2. 세상을 본받지 말고 거룩한 산 제물이 되어 하느님을 기쁘게 해드려야 한다....30
3. 노고와 고통을 피해서는 안 된다.....................30
4.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를 위하여 당신 자신을 바치신 것같이 사랑의 생활을 해야만 한다..............31
5. 달릴 곳을 끝까지 다 달려야만 한다...................32
제 5 장 레지오 신심의 개요.............................36
1. 하느님과 성모 마리아.............................37
2. 모든 은총의 중재자이신 성모 마리아..................38
3. 원죄 없으신 마리아..............................39
4. 우리의 어머니이신 마리아..........................40
5. 레지오의 신심은 레지오 사도직의 뿌리................42
6. 성모님을 알리자.................................43
7. 성모님을 이 세상에 모셔 오는 일....................44
제 6 장 성모님께 대한 레지오 단원의 의무................46
1. 레지오 단원은 성모님께 대한 신심을 진지하게 묵상하고 실천함으로써 이 신심을 드높여야 할 엄숙한 의무가 있다. 이 의무는 본질적인 것이며, 단원이 지켜야 할 모든 의무 가운데 가장 앞서는 것이다.........................46
2. 성모님의 겸손을 본받음은 레지오 활동의 뿌리이며 수단이다...............49
3.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은 사도직의 의무를 요구한다......55
4. 성모님께 봉사할 때는 온 힘을 다해야 한다.............59
5. 레지오 단원들은 몽포르의 루도비코-마리아 성인의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을 실천해야 한다.....................63
제 7 장 레지오 단원과 성삼위...........................70
제 8 장 레지오 단원과 성체.............................76
1. 미사 성제.....................................76
2. 말씀의 전례....................................77
3. 성모님과 일치하는 성찬의 전례......................78
4. 우리의 보화인 성체..............................80
제 9 장 레지오 단원과 그리스도 신비체...................84
1. 이 교리는 레지오 봉사의 기초이다....................84
2. 성모 마리아와 그리스도 신비체......................88
3. 신비체 안에서 겪는 고통..........................91
제10장 레지오 사도직..................................96
1. 사도직의 존엄성.................................96
2. 가톨릭 공동체와 평신도 사도직......................97
3. 레지오와 평신도 사도직...........................98
4. 사제와 레지오.................................100
5. 본당에서의 레지오..............................102
6. 높은 이상과 진취적 행동의 견인차인 레지오............103
7. 단원 양성을 위한 도제 제도.......................105
제11장 레지오의 기본 요소............................108
1. 개인 성화 - 그 목적과 방법.......................108
2. 강력한 질서 체계...............................109
3. 이상적인 단원.................................110
4. 으뜸가는 의무.................................111
5. 쁘레시디움 주회합..............................113
제12장 레지오의 외적 목표............................115
1. 실제 다루어야 할 일.............................115
2. 더 멀고 큰 목표-지역 사회의 누룩이 되는 일..........116
3. 모든 이를 하나로 만드는 일.......................118
4. 하느님을 위한 고귀한 사업........................123
제13장 단원의 자격 ..................................127
제14장 쁘레시디움....................................132
제15장 레지오의 선서문...............................141
제16장 일반 행동단원 이외의 단원 등급 ................144
1. 쁘레또리움 단원................................144
2. 협조단원.....................................147
제17장 세상을 떠난 레지오 단원들의 영혼...............160
제18장 쁘레시디움 회합의 순서.........................162
1. 쁘레시디움 회합의 차림은 어디에서나 같은 모양이어야 한다.............162
2. 정해진 시각에 회합을 시작한다....................163
3. 회합 시작....................................164
4. 묵주기도 5단을 바친다..........................165
5. 묵주기도가 끝나면 곧바로 영적 독서를 한다...........166
6. 전주(前週) 회의록을 낭독한다.....................166
7. 상훈.......................................167
8. 회계 보고....................................168
9. 활동 보고....................................169
10. 까떼나......................................173
11. 훈화(알로꾸시오)..............................175
12. 훈화가 끝난 후................................176
13. 비밀 헌금 주머니..............................176
14. 회합을 마침..................................178
제19장 회합과 단원...................................179
1. 회합을 존중하자...............................179
2. 쁘레시디움은 존경받도록 힘써야 한다................179
3. 쁘레시디움은 규율을 지켜야 한다...................180
4. 쁘레시디움은 성실함의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180
5. 난방과 조명..................................181
6. 좌석 배치....................................181
7. 주회합 시간은 단원들이 편리한 시간으로 정한다........181
8. 회합은 정해진 시간 안에 끝낸다...................182
9. 회합 시간의 길이..............................182
10. 지각 또는 조퇴................................183
11. 바른 질서는 규율의 뿌리이다......................183
12. 시간을 지키자................................185
13. 기도는 정성스럽게 바치자........................186
14. 기도는 회합과 한 덩이가 되어야 한다...............186
15. 다른 신심 행사 중에 바쳐진 레지오 기도문...........187
16. 회합에서 레지오의 기도문 외에 다른 특별한 기도를 바치는 문제.......187
17. 성실한 보고가 겸손에 어긋나는가...................188
18. 회합은 일치의 표시이다.........................188
19. 동료 단원의 활동에 모든 단원들이 관심을 갖자........189
20. 반드시 비밀을 지켜야 한다.......................190
21. 발언의 자유..................................192
22. 회합은 단원 생활을 지탱하는 근본이다...............192
23. 쁘레시디움은 성모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는 곳'이다.....193
제20장 레지오의 조직과 규율은 바꿀 수 없다............195
제21장 나자렛의 성가정...............................197
제22장 레지오의 기도문...............................202
1. 시작 기도....................................202
2. 레지오의 까떼나................................204
3. 레지오의 기도문(마침 기도).......................205
제23장 레지오 기도문은 변경하지 못한다................208
제24장 레지오의 수호 성인들...........................209
1. 성 요셉......................................209
2. 사도 성 요한..................................210
3. 몽포르의 성 루도비코-마리아......................211
4. 대천사 성 미카엘...............................213
5. 대천사 성 가브리엘.............................214
6. 성모님의 천상 군단인 모든 천사들...................216
7. 세례자 성 요한.................................219
8. 성 베드로....................................221
9. 성 바오로....................................221
제25장 레지오의 그림.................................223
제26장 뗏세라........................................227
제27장 레지오의 벡실리움.............................229
레지오의 단기...................................229
제28장 레지오의 관리.................................232
1. 모든 관리 기관에 적용되는 사항....................232
2. 꾸리아와 꼬미씨움..............................245
3. 레지아.......................................251
4. 세나뚜스.....................................253
5. 꼰칠리움 레지오니스 마리애.......................254
제29장 레지오 단원의 충성............................257
제30장 행 사........................................260
1. 아치에스.....................................260
2. 연차 총 친목회.................................263
3. 야외 행사....................................264
4. 쁘레시디움 친목회..............................264
5. 토론 대회....................................265
제31장 레지오 확장과 단원 모집........................270
제32장 예상되는 반대 의견............................276
1. 여기에는 레지오가 필요 없다......................276
2. 단원이 될 만한 사람이 없다......................277
3. 레지오 단원의 방문을 꺼려 할 것이다...............278
4. 젊은이들은 낮 동안 열심히 일하므로 휴식 시간이 필요하다.......279
5. 레지오는 같은 이념과 사업 계획을 가진 여러 단체 중의 하나일 뿐이다.....280
6. 레지오가 펴는 사업들은 이미 다른 단체들이 하고 있으므로 서로 충돌할지도 모른다......................281
7. 단체들이 이미 너무 많다. 그러므로 레지오를 새로 설립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단체를 활성화하여 레지오가 계획하는 활동을 맡기는 것이 옳은 일이다..........282
8. 여기는 작은 고장이므로 레지오가 들어설 자리가 없다......282
9. 레지오 활동 가운데 어떤 것들은 영신적인 것이므로 그 성질상 사제의 직분에 속한다. 다만 성직자가 손댈 수 없을 때에만 평신도에게 배당해야 한다. 사실 나는 일년에 몇 차례씩 신자들을 방문하는데, 그것으로 만족스런 결과를 얻고 있다................283
10. 단원들이 무분별한 행동을 하지 않을까 걱정된다........285
11. 시작하는 데는 언제나 어려움이 따른다...............286
제33장 레지오 단원의 의무............................288
1. 쁘레시디움 주회합에 규칙적으로 정각에 출석해야 한다...288
2. 주간 활동의 의무를 완수해야 한다..................289
3. 회합에서 구두로 활동 보고를 해야 한다..............291
4. 비밀을 엄격히 지켜야 한다.......................292
5. 모든 단원은 활동 수첩을 가져야 한다...............292
6. 모든 단원은 까떼나(레지오의 고리기도)를 매일 바쳐야 한다................293
7. 단원들 사이의 유대 관계.........................294
8. 함께 활동에 나선 단원과의 관계...................297
9. 새 단원 모집.................................298
10. 교본 공부...................................299
11. 항상 복무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303
12. 레지오 단원은 활동과 더불어 기도를 바쳐야 한다.......306
13. 레지오 단원들의 내적 생활.......................307
14. 레지오 단원과 크리스천 성소......................313
제34장 쁘레시디움 간부들의 임무.......................317
1. 영적 지도자...................................317
2. 단장........................................321
3. 부단장.......................................325
4. 서기........................................328
5. 회계........................................330
제35장 자 금........................................331
제36장 특별한 언급이 필요한 쁘레시디움................334
1. 소년 쁘레시디움................................334
2. 신학교 쁘레시디움..............................342
제37장 활동의 예와 방법..............................346
1. 본당에서의 사도직 활동..........................347
2. 가정 방문 활동................................348
3. 가정에 예수 성심상 모시기.......................350
4. 본당 교세 조사................................351
5. 병원 방문(정신병원 포함)........................352
6. 가장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활동............357
7. 청소년들을 위한 활동...........................362
8. 이동 문고....................................369
9. 군중 속에서의 접촉 활동.........................374
10. 신자 가정부를 보살피는 활동......................375
11. 군인 또는 직업상 자주 이동하는 사람들을 돌보는 활동..................376
12. 가톨릭 출판물 보급 활동.........................377
13. 매일 미사 참례 및 성체 조배 권장 활동..............379
14. 협조단원 모집과 돌봄...........................381
15. 선교회를 돕는 활동.............................382
16. 피정 참가 권장 활동............................383
17. 예수 성심 단주회 회원 모집 활동..................384
18. 지역별 특수 활동 실시..........................386
제38장 빠뜨리치안 회.................................387
제39장 레지오 사도직의 주안점.........................408
1. 성모님과 함께 가지 않으면 영혼들에게 접근할 수 없다...408
2. 무한히 값진 영혼들을 끝없는 인내와 친절로 돌보아야 한다.............421
3. 레지오 단원의 용기.............................425
4. 상징적 행동..................................427
5. 적극적으로 활동하자............................430
6. 활동은 쁘레시디움이 주관한다.....................431
7. 짝을 지어 방문 활동을 하는 것은 레지오의 규율을 보호한다..............433
8. 레지오 활동의 본질은 친밀한 관계를 이루는 것이다.....434
9. 집집마다 방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35
10. 물질적인 도움을 주는 활동은 금지한다...............436
11. 돈을 걷는 일.................................440
12. 레지오는 정치에 개입할 수 없다 ..................440
13. 하나하나의 영혼을 찾아서 이야기를 나누자............440
14. 전혀 손을 쓸 수 없을 만큼 나쁜 사람도 없고, 완벽한 사람도 없다..........441
15. 막연한 사도직은 진정한 가치를 지니지 못한다.........442
16. 감화의 비결은 사랑이다.........................443
17. 레지오 단원은 활동 대상자 한 사람 한 사람 안에서 그리스도를 뵙고 그리스도께
봉사한다.................443
18. 성모님은 레지오 단원을 통하여 당신의 아드님을 사랑하고 보살피신다......444
19. 겸손하고 정중한 레지오 단원에게는 어느 집이나 문이 열린다................446
20. 공공 시설을 방문할 때의 몸가짐...................447
21. 레지오 단원은 남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448
22. 악평에 대한 태도..............................449
23. 결코 낙심할 필요는 없다.........................451
24. 십자가의 표지는 희망의 징표이다...................452
25. 성공은 기쁨이며, 실패는 늦추어진 성공일 따름이다......454
26. 쁘레시디움과 단원들의 결점을 보는 태도.............454
27. 사리 사욕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455
28. 단원들에게 금품을 주어서는 안 된다................456
29. 레지오 안에 차별이 있어서는 안 된다...............456
30. 다리를 놓는 일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457
31. 레지오 단원은 조만간 아주 어려운 활동을 다루어야 한다.457
32. 위험한 활동을 대하는 태도.......................458
33. 레지오는 교회가 벌이는 싸움의 최전방에 서야 한다.....458
34. 레지오 단원은 가톨릭적인 것이면 무엇이나 전파해야 한다.................459
35. 동정 마리아는 모든 이의 어머니이시므로, 모든 이에게 성모님을 알려야 한다.460
40장 모든 사람에게 이 복음을 선포하여라.............463
1. 주님의 마지막 유언.............................463
2. 레지오는 영혼 하나하나를 겨냥해야 한다.............466
3. 정교(동방교회) 전통을 지닌 자매 교회들과의 특별한 유대 관계............468
4. 입교자를 찾아 나서자...........................470
5. 개종시키려면 성체를 설명하라.....................477
6. 믿음이 식은 사람들 ............................481
7. 선교사의 도구로서의 레지오......................485
8. 그리스도를 위한 외지 순방 활동(P.P.C.).............491
9. 마리아 정신의 외방 선교 활동(I.M.)................492
10. 주일 선교 활동(E.D.)...........................492
제41장 이 중에서 가장 위대한 것은 사랑입니다..........494
1. 레지오 대열에 참여할 때..........................494
2. 레지오 대열 안에서.............................495
3. 다른 단체와의 관계.............................495
4. 교회 사목자에 대한 자세..........................496
부록 1. 역대 교황들께서 레지오 마리애에 보내 온 서한 및 메시지...............498
부록 2. 제 2 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505
부록 3. 교회법-평신도의 의무와 권리.......................508
부록 4. 로마 군단......................................511
부록 5. 우리 마음의 여왕이신 마리아 신심회...................513
부록 6. 기적의 패......................................517
부록 7. 지극히 거룩한 로사리오 회..........................520
부록 8. 가톨릭 교리 교육.................................523
부록 9. 예수 성심 단주회(斷酒會)...........................525
부록 10. 신앙 공부......................................526
부록 11. 성모 마리아께서 맡고 계신 역할의 개요................531
성 베르나르도의 시........................................535
요셉 마리아 플랑켓의 시....................................536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께서 이태리 레지오 단원들에게 하신 말씀
1982년 10월 30일
1. 나는 여러분 한 분 한 분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나는 우선 이태리지역에서, 이렇게 많은 단원 여러분들이 이 자리에 오신 것을 보게 되니 정말 기쁩니다. 더구나 여기 오신 여러분이, 이렇게 많은 숫자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60년동안 온 세계에 걸쳐 급속도로 성장한 저 거대한 사도직 운동 단체인 레지오 마리애의 작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생각할 때 더욱더 기쁘지 않을 수없습니다. 이 단체는 창설자인 프랭크 더프 씨가 세상을 떠난 지 2년이 지난 오늘날, 온 세계의 수많은 교구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비오 11세를 비롯한 나의 선임자들께서도 레지오 마리애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바 있으며, 나 자신도 1979년 5월 10일 여러분의 대표자들을 처음 맞이했을 때,내가 과거에 레지오와 접촉하게 되었던 일들을 즐겁게 회상하며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나는 파리, 벨지움, 폴랜드에서 레지오 마리애와 함께 일한 경험이 있으며, 로마의 주교가 된 뒤에도 본당들을 사목 방문하는 길에 레지오단원들을 만나기도 했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오늘 이 단체의 순례자 여러분을 맞이하면서, 교회 안에서 여러분의 영성과 생활 방식이 지니는 본질적 요소에 대해 강조하고자 합니다.
누룩이 되라는 소명
2. 여러분은 믿음을 통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이로써 개인 성화를 이루고자 열망하는 평신도 단체입니다. 이것이야말로 고귀하고 성취하기 어려운 이상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그러나 교회는 오늘날 공의회를 통하여 모든 가톨릭 평신도들이 이 이상을 목표로 삼도록요구하고 있습니다. 즉, 평신도들이 거룩한 생활을 증거하고 극기와 사랑을 실천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왕다운 사제직에 참여하기를 바라고 있으며(제2차 바티칸 공의회문헌 :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10), 또한 교회는 평신도들이 믿음과 소망과 사랑을 가지고, 마치 육체 안에서 영혼이 활동하듯이 세상 안에서의 역할을 다해 주기를 요구합니다.(교의 헌장 38)평신도로서의 소명, 곧 하느님 백성들 안에서 누룩이 되고, 현대 세계에 그리스도교적 이상을 부어 넣으며, 사제를 세상 사람들에게 모셔 가는 일들은 분명 교역자적인 임무입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모든 평신도들이 이러한 교회의 부르심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주님과 더욱더 친밀히 결합하라고 당부하고 있습니다. 하느님이 만드신 모든 것을 자신의 것처럼 여기고 교회의 구원 사업에 적극 참여하며 교회의 살아 있는 도구가 되십시오. 특히 오늘날은 인구 증가나 사제의 감소 또는 예기치 못했던 문제들이 나타나는 등의 사회적 특성으로 인해서 교회가 적극적으로 활동하기에 더욱 어려운 때이므로, 여러분의 협조가 절실히 요청됩니다.(교의 헌장 33)오늘날 평신도 사도직의 분야는 참으로 널리 확대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제 여러분이 이 주어진 소명에 자신을 맡기고 행동에 나서는 일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고무되어 마땅한 일입니다. 평신도의 활성화는 곧 교회의 활성화입니다. 그러므로 레지오는 더욱 활성화되어야 합니다. 레지오는 이태리 사회와 오랜 그리스도교 전통을 지닌 나라들에게 참으로 필요한 단체입니다. 뿐만아니라, 여러분의 선배 단원들이 보여 준 레지오의 모범적이고도 빛나는 헌신 행위들-검은 대륙 아프리카에서 활약한 에델 퀸(Edel Quinn), 라틴 아메리카의 가장 후 미진 곳에서 활동한 알퐁소 램(Alfonso Lambe) 그리고 아시아 지역에서 순교했거나 활동 전선에서 산화한 수천 명의 레지오 단원들을 보더라도, 단원 여러분들에게 맡겨진 임무는 더욱 막중한 의미를 지니게 됩니다.
성모님의 정신과 염원을 지닌 단체
3. 여러분의 단체는 뚜렷하게 성모 마리아의 정신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레지오가 성모님의 이름을 그 선명한 깃발로 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만은 아닙니다. 무엇보다도 레지오는 그 영성과 조직이 성모님과의 결합이라는 강력한 원칙과 성모님께서 구원 사업에 깊이 관여하신다는 진리 위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모상인 모든 사람에 대하여 성모님의 정신과 사랑으로 봉사하고자 합니다. 공의회에서 선언되었듯이 우리의 유일한 중재자는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곧 '사람들에게 대한 마리아의 모성적 역할은 그리스도의 이 유일(唯一) 중재성을 흐리게 하거나 감소시키지 않을 뿐더러 오히려 그리스도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교의 헌장 60)입니다. 그러므로 교회에서는 변호자, 협조자, 영원한 도움, 중재자, 교회의 어머니 등의 칭호로 동정 성모님의 도움을 청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도직 활동의 탄생과 성장은 성령의 그느르심으로 그리스도를 태어나게 하신 마리아에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성모님이 계시는 곳에는 또한 그 성자가 계십니다. 우리가 성모님으로부터 떠날 때는 조만간 성자로부터도 멀어지고 맙니다. 오늘날 세속 사회는 여러 분야에서 하느님께 대한 믿음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이는 동정 성모님께 대한 신심이 저하되었기 때문입니다.레지오는 성모 신심을 통하여 하느님께 대한 믿음을 알리고 확산시키는 임무를 수행하는 단체입니다. 그러므로 성모님께 대한 사랑을 통하여 세상 모든 이의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성자를 더욱더 널리 알리고 더욱더 많은 사랑을 받으시게 하는 일을 가장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단체가 바로 레지오입니다.
이러한 믿음과 사랑으로 나는 교황으로서 여러분을 진심으로 축복하는 바입니다.
레지오는 그 조직과 규율의 어느 한 부분이라도 삭제하거나 변경하면 균형이 깨져 무너질 수 있는 체계이다.
다음 시구는 바로 이에 대한 비유라 할 수 있다.
한 오라기 실 뽑으니
온 필베에 흠이 가고,
헝클어진 화음 하나
온 선율을 거스르네.
휫티어 / Whittier
그러므로 이 책에 기록된 대로 정확하게 운영할 태세가 갖추어지지 않았다면, 아예 레지오를 시작하지 말아야 한다. 이 점에 대해서 제20장 [레지오의 조직과 규율은바꿀 수 없다]를 주의 깊게 읽어 주기 바란다.누구라도 (공인된 레지오의 평의회를 통하여) 레지오에 가입하지 않고서는 단원이 될 수 없다.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 보아, 규칙대로 충실히 운영되는 레지오의 기관은 절대로 실패하지 않을 것이다.
프랭크 더프
레지오 마리애 창설자
프랭크 더프(Frank Duff)는 1889년 6월 7일 아일랜드의 더블린에서 태어났다. 그는 18세에 공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24세에 빈첸시오 아 바울로 회에 입회하여 가톨릭 신앙을 실천하는 일에 투신하게 되었으며, 이 활동을 통하여 가난한 이들과 소외 계층을 위해서 일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기에 이른다.일단의 가톨릭 자매들과 더블린 대교구의 마이클 토허 신부(Fr. Michael Toher)와 함께, 그는 1921년 9월 7일 레지오 최초의 쁘레시디움을 설립했다. 그 후 그는 1980년 11월 7일 세상을 떠나는 날까지 전세계에 레지오를 확장하기 위하여 영웅적으로 헌신했다. 그는 평신도 참관인으로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구원의 계획 안에 복되신 동정 성모님께서 맡으신 역할에 대해 참으로 깊이 통찰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그의 통찰력은 교회의 사명에 동참해야 할 의무를 지닌 평신도들의 역할에 대해서도 똑같이 이어졌다. 이 교본은 이러한 그의 정신과 사상이 온전히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
프랭크 더프의 생전 모습
제1장 명칭과 기원
레지오 마리애
"먼동이 트이듯 나타나고, 달과 같이 아름답고, 해와 같이 빛나며, 진을 친 군대처럼 두려운 저 여인은 누구실까?"(아가 6, 10)
"그 처녀의 이름은 마리아였다."(루가 1, 27)
"레지오 마리애! 이 얼마나 완전하게 선택된 이름인가!"(비오 11세)
제 1 장 명칭과 기원
레지오 마리애는 가톨릭 교회가 공인한 단체로서, 모든 은총의 중재자이시며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님의 강력한 지휘 아래, 세속과 그 악의 세력에 맞서는 교회의 싸움에 참가하기 위하여 설립된 군대이다.이 군대를 총지휘하시는 성모님은 '달과 같이 아름답고 해와 같이 빛나시며' 사탄과 그 무리들에게는 '진을 친 군대처럼 두려운 분'이시다. "개인이든 단체이든 인간의 모든 삶은 그 자체가 선과 악, 빛과 어두움 사이에서 벌어지는 투쟁이며, 그것도 매우 극심한 투쟁이다."(사목 헌장 13) 레지오 단원들은 충성과 덕행과 용기로써 위대한 하늘의 여왕이신 성모님께 자신을 맡기고 싶어한다. 바로 이 점이 레지오 마리애가 군대 형태로 조직된 이유이다. 이 군대의 형태는 본디 로마 군단을 본뜬 것이며, 명칭도 거기서 따 왔다. 그렇지만 레지오 마리애의 조직과 무기는 이 세상의 것이 아니다.
레지오 마리애가 지금은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 시작은 아주 소박하였다. 이 군대는 치밀한 계획으로 조직된 것이 아니라 저절로 생겨났다. 규율을 비롯하여 활동이나 운영 방법 등도 미리 생각하여 만든 것이 아니라 단순한 제안에서 비롯되었다.
제1장 명칭과 기원
어느 날 저녁, 정해진 시간에 몇 안 되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앉았다. 그런데 막상 그 자리에 모인 사람들은 그들이 지극한 사랑의 섭리에 쓰일 연장이 되리라고는 미처 깨닫지 못하고 있었다.그 회합의 모습은 오늘날 세계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레지오 회합과 똑같은 모습이었다. 그들이 둘러앉은 탁자 위에는간단하게 제대가 차려져 있었고, 가운데에는 '기적의 패' 모형의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상'이 놓여 있었다. 성모상은 흰 보 위에 모셔져 있었고, 꽃을 꽂은 두 개의 꽃병과 촛불이 켜진 두 개의 촛대가 양쪽에 놓여 있었다. 이처럼 훌륭한 분위기가 감도는 제대는 그 모임에 가장 먼저 온 사람의 영감에 의한 것이었는데, 이로써 레지오 마리애가 표상하는 모든 것을 뚜렷이 드러내고 있었다. 레지오는 군대이다. 그런데 모후께서는 병사들이 모여 오기도 전에 이미 그 자리에 와 계셨다. 모후께서는 누가 이 군대에 등록하러 올 것인지를 이미 다 알고 계셨으므로, 이들의 등록을 직접 받고자 기다리셨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이 모후이신 성모님을 택한 것이 아니라 성모님께서 이들을 택하신 것이다. 그 후 이들은 성모님과 굳게 결합하면 할수록 더욱 큰 성공을 거두게 되며 꿋꿋하게 나아갈 수 있음을 알고, 성모님과 함께 행진하며 세상의 악과 맞서 싸워 왔다. 이들이 맨 처음 취한 단체 행동은 무릎을 꿇는 일이었다. 신앙심 깊은 이 젊은이들은 머리를 숙여 성령께 기도를 바친 다음, 낮 동안 고달프게 일한 손에 묵주를 들고 가장 소박한 이 신심 기도를 바쳤다. 기도가 끝났을 때 그들은 자리에 앉아서 마리아상으로 나타나 계신 성모님의 주관 아래, 어떻게 하면 하느님을 가장 기쁘게 해 드릴 수 있을까를 생각하며 서로 의견을 나누었다.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보는 바와 같은 모습의 레지오 마리애가 태어난 배경이다.이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평범한 젊은이들이 그저 단순하게 시작한 일임을 미루어 볼 때, 그처럼 놀라운 하느님의 뜻이 바로 가까이에서 작용하고 있음을 누가 상상이나 할 수 있었겠는가! 충실하고 견고하게 운영되기만 한다면 세상의 새로운 힘이 될 조직체, 성모님 안에서 온 누리에 생명과 기쁨과 희망을 가져다 줄 힘있는 조직체를 자신들이 세우고 있다는 것을 그들 중 누가 짐작이라도 했겠는가! 그런데 그것은 사실로 드러나게 되었다.
이 레지오 마리애의 첫 번째 회합은 1921년 9월 7일 저녁 8시, 복되신 동정 마리아 성탄 축일 전야에 아일랜드 더블린 시 프란시스 거리에 있는 마이러 하우스(Myra House)에서 있었다. 이 모임의 모체가 '자비로운 성모(Our Lady of Mercy)' 였기에, 한동안 '자비로운 성모회(the Association of Our Lady of Mercy)'로 알려져 왔다.어쩌면 우연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 상황 때문에 이 날짜가 결정되었는데, 당시에는 이 날짜가 그 다음날보다 못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불과 몇 년 안 가서, 성모님이 보여 주신 진정한 모성의 징표가 수없이 나타나 있는 것을 돌이켜 보고 나서야 비로소 레지오가 탄생하던 그 순간에 성모님의 지극히 오묘하신 손길이 함께 하셨음을 깨닫게 되었다. 이렇게 저녁과 아침으로 첫째 날이 이루어졌고(창세 1, 5 참조), 복되신 동정 마리아 성탄 축일의 끝 부분보다는 처음 순간(전야)이 이 조직의 탄생에 더욱 잘 어울렸던 것이다. 왜냐하면, 이 단체가 처음부터 변함없이 추구하고 있는 목표는 성모님의 모습을 조직 안에 재현시키는 것이며, 이로써 주님을 더욱 확대하여 사람들에게 가까이 모셔다 드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성모님은 구세주의 모든 지체들의 어머니이시다. 신자들이 교회 안에서 태어나도록 사랑으로 협력하고 계시기 때문이다. 성모님은 또한 하느님의 산 거푸집이시다. 하느님이시며 인간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직 성모님 안에서만 신성을 잃지 않으신 채 태어나셨기 때문이다. 우리 인간도 이와 마찬가지로 성모님 안에 머물 때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베푸시는 은총의 힘으로 인간 본성을 뛰어넘어 하느님의 모습에까지 가까워질 수 있는 것이다."(성 아우구스티노 / St. Augustine)"레지오 마리애는 가톨릭 교회의 참모습을 드러내고 있다."(교황 요한 23세 / Pope John XXIII)
제 2 장 레지오의 목적
레지오 마리애의 목적은 단원들의 성화(聖化)를 통하여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데 있다. 단원들은, 교회의 지도에 따라, 뱀의 머리를 바수고 그리스도 왕국을 세우는 성모님과 교회의 사업에 기도와 활동으로 협력함으로써 이 목적을 달성한다. 레지오 마리애는 꼰칠리움의 승인과 그 공인 교본이 명시하는 규정의 범위 안에서, 해당 교구의 교구장과 본당 주임 사제의 지도에 따라, 레지오 단원들에게 알맞고 교회 복지에 유익하다고 판단되는 모든 형태의 사회 봉사와 가톨릭 활동을 전개한다. 그러나 레지오 단원들은 본당 주임 사제나 교구장의 승인 없이는 그와 같은 봉사 활동이 어떤 것이든 그 활동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 여기에서 교구장이란 현지 교구장, 다시 말하면 해당 교구의 주교 또는 다른 적법한 교회 당국자를 가리킨다.
(가) 이런 조직체들의 직접 목적은 역시 교회의 사도적 목적이다. 즉,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그들을 성화하며 그들의 양심을 그리스도교적으로 육성하고 여러 단체와 여러 환경에 복음의 정신을 침투시키는 것이다.
(나) 각기 자기 나름으로 성직계(Hierarchy)와 협력하는 평신도들이 이런 조직체들을 운영함에 있어서나 교회의 사목 활동을 전개해야 할 환경과 조건을 조사함에 있어서나 또는 활동 계획을 수립하고 그것을 실천함에 있어서, 스스로의 경험을 제공하며 책임을 지고 실천한다.
(다) 교회 공동체가 보다 적절히 표현되고 사도직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평신도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활동한다.
(라) 성직 사도직과 직접 협력하며 활동하도록 권유를 받았거나 혹은 자발적으로 헌신한 평신도들이 주교를 최고 지도자로 모시고 활동한다. 주교는 이런 협력 단체를 공식적으로 인준할 수도 있다."(평신도 사도직에 관한 교령 4장 20)
제 3 장 레지오의 정신
레지오 마리애의 정신은 성모 마리아의 정신이다. 레지오는 성모님의 깊은 겸손과 온전한 순명, 천사 같은 부드러움, 끊임없는 기도, 갖가지 고행과 영웅적인 인내심, 티 없는 순결, 천상적 지혜, 용기와 희생으로 바치는 하느님께 대한 사랑을 갖추고자 열망하며, 무엇보다도 성모님이 지니신 그 높은 믿음의 덕을 따르고자 갈망한다. 성모님의 이와 같은 사랑과 믿음에 감화된 레지오는 어떤 일이든지 모두 해보려고 하고 할 만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할 수 없다는 불평은 결코 하지 않는다.(준주성범 3:5)
"이와 같은 사도직 영신 생활의 완벽한 모델은 사도들의 모후이신 복되신 동정 성모 마리아이시다. 성모님의 한평생은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일하고 집안 살림을 돌보는 일로 가득차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늘 아드님이신 천주 성자와 일치를 이루시고 구세주의 성업을 아주 독특한 방법으로 도와 드렸다. 모든 신도들은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을 지녀야 하며, 자신의 삶을 어머니로서 보살펴 주시는 성모님께 맡겨 드려야 하겠다." (평신도 사도직에 관한 교령 1)
제4장 레지오의 봉사
1. 하느님께서 주시는 무기로 완전 무장을 해야 한다 (에페 6, 11)
레지오 마리애가 그 이름을 따 온 로마 군단은 충성, 용맹, 규율, 인내 그리고 승리로 여러 세기 동안 명성을 떨쳤으나, 그러한 명성은 천박하고 세속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부록 4 로마 군단 참조). 그런데 분명한 것은, 성모님의 군단인 레지오 마리애가 로마 군단보다 뒤떨어지거나 마치 보석이 떨어져 나간 장신구처럼 보잘것없는 이름을 성모님께 바칠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로마 군단이 지녔던 훌륭한 자질은 레지오 단원들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자질일 뿐이다. 베드로 성인의 권유로 개종한 후에 바오로 성인과 함께 일했던 클레멘스 성인은 로마 군단을 교회가 본받아야 할 표본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우리의 원수는 누구인가? 그들은 하느님의 뜻을 거역하는 악의 무리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리스도의 싸움터에 과감히 뛰어들어 주님께서 내리시는 영광스러운 명령에 우리 자신을 내맡기자. 우리는 로마 군단의 지휘관 밑에 복무하는 장병들을 살펴보고 그들의 엄격한 규율과 복무 자세, 그리고 명령을 수행하는 복종심 등을 눈여겨 보자. 그들 모두가 지방 장관이나 호민관, 백부장이나 오십부장 또는 하급 지휘관은 아니다. 그러나 장병 하나하나가 자기가 속한 계급에서 황제와 상관이 내리는 명령을 수행한다. 큰 것은 작은 것 없이 존재할 수 없으며, 작은 것은 큰 것 없이 존재할 수 없다. 하나의 유기적 결합체는 모든 부분을 한데 뭉치게 하여 각 부분이 서로 돕고 또 전체로부터 도움을 받는다. 우리의 몸을 살펴보자. 머리는 발이 없으면 아무것도 아니며, 이와 마찬가지로 발도 머리 없이는 아무것도 아니다. 우리 몸의 아무리 작은 부분이라 해도 몸 전체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기관이다. 사실상 모든 부분은 서로 의지하면서 움직이고 몸 전체가 유익하도록 다 함께 순응한다."〈교황이며 순교자인 클레멘스 성인(St. Clement)이 쓴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편지' 36장과 37장, 서기 96년〉
2. 세상을 본받지 말고 거룩한 산 제물이 되어 하느님을 기쁘게 해 드려야 한다 (로마 12, 1-2)
충실한 레지오 단원의 영성의 샘에서는 그가 목표로 하는 덕성보다 훨씬 더 고상한 덕성이 솟아난다. 특히 성녀 소화 데레사의 뉘우침에 공감하는 고결한 마음이 그들의 영성 안에 메아리 칠 것이다. 성녀 데레사는 "그토록 많이 받고도 그처럼 적게 갚아 드리다니. 아! 이것이 나를 짓누르는 고통이로구나." 하고 한탄하였다. 레지오 단원들은 십자가에 못박히신 주님께서 바로 우리를 위해서 당신의 마지막 탄식과 마지막 한 방울의 성혈마저 바치셨다는 사실을 묵상하면서 자신의 봉사와 활동 안에 이러한 주님의 모습이 반영되도록 힘써야 한다.
"내가 포도밭을 위하여 무슨 일을 더 해야 한단 말인가? 내가 해 주지 않은 것이 무엇이 있는가?"(이사 5, 4)
3. 노고와 고통을 피해서는 안 된다(2 고린토 11, 27)
최근의 여러 사태에서 보듯이, 열심한 가톨릭 신자는 죽음이나 고문을 당할 준비를 해야 하는 경우가 늘 있다. 수많은 레지오 단원들이 이러한 영광의 문을 당당하게 통과해 왔다. 그러나 대개 레지오 단원으로서 열성적으로 활동하다 보면, 평범하면서도 드러나지 않게 참된 영웅적인 행위를 실천할 수 있는 알맞은 기회를 갖게 된다. 레지오는 신앙의 감화를 받지 못하고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이나 선의의 방문을 꺼려 하는 사람들에게 접근한다. 그리하여 그들을 모두 주님의 품안에 거두어 들일 수 있지만, 인내와 용기 없이 이 사도직을 실천하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찌푸린 얼굴, 모욕과 무시, 비웃음이나 귀에 거슬리는 비평, 심신의 피로, 실패와 비열한 배신으로 입는 마음의 상처, 매서운 추위와 폭우, 더러움과 벌레들과 악취 풍기는 어두운 골목이나 불결한 주위 환경, 여가를 희생하는 일, 활동에서 겪는 숱한 괴로움, 신앙에 무관심한 사람들과 그들의 타락 행위를 떠올릴 때마다 받는 영혼의 고통, 마음으로 함께 나누는 온갖 슬픔 등, 이러한 모든 것들에서 매력이라고는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 그러나 그러한 어려움을 달게 참아 내고 즐거움으로 여기며 끝까지 버티어 나간다면, 벗을 위해 제 목숨을 버리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이 없다고 하신 바로 그 사랑의 경지에 마침내 접근하게 될 것이다.
"야훼께서 베푸신 그 크신 은혜, 내가 무엇으로 보답할까?"(시편 116, 12)
4.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를 위하여 당신 자신을 바치신 것같이 사랑의 생활을 해야만 한다(에페 5, 2)
대인 관계에서 성공을 거두는 비결은 사랑과 이해심을 바탕으로 하는 개인적 접촉에 있다. 이러한 사랑은 단지 겉으로 드러내는 데에 그쳐서는 안 되며, 온갖 시련을 극복하는 참된 우정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그 정도가 되려면 다소의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때도 흔히 있을 것이다. 얼마 전까지 교도소 방문 활동의 대상자였던 사람을 점잖은 자리에서 만나 인사를 나누어야 한다던가, 남루한 옷을 입은 사람과 함께 걸어야 한다던가, 때가 묻은 손을 다정하게 잡아 주어야 한다던가, 매우 가난하고 누추한 집에서 대접하는 음식을 함께 먹어야 한다던가 하는 일은 사람에 따라서는 괴로운 일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들을 회피한다면, 그것은 결국 우정 어린 태도가 가식이었음을 스스로 밝히는 것이 되고 만다. 이렇게 되면, 그들과의 접촉은 끊기고, 애써 끌어올리려던 영혼은 다시 환멸 속으로 가라앉아 버리고 말 것이다. 참으로 풍부한 열매를 맺는 모든 활동의 밑바탕에는 반드시 자기를 모두 바치려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마음가짐이 없는 봉사 활동은 알맹이가 없다. 레지오 단원이 어느 한계선을 정해 놓고 '여기까지만 희생을 하고 그 이상은 하지 않겠다'고 한다면, 그는 비록 많은 수고를 한다 할지라도 하찮은 결과밖에는 얻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자기를 바치려는 마음가짐이 있다면, 자기 희생이 전혀 필요 없게 되거나, 또는 자기 희생이 거의 없을지라도 수없이 많은 일에서 풍성한 열매를 거둘 것이다.
예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나를 위해서 목숨을 바치겠단 말이오?"(요한 13, 38)
5. 달릴 곳을 끝까지 다 달려야만 한다(2 디모 4, 7)
이처럼 레지오는 한계를 두지 않고 아낌없이 봉사하도록 부름을 받고 있다. 이것은 우리의 봉사 활동을 완전하게 하라는 충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완전하게 해야 한다는 뜻이다. 최고의 목표를 겨냥하지 않는 단원은 오래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평생 사도직 활동을 꾸준히 지속하는 것 자체가 바로 영웅적 행위이며, 그러한 경지는 끊임없는 영웅적 활동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평생을 변함없이사도직 활동에 몸 바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바로 은총이며, 이 은총은 지속적인 활동의 노고에 대한 보상이다.그러나 단원 각 개인에게만 그러한 지속성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레지오의 전반적 임무와 업무 하나하나에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의지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각기 다른 장소와 사람들을 새롭게 찾아다니며, 한가지 활동을 마치고 나면 또다른 새로운 활동이 전개된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활동중에 자연히 생기는 안정된 변화일 따름이며, 결코 흥미나 호기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변화가 아니다. 만일 단원이 호기심이나 취미로 새로운 활동 거리를 찾아나선다면, 그러한 기분에 따른 행위는 아무리 훌륭한 레지오 규율이라도 끝내는 깨뜨려 버린다. 이렇게 변화만을 좇는 정신을 염려하여 레지오는 좀더 엄격한 기풍을 지니도록 끊임없이 호소한다. 그리하여 레지오는 연속되는 회합을 통하여 단원들에게 이 정신을 '굳게 지키라'는 불변의 구호를 강조하면서 활동 임무를 배당하여 파견한다. 줄기찬 노력만이 참된 성공을 보장하며, 그것은 이기고 말겠다는 굳센 의지로부터 시작된다. 의지는 어떤 경우에도 굽히지 않아야 끝까지 지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레지오는 산하 조직체와 단원들에게 패배를 받아들이지 말고, 활동 내용에 대하여 '가망 있다·가망 없다·절망적이다' 등의 등급 매김으로 실패를 합리화하는 것을 거부하는 일관된 태도를 취할 것을 강력하게 지시한다. '희망이 없다'는 낙인을 쉽사리 찍는 것은, 레지오의 입장에서 보면, 더없이 귀중한 영혼이 아무 거리낌 없이 지옥으로 치달아도 알 바 아니라고 선언하는 것과 같다. 무조건 활동의 다양성만을 추구하거나 활동의 결과가 빨리 드러나기를 바라는 얕은 생각은 더욱 중요한 활동 목표를 소홀히 다루게 한다. 이러한 결과는 씨를 뿌리자마자 수확을 보지 못하면 실망하고 조만간 일을 포기하는 태도로 나타난다. 다시 강조하지만, 어떤 활동에 대하여 '가망이 없다'는 낙인을 찍게 되면 자동적으로 다른 모든 활동에 임하는 단원들의 태도를 약화시킨다. 그렇게 되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모든 활동에 착수할 때마다 애써 해야 할 가치가 있는지를 의심하게 되며, 조금이라도 의심이 들게 되면 활동은 위축된다.그런데 레지오 사업에서 무엇보다도 가장 불행한 일은, 단원들의 신앙심이 제대로 구실을 하지 못하고 배당 받은 활동이 이성적으로 용납될 때에만 하는 척하게 된다는 것이다. 레지오의 믿음이 이처럼 속박받아 결단력을 잃게 되면, 억눌려 있던 본성적인 비겁함이나 인색함 그리고 세속적인 소심증이 당장에 고개를 쳐들게 된다. 그렇게 되면 레지오의 활동은 간간이 마음이 내킬 때에만 하게 되므로, 하느님께 드리기에는 너무나 부끄럽고 어설픈 봉사가 되고 만다.성실하신 동정녀께 봉헌되어 명예로울 때나 곤욕을 당할 때라도 그분의 이름을 지니고 있는 우리 레지오의 봉사에 실패란 결코 있을 수 없다.
제5장 레지오 신심의 개요
레지오 신심의 개요는 기도문에 나타나 있다. 레지오는 우선 하느님을 향한 깊은 믿음과 하느님께서 자녀인 우리에게 쏟으시는 사랑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들이 쏟는 노력을 통하여 영광을 이끌어 내고자 하시며, 우리의 노력을 정화시켜 풍성한 열매를 맺고꾸준히 지속하도록 해주신다. 때때로 우리는 열성이 지나친 나머지 초조해 하거나 또 어떤 때는 갑자기 무기력해지고 마는 양극단 사이를 오가고 있다. 그 까닭은, 하느님께서 우리의 활동과는 동떨어져서 방관만 하고 계신다고 여기는 우리의 잘못된 생각 때문이다. 그런데 명심해야 할 점은, 우리가 착한 행위를 지향하는 것은 오로지 하느님께서 그런 마음을 우리 안에 심어 주셨기 때문이며, 하느님께서 도와 주셔야만 우리의 선한 지향이 비로소 열매를 맺게 된다는 것이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보다도 더 우리의 활동이 성공하기를 바라고 계시며, 우리의 활동 대상자들이 회개하는 것을 우리보다도 휠씬 더 갈망하신다. 우리는 성인이 되기를 바란다. 그런데 그것 또한 하느님께서 우리 자신보다 백만 배나 더 원하신다. 따라서 단원들은 레지오의 주요 과제인 자기 성화와 이웃에 대한 봉사 활동 안에 아버지이신 하느님께서 늘 함께 하신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하느님을 믿는 것만이 성공의 지름길이다. 우리의 믿음이 충만하기만 하다면, 하느님께서는 당신을 위해 세상을 정복하는 일에 우리들을 활용하실 것이다. "하느님의 자녀는 누구나 다 세상을 이겨냅니다. 그리고 세상을 이기는 승리의 길은 곧 우리의 믿음입니다."(1요한 5, 4)"믿는다는 것은 살아 계신 하느님의 말씀인 진리에 '자기 자신을 내 맡기는 것'으로, '누가 그분의 판단을 헤아릴 수 있으며, 그분이 하시는 일을 이해할 수 있겠는가'(로마 11, 33)라는 가르침을 알아듣고 겸손하게 인정하는 것이다. 마리아는, 가장 높으신 분의 영원한 뜻에 따라, 그 분께서 행하시는 '이해할 수 없는 일'과 '헤아릴 수 없는 판단'의 한가운데에서 믿음의 빛을 지니고, 그 분의 뜻에 따라 정해진 자신의 모든 것을 기다리며 온전히 받아들인다고 말할 수 있다."(구세주의 어머니 14)
1. 하느님과 성모 마리아
레지오 마리애는 하느님께서 다스리시는 이 세상에서 '지극히 높으신 분의 형언할 수 없는 기적'(비오 9세)이신 성모 마리아께 대한 신심을 바탕으로 세워져 있다. 그렇다면 마리아는 하느님과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맡고 있는가? 하느님께서는 이 세상의 다른 모든 자녀들과 마찬가지로 마리아를 무(無)에서 창조하셨으며, 이루 헤아릴 수도 없고 상상할 수도 없는 은총의 경지까지 들어올리셨다. 그렇다 하더라도 마리아는 하느님께 비한다면 여전히 아무것도 아닌 존재이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마리아를 다른 어떤 피조물보다도 더욱 공을 들여 만드셨기에 마리아는 가장 뛰어난 피조물이다. 따라서 하느님께서 마리아에게 하시는 일이 크면 클수록, 마리아는 하느님께서 손수 만드신 작품으로서 더욱더 위대해진다. 하느님께서는 마리아에게 참으로 큰일을 하셨다. 태초로부터 하느님께서는 아드님을 통하여 이 세상을 구원하시겠다는 계획과 더불어 이미 마리아를 구상하고 계셨다. 하느님께서는 은총을 베푸시는 여러 계획 속에 마리아를 깊숙이 관련시키심으로써 마리아를 당신의 아드님과 그 아드님을 따르는 사람들의 참된 어머니가 되게 하셨다. 하느님께서 이러한 일을 하신 이유는 첫째로 다른 모든 피조물에게서보다도 마리아 한 분에게서 더욱 큰 보람을 느끼시기 때문이며, 둘째로 우리로서는 제대로 헤아릴 수 없는 방법으로 우리들에게서 받으실 영광을 더욱 드높이고자 하시기 때문이다.그러므로 우리의 어머니이시고 우리가 구원받도록 도와 주시는 마리아에 대한 보답으로 마리아에게 기도와 사랑의 봉사를 바치는 것은 결코 하느님께 손실을 끼쳐 드리는 일이 아니다. 하느님께서 마리아를 그렇게 만드셨기 때문이다. 더욱이 우리들이 마리아에게 드리는 것은 조금도 줄지 않고 틀림없이 모두 하느님께 바쳐질 뿐만 아니라, 오히려 더욱 많이 불어나서 하느님께 바쳐진다. 그러므로 성모 마리아는 충실한 전달자 이상의 역할을 하는 분이시다. 마리아는 하느님의 은총 계획 안에서 활력소가 되도록 정해진 분이기에, 마리아가 있음으로써 하느님께서 받으시는 영광과 우리가 받는 은총이 더욱 커지게 되는 것이다. 영원하신 하느님 아버지께서는 우리가 바치는 흠숭을 성모 마리아를 통하여 받으시기를 즐겨 하신다. 그러기에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무한한 자비와 전능으로부터 쏟아져 내리는 은총이 마리아를 통해 우리 인간에게 전달되도록 하셨다. 그리고 그 일은 우리의 참 생명이시오 구원이시며 사람이 되신, 천주 제2위이신 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인간 세상에 보내실 때 성모 마리아를 통해서 보내시는 일로부터 시작되었다.
"내가 성모님께 매이기를 바라는 것은 천주 성자의 노예가 되기 위함이요, 내가 성모님의 소유물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이유는 하느님께 대한 나의 충성을 더욱 확실하게 바치기 위한 것이다."(성 일데퐁소 / St. Ildephonsus)
2. 모든 은총의 중재자이신 성모 마리아
레지오는 성모님을 한없이 신뢰한다. 성모님이 하느님의 안배하심으로 무한한 능력을 지니고 계시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하느님께서는 성모님에게 줄 수 있는 것은 모두 다 주셨으며, 성모님 또한 하느님께로부터 받을 수 있는 모든 은총을 풍성히 받으셨다. 즉, 하느님께서는 성모님을 당신의 은총을 전달하는 특별한 수단으로 삼으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성모님과 더불어 나아간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하느님께 다가가 훨씬 손쉽게 풍성한 은총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성모님이 성령의 거룩한 짝이시며, 예수 그리스도께서 얻어 주신 모든 은총을 우리에게 전달하는 수로이시기 때문이다. 성모님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시면 아무런 은총도 얻을 수 없다. 더욱이 성모님은 이 모든 은총을 단순히 전해 주는 것만으로는 만족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모든 것을 더욱 힘써 얻어내신다. 레지오는 이와 같은 성모님의 역할을 확신하고 있기 때문에 단원들에게 이를 특별한 신심으로 실천하도록 명령하는 것이다.
3. 원죄 없으신 마리아
레지오 신심의 두 번째 특징은 성모님의 '원죄 없으신 잉태'에 관련된 것이다. 레지오의 첫 번째 회합에서 단원들은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상'을 모신 작은 제대에 둘러앉아 기도하고 의논하였는데, 지금도 모든 레지오 회합에는 그 당시와 똑같은 성모상이 회합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더욱이 레지오의 첫 숨결은 성모님의 이러한 특전(원죄 없으신 잉태)을 기리며 바쳐진 단원들의 화살 기도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으며, 이 특전은 그 후 하느님께서 성모님에게 내리신 모든 영예와 특전의 바탕이 되었다.이 '원죄 없으신 잉태'는 하느님께서 우리 인간에게 맨 처음 약속하신 말씀에 이미 나타나 있다. 즉, 마리아가 원죄 없이 잉태되리라는 것과 하느님의 어머니가 되는 일, 구원 사업에서 뱀의 머리를 바수는 일 그리고 인간의 어머니가 되는 일 등, 하느님께서 성모님을 위해 마련하신 모든 일들이 예언되어 있다.
"나는 너를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리라. 또 네 후손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라. 너는 그 발꿈치를 물려고 하다가 도리어 여자의 후손에게 머리를 밟히리라."(창세 3, 15)
레지오는 전능하신 하느님께서 사탄에게 하신 이 말씀을 죄악과의 싸움에서 확고한 신념과 힘의 원천으로 삼는다. 레지오는 그 '여자의 후손', 즉 성모 마리아의 자녀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있다. 왜냐하면, 성모님의 자녀가 됨으로써 승리가 보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지오가 성모 마리아를 어머니로 모시는 정성이 크면 클수록 악의 세력에 대항하는 힘이 커지게 되어, 더욱 완벽한 승리를 거두게 되는 것이다."신·구약 성서와 존귀한 성전(聖傳)은 구원 계획에 있어서 구세주의 모친이 맡으신 역할을 점차 보다 명백히 드러내어 우리 눈앞에 제시해 주고 있다. 구약이 서술하는 구원의 역사 속에서 세상에 오실 그리스도의 내림이 천천히 준비되고 있다. 이 초기의 문서들은 교회 안에서 낭독되고 보다 상세하고 완전한 계시의 빛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구세주의 모친인 한 여인의 모습을 점차적으로 밝혀 주고 있다. 이 빛 속에서 본다면 죄에 떨어진 원조에게 약속된 뱀에 대한 승리(창세 3, 15) 안에 이미 예언적으로 그 여인의 모습이 암시되어 있다."(교의 헌장 55)
4. 우리의 어머니이신 마리아
만일 우리가 자녀로서의 상속권을 바란다면, 그 근본이 되는 모성을 존중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므로 성모님께 대한 레지오 신심의 세 번째 특징은 성모님을 우리의 참된 어머니로서 특별히 공경하는 데 있다. 성모님은 참으로 우리의 어머니이시다.동정 마리아께서 천사의 인사를 받고 "이 몸은 주님의 종입니다. 지금 말씀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루가 1, 38) 하시며 겸손하게 동의하신 순간, 마리아는 그리스도의 어머니가 되셨고 또한 우리의 어머니가 되셨다. 성모님이 우리의 어머니로 선포된 것은 그 모성이 절정에 이르렀을 때, 즉 구속 사업이 완성되는 순간이다. 갈바리아에서 십자가에 못박히신 고통 중에서도 예수님께서는 성모님에게 "어머니, 이 사람이 어머니의 아들입니다." 하시고, 제자 요한에게는 "이분이 네 어머니이시다."(요한 19, 26-27)라고 말씀하셨다. 주님께서는 요한 사도를 통하여, 선택된 모든 이들에게 이 말씀을 주신 것이다. 성모님은 이와 같이 인류가 영신적으로 태어나는 일에 동의하며 그 고통에 동참하심으로써 가장 완벽한 의미의, 우리들의 어머니가 되셨다.어린이들처럼 어머니께 온전히 의탁해야 한다. 성모님이 우리를 먹여 주시고, 이끌어 주시고, 가르쳐 주시며, 병을 고쳐 주시고, 슬픔에 잠겨 있을 때 위로하여 주시고, 의심이 들 때 깨우쳐 주시고, 방황할 때 붙들어 주시기를 바라야 한다. 성모님이 우리를 돌보시도록 우리 자신을 성모님께 온전히 맡길 때 우리는 우리의 맏형이신 예수님을 닮으며 자라나서, 죄악과 싸워 이기시는 주님의 사명에 한몫 거들 수 있게 될 것이다.
"성모님을 교회의 어머니라고 부르는 것은 단지 그리스도의 어머니라는 이유나 또는 '하느님의 아드님께서 육화의 신비로 성모님으로부터 인성을 취 하셨을 때 인류를 죄에서 해방시키고자 하셨던 하느님의 새로운 계획'에 가장 친근한 협력자라는 이유뿐만이 아니다. 성모님은 '선택된 백성들의 공동체 안에 모든 덕의 모범으로서 빛나고 있다'는 점에서도 교회의 어머니이시다. 무릇 세상의 모든 어머니의 임무는 새 생명을 낳는 일에만 그치지 않는다. 어머니는 그 자식을 기르고 가르치는 일까지 맡지 않으면 안 된다. 복되신 동정 성모 마리아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성모님은 인류 구원 사업을 위한 희생 제사에 참여하신 뒤로 줄곧 하늘로부터 구원받은 모든 영혼들 안에 하느님의 생명이 태어나서 자라나도록 보살피는 어머니의 역할을 하고 계신다. 이는 전지하신 하느님께서 허용하신 인류 구원의 신비 가운데 핵심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우리를 가장 흐뭇하게 하는 진리이다. 따라서 이러한 성모님의 역할은 모든 그리스도 신자들이 지녀야 할 신덕이다."(바오로 6세 / Paul VI : 동정 성모께 대한 봉헌 / Signum Magnum 1967년 5월 13일)
5. 레지오의 신심은 레지오 사도직의 뿌리
레지오의 가장 소중한 의무 가운데 하나는 하느님의 어머니께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신심을 보여 드리는 일이다. 이 의무는 단원들을 통해서만 이룰 수 있으므로, 모든 단원은 성모 신심을 진지하게 묵상하고 정성껏 실천해야 한다. 이 신심이 성모님께 드리는 진정한 공경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원들은 주회합 참석이나 활동의 의무와 마찬가지로, 이 신심을 레지오의 본질적 부분으로 삼아야 한다. 즉, 모든 단원은 한마음으로 이 신심을 실천하는 일에 반드시 참여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단원 각자가 마음에 깊이 새ㅐ겨 두어야 할 점이다.그런데 이 신심에 대한 단원들의 일치는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다. 단원들은 각자 나름대로 독특한 신심을 지니고 있으며, 오히려 그와 같은 신심의 다양성으로 인해 일치가 깨지는 수도 있다. 이 문제에 대하여 레지오 단원은 엄숙한 책임 의식을 지녀야 한다. 만일 단원들이 이 신심을 실천하지 않거나 '신령한 집을 짓는 데 쓰일 산 돌'(1베드로 2,5)이 되지 못한다면 레지오 조직의 중추 부분이 손상을 입게 된다. 또한 '산 돌'이 모자라면 모자랄수록 레지오 조직은 그만큼 허물어지기 쉬울 것이고, 레지오의 자녀들을 보호해 줄 만한 피난처가 되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게 되면 레지오가 고상하고 거룩한 품위를 갖춘 집이 되는 일도, 또한 영웅적인 노력을 위한 발판이 되는 일도 더욱 어렵게 되고 만다. 그러나 단원들이 한 덩어리가 되어 레지오 봉사의 일치성을 적절히 드러낸다면 그 외의 더욱 큰 일치, 즉 정신과 목표와 활동에서의 일치라는 놀라운 성과를 거두게 될 것이다. 이 일치는 하느님께서 매우 소중하게 보시므로, 하느님께서는 이 일치를 이루는 이들에게 누구도 겨룰 수 없는 힘을 내려주신다. 그러므로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이 단원 개개인에게 내려지는 은총의 특별한 수로(水路)라고 볼 때, 하물며 하느님께로부터 모든 것을 받으신 성모님과 일치하여 한마음으로 꾸준히 기도하고(사도 1,14 참조), 성모님의 정신에 참여하며, 또한 은총을 분배하는 일과 관련된 하느님의 계획에 적극적으로 뛰어드는 단체에는 더욱 놀라운 은총을 내리시지 않겠는가! 그러한 단체가 성령으로 충만(사도 2,4 참조) 하지 않을 수 있으며, '놀라운 일과 기적'(사도 2,43)을 많이 나타내지 않을 수 있겠는가!
"예루살렘 누각에서 동정녀께서는 사도들과 함께 기도하면서 그들을 위하여 이루 말할 수 없는 정성을 쏟으셨다. 그때 성모 마리아는 교회 안에 영원히 넘치게 될 보화, 곧 그리스도의 최고 선물인 파라클리토 성령이 내려오시도록 하셨던 것이다."(레오 13세 / Leo XIII : 묵주기도 / Jucunda Semper 1894년 9월 8일)
6. 성모님을 알리자
훼이버 신부(Fr. Faber)는 몽포르의 루도비코 - 마리아 성인이 지으신 복되신 동정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이라는 책의 머리말에서 이 책을 '레지오 마리애 영성의 원천'이라고 소개하였다. 그런데 그의 글은, 신앙 생활을 제대로 하지 않는 수없이 많은 사람들 가운데 거의 절망적인 싸움을 벌이고 있는 사제들에게, 과연 레지오가 어떠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단체인가를 생각하게 만드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그는 성모님을 제대로 알거나 사랑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으며, 이것이 결국 영혼들에게 슬픈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고 말했다.
"성모님께 대한 우리들의 신심은 너무나도 미약하고 초라하다. 한마디로 말하면, 믿음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 결과 예수님께서는 사랑을 받지 못하시고, 이단자들은 회개하지 않으며, 교회는 존경을 받지 못하고, 성인이 될 수 있는 영혼들은 시들어 줄어들고 성사의 은총을 제대로 받지 못하며, 영혼들에게는 열성적인 복음 전파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예수님께서 잘 드러나시지 않는 이유는 성모님을 뒷전에 내버려두었기 때문이다. 수많은 영혼들이 파멸되는 이유 또한 성모님을 그들에게서 멀리 떼어 놓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복되신 동정녀께 대한 신심'이라고 일컬어 온 것은 사실상 보잘것없고 가치 없는 한낱 그림자일 따름이었다. 그래서 그것은 모든 궁핍과 좌절, 죄악과 태만과 쇠퇴의 원인이 되어 있었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성인들을 통한 계시를 믿는다면,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복되신 어머니에 대하여 우리가 더욱 크고 넓고 힘에 가득 찬 전혀 새로운 신심을 지니도록 요구하고 계심을 알게 될 것이다. 누구든지 이 신심을 지니도록 스스로 힘쓰면 이 신심이 가져다주는 은총과 변화에 놀라게 되며, 이 신심이 영혼들의 구원과 그리스도 왕국 건설을 위한 방편으로 거의 믿기 어려울 정도의 놀라운 효력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하느님께서는 동정녀에게 뱀의 머리를 바수는 힘을 주셨고, 그분과 결합하는 사람들에게는 죄악을 이겨내는 힘을 주셨습니다. 우리는 흔들리지 않는 믿음과 확고한 희망으로 이를 믿어야 합니다.천주의 성모님! 하느님께서는 저희들에게 모든 것을 주시고자 하십니다. 이제 모든 것은 저희들에게 달려 있으며 또한 모든 것을 받아서 간직하고 나누어 주시는 당신께 달려 있습니다. 하느님에게서 모든 것을 받으시는 성모님과 저희들이 얼마만큼 일치하는가에 모든 것이 달려 있습니다."(그라트리 / Gratry)
7. 성모님을 이 세상에 모셔 오는 일
성모님에 대한 신심이 그처럼 놀라운 결과를 가져온다면, 그와 같은 일을 하시는 성모님을 이 세상에 모셔 오는 일은 우리의 활동에서 가장 큰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 일에는 사도직 단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여기서 말하는 사도직 단체란, 수많은 평신도로 구성되어 어디든지 뚫고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적극적이고 온 정성을 기울여 성모님을 사랑하며 모든 사람들의 마음에 성모님께 대한 사랑을 심어 주도록 활동하는 단체, 그리고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모든 행동 능력을 활용하는 평신도 단체를 뜻한다. 그러기에 이런 단체는 성모님의 이름을 지니고 있음을 더할 수 없는 자랑으로 여기며, 어린아이들처럼 끝없이 성모님께 매달리는 신뢰를 바탕으로 세워진다. 이런 단체는 구성원 하나하나의 마음속에 성모님께 대한 신뢰심을 굳게 심어 다지며, 그 결과로 충성과 규율의 완전한 조화 속에서 활동하는 구성원을 갖게 된다. 레지오는 이러한 요소들을 두루 갖추고 있으며, 교회가 온 세상을 얻고자 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활용해 주기만을 바라고 있다. 레지오는 성모님이 영혼들을 돌보시며 뱀의 머리를 바수는 당신의 영원한 사명을 완성하시는 일에 대리자로서 활용하시는 사도직 단체이다. 레지오는 이러한 사실을 하나의 가정이 아니라 뚜렷한 확신으로 여기고 있다.
"'하느님의 뜻을 행하는 사람이 곧 내 형제요, 자매요, 어머니이다.'(마르 3, 35) 이 얼마나 놀랍고 영광스러운 일인가! 예수님께서는 우리들을 얼마나 높은 영광에로 들어올리셨는가! 여인들은 예수님을 세상에 낳아 주신 마리아를 지극히 복되다고 칭송한다. 그러나 그 여인들이 성모님과 같은 모성에 참여하는 일을 가로막는 것은 무엇인가? 이에 관하여 복음 성서는 새로운 세대, 새로운 어버이 상에 대해서 가르쳐 준다."(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 St. John Chrysostom)
제 6 장 성모님께 대한 레지오 단원의 의무
1. 레지오 단원은 성모님께 대한 신심을 진지하게 묵상하고 실천함으로써 이 신심을 드높여야 할 엄숙한 의무가 있다. 이 의무는 본질적인 것이며, 단원이 지켜야 할 모든 의무 가운데 가장 앞서는 것이다 (제5장 레지오 신심의 개요 및 부록 5 우리 마음의 여왕이신 마리아 신심회 참조)
레지오 마리애는 성모님을 이 세상에 모셔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성모님은 예수님께서 이 세상을 차지하시는 데 없어서는 안 될 도구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모님을 자기 마음속에 모시지 않는 레지오 단원은 성모님을 이 세상에 모셔오는 일에 아무런 쓸모가 없으므로 레지오 마리애의 목표로부터 멀리 동떨어져 있게 된다. 이러한 단원은 마치 총 없는 군인이나 끊어진 고리 또는 몸에 붙어 있어도 마비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팔과 같다. 어느 군대이든 지휘관의 작전 계획이 일사불란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병사들을 지휘관과 일치시키는 방법을 쓴다. 이는 레지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군대는 하나로 뭉쳐 싸워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군대는 면밀하게 짜여진 훈련을 실시하고 엄격한 기강을 유지한다. 그 뿐만 아니라, 역사에 기록된 위대한 모든 군대의 장병들은 지휘관에 대한 한결같은 충성심으로 지휘관과 혼연 일체가 되어 지휘관의 작전 계획에 따라 기꺼이 몸을 바쳤다. 위대한 군대의 지휘관은 병사들의 정신적 지주로서 그들의 마음속을 차지하며 그들과 하나가 되어 있었다. 이는 지휘관의 영향력이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잘 설명해 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속 군대의 일치는 다만 정서적이고 기계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스도인의 영혼과 그의 어머니이신 성모님과의 관계는 이와는 사뭇 다르다. 충실한 레지오 단원의 영혼 안에 성모님이 함께 계신다는 표현만으로는 실제로 그 단원과 성모님이 일치하는 모습을 제대로 나타낼 수가 없다. 교회는 이와 같은 일치의 본질을 '천상 은총의 어머니' 또는 '모든 은총의 중재자'라는 호칭으로 집약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호칭들은 성모님이 우리 영혼의 생명을 지배하고 계신다는 사실을 잘 드러내고 있으며, 세상에서 가장 밀접한 관계인 어머니와 뱃속의 아기의 비유로써도 충분히 설명될 수 없을 만큼 완벽한 것이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은총을 내리시는 과정에서 성모님이 차지하는 위치를 확실하게 이해하려면 다른 자연 현상들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피는 심장을 통하지 않고는 온몸을 돌 수 없다. 눈은 우리가 세상을 볼 수 있도록 우리와 세상을 연결시켜 준다. 또한 새는 아무리 날개짓을 해도 공기가 떠받쳐 주지 않으면 스스로 날아오르지 못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영혼도 하느님께서 세우신 질서에 따라 성모님 없이는 스스로를 하느님께 들어올릴 수가 없고 하느님의 일을 할 수도 없다.이처럼 우리가 성모님께 의존하게 되는 현상은 우리들의 이성이나 감정으로부터 비롯된 것이 아니다. 이것은 하느님의 섭리로 마련되는 것이므로 우리가 비록 의식하지 못하고 있더라도 그대로 존속된다. 그런데 우리가 이 섭리를 깨닫고 성모님께 의식적으로 다가간다면 성모님과의 일치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굳건해질 것이며, 또한 마땅히 그렇게 되어야 한다. 보나벤투라 성인(St. Bonaventure)은 성모님을 '주님의 거룩한 피를 분배하시는 분'이라고 불렀다. 이는 성모님과 굳건히 일치하게 되면 놀라운 개인 성화의 은총을 얻게 되며, 다른 영혼들에게도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사도직 활동은 황금처럼 값진 것이지만, 그것만으로는 죄의 사슬에 묶여 있는 사람들을 풀려나게 할 몸값으로 부족하다. 그러나 성모님이 이 단순한 황금 덩어리를 하느님께서 주신 '주님의 거룩한 피'라는 보석으로 장식해 주신다면 모든 사람들을 풀려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모님께 열렬히 봉헌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저의 모후, 저의 어머니시여, 저는 오직 당신의 것이오며, 제가 가진 모든 것이 당신의 것이옵나이다."와 같은 봉헌문을 자주 되풀이함으로써 자신의 봉헌을 새롭게 하고, 성모님이 자신의 영혼 안에 항상 활동하고 계신다는 의식을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레지오 단원들의 영혼은 몽포르의 루도비코- 마리아 성인처럼 '몸이 공기를 마시듯 내 영혼은 성모님을 마신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생생하게 살아 움직여야 한다. 미사, 영성체, 성체 조배, 묵주기도, 십자가의 길 또는 그 외의 다른 모든 신심 행위를 통해서, 레지오 단원들은 늘 그러했듯이 자신의 영혼이 성모님과 일치하고 있는지를 살펴야 하며, 또한 비할 데 없이 높은 믿음을 지닌 성모님을 통해 이루어진 구원 사업의 신비를 묵상하도록 힘써야 한다. 성모님은 구세주와 더불어 그 신비를 생활하셨고, 그 신비 안에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맡아 하셨기 때문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단원들은 성모님을 본받고, 성모님께 감사드리며, 기쁨이나 슬픔도 성모님과 함께 나누고, 단테(Dante)의 말대로 성모님을 꾸준히 공부하고, 성모님께 크나큰 사랑을 드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모든 기도나 활동 또는 다른 신심 행위중에 성모님께 대한 생각을 불러일으키며, 자신과 자신의 힘은 잊은 채 성모님께 의탁하는 레지오 단원의 영혼은 성모님의 모습과 생각으로 가득히 채워져 두 영혼은 하나의 영혼이 된다. 이렇게 성모님의 영혼 속에 깊이 깃든 레지오 단원은 성모님의 믿음, 겸손 그리고 티없으신 성모 성심과 이 성심으로부터 나오는 성모님의 기도의 힘을 나누어 가지게 되어, 결국 모든 삶의 궁극 목표인 그리스도의 모습으로 바뀌어 가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성모님은 당신의 단원들 안에서 단원들을 통하여 레지오의 모든 사업에 참여하시며, 어머니로서 그들의 영혼을 돌보신다. 그러므로 단원들은 성모님이 하느님이신 아드님의 실제 몸을 돌보시고 섬기셨듯이 고귀한 사랑과 정성으로 활동 대상자와 동료 단원들 하나하나의 영혼 안에서 주님을 뵙고 섬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단원들이 성모님의 생생한 모습을 본받아 성숙해질 때, 비로소 레지오는 성모님의 사명에 온전히 일치하고 성모님의 승리를 보장받는 진정한 레지오 마리애, 성모님의 군단이 된다. 이러한 레지오는 세상 곳곳에 성모님을 모셔다 드릴 수 있게 되며, 마침내 온 세상은 성모님이 주신 빛으로 찬란히 빛나게 될 것이다.
"성모님과 더불어 즐겁게 살고, 성모님과 더불어 모든 시련을 견디어 내며, 성모님과 더불어 일하고, 성모님과 더불어 기도하고, 성모님과 더불어 여가를 즐기고, 성모님과 더불어 쉬어라. 성모님과 더불어 예수님을 찾아 나서서 그대의 팔에 예수님을 감싸 안고, 예수님 성모님과 더불어 나자렛에서 살 집을 마련하라. 성모님과 더불어 예루살렘으로 가서 십자가 곁에 머무르며, 그대 자신을 예수님과 함께 묻어라. 예수님 성모님과 더불어 부활하고, 예수님 성모님과 더불어 하늘나라에 올라, 예수님과 더불어 살고 죽으라." (Thomas a Kempis : 수련자들에게 주는 강론)
2. 성모님의 겸손을 본받음은 레지오 활동의 뿌리이며 수단이다
레지오는 단원들에게 말할 때 군대나 전투 용어를 자주 쓴다. 레지오는 모든 사람의 영혼을 위해서 힘찬 싸움을 벌이고 계시는 진을 친 군대와 같은 성모님의 무기이며, 또한 밖으로 드러나 보이는 성모님의 작전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러한 용어가 잘 어울린다. 더욱이 군사적 개념은 사람들에게 강한 호소력을 지닌다. 레지오 단원들은 자신이 군대의 일원이라는 것을 의식함으로써, 활동할 때에 스스로 군인과 같은 굳센 정신을 지닐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레지오 단원들의 싸움은 이 세상의 것이 아니므로 하늘나라의 전략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참된 레지오 단원의 마음속에 타오르는 불길은 오로지 자신을 스스로 낮추며 세속적 가치를 멀리하는 영성의 잿더미 속에서 솟아오른다. 특히 이 잿더미 속에는 겸손의 덕이 들어 있는데, 세상은 이를 제대로 알아보지 못하고 도외시한다. 이러한 겸손의 덕은 고귀하고 굳세어, 이 덕을 구하고 실천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볼 수 없는 기품과 힘을 가져다 준다.레지오 조직에서는 겸손이 매우 독특한 역할을 한다. 무엇보다도 겸손은 레지오 사도직 활동에 없어서는 안 될 도구이다. 레지오의 활동 중에는 대인 접촉이 많은데, 이 대인 접촉의 효과를 높이고 발전시키려면, 단원들이 활동 대상자들에게 부드럽고 소박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오로지 겸손한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온다. 겸손은 활동의 요람이며, 겸손하지 않고서는 효과 있는 레지오 활동을 할 수가 없다. 토마스 데 아퀴노(Thomas de Aquino) 성인의 말대로,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들에게 무엇보다도 겸손의 덕을 지니라고 당부하셨다. 예수님께서 바로 이 겸손으로 인류 구원의 가장 큰 장애 요인을 제거하셨기 때문이다. 모든 다른 덕의 가치는 겸손의 덕을 바탕으로 한다. 하느님께서는 겸손이 있는 곳에 은혜를 베푸시며, 겸손이 사라지면 은혜를 모두 거두어 가신다. 모든 은총의 근원이신 주님의 강생도 겸손이 바탕이 되어 이루어졌다. 성모님은 '마니피캇'(Magnificat, 마리아의 노래)에서 하느님께서 당신 팔의 큰 힘을 떨쳐 보이셨다고 찬미하는데, 이 말은 하느님께서 동정녀 마리아 안에 전능의 힘을 보이셨다는 뜻이다. 성모님은 그 이유로, 하느님의 관심을 이끌어 내고 하느님께서 세상에 내려오시도록 하여 낡은 세상이 막을 내리고 새로운 세상이 시작되도록 한 것은 바로 당신 자신의 미천함 때문이었다고 단언하신다. 그런데 성모님은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완덕, 사실상 무한 경지에까지 이른 완덕을 갖추셨고, 당신 스스로도 그 점을 잘 알고 계셨다. 그런데 왜 성모님을 겸손의 표본이라 말하는가? 성모님은 자신이 어떠한 인간의 자손들보다도 더욱 완벽하게 구원되었음을 알고 계셨기 때문에 겸손하실 수 있었다. 성모님은 자신이 지닌 상상할 수조차 없는 거룩한 빛 한 줄기 한 줄기가 당신 아드님의 공로임을 아시고, 또한 그러한 생각을 늘 마음속에 생생하게 간직하셨다. 성모님의 비할 데 없는 지성은 당신께서 누구보다도 많은 은혜를 받았으므로 하느님께 누구보다도 더 많은 빚을 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었다. 그러므로 성모님의 비할 데 없이 우아한 겸손의 태도는 꾸밈이 없이 매우 자연스럽고 한결같았다. 그러므로 레지오 단원이 성모님의 태도를 두루 살펴본다면, 자신이 하느님 앞에 어떤 존재인가를 인정하고 솔직히 받아들이는 것만이 참된 겸손의 본질임을 알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아무런 가치가 없는 존재, 바로 그것이 우리 자신이라는 사실이다. 그 나머지 다른 것은 모두 하느님께서 무상으로 주시는 은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하느님께서 그 은혜를 늘리거나 줄이거나 또는 완전히 거두어 가실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자신이 하느님께 종속되어 있음을 깨닫게 되면, 미천하고 보잘것없는 일을 더욱 기꺼이 떠맡으며, 남의 멸시와 박대를 견디어 내어 "이 몸은 주님의 종입니다."(루가 1, 38)라고 하신 성모님의 겸손한 태도로 주님의 뜻을 따르게 될 것이다. 레지오 단원은 반드시 그의 모후와 일치해야 한다. 이 일치는 바라기만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그만한 자격을 갖추었을 때 비로소 이루어진다. 훌륭한 군인이 되어 보겠다고 결심을 한 사람이라도 군 조직의 톱니바퀴가 될 만한 자질을 전혀 갖추고 있지 못한 경우가 있다. 그렇게 되면 그는 지휘관과 효과적인 일치를 이루지 못하며,레지오 단원이 그의 모후께서 세우신 계획 안에서 큰 역할을 맡기를 열망하지만, 막상 성모님이 주시고자 하는 은혜를 받을 만한 자격을 갖추고 있지 못한 경우도 있다. 세속 군대에서는 용기·지식·신체 결함 등이 자격 미달의 요건이지만, 레지오 단원의 경우 자격 미달은 바로 겸손의 덕이 부족한 데에 있다. 레지오의 목적은 단원들을 성화시켜, 그 성화의 빛이 영혼들의 세계에까지 발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겸손하지 않고서는 성화될 수가 없다. 더구나 레지오 사도직은 성모님을 통하여 움직인다. 그러므로 성모님을 어느 정도 닮지 않고서는 성모님과 일치할 수 없으며, 성모님이 지니신 특별한 겸손의 덕을 갖추지 않고서는 성모님을 닮았다고 할 수 없다. 겸손은 모든 레지오 활동에 있어서 성모님과 일치를 이루기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요건이며, 활동이 뿌리라면 그 뿌리가 내리고 있는 땅이 바로 겸손이다. 따라서 흙의 질이 좋지 않으면 레지오의 생명은 시들고 만다. 그러므로 영혼들을 구하기 위한 레지오의 싸움은 반드시 각 단원의 마음 안에서부터 시작되어야만 한다. 단원은 마음속에 있는 교만과 이기심을 단호하게 물리치기 위하여 자신과의 싸움을 치러야 한다. 마음 안에 도사리고 있는 악의 뿌리를 몰아내려는 이 치열한 싸움, 이른바 생각과 행동을 순화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은 얼마나 힘겨운 일이겠는가! 이는 평생 치러야 할 싸움이다. 이때 자신의 노력에만 의지한다면 실패를 거듭할 뿐이다. 자신을 물리치려는 이 싸움에서마저오히려 이기심이 파고들기 때문이다. 모래 수렁에 빠져 허우적거릴 때, 자신의 힘이 강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그런 사람에게는 오직 단단한 발판이 필요할 뿐이다.레지오 단원들이여, 여러분의 튼튼한 발판은 성모님이시다. 온전한 신뢰심으로 성모님께 의탁하라. 성모님은 여러분이 반드시 지녀야 하는 겸손의 덕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계시기 때문에 여러분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으실 것이다. 성모님께 전적으로 의탁하는 정신을 충실히 실천하면 가장 훌륭하고 단순하며 확실하게 겸손에 이르는 방법을 터득하게 될 것이다. 몽포르의 루도비코 - 마리아 성인은 이 방법이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은총의 비밀이며, 자신을 비우려는 작은 노력만으로 자신을 하느님으로 가득 채우고 완전하게 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성모님께로 향하고 있는 레지오 단원은 필연적으로 자기 자신으로부터 멀어져야만 한다. 이때 성모님은 이러한 우리 마음의 움직임을 포착하시고 높이 들어올리시며, 우리의 자아가 초자연적으로 죽도록 하신다. 이는 가혹해 보이지만 결국은 풍성한 열매를 맺게 하는 크리스천의 생활 규범이다.(요한 12, 24-25 참조) 겸손하신 동정 성모님의 발꿈치는 '자아'라는 뱀이 지닌 다음과 같은 여러 형태의 머리를 바수어 버린다.
(가) '자기 현시'라는 뱀의 머리교회가 '정의의 거울'이라고 부를 정도로 완덕을 갖추신 성모님은 은총 왕국의 무한한 능력을 물려 받으셨음에도 불구하고 주님의 가장 미천한 여종으로 무릎을 꿇으신다. 그렇다면 레지오 단원으로서의 우리의 위치와 태도는 어떠해야 할 것인
가!
(나) '이기심'이라는 뱀의 머리
자신과 자신의 모든 영적, 물적 소유물을 성모님께 드려 성모님 뜻대로 쓰시도록 하는 레지오 단원은 완벽한 사랑의 정신으로 한결같이 성모님께 봉사를 계속한다.
(다) '자만심'이라는 뱀의 머리
마리아께 의지하는 습관은 필연적으로 자기 자신의 보잘것 없는 힘을 믿지 않게 한다.
(라) '자부심'이라는 뱀의 머리
성모님과 함께 일한다는 사실을 의식할 때 우리는 자신의 무능함을 깨닫게 된다. 이 협력 관계에서 레지오 단원은 뼈아픈 약점외에 무엇
을 보여 드릴 수 있겠는가?
(마) '자기애'라는 뱀의 머리
과연 우리 자신 안에 사랑할 만한 것이 있는가! 모후께 대한 사랑과 찬미에 여념이 없는 레지오 단원은 자신을 생각할 겨를이 없다.
(바) '자기 만족'이라는 뱀의 머리
성모님과 하나로 뭉치면 더 높은 수준으로 오르게 되며 이러한 단원은 성모님을 본받고 티없이 순수한 지향을 열망하게 된다.
(사) '출세욕'이라는 뱀의 머리
우리가 성모님의 방식대로 생각할 때, 오로지 하느님만을 알려고 노력하게 되므로, 자신의 앞날이나 보상을 생각할 겨를이 없다.
(아) '아집'이라는 뱀의 머리
성모님께 온전히 순종하는 레지오 단원은 마음이 기우는 대로 행동하지 않고, 늘 은총의 속삭임에 열심히 귀를 기울인다. 진정으로 자아
를 잊어버리는 레지오 단원은 성모님이 베풀어 주시는 모성적 영향을 받아들이는 데 아무런 장애가 없다. 성모님은 이러한 단원 안에 인
간 본성을 초월하는 힘과 희생 정신을 길러 주시고, 그에게 맡겨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열심히 봉사하는 그리스도의 훌륭한 병사가 되
게 하신다.(2 디모 2, 3 참조)
"하느님께서는 무(無)에서 일하시는 것을 즐기시어 그 깊은 바닥으로부터 당신의 전능으로 지으신 창조물들을 이끌어 세우신다. 우리는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려는 열정에 넘쳐야 하지만, 동시에 하느님의 영광을 드높일 만한 능력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우리 자신의 무가치함을 깊이 받아들이고, 그 심연 속에 잠겨 보도록 하자. 미천함이라는 짙은 그늘 밑으로 나를 숨겨 보자. 전능하신 분께서 우리
의 적극적인 노력을 당신 영광을 위하여 사용할 만하다고 여기실 때까지 조용히 기다리자. 이 목적을 위해서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흔히
짐작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방법을 쓰시기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 다음으로는 복되신 성모님만큼 하느님의 영광에 이바지하신 분은 없
었다. 그럼에도 성모님이 의식적으로 추구한 유일한 목표는 자신을 무로 돌리는 일이었다. 성모님의 겸손은 하느님의 계획에 장애가 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그와는 정반대로 바로 성모님의 겸손하심은 하느님의 자비로우신 모든 계획을 쉽게 이루어지도록 만들었다."(그루
/ Grou : 예수와 마리아의 영성 생활)
3.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은 사도직의 의무를 요구한다
이 교본의 다른 곳에는 그리스도 안에서 어느것도 우리의 임의대로 취사선택(取捨選擇) 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고통과 박해의
그리스도를 우리의 삶 안에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오로지 영광의 그리스도만을 맞아들일 수는 없다는 뜻이다. 그리스도는 나뉘어질 수 없
는 오직 하나의 실체이시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리스도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우리가 평화와 행복을 찾아서 그리스도께로 나아
가다 보면 때때로 우리 자신이 십자가에 못박히는 일을 겪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그리스도 안에는 이처럼 서로 반대되는 요소가 섞여
있어서 분리될 수 없는 것이다. 이를테면 고통 없이 승리가 없고, 가시관 없이는 왕좌가 없으며, 쓰라림 없는 영광이 없고, 십자가 없이는
왕관이 있을 수 없다. 하나를 얻고자 손을 뻗으면 다른 하나도 함께 딸려 오게 된다. 이 원리는 우리의 복되신 동정 성모님의 경우에도 마
찬가지이다. 성모님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놓고, 그중 우리 마음에 드는 부분만을 골라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성모님이겪으시는 고
통을 함께 하지 않으면서 성모님이 누리시는 기쁨만을 함께 나눌 수는 없는 일이다.만일 우리가 예수님께서 사랑하신 제자 요한 성인이 했던 것처럼 성모님을 모시고자 한다면(요한 19, 27 참조), 성모님의 모든 면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므로 만일 우리가 성모님의 어느 한
면만을 받아들이려고 한다면, 성모님을 전혀 받아들이지 못하게 된다. 성모 신심이란 성모님의 고귀한 성품과 사명의 온갖 측면을 우리
삶 안에서 재현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중요하지 않은 일에 주된 관심을 두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본받아야 할 최상의 모범으로서
성모님을 우리 마음 안에 받아들이는 것은 값진 일이다. 그러나 그 이상의 노력으로 성모님을 따르려고 힘을 쏟지 않는다면, 결국 성모님
께 대한 신심은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여 완전해질 수 없다. 성삼위께서 성모님을 맞아 그느르시고, 성모님 안에 뜻을 세우시고, 성
모님으로 하여금 그 뜻을 드러내도록 하신 놀라운 일들을 알아듣고 기뻐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성모님은 모든 존경과 찬사를 받
아 마땅한 분이시지만, 그러한 우리의 찬미는 성모님이 당연히 받으셔야 할 몫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오직 성모님과의 일치만
이 성모님께 대한 신심을 완성하는 것이다. 일치란 성모님과 더불어 사는 삶을 말하는데, 성모님의 삶은 찬미를 받는 데 있지 않고 은총을
전달하는 데 있다. 성모님의 한평생과 사명은 먼저 그리스도의 어머니, 그 다음으로는 인류의 어머니가 되시는 것이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St. Augustine)의 말처럼, 성삼위께서는 영원으로부터 깊이 생각하신 끝에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쓰시려고 성모님을 준비하시고 창조하신 것이다. 그리하여 성모님은 주님을 잉태하게 된다는 소식을 전해 들은 날부터 놀라운 일에 발을 들여놓으셨고, 그 후로 줄곧 집안 살림을 맡아 돌보는 바쁜 어머니가 되셨다. 성모님이 맡으신 이 일은 처음 얼마 동안은 나자렛 마을에 국한되었으나 이 작은 집은 곧 온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당신의 아드님은 인류 안에 퍼져나갔다. 그리하여 집안 살림을 돌보는 성모님의 일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으며, 나자렛으로부터 크게 번창한 구속 사업은 성모님 없이는 할 수 없게 되었다. 우리가 주님의 몸을 돌보아 드린다는 것은 단지 성모님이 하시는 일을 도와 드리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사도직은 바로 이러한 성모님의 어머니 역할을 거들어 드리는 것이다. 이런 점을 미루어 볼 때, 성모님은 '나는 원죄 없는 잉태로다'라고 말씀하신 것과 같은 의미로 '나는 사도직이로다'라고 선언하실 수도 있을 것이다. 영혼들을 돌보는 어머니 역할은 성모님의 본질적 임무이고 성모님의 삶 자체이므로, 우리가 성모님의 어머니 역할에 동참하지 않는다면 성모님과 참으로 일치했다고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다시 한 번 밝히고자 하는 것은,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에는 영혼들을 위한 봉사가 따르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어머니 역할을 하지 않는 성모님'과 '사도직 활동을 하지 않는 신자'는 일맥상통한다. 이 두 경우는 모두 불완전하고 비현실적이며 하느님의 뜻에 어긋나는 것이다. 따라서 레지오는 어떤 이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성모님과 사도직이라는 두 원리를 바탕으로 세워진 것이 아니라 성모님이라는 단일 원리 위에 세워져 있으며, 이 원리 안에 신자 생활의 모든 본질이 전체적으로 드러난다. 어떠한 일을 이루고자 할 때 행동은 전혀 하지 않고 마음속으로 바라기만 한다면, 이러한 생각은 아무 가치도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성모님께 말로만 봉사를 드리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다. 사도직 임무가 '내게도 일이 주어지겠지' 하고 가만히 앉아서 기다리고 있기만 하면 하늘로부터 저절로 내려올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렇게 태만한 신자들은 아무 일도 맡지 못하는 상태가 계속되는 것을 두려워해야 한다. 우리가 사도가 되는 단 하나의 효과적인 방법은 사도직 활동을 착수하는 것이다. 사도직 활동을 시작하게 되면 성모님은 곧 우리의 활동을 당신 품에 받아들이시고 당신의 어머니 역할 안에 넣어 주신다. 더욱이 성모님은 우리가 도와 드리지 않으면 어머니 역할을 수행하실 수가 없다. 이렇게 말하는 것이 너무 지나치지 않은가 하는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성모님처럼 큰 힘을 지니신 분이 나약한 우리 인간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말이 납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사실이다. 인간의 협력을 필요로 하는 것이 하느님 섭리의 한 부분이며,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통하지 않고서는 구원 사업을 하지 않으신다. 성모님이 간직하고 계시는 은총의 보화는 넘쳐 흐르고 있지만, 우리가 도와 드리지 않으면 성모님은 그 은총을 나누어 주지 못하신다. 만일 성모님이 바라시는 대로 자신의 능력을 행사하신다면 온 세상은 눈 깜짝할 사이에 회두하고 말 것이다. 그러나 성모님은 우리들이 협력할 때까지 기다리셔야만 한다. 따라서 우리가 도와 드리지 않으면 성모님이 어머니의 역할을 다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영혼들은 굶주려 죽게 된다. 그러므로 자신을 마음대로 쓰실 수 있도록 내맡기는 사람들을 성모님은 누구라도 열렬히 환영하시며, 거룩하고 알맞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미약하고 부적절한 사람들까지도 모두 다 활용하실 것이다. 이와 같이 어떠한 사람들이라도 다 쓸모가 있기 때문에 성모님으로부터 거절당하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 가장 미약한 사람이라도 성모님이 지니신 힘을 영혼들에게 전달할 수가 있다. 그러나 좀더 나은 사람을 통하여 성모님은 더욱 강력한 힘을 발휘하신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는 햇빛이 맑은 유리창으로는 눈부시게 들어오지만, 때가 잔뜩 낀 유리창으로는 제대로 들어오지 못하는 이치와 같다고 말할 수 있다.
"예수님과 성모님은 에덴 동산에서 우리의 조상이 범한 죄를 기워 갚기 위해서 십자가 나무를 고통과 사랑 속에 함께 지고 가신 새로운 아
담과 하와가 아니신가? 예수님은 샘이시고, 성모님은 그 수로이시다.
이 은총으로 우리는 영신적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고, 우리의 천상 보금자리를 되찾게 된다."
"주님께서 어머니를 받드셨듯이, 우리는 자비로우신 성모님을 우리의 모후로, 우리가 가장 사랑하는 어머니로, 하느님 은총의 중재자로,
하느님 보화의 분배자로 높이 받들자. 성자께서는 당신 왕국의 영광과 위엄과 권능으로 어머니를 빛나게 해주신다. 인류 구원의 위대한
사업에서 성모님은 하느님의 어머니와 협조자로서 순교자의 왕이신 예수님과 일치하셨다. 그렇기 때문에 성모님은 구원 사업에서 예수님
과 영원히 함께 계신다. 성모님의 왕국은 성자의 왕국처럼 넓다. 따라서 성모님의 지배를 벗어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교황 비오 12
세 / Pope Pius XII : 1940년 4월 21일 및 1940년 5월 13일 강론)
4. 성모님께 봉사할 때는 온 힘을 다해야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성모님께 전적으로 의탁한다는 구실로 노력을 게을리 하거나 조직에 결함이 생기도록 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정반대가
되도록 힘써야 한다. 레지오 단원은 성모님을 돕기 위해서 성모님과 더불어 완벽한 활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가 성모님께 드리는 봉사의 선물은 가장 최고의 품질이어야 한다. 언제나 힘차고 능숙하며 꼼꼼하게 활동해야 한다. 그런데 가끔 통상적인 레지오 활동이나 확장 사업 또는 단원 모집 등에서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잘못을 저지르는 쁘레시디움이나 단원들이 눈에 띈다. 이에 대해서 때때로 단원들은 "나는 나 자신의 능력을 믿지 않기 때문에 성모님께 전적으로 의탁하며, 성모님이 뜻하시는 대로 좋은 성과가 나오기만을 기다립니다."라고 구구한 변명을 늘어놓는다.이러한 변명은 대개 자신들의 소극적인 태도를 일종의 미덕으로 돌리려고 하는 신자들로부터 듣는다. 이들은 단체가 세운 규칙에 따라 자신의 노력을 바치는 일은 마치 믿음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나 필요한 일인 것처럼 착각하고 있는 듯하다. 또한 우리가 큰 힘을 지니신 성모님의 도구로 쓰이고 있으므로 하찮은 우리 인간이 기울이는 노력의 정도는 크든 작든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식의 인간적인 해석을 하거나 잘못된 결론을 내릴 위험성마저 있다. 이는 마치 백만장자와 동업을 하는 가난한 사람이 "무엇 때문에 내가 이미 넘쳐 흐르는 공동 기금에 몇 푼 더 보태려고 기를 써야 하느냐?"고 따지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그러므로 이제 레지오 단원들이 활동에 나설 때 그들의 자세를 좌우하는 기본 원리를 확실히 해 둘 필요가 있다. 즉, 레지오 단원들은 성모
님이 쓰시는 단순한 도구만이 아니라, 인류의 영혼을 영신적으로 풍부하게 하고 구원하기 위해서 일하시는 성모님의 참된 협력자라는 점이 이 원리의 핵심이다. 이러한 협력 관계에서는 한쪽에서 모자라는 것을 다른 쪽이 보충해 준다. 단원은 자신의 활동과 자신의 모든 것을성모님께 내어 드리고, 성모님은 당신의 모든 순결과 능력을 당신 자신과 함께 단원에게 내어 주신다. 성모님과 레지오 단원은 양쪽이 서로 자신을 아낌없이 내어 주어야만 하는 것이다. 단원 쪽에서 이러한 동반자 정신을 준수하면 성모님은 더 이상 아쉬울 것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이 활동 사업의 성패는 오로지 레지오 단원 쪽의 태도에 달려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단원은 모든 지능과 능력을 세심한 방법과 인내심으로 가다듬어, 이 협동 사업에 온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가령 단원들이 활동에 쏟는 노력과는 별도로 당신이 원하시는 성과를 이루고자 하시는 성모님의 뜻을 알아차린다 하더라도, 레지오 단원들은 모든 일이 전적으로 자신의 노력에 달려 있는 것처럼 여기며 활동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성모님의 도우심을 끝없이 신뢰하고 언제나 최고도의 노력을 쏟아야 하며, 성모님을 신뢰하는 마음이 크면 클수록 단원들의 정성과 노력도 그만큼 깊어져야 한다. 이 말은 온전한 믿음과 열성에 찬 조직적 활동이 서로 뒷받침될 때 매우 큰 힘을 발휘하게 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이 원리에 대해서 성인들은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즉, 우리가 기도드릴 때에는 마치 모든 것이 자신의 활동과는 상관없이 오직 기도를 얼마나 열심히 바치느냐에 달려 있는 것처럼 생각하고 기도해야 하며, 또한 우리가 활동에 나설 때에는 마치 모든 것이 전적으로 우리의 노력에 따라 좌우된다고 생각하면서 활동에 온 힘을 쏟아야 한다는 것이다. 활동의 쉽고 어려움을 스스로 가늠하여 어느 정도의 노력을 기울일 것인가를 판단하는 등의 생각을 떠올려서는 안 된다. 세속의 일을 다루는 데도 그런 타산적인 정신으로는 늘 실패하기 마련이다. 영신적 사업에 그런 약삭빠른 정신이 스며들면 활동의 성패가 달려 있는 은총을 잃게 되므로 결국 실패하고 만다. 더욱이 인간의 판단은 믿을 수가 없다. 겉으로 보기에 결코 무너지지 않으리라 여겨지던 일이 일시에 무너지는가 하면, 손만 뻗으면 잡힐 듯한 열매를 끝내 손안에 넣지 못하고 결국 다른 사람에게 빼앗기고 마는 경우도 있다. 영신 세계 안에서 이기적인 영혼은 점점 보잘것없이 작아져서 마침내는 아무런 결실도 맺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장 확실한 해결책은 끝없는 노력뿐이다. 레지오 단원은 모든 임무에 최선의 노력을 쏟아야 한다. 가볍게 해낼 수 있는 활동거리인 경우 그 일을 끝내는 것만이 유일한 목적이라면, 적은 노력만으로 충분할 수 있다. 시인 바이론(Byron)의 말처럼 '모기 한 마리 잡는 데 헤라클레스의 몽둥이를 휘두를 필요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레지오 단원들은 그들의 활동이 직접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것이 아님을 깨달아야 한다. 단원들은 일의 쉽고 어려움을 떠나서 맡은 일이 크든 작든 성모님을 위하여 할 수 있는 데까지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성모님의 전폭적인 협력을 얻어내, 필요하다면 기적까지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우리의 능력이 미치지 않는 일이라 해도 온갖 정성을 쏟는다면, 성모님은 큰 힘을 보태 주시어 우리의 미약한 활동이 막강한 힘을 발휘하도록 도와 주신다. 만일 단원이 할 수 있는 일을 다 하였는데도 할 일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면, 성모님은 그 남은 부분을 채워 주시어 단원과의 공동 사업이 이상적으로 끝나도록 해주실 것이다. 레지오 단원이 임무를 완수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열 배나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더라도 그 노력은 조금도 허비된 것이 아니다. 단원들의 모든 활동은 성모님을 위하여 또한 성모님의 거대한 계획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치는 것이 아닌가? 성모님은 이렇게 남는 노력을 기꺼이 받아들이시고 크게 불리시어, 그 은총을 주님의 가족 가운데 절실히 필요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신다. 나자렛의 성실하신 주부의 손에 맡겨진 것은 무엇이든 조금도 유실되는 일이 없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레지오 단원의 노력이 성모님께 마땅히 바쳐야 하는 정도에도 미치지 못한다면 아낌없이 나누어 주시고자 하시는 성모님의 손은 묶이고 만다. 그리하여 이 공동선을 추구하는 독특한 은총의 계약은 단원의 무성의로 말미암아 뒷전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모든 일이 단원의 능력에만 의존하게 되므로, 영혼들은 물론 단원 자신에게도 얼마나 안타까운 손실이겠는가! 그러므로 어떤 단원이 자신은 성모님께 온전히 의탁하고 있다는 것을 구실삼아 자신의 불충분한 노력이나 허술한 활동을 정당화한다 해도, 이는 아무 소용이 없는 일이다. 또한 그러한 잘못된 방식으로 성모님께 의탁하여 자신이 마땅히 해야 하는 노력마저 위축시킨다면, 이는 나약하고 떳떳하지 못한 태도이다. 그러한 단원은 자신이 충분히 짊어질 수 있는 짐조차 성모님의 어깨에 떠넘기려 하는 것이다. 기사도 정신을 올바로 갖춘 기사라면 어느 누가 그런 이상한 태도로 귀부인을 모시려 하겠는가!따라서 레지오 단원과 성모님의 협동에 관한 근본 원리에 대해서, 마치 새로운 주제를 다루듯이, 한 번 더 설명하고자 한다. 레지오 단원은 자신의 능력을 최대 한도로 발휘하여 성모님께 바쳐야 한다. 성모님은, 단원이 바쳐야 할 것을 바치지 않고 있는데도 그것을 보충해 주시는 분이 아니다. 레지오 단원이 하느님의 은총의 보고에 쳐야 하는 노력과 방법과 인내심 등을 성모님이 면제시켜 준다면, 이는 올바른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성모님은 은총을 아낌없이 베풀고자 하시지만 오직 정성을 다하는 영혼들에게만 그렇게 하신다. 그러므로 성모님은 레지오의 자녀들이 당신이 간직하고 계신 무진장한 은총의 보화를 마음껏 꺼내 가기를 바라시면서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생각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마르 12, 30) 봉사하라 하신 당신 아드님의 말씀을 빌어 단원들에게 간절히 호소하고 계신다. 레지오 단원은 오로지 성모님을 바라보면서 자신의 모자란 점을 보충하고 순화하며 완덕을 위해 노력하고 인간 본성을 거룩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미약한 인간의 힘으로는 불가능한 일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변화는 위대한 힘이 된다. 이 힘은 결국 송두리째 산을 들어내어 바다를 메우고, 온 땅을 평탄하게 고르며, 굽은 길을 바르게 펴서 곧장 하느님 나라에 이어지도록 한다.
"우리는 모두 쓸모 없는 종들이지만 매우 알뜰하신 주인님을 섬기고 있다. 그분은 하늘에서 내려오는 이슬 한방울로부터 우리 이마에 흐르는 땀 한 방울에 이르기까지 아무것도 낭비하시는 일이 없다. 나는 이 책이 어떤 운명에 놓이게 될지 알지 못한다. 내가 이 책을 다 마칠 수 있을는지, 아니면 나의 펜 밑에 펼쳐져 있는 이 한쪽만이라도 끝까지 다 쓰게 될는지 알지 못한다. 그렇지만 나는 나의 남은 힘과 여생을 많든 적든 이 책을 마치는 데 바쳐야 한다는 것만은 잘 알고 있다."(프레데릭 오자 Frederick Ozanam)
5. 레지오 단원들은 몽포르의 루도비코 - 마리아 성인의'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을 실천해야 한다
성모님께 대한 신심을 실천하는 레지오 단원들은 몽포르의 루도비코 - 마리아 성인이 가르쳐 준 신심의 독특한 내용을 완전히 터득하고
몸에 배도록 해야 한다. 이 성인은 '참된 신심' 또는 '마리아의 종'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성모 신심을 가르치고 있는데, 〈복되신 동정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과〈마리아의 비밀〉이라는 두 저서를 통해서 그 내용을 더욱 알차게 설명하고 있다.(부록 5 참조)
이 신심은 성모님과 정식 계약을 맺을 것을 요구하는데, 자신의 모든 것, 즉 영신적이거나 현세적인 모든 생각, 행실, 소유물,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포함한 모든 것을 아무리 적고 사소한 것이라도 아낌없이 성모님께 바쳐 드리는 것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자신의 소유물은 아무것도 없는 노예와 같은 상태가 되어, 전적으로 성모님께 의탁하고 성모님이 쓰시도록 자신을 철저히 내맡기는 것이다. 그러나 세속의 노예는 성모님의 노예보다는 훨씬 자유롭다. 세속 노예의 경우, 자신의 생각과 내면 생활은 스스로 다스리므로 자신에 관한 일에서는 자유로울 수가 있다. 그러나 성모님께 무릎을 꿇는 사람은 자신이 생각하는 모든 것, 즉 영혼의 움직임이나 숨겨 놓은 재산, 그리고 가장 깊숙한 자신의 속마음까지도 모두 성모님께 내어 드려야 하는 것이다. 마지막 숨을 쉬는 순간까지 성모님께 드려서 성모님이 하느님을 위해 쓰시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이는 일종의 순교 행위이며, 성모님을 제단삼아 하느님께 자기 자신을 제물로 바치는 제사이다. 이러한 우리들의 제사야말로 그리스도께서 스스로 제물이 되신 십자가상의 제사와 참으로 같지 않겠는가. 그리스도께서도 성모님의 태중에서 탄생하셨고, 성모님의 팔에 안겨 하느님께 봉헌되셨으며, 그 후 당신 일생의 매 순간을 통하여 성모님의 품에 안기셨고, 마침내 갈바리아 산상의 성모 성심의 십자가 위에서 제헌되신 것이다.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은 예절을 갖춘 봉헌식으로부터 시작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봉헌 후에 어떠한 삶을 사느냐에 달려 있다. '참된 신심'은 하나의 행위로서가 아니라 생활 안에서 끊임없이 이어지는 상태로서 드러나야 하기 때문이다. 성모님이 우리의 삶 전체를 차지하지 못하고 겨우 몇 분 또는 몇 시간 동안만을 차지하는 데 그치시도록 한다면, 비록 성모님께 드리는 봉헌식을 자주 반복한다 하더라도 이는 한낱 스쳐 지나가는 기도에 그치고 말 것이다. 이러한 성모 신심은 마치 땅에 심어지
긴 했으나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는 나무의 경우와 같다.
이 말은 우리 마음이 항상 봉헌 행위를 의식하고 그것에만 매달려 있어야 함을 뜻하지는 않는다. 우리 몸은 호흡과 심장의 박동으로 생명
을 유지하지만, 실제로 이러한 몸 안의 움직임을 느끼지 못하면서 살고 있다. 참된 신심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비록 느끼지 못하더라도 이 신심은 우리들의 삶에 쉴새없이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성모님이 우리를 차지하고 계신다는 사실을 이따금 의식적으로 생각하고 행동이나 화살 기도 등으로 새롭게 떠올리기만 한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자신이 성모님께 매어 있다는 사실을 변함없이 인정하며, 적어도 막연하게나마 늘 마음속에 간직하고 살아가며, 부딪치는 모든 환경 속에서 전반적으로 드러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이러한 모든 일에 열정이 솟는다면 더없이 좋은 일이다. 그러나 설사 그렇지 않더라도 참된 신심의 가치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때때로 열정은 오히려 일을 누그러뜨리고 믿을 수 없게 만들기도 한다. 분명한 것은 참된 신심이 열정이나 감상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열정이나 감상은 마치 고층 건물처럼 때로는 햇볕을 받아 빛나지만, 땅속 깊이 묻혀 있는 건물의 기초는 그 아래 버티고 있는 바위처럼 차가운 것이다. 이성은 보통 냉철하다. 단호한 결심은 얼음장과도 같이 차가울 수 있다. 신앙 그 자체도 때로는 다이아몬드처럼 냉랭하게 느껴진다. 그런데 이 세 가지 요소가 바로 참된 신심의 기초를 이룬다. 참된 신심이 이 세 가지 기초 위에 자리를 잡고 단단하게 뿌리를 내리면 산을 허물어뜨릴 만한 된서리와 폭풍이 닥쳐오더라도 오히려 더욱 굳세게 버틸 것이다.
참된 신심을 실천하는 데서 얻는 은총이나 이 신심이 교회의 신앙 생활 안에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미루어 보면 이 신심이 분명히 하늘로
부터 내려오는 메시지임을 알 수 있다. 이 점이 바로 몽포르의 루도비코 - 마리아 성인이 주장한 내용이다. 성인에 의하면, 이 신심을 실천하는 이들에게는 많은 은총이 약속되어 있으며, 몇 가지 조건이 충족되기만 한다면 이 약속은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라고 단언하였다. 이 신심이 일상 생활 안에서 이루어내는 효과를 알아보려면,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것 이상으로 이 신심을 깊이 실천하는 사람들과 이야기해 보기 바란다. 이 신심이 가져다 준 은총에 대해서 그들이 얼마나 큰 확신에 차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마도 그들이 감정이나 환상에 사로잡혀 있지나 않은지 의심이 들 정도일 것이다. 그렇지만 그들은 한결같이 전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이야기할 것이며, 이 신심이 가져다 준 열매가 너무나 뚜렷하여 도저히 착각할 수 없는 일이라고 단호하게 말할 것이다. 이처럼 참된 신심을 가르치고 이해하고 실천하는 사람들이 경험한 은총이 모두 믿을 만하다고 볼 때, 이 신심이 내면 생활을 더욱 깊이 있게 만들어 우리들의 마음이 이기심을 떠나서 순수한 지향으로 채워지리라는 사실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리하여 자신이 올바로 인도되고 보호받고 있음을 느끼며, 자신의 삶이 가장 유익한 일에 쓰이고 있다는 흐뭇한 확신을 갖게 된다. 또한 모든 것을 신앙의 눈으로 바라보는 자세와 단호한 용기, 확고한 믿음을 지니게 되어 어떤 일을 맡든지 솔선 수범하여 이러한 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유연성과 슬기를 지니게 된다. 더욱이 이 신심을 실천하는 이들 안에는 이 모든 은총과 덕행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겸손의 덕이 뿌리를 내린다. 이렇게 되면 어느 누구라도 신비하게 여길 수밖에 없는 은총이 내리게 되어 자신의 공로나 본연의 능력만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큰일을 하도록 부름을 받게 되는 일이 생긴다. 그리고 일단 일을 맡게 되면 영광스럽고도 막중한 책임을 실패 없이 해 내도록 도와 주시는 손길이 따른다. 한마디로, 참된 신심을 실천하며 자신을 성모님의 노예 신분으로 낮추는 값진 희생을 바치는 사람들은, 하느님의 영광이 더욱 크게 드러나도록 자신을 버린 사람들에게 약속된 수백 배의 상급을 그 대가로 받게 된다. 우리가 섬길 때 다스리게 되고, 베풀 때 받게 되며, 무릎을 꿇을 때 승리하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영신 생활을 순전히 개인적 이득이나 손실에 관련된 문제로 격하시킨다. 또한 그들이 가진 보화를 영혼의 어머니이신 성모님
께도 맡겨 드려야 한다고 권하면 불만스러워 한다. "만일 성모님께 모든 것을 드린다면 내가 이 세상을 떠나 심판대에 설 때 빈손이 될 터이니, 연옥에서 더욱 오래 머무르게 되지 않겠는가?"라는 등의 의심을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의심을 품는 사람들에게는 "결코 그렇지 않다. 그대가 심판받는 바로 그 자리에 성모님도 함께 계실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흔쾌히 대답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대답에는 깊은 뜻이 담겨져 있다. 성모님께 대한 봉헌을 반대하는 이유는 이기적인 생각에서보다는 대개 좀더 복합적인 동기에서 나온다. 가령 우리가 지닌 영신적 보화를 아낌없이 모두 성모님께 바치면, 우리가 거의 의무적으로 바치고 있는 기도, 즉 가족과 친구 또는 조국이나 교황 등을 위한 기도의 공로가 혹시 없어지는 것이나 아닌지 모른다고 걱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염려는 모두 떨쳐 버리고 과감히 자신을 봉헌하자. 성모님께 드린 것은 무엇이든 안전하다. 성모님은 하느님의 보화를 관리하는 분이시기 때문이다. 성모님은 또한 당신을 신뢰하는 사람들이 관심을 두는 일들도 돌보아 주신다. 그러므로 우리가 지금까지 쌓아 올린 공로와 앞으로 갚아야 할 빚, 즉 책임과 의무를 넓고 고귀한 성모 성심께 맡겨 드리자. 성모님은 그대를 대할 때, 마치 그대 외에는 다른 자녀를 두지 않으신 것처럼 대하실 것이다. 그대의 구원과 성화, 그대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이 전적으로 성모님의 관심사이다. 그대가 성모님의 지향을 위해 기도 바칠 때 성모님은 그대의 지향 속에 그대를 가장 먼저 넣어 주신다. 때때로 우리의 희생이 요구될 때가 있다. 이때 우리는 혹시 자신에게 손해가 돌아오지나 않을까 따져서는 안 된다. 그러한 타산적인 생각은 봉헌 행위의 근본을 허물어뜨리며 봉헌의 가치를 좌우하는 희생의 특성을 없애 버린다. 이 점에 대해서는 그 옛적 광야에서 굶주리고 있던 만명도 훨씬넘는 많은 사람들을 모두 배불리 먹인 성서 이야기(요한 6, 1-14 참조)를 떠올리면 충분히 알아들을 수가 있을 것이다. 그처럼 많은 사람들 가운데 단 한 사람만이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고 왔을 뿐이었다. 그것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누어 먹을 수 있도록 내놓을 수 있겠느냐고 묻자, 그는 선뜻 내놓았다. 그러자 주님께서는 그 몇 개 안 되는 보리떡과 물고기를 손에 드시고 감사의 기도를 올리신 다음 쪼개어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셨다. 마침내 그 많은 사람들이 모두 배불리 먹었고, 그 가운데는 자신이 먹을 보리떡과 물고기를 선뜻 내놓은 바로 그 사람도 들어 있었다. 먹고 남은 부스러기를 모으니 열두 광주리에 가득 찼다. 그런데 만일 그 사람이 "이렇게 사람들이 많은데 보리떡 몇 개와 물고기 몇 마리가 무슨 소용 있겠어요? 더구나 여기 함께 와 있는 제 가족들도 배고플 테니 이 음식을 내놓을 수가 없습니다." 하고 거절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그러나 그는 거절하지 않았다. 오히려 자신이 가지고 있던 모든 것을 선뜻 내놓았기 때문에 그와 그의 가족들은 바친 것보다 훨씬 많은 기적의 음식을 받을 수 있었다. 또한 이 가족들이 원했더라면 주님께서는 열두 광주리의 남은 음식도 모두 가져가도록 하셨을 것이다. 예수님과 성모님께서는 자신이 가진 것을 아무런 조건 없이 기꺼이 바치는 착한 영혼들을 항상 이와 같은 방식으로 대해 주신다. 우리가 드리는 선물은 수많은 사람들의 소망을 채워 주는 데 쓰인다. 또한 우리가 바치는 희생 때문에 막상 우리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것과 뜻하는 바가 손해를 입는 것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우리는 넘쳐나도록 되돌려 받으며, 우리 주위에 있는 사람들까지도 하느님의 은총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제 우리의 보잘것없는 밀떡과 물고기를 가지고 달려가 성모님의 팔에 안겨 드리자. 그리하여 예수님과 성모님께서 그것을 더욱 크게 불리시어 이 세상 메마른 광야에서 굶주리고 있는 무수한 영혼들을 먹여 기르시도록 해 드리자. 자신을 봉헌한다 해서 평소에 바치는 기도나 생활 방식을 바꿀 필요는 없다. 평소의 생활은 그대로 이어지고 각자의 지향과 모든 특별한 목적을 위한 기도도 그대로 계속되며, 다만 이제부터는 성모님이 즐겨 받으시도록 마음을 향하기만 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성모님은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시중 드는 사람들에게 '무엇이든 그가 시키는 대로 하여라'(요한 2, 5)고 말씀하셨다. 우리가 성모님의 분
부대로 그 사랑과 희생의 항아리에 일상 생활에서 겪는 잡다한 일들, 즉 아무 맛없는 물을 쏟아 붓기만 한다면, 가나의 기적은 다시 일어나게 된다. 그 물이 맛 좋은 포도주로,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위한 최상의 은총으로 변화되는 것이다."(꾸생 / Cousin)
제 7 장 레지오 단원과 성삼위
레지오 마리애가 맨 처음 취한 단체 행동은 성령께서 오시도록 호도와 기도를 바친 다음, 묵주기도를 통하여 성모 마리아와 그분의 성자
께로 나아가도록 진행하는 것이었다. 이는 매우 뜻 깊은 일이었는데, 몇 해가 지난 후 벡실리움의 도안이 완성되었을 때 뜻밖에도 똑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성령께서 벡실리움 표장 안에 두드러지게 드러나 계셨던 것이다. 그런데 이 도안이 신학적 착상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예술 작품임을 미루어 볼 때 기묘한 일이었다. 벡실리움은 비종교적 표상인 로마 군대의 깃발을 마리아 군단의 목적에 맞도록 변형시켜 만든 것이다. 독수리 대신 비둘기를 넣고 황제나 집정관의 얼굴은 성모님의 모습으로 대치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구도는 결국 성령께서 온 세상에 생명의 은총을 내리실 때 성모님을 그 수로로 삼아 레지오를 차지하고 계시는 모습으로 되어 있다.그 후 뗏세라의 그림이 그려졌을 때에도 똑같은 신심의 자세가 드러났다. 성령께서 레지오를 품어 보호하시고, 악의 세력에 맞서는 끝없는 싸움은 성령의 권능에 힘
입어 승리한다. 동정녀께서 뱀의 머리를 바수시며, 성모님의 군단은 예언된 승리를 향해 진군하는 것이다. 레지오의 색깔이 예상하던 푸른 색이 아니고 붉은 색이라는 것도 흥미 있는 일이다. 벡실리움과 뗏세라에 나타나는 성모님의 후광을 어느 색으로 정하느냐 하는 사소한 세부 사항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이 빛깔이 채택되었다. 레지오의 상징이 성령으로 충만하신 성모님의 모습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성모님의 후광을 성령의 빛깔로 표현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생각은 레지오의 빛깔 역시붉은 색이어야 한다는 데까지 이어졌다. 뗏세라의 그림에서도 성모님은 성령과 더불어 휘황찬란하게 타오르는 성서 속의 '불기둥'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 점 역시 동일한 발상에서 나온 것이다.그리하여 레지오 선서문을 작성할 때에도, 처음에는 다소 의외로 생각되었지만, 선서는 성령께 하는 것이지 레지오의 모후께 드리는 것이 아니라는 일관된 생각이 유지되었다. 이로써 이미 앞에서 살펴본 그 중대한 특성을 다시 한 번 드러내게 되는데, 세상을 새롭게 하시는 일로부터 가장 작은 은총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은 성령께서 베풀어 주시며 이 일을 대행하는 분은 언제나 성모님이시다.성령께서 성모님 안에 역사하심으로써 영원하신 성자가 사람이 되셨다. 이로써 인류는 성삼위와 결합되었으며, 성모님 자신은 성삼위 각위와 각기 독특한 관계를 맺는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우리는 적어도 이러한 성모님의 세 가지 특별한 위치를 살펴보아야 한다. 하느님의 섭리를 이해하는 일이 특별히 선택된 은총이긴 하지만 우리가 전혀 파악하지 못하도록 하신 것은 아니다. 성인들이 강조하는 바에 의하면, 우리의 신앙 안에서 성삼위는 구분되어져야 하며, 각위는 각기 맞갖은 존경을 받으셔야 한다는 것이다. 아타나시오 신경은 이 점에 대해서 강경하고도 위압적인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근거를 창조와 강생의 궁극 목적이 성삼위의 영광이라는 사실에 두고 있다. 어떻게 하면 이 알아듣기 힘든 신비를 어렴풋이나마 이해할 수 있을 것인가? 분명한 것은 오직 하느님께서 비추어 주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이 은총은 성모님께 간청하여 얻어낼 수도 있다. 이 세상에서 맨 처음으로 성삼위의 교리를 확실하게 계시받은 분이 바로 성모님이시기 때문이다. 그 계시는 마리아가 성령의 힘으로 구세주를 잉태하리라는 '천사의 아룀(the Annunciation)'을 듣는 바로 그 순간에 이루어졌다.
성삼위께서 대천사를 통하여 마리아에게 스스로를 드러내신 것이다. "성령이 너에게 내려 오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힘이 감싸 주실 것
이다. 그러므로 태어나실 그 거룩한 아기를 하느님의 아들이라 부르게 될 것이다."(루가 1, 35) 이 계시를 통해서 성삼위의 신비가 뚜렷이 밝혀졌다. 즉, 강생의 신비를 역사하신 성령, 강생하실 분의 아버지이신 지극히 높으신 성부 하느님, 그리고 '장차 위대한 분이 되어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의 아들이라 불릴'(루가 1, 32) 성자 그리스도가 바로 이 신비의 실체이다. 성삼위의 각위와 각기 독특한 관계를 맺고 있는 마리아의 특별한 위치를 묵상함으로써 우리는 성삼위의 각 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제2위 성자와 마리아 제2위이신 천주 성자께 대한 마리아의 관계는 우리가 가장 이해하기 쉬운 어머니로서의 관계이다. 그런데 성모님의 모성은 친밀성과 영원성, 그리고 보통 인간의 관계로서는 설명할 수 없는 무한한 초월성을 지닌다. 예수님과 성모님의 관계에서는 영혼의 일치가 으뜸이고, 육신적 일치는 그 다음이다. 그래서 성자께서 태어나신 후 육신적으로는 서로 갈라지셨지만, 두 분의 일치는 중단되지 않고 계속되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더욱 굳건히 맺어졌다. 그 결과로 교회는 성모님을 성자 예수 그리스도의 협력자, 즉 은총의 중재자로서 그리스도의 구속 사업에 협력하시는 공동 구속자로서 뿐만 아니라 실제로 '그리스도와 닮은 분'이라고도 선언할 수 있는 것이다. 성령과 마리아의 관계를 말할 때 우리는 흔히 성모님을 '성령의 궁전' 또는 '성령의 지성소'라고 부르지만, 이러한 호칭도 그 실체를 나타내는 데에는 미흡하다. 성령께서는 마리아를 당신 다음으로 존귀하게 만드실 정도로 당신께 일치하도록 하셨기 때문이다. 성령께서는 이렇게 마리아를 들어올리셨으며 당신과 하나로 결합시키셨고 당신으로 말미암아 살게 하셨으므로, 성령께서는 성모님의 영혼이나 다름없이 되셨다. 따라서 성모님은 성령께서 활동하시는 데 쓰이는 단순한 연장이나 수로만이 아니다. 성모님은 지성과 자각을 겸비한 성령의 협조자이시며, 성모님이 어떤 일을 하실 때에는 성령께서도 함께 하시며, 성모님의 중재 없이는 성령의 중재도 바랄 수 없을 만큼 두 분은 하나 되어 계신다.
성령은 사랑, 아름다움, 힘, 지혜, 순결, 그 밖의 하느님의 본성 모두를 갖추고 계신다. 성령이 풍부하게 내리시면 모든 것이 부족함 없이
충족될 수 있으며, 아무리 고통스러운 문제라도 하느님의 뜻에 맞도록 해결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성령을 협조자로 모시는 이는 전능의 물결을 타게 되는 것이다. 성령의 도우심을 얻기 위한 조건 중의 하나가 성모님과 성령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라면, 또 하나의 중요한 조건은 성령께서 실체적이고 개별적인 성삼위의 한 분으로서 우리를 위한 특별한 사명을 지니셨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가 성령께 대하여 올바른 이해를 하려면 우리 마음을 자주 성령께 향하도록 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마음을 열어 성령께로 향하기만 한다면 동정 성모님께 바치는 우리의 모든 신심은 우리를 성령께로 쉽게 이끌어주는 넓은 통로가 될 것이다.특히, 레지오 단원들은 묵주기도를 바칠 때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묵주기도는 성모님께 바치는 주된 기도라는 이유만으로도 성령께 드리는 으뜸가는 신심 행위가 될 뿐만 아니라, 그 안에 담긴 15단의 신비는 구원 사업이라는 극적인 사건 안에서 성령께서 맡고 계시는 중요한중재 역할을 찬미하고 있기 때문이다.
성부와 마리아의 관계는 대개 아버지와 딸의 관계로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칭호는 다음과 같은 뜻을 지닌다.
(가) '모든 피조물 중 으뜸으로 하느님께서 가장 마음에 들어 하시는 자녀로서 가장 가깝고 사랑스러운 이'(뉴만 추기경)로서의 마리아의
지위.
(나) 예수 그리스도와의 온전한 일치로 마리아는 성부와 새로운 관계를 맺게 되며, 이로 인해서 '성부의 따님'이라는 신비스러운 칭호를
받게 됨.
(다) 마리아는 성부와 현저히 닮아, 사랑하올 성부께서 발산하시는 영원한 빛을 세상에 베푸시는 데 맞갖은 분임.
"하느님의 어머니라는 점에서 마리아는 성부와 일종의 인척 관계를 이룬다."(레피시에 추기경 / Cardinal Lepicier)
그러나 '하느님의 따님'이라는 칭호만으로는 성부께 대한 마리아의 관계가 성부의 자녀요 동시에 마리아의 자녀인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하느님께서는 마리아에게 당신 성자와 그 신비체의 지체들을 탄생시키는 능력을 주시기 위하여 피조물에게 허용할 수 있는 최대의 은총을 베푸셨다."(몽포르의 성 루도비코 - 마리아) 성부께 대한 마리아의 관계는 모든 영혼 안에 생명이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근원적으로 항상 있어야 하는 요소이다.
하느님께서는 당신이 베푸시는 은총에 대해서 우리가 감사와 협조로 보답하기를 바라고 계신다. 그러므로 생명의 샘인 이 결합의 관계를
늘 우리의 생각의 주제로 삼아야 한다. 레지오 단원들은 특히 '주님의 기도'를 바칠 때 이와 같은 지향을 두어야 한다. 이 기도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친히 지으셨으므로 올바른 것들을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간구하는 기도이다. 이 기도를 가톨릭 교회의 정신으로 정성을 다하여 바친다면, 영원하신 성부께 영광을 드리고 성모 마리아를 통하여 우리에게 주시는 하느님의 넘치는 은총에 대하여 감사하는 목적을 완전히 달성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성모 마리아께 대한 우리들의 신심이 얼마나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성부 성자 성령께서 우리에게 몸소 보여 주신 바를 생각해 보면 잘 알
수 있다. 즉, 천주 성부께서는 성모 마리아를 통해서 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인류에게 보내셨고 지금도 계속 보내고 계신다. 또한 천주 성부께서는 성모 마리아에 의해서만 당신의 자녀들을 만들어 내시며 당신의 은총을 내려 주신다. 성자께서도 성령과 온전히 일치하고 계신 성모 마리아를 통해서만 오늘날도 매일 탄생하시고, 각 영혼들 안에서 새롭게 나타나시며, 오직 성모 마리아를 통해서만 자신의 공로와 은총을 분배하신다. 성령께서도 성모 마리아를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를 탄생시키시며, 성모 마리아에 의해서만 신비체의 지체를 만드시고, 당신 은총의 선물을 나누어 주신다. 이와 같이 천주 성삼께서 여러 가지 길로 확실한 표본을 보여 주셨는데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성모 마리아를 무시하거나, 성모 마리아를 통하지 않고 천주 성삼께 일치하려 하거나, 성모 마리아께 자신을 봉헌하여 스스로 성모 마리아의 소유물이 되지 않고서 천주 성삼께 봉사하겠다고 하니, 우리의 눈이 어두운 탓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몽포르의 성 루도비코 - 마리아 : 복되신 동정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 140)
제 8 장 레지오 단원과 성체
1. 미사 성제
레지오에서 단원의 성화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앞에서 강조한 바 있다. 단원 자신이 성화되지 않고서는 값있는 활동을 하기 어려
우며, 더욱이 레지오 단원이 다른 사람들에게 은총을 전달 할 때에는 자신이 지닌 은총만큼만 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레지오 단원은 마리아를 통하여 성령으로 가득 차고, 이 땅의 모습을 새롭게 하시는 성령께서 권능을 행사하시는 데 자신을 도구로 써 주시도록 간청하면서 단원 생활을 출발해야 할 것이다. 우리가 이렇게 간구하는 은총은 갈바리아에서 십자가에 못박히신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으로부터 흘러나오며, 이 희생은 미사를 통하여 인류 가운데 계속된다. 미사는 단순히 과거를 상징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주 예수님께서 갈바리아에서 완성하시고 세상을 구원하신 그 숭고한 행위를 우리 가운데 실제로 있게 하는 것이다. 십자가상 제사와 미사를 비교하여 어느 한쪽이 다른 쪽보다 더욱 가치가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이 두 제사는 오직 하나의 동일한 희생 제사이며, 다만 전능하신 분의 손길이 시간과 장소를 다르게 정해 놓으셨을 따름이다. 미사에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느님께 바치신 모든 것과 인류를 위해 얻어 주신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고, 미사에 참례한 신자들이 바치는 제물은 그리스도께서 바치시는 위대한 제물과 하나가 된다. 그러므로 단원이 자신과 다른 이들을 위해 풍성한 구원의 은총을 나누어 받기를 원한다면, 그가 의지할 곳은 바로 미사이다. 레지오는 저마다 다른 형편과 사정을 고려하여 단원들에게 평일 미사를 의무로 부과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단원 자신과 자신의 활동을 위해 자주, 가능하면 매일, 미사에 참례하고 영성체하기를 간곡히 당부한다.
레지오 단원들은 성모님과 일치하여 활동을 수행하며, 특히 성찬식에 참례할 때 성모님과 더욱 일치해야 한다.
우리가 알고 있듯이, 미사는 말씀의 전례와 성찬의 전례라는 두 중요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두 부분은 서로 너무나 밀접하
게 연관되어 오직 하나의 흠숭 행위를 이루는 것이다.(전례 헌장 56) 그러므로 신자들은 하느님 말씀의 식탁과 그리스도 성체의 식탁이 함께 마련되는 미사에 처음부터 끝까지 참례함으로써, (말씀을 통해) 가르침을 받고 (성체를 통해) 영혼을 살찌게 한다.(전례 헌장 48, 51)
"미사 성제를 통하여 우리는 십자가의 희생을 단지 하나의 상징으로 기억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갈바리아의 제사는 시간을 초월하는
하나의 위대한 현실로서 바로 현재 안으로 들어선다. 시간과 공간은 사라지고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그 예수님께서 여기에 현존하신다. 모든 신자들은 주님의 거룩하신 희생의 의지와 일치하여 자신 앞에 계신 예수님을 통하여 자신을 살아 있는 제물로서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봉헌한다. 그러므로 거룩한 미사는 엄청난 실체적 체험이며, 골고타를 현실로서 체험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슬픔과 통회, 사랑과 헌신, 영웅심과 희생정신의 물줄기가 제대로부터 흘러내려 기도하는 신자들을 적시며 흐른다."(칼 아담 / Karl Adam : 가톨릭 신앙의 정신)
2. 말씀의 전례
미사는 무엇보다도 믿음의 잔치이며, 이 믿음은 하느님의 말씀을 통해 우리 안에 태어나고 성장한다. 여기서 우리는 미사 경본의 '총지침'에 나와 있는 말을 상기해 보기로 한다. "성당에서 성서가 봉독될 때는, 하느님 자신이 당신 백성에게 말씀하고 계시는 것이며, 말씀 안에 현존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복음을 선포하고 계시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느님 말씀을 봉독하는 것은 전례의 가장 중요한 요소에 속하며, 참석한 모든 사람들은 경외심을 가지고 그 말씀을 경청해야 한다."(미사 경본 '총지침' 9) 강론 역시 매우 중요하다. 강론은 주일이나 축일 미사 때 필수적이지만, 평일 미사에도 강론이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사제는 강론을 통하여 미사에 참례하고 있는 신자들의 신심을 키우기 위해 교회의 가르침에 비추어 그 말씀을 설명해 준다. 우리가 말씀의 잔치에 참여할 때에는 성모님을 우리의 본보기로 삼아야 한다. 성모님은 하느님의 말씀을 믿고 정성을 다해 받아들이셨으며, 바로 그러한 믿음이 하느님의 어머니가 되는 관문이요 통로가 되셨기 때문이다.(마리아 공경 17)
3. 성모님과 일치하는 성찬의 전례
우리 주님께서는 어머니께 엄숙히 동의를 구하거나 흔쾌히 승낙을 받지 않고서는 당신의 구속 사업을 시작하지 않으셨다. 갈바리아에서
의 구속 사업 역시 성모님이 주님 곁에 계셨고 동의해 주셨기 때문에 완성될 수 있었다. "성모님과 그리스도의 이와 같은 고통과 의지의 결합으로 성모님은 주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흘리신 거룩한 피와 죽음으로 얻어 주신 모든 은총을 온 인류에게 나누어 주고, 잃어버린 세상을 되찾는 일을 맡으신 가장 가치 있는 분이 되신 것이다."(교황 비오 10세 AD 9) 성모님은 온 인류를 대표하여 갈바리아에서 예수님의 십자가 곁에 서 계셨고, 지금도 새로운 미사가 봉헌될 때마다 똑같은 상황에서 구세주의 봉헌이 이루어지고 있다. 성모님은 전에 십자가 곁에 서 계셨던 것처럼 지금 제대 곁에 서 계신다. 성모님은 태초에 예언된 뱀의 머리를 바수는 여인으로서 늘 제대 옆에서 예수님을 돕고 계신다. 그러므로 우리가 미사에 올바로 참례하기 위해서는 미사 중에 반드시 성모님을 사랑하는 마음을 곁들여야만 한다.
갈바리아에는 성모님과 더불어 로마 군단을 대표하는 백인 대장과 그의 병사들도 있었다. 그들은 그들이 영광의 주님을 십자가에 못박고
(1 고린토 2, 8) 있다는 사실은 정녕 모른 채, 주님께서 자신을 제물로 바칠 때 슬픔을 느끼며 거기 함께 있었다. 그런데 놀랍고도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그들 위에 은총이 쏟아져 내린 것이다. 이 일에 대하여 베르나르도 성인(St. Bernard)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보라, 신앙의 눈이 얼마나 깊고 날카롭게 꿰뚫어 보는지를! 갈바리아에서 그 신앙의 눈은 백인 대장으로 하여금 죽음 속에서 생명을 볼 수 있게 하였으며, 꺼져 가는 숨결 속에서마저 그분이 바로 지극히 높으신 분이심을 알아볼 수 있게 한 것이다."그들 손에 희생된 처참한 시신을 보면서 로마 병사들은 "이 사람이야말로 정말 하느님의 아들이었구나!"(마태 27, 54) 하고 부르짖었던 것이다. 사납고 거칠기로 소문난 로마 병사들의 이러한 회두는 성모님의 기도가 거둔 뜻밖의 순간적인 결실이었다. 이들은 인류의 어머니가 갈바리아에서 처음으로 맞아들인 별난 자녀들로서, 어머니께서 '레지오'라는 이름에 호감을 가지게 된 것은 틀림없이 이들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레지오 단원들이 성모님의 의향과 일치된 협조자로서 매일 미사에 참례할 때, 성모님은 이들을 당신께로 불러 모으시어, 신앙의 예리한 눈을 갖게 해주시고 넘쳐 흐르는 어머니의 사랑을 베풀어 주신다. 그러므로 단원들은 갈바리아의 숭고한 희생 제사가 실제로 다시 펼쳐지는 미사에 진실된 마음으로(무한한 은총을 느끼며) 참례해야 할 것이다.레지오 단원들은 미사 중에 하느님의 아들이 제물로 봉헌되시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그들 자신을 성자와 일치시켜 오직 하나의 제물이 되도록 해야 한다. 미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임과 동시에 단원 자신의 산 제사이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단원들은 그리스도의 흠숭하올 성체를 받아 모셔야 한다. 이 거룩한 희생 제사의 열매를 완전히 거두어 들이기 위해서는 제물이 되신 그분의 거룩한 몸을 반드시 사제와 함께 나누어야 하기 때문이다.
레지오 단원들은 이 거룩한 신비 속에서 새로운 하와이신 성모님의 본질적 역할, 즉 '사랑하는 당신 아드님께서 십자가의 제대 위에서 인
류 구원 사업을 완성하고 계실 때, 어머니께서는 아드님 곁에 서서 함께 수난을 겪으시고 함께 구속 사업을 수행하고 계셨음'(비오 11세)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레지오 단원이 미사를 마치고 제대를 떠난 후에도 성모님은 단원들과 함께 하시며, 은총을 나누어 주는 사업에 단원들을 참여하게 하시어, 단원들이 만나서 활동하는 모든 영혼에게 무한한 구원의 보물을 아낌없이 나누어 주게 하신다.
"그리스도 교인들은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태어나신 그리스도의 몸이 현존하는 성찬의 전례, 즉 구원의 신비를 기념하는 전례를 통하여 성
모님의 모성을 특별히 이해하고 체험하게 된다. 그리스도 교인들의 신앙심은 복되신 동정 성모님께 대한 신심과 성체 신심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언제나 바르게 이해해 왔다. 이러한 사실은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의 전례나 수도 단체들의 전통을 통해서 또는 젊은이들을 위한
영성 운동을 비롯하여 현대의 여러 다양한 영성 운동과 성모 성지에서의 독특한 전례 행위 등을 통해서도 역력히 드러난다. '성모님은 신
자들을 성체께로 인도하신다.'"(구세주의 어머니)
4. 우리의 보화인 성체
성체는 은총의 중심이며 원천이다. 그러므로 성체는 레지오 조직의 머릿돌이 되어야 한다. 우리가 아무리 열성적으로 활동을 한다 해도,
레지오 활동의 주목적이 성체께서 모든 이의 마음을 다스리시도록 해 드리는 것이라는 사실을 한 순간이라도 잊는다면, 우리가 설사 누구보다도 더 열심히 활동하였다 하더라도 가치 있는 일을 한 것은 아무것도 없게 된다. 왜냐하면, 성체께서 사람들의 마음 안에 계시며 그 마음을 다스리실 때 비로소 예수님께서 세상에 오신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 세상에 오신 목적은 세상 사람들에게 당신을 나누어 주시어 그들을 당신과 하나가 되게 하시려는 것이었다. 이 나눔은 주로 성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빵이다. 이 빵을 먹는 사람은 누구든지 영원히 살 것이다. 내가 줄 빵은 곧 나의 살이다. 세상은 그것으로 생명을 얻게 될 것다."(요한 6, 51)성체는 무한한 은총이다. 예수님께서 나자렛 성가정이나 예루살렘의 다락방에 계셨던 것과 똑같이 이 성체성사 안에 실제로 계시기 때문이다. 성체는 단순히 예수님을 상징하거나 주님께서 권능을 행사하시는 데 쓰시는 도구가 아니라, 실체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시다. 그러므로 예수님을 낳으시고 기르신 성모님은 "흠숭하올 성체 안에서 태중의 복되신 아드님을 다시 뵈옵고 성체성사 속에 현존하시는 주님과 일치하는 삶 속에서 베들레헴과 나자렛에서의 행복했던 시절을 항상 새롭게 하셨다."(성 베드로 율리아노 에이마르 / St.
Peter Julian Eymard)예수님을 특별한 힘을 지닌 사람보다 조금 더 나은 존재로밖에 여기지 않는 사람들조차도 예수님을 존경하고 본받으려 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니 만약 이러한 사람들이 주님을 좀더 높이 받든다면 주님께 더 많은 것을 드릴 것은 분명한 일이다. 그렇다면 신앙을 지닌 우리들은 과연 무엇을 해 드려야 하는가? 주님을 믿는다고 하면서도 신앙을 실천하지 않는 가톨릭 신자들이 무슨 변명을 할 수 있겠는가? 가톨릭 신자들은 믿지 않는 사람들까지도 숭배하는 주님을 성체 안에 살아 계시는 모습으로 언제라도 자유로이 모실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신자들은 언제라도 주님께 나아갈 수 있으므로 매일이라도 영혼의 양식으로 주님을 받아 모실 수 있으며, 또한
마땅히 그렇게 해야 한다.이러한 점들을 미루어 볼 때, 우리가 그처럼 빛나는 유산을 소홀히 함은 얼마나 슬픈 일인가! 성체에 대한 믿음을 지닌 이들은 죄짓지 않도록 힘써야 하며, 지각 없는 행동으로 그들의 영혼에 절대로 필요한 생명소를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우리 주님께서 이 세상에 오신 첫 순간부터 마음속에 넣어 두셨던 생각이 바로 이 영혼의 양식을 마련하시는 일이었다. 베들레헴('빵의 집'이란 뜻)에서 태어나셨을 당시 주님께서는 갓난아기로 밀짚 위에 누워 계셨는데, 주님 자신이 바로 '하늘의 밀'이셨기 때문이었다. 주님께서는 사람들을 당신과 하나 되게 하고 당신 신비체 속에서 일치를 이루게 하기 위해서 하늘의 빵이 되시도록 예정되어 있었던 것이다.
성모님은 이 신비체의 어머니이시다. 일찍이 성모님은 그리스도이신 아기 예수님을 돌보는 일에 여념이 없으셨던 것처럼 이제는 그 신비
체의 어머니로서 전과 다름없이 지체(肢體)들인 우리를 양육하고 싶어하신다. 하늘의 빵으로 양육되어야 할 당신의 아기들이 성체를 받아 모시지 않아 영적으로 완전히 굶주리고 심지어는 죽기까지 하는 것을 보실 때, 어머니의 마음은 얼마나 고통스러우시겠는가. 영혼을 돌보시는 성모님의 모성에 동참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성모님과 일치하여 어머니이신 성모님의 고통을 함께 나누고, 성체를 받아 모시지 않는 현상을 없애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레지오 단원들은 성체성사에 대한 지식과 사랑을 일깨우고 인간을 성체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죄와 냉담을 없애기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하여 활동해야 한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받아 모시는 성체는 참으로 헤아릴 수 없는 큰 은혜가 된다. 이처럼 성체는 영혼 하나하나를 통하여 전체 그리스도 신비체를 양육하며 신비체의 지체들인 우리의 '몸과 지혜가 날로 자라면서 하느님과 사람의 총애를 더욱 많이 받게'(루가 2, 52) 하는 것이다.
"구원 사업에 있어서 어머니와 아드님의 일치는 갈바리아에서 그 절정에 이릅니다. 그 곳에서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을 하느님께 올리는
'흠 없는 제물'(히브 9, 14)로 내어 놓으셨고, 성모님은 십자가 곁에 서서(요한 19, 25 참조) 당신 외아드님과 함께 심한 고통을 당하셨습니다. 성모님은 아드님의 희생 제사에 모성애로 동참하셨고, 당신 자신이 낳으신 아드님을 제물로 봉헌하는 데 사랑으로 동의하셨으며, 당신 자신마저도 영원하신 아버지께 봉헌하셨던 것입니다. 거룩하신 구세주께서는 십자가의 제사를 영원히 지속시키기 위하여 주님의 죽음과 부활을 기념하는 성체성사를 세우셨고, 이를 배필이신 교회에 맡기셨습니다. 그리하여 교회는 특히 주일마다 신자들을 불러 모아 주님께서 다시 오실 때까지 주님의 파스카를 거행하는 것입니다. 교회는 하늘의 성인들, 특히 복되신 동정녀와의 통공 안에서 이 파스카를 거행하며, 이로써 그분의 불타는 사랑과 흔들리지 않는 신앙을 본받게 되는 것입니다." (마리아 공경 20)
제 9 장 레지오 단원과 그리스도 신비체
1. 이 교리는 레지오 봉사의 기초이다
맨 처음 레지오 단원들이 가진 회합에서는 그들이 시작하고자 하는 봉사 활동이 단순한 선행의 차원을 넘어서서 초자연적인 성격을 지녀
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레지오 단원이 사람들을 접촉할 때에는 당연히 친절해야 하나, 단지 그 정도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그들이 만나는 사람들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뵐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너희가 여기 있는 형제 중에 가장 보잘것없는 사람 하나에게 해준 것이 바로 나에게 해준 것이다."(마태 25, 40) 하신 주님의 말씀에 따라, 그들이 활동중에 만나게 되는 사람들, 특히 가장 약하고 미천한 이들에게 베푸는 것이 바로 우리 주님께 베풀어 드리는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도록 했다. 첫 회합 때와 마찬가지로 지금도 레지오에서는 이 점을 대단히 중요하게 여기며, 모든 단원들이 이 활동의 초자연적 동기를 바르게 이해하고 레지오 봉사의 기초로 삼도록 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원리를 바탕으로 레지오는 규율을 유지하고 단원들간에 서로 조화를 이루게 된다. 또한 이 원리 안에서 레지오 단원은 간부와 동료 단원들 안에 계신 그리스도를 뵙고 존경하게 된다. 이 놀라운 변화의 진리, 즉 인간과 인간 사이의 행위를 하느님께 드리는 행위로까지 높여 주는 이 원리를 단원들의 마음속에 깊이 새겨 두기 위해 레지오는 이를 상훈(常訓)에 넣어 쁘레시디움의 매달 첫 주회합에서 낭독하도록 하고 있다. 이 밖에도 상훈은 레지오의 또 다른 중요한 활동 원리에 대해 강조하고 있는데, 단원들이 활동을 할 때는 반드시 성모님과 일치하겠다는 정신으로 나서야 하며, 성모님이 실제로 단원들을 통해 활동하신다는 원리를 말하고 있다.
레지오 조직의 기초가 되는 이 원리들은 그리스도 신비체 교리에서 나온 것이며, 신비체 교리는 바오로 성인이 쓴 서간문의 주제를 이루
고 있다. 그런데 이 교리는 주님께서 바오로 성인에게 직접 가르쳐 주셨으며, 그를 개종까지 시키지 않으셨던가! 갑자기 하늘에서 빛이 번쩍 하자, 그리스도인들을 박해하던 바오로는 앞이 보이지 않아 땅에 쓰러졌다. 그때 그는 놀라운 음성을 들었다. "사울아, 사울아, 네가 왜 나를 박해하느냐?" 사울이 "당신은 누구십니까?" 하고 물으니 "나는 네가 박해하는 예수다."라고 대답하셨다.(사도 9, 4-5) 이 말씀은 놀랍게도 바오로 사도의 영혼에 불을 놓았고, 그가 이 말씀의 진리에 대해 항상 말하고 글로써 쓰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들었던 것이다.
바오로 성인의 가르침에 따르면, 그리스도와 세례를 받은 신자들의 일치는 마치 한 몸에 붙어 있는 머리와 그 지체(肢體)들이 일치하고 있
는 것과 같다. 각 부분은 저마다 독특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어떤 부분은 더 귀중하고 어떤 부분은 그보다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신체의 모든 부분은 서로 의존하며, 하나의 생명이 신체의 모든 부분을 함께 살린다. 다른 모든 부분이 아무리 훌륭해도 어느 한 부분이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면 전체가 어려움을 겪게 되고, 반대로 어느 한 부분이 뛰어나면 다른 모든 부분은 그 덕을 본다."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며, 만물을 완성하시는 분의 계획이 그 안에서 완전히 이루어진다."(에페 1, 23) 즉, 그리스도는 이 몸의 머리요 우두머리이시며 없어서는 안 될 완전무결한 부분으로서, 다른 모든 부분은 이 곳으로부터 힘과 생명을 나누어 받는다. 우리는 세례를 받음으로써 더할 수 없이 밀접한 관계로 그리스도께 결합된다. 그러므로 이 신비체를 비현실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성서에 분명하게 표현되어 있듯이,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들이다."(에페 5, 30) 지체와 머리, 그리고 지체와 지체 사이에는 서로 사랑하고 섬겨야 하는 신성한 의무가 있다.(1 요한 4, 15-21 참조) 우리 몸에 붙어 있는 모든 부분들이 각기 어떤 일을 맡아 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면 그리스도 신비체 안에서 지체들인 우리가 이행해야 하는 의무를 생생하게 알 수 있게 되며, 알았다면 이미 절반 정도는 이 의무를 이행한 셈이다.
이 신비체 교리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중심 교리이다. 신자들의 영성 생활과 그들이 누리는 모든 은총이 그리스도께서 당신 구원 사업을
통해서 얻어 주신 열매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와 교회가 함께 하나의 신비체를 이루고 있으므로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속죄 행위, 즉 십자가 수난의 무한한 공로가 지체들인 우리 믿는 이들에게 돌아온다는 사실이 구원 사업의 바탕이다. 바로 이것이 우리 주님께서 인간을 위해 고통을 당하시고 당신이 범하지도 않은 죗값을 치르시게 된 이유이다. 즉,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몸인 교회의 구원자로서 그 교회의 머리가 되시는 것'(에페 5, 23)이다. 그러므로 신비체의 활동은 그리스도 자신의 활동이며, 그 지체인 신자들은 그리스도 안에 융합되어 그 안에서 살고 고통받고 죽으며 그리스도의 부활로 다시 살아난다. 세례성사는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거룩함이 그 지체들의 영혼 안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긴밀하게 맺어 준다. 그러므로 영혼은 세례성사를 통해서 거룩하게 변화된다. 다른 성사들, 그 중에서도 특히 성체성사는 신비체의 지체와 머리이신 그리스도 사이의 일치를 더욱 강화시키는 일을 한다. 그 밖에 그리스도와의 일치를 더욱 깊게 해주는 요소로서 믿음, 사랑의 실천, 교회 공동체 안에서의 상호 봉사와 일치, 올바르게 바쳐진 수고와 고통, 그리고 그리스도 신자다운 생활 속의 모든 행위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일들을 성모님과 한마음이 되어 행한다면 그 효과는 훨씬 더 확대될 것이다.
성모님은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어머니이시며, 동시에 그 지체들의 어머니이시기 때문에 가장 훌륭한 일치를 이루도록 만들어주신다. "우
리는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들이다."(에페 5, 30) 그러므로 우리도 그리스도의 실질적이며 완전한 어머니이신 성모님의 자녀들이다. 성모님이 존재하시는 유일한 목적은 '전체 그리스도'를 잉태하여 탄생시키는 것이다. '전체 그리스도'란 머리이신 그리스도와 한 몸이 되어 각 지체가 자기 구실을 다함으로써 각 마디가 서로 연결되고 얽혀 있는 신비체(에페 4, 15-16 참조)를 가리킨다. 성모님은 이 신비체의 생명이시며 영혼이신 성령의 협조와 권능으로 이 일을 성취하신다. 그리하여 우리의 영혼은 어머니이신 성모님의 품 안에서 보살핌을 받으며 그리스도와 함께 그리스도 안에서 자라나고, "성숙한 인간으로서 그리스도의 완전성에 도달하게 된다."(에페 4, 13)"하느님의 구원 계획에서 성모님은 다른 어떤 존재와도 구별되는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신다. 성모님은 그리스도 신비체의 지체들 가운데서 당신만의 특별한 자리를 차지하고 계시는데, 그것은 머리이신 그리스도 다음의 자리이다. 하느님의 섭리하심으로 이루어진 '전체 그리스도' 안에서 성모님은 그 몸 전체의 생명과 밀접히 관계되는 기능을 수행하신다. 즉, 성모님은 신비체의 심장이시다. 그런데 베르나르도 성인의 말에 의하면, 성모님은 신비체 안의 머리와 몸을 연결시켜 주는 목과도 같은 역할을 하신다. 이러한 비유는 신비체의 머리와 그 지체들 사이에서 중재하시는 성모님의 보편적인 역할을 매우 적절하게 강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목이라는 말은 성모님이 지니신 막중한 영향력이나 우리 안에 초자연적 생명이 움직이도록 하는 데 있어서 하느님 다음 가는 능력을 지니신 성모님의 역할을 적절히 표현하기에는 심장보다는 못하다. 목은 다만 연결시켜 주는 부분에 지나지 않으며, 생명을 주도하거나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다. 이와는 달리 심장은 먼저 생명을 풍부히 받아들인 다음 온몸에 고루 분배하는 생명의 저장소이다."(뮈라 / Mura : 그리스도 신비체)
2. 성모 마리아와 그리스도 신비체
성모님은 아들이신 예수님을 실제로 기르고 보살피고 사랑하는 일을 직접 맡아 하셨다. 지금도 성모님은 가장 미소한 형제로부터 신분이
높은 사람에 이르기까지 그리스도 신비체의 모든 지체들을 일일이 돌보는 일을 하고 계신다. 그러므로 '모든 지체가 서로 도와'(1 고린 12,25) 일치를 이룰 때, 우리가 혹 무지하거나 소홀하여 성모님의 존재를 미처 깨닫지 못할 경우가 있더라도 결코 성모님과 떨어져서 독자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신비체를 위해 온 힘을 쏟으시는 성모님의 일에 지체로서 자신의 노력을 합치는 것이다. 성모님은 이미 신비체의 지체들을 보살펴 오셨다. 예수님을 잉태하신 순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성모님은 이 일을 하시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쁘시다. 그러므로 엄밀히 말하자면, 레지오 단원들이 성모님께 도움을 청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성모님이 당신의 일을 도와 달라고 단원들을 부르시는 것이다. 영혼을 보살피는 일은 성모님의 특별하고 고유한 일이므로, 성모님이 은혜로이 허락하지 않으시면 사실상 아무도 그 일에 참여할 수가 없다. 이웃을 위해 봉사하려는 이들 가운데 아직도 성모님의 지위와 특권을 좁게 생각하는 이가 있다면, 이 신비체 교리에 나타난 논리적인 결론에 주목하기 바란다. 더욱이 이 그리스도 신비체 교리는 성서를 받아들인다고 고백하면서도 하느님의 어머니를 무시하거나 비난하는 사람들에게 교훈을 준다. 이러한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어머니를 사랑하셨고 어머니께 순종하셨으므로(루가 2, 51), 우리 또한 신비체의 한 지체로서 예수님께서 보여 주신 모범을 본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너희는 …… 부모를 공경하여라."(출애 20, 12) 하느님께서 내리시는 이 분부를 받들어 우리 모두는 성모님께 자녀로서의 효성을 드려야 하며, 성모님을 복되다고 일컬어야 한다.(루가 1, 48 참조)
성모님과 함께 하지 않고서 어느 누구도 이웃을 위해 올바로 봉사할 수 없듯이, 성모님이 의도하시는 바를 어느 정도라도 따르지 않고서
는 이 봉사의 의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가 없다. 성모님과 가까워질수록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섬기라(1 요한 4, 19-21 참조)는 하느님의 가르침을 더욱 완벽하게 실천할 수 있게 된다.
그리스도 신비체 안에서 레지오 단원들이 특별히 담당해야 하는 역할은 이웃을 인도하고 위로하며 깨우쳐 주는 일이다. 그런데 이러한 역
할은 신비체로서의 교회의 위치를 바르게 알지 못하고서는 제대로 수행할 수가 없다. 교회의 입장과 특권, 일치, 권위, 성장, 고통, 기적, 승리, 은총과 죄의 용서 등, 이 모든 것을 올바로 이해하는 길은 오로지 그리스도께서 교회 안에 살아 계시며 교회를 통하여 당신의 사명을 계속 수행하고 계신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이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삶과 그 삶 안에 펼쳐졌던 모든 것을 그대로 다시 보여 준다.
신비체의 머리이신 그리스도께서는 교회의 구성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신비체 안에서 각자 주어진 역할을 다하라고 부르신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사도적 권고'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민족들로부터 불러 모으신 형제 자매들에게 당신의 성령을 주시어 그들로써 신비로이 당신 몸을 형성하셨다. 이 몸 안에서 그리스도의 생명이 신자들에게 나누어지는 것이다. …… 사람 몸의 지체는 여럿이지만 모든 지체가 한 몸을 이루듯이, 신자들도 그리스도 안에서 그러하다.(1 고린 12, 12 참조) 즉, 그리스도께서 신비체를 건설함에 있어서도 모든 지체들은 서로 다르고 그 기능 역시 각기 다른 것이다. …… 이와 같이 주님의 영은 서로 다른 지체들에게 극히 다양한 은사(恩赦)들을 주시어, 신비체 안에서 각기 다른 형태의 봉사와 직무를 맡도록 우리들을 초대하신다."(평신도 그리스도인 20)고 밝히고 있다.
레지오 단원들이 이 신비체의 생명 안에서 어떤 특별한 기능을 맡아 해야 하는가를 알아보려면 성모님을 바라보아야 한다. 성모님은 그리
스도 신비체의 심장이시기 때문이다. 우리 몸안에서 심장이 맡아 하는 역할처럼 성모님은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피를 정맥과 동맥을 통하여 신비체의 모든 부분에 고루 보내시고, 이로써 신비체가 생명을 얻고 자라게 하신다. 성모님은 무엇보다도 사랑으로 이 일을 수행하신다. 그러므로 레지오가 성모님과 일치하여 사도직을 수행할 때, 단원들은 그리스도 신비체의 심장으로서 이토록 중요한 역할을 하시는 성모님과 하나가 되어야 한다.
"눈이 손더러 '너는 나에게 소용이 없다'고 말할 수도 없고, 머리가 발더러 '너는 나에게 소용이 없다'고 말할 수도 없는 것이다."(1 고린
12, 21) 이 말씀을 통하여 레지오 단원들은 사도직 안에서 자신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아야 한다. 단원들이 그리스도와 한 몸을 이루고 의지하는 것처럼, 신비체의 머리이신 그리스도께서도 참으로 레지오 단원들에게 의지하신다. 그러므로 주님이신 그분이 단원들에게 "내가 영혼을 구하고 성화시키는 일에 그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씀하고 계실 것임이 틀림없으리라. "나는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내 몸으로 채우고 있다."(골로 1, 24)는 바오로 성인의 말은 바로 머리이신 그리스도께서 몸인 우리들에게 의지하고 계신다는 사실을 말해 주는 것이다. 이 놀라운 표현은 그리스도께서 하시는 일이 어떤 면으로든 완전하지 못하다는 뜻이 아니라, 다만 신비체의 각 지체는 자신의 구원과 다른 영혼들의 구원을 위해 각자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필립 2, 12 참조)는 원리를 강조하는 것이다.
레지오 단원들은 이 원리로부터 단원 각자가 그리스도 신비체 안에서 담당하고 있는 숭고한 소명이 무엇인지 깨달아야 한다. 그 소명이란
주님께서 당신 사명을 수행하시는 데 필요로 하시는 것을 우리가 채워 드리는 일이다. 어둠 속에 있는 이들에게 빛과 희망을, 괴로워하는 이들에게는 위로를, 죄로 죽은 영혼들에게 생명을 가져다주는 일에 그리스도께서 우리 레지오 단원들을 쓰시려 하시다니, 이 얼마나 가슴 벅찬 일인가? 두말할 나위 없이 우리 레지오 단원들은 머리이신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어머니께 바쳤던 그 숭고한 사랑과 순종을 정성껏 본받아야 하며, 또한 이를 신비체 안에서 그대로 실천하도록 힘써야 한다.
"바오로 성인이 그리스도의 고난을 자신의 몸으로 채우고 있다고 확언하였으니, 우리도 다음과 같이 진실하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예
수 그리스도의 지체이며 그리스도와 은총으로 일치하고 있는 참된 크리스천은 모든 행동을 예수 그리스도의 정신으로 하여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세상에서 평온히 지내시는 동안에 몸소 하셨던 행동을 지속시키며 완성한다. 그러므로 신자들이 기도를 바치는 행위는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서 사시는 동안 바치셨던 기도를 이어 바치는 것이며, 신자들의 활동은 예수님께서 당신 자신의 삶과 말씀을 통하여 미처 다 하시지 못한 일들을 보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두 그리스도가 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수없이 많은 그리스도가 현세의 우리 안에 생활하고 활동하며, 거룩하신 하느님의 뜻에 따라 예수님의 정신을 실천하며 수난을 겪어야 한다."(성 요한 유드 / St. John Eudes : 예수님의 왕국)
3. 신비체 안에서 겪는 고통
레지오 단원은 활동 중에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데, 특히 고통받는 이들과 긴밀히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단원들은 세상이 '고통'이
라고 하는 문제에 대해서 깊이 알고 있어야 한다. 평생 동안 고통의 짐을 지지 않는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다. 그러나 모두가 고통을 거부하며 고통에서 벗어나려고 발버둥친다. 그러다가 혹 그것이 불가능한 일임을 알게 될 때, 영혼은 때때로 고통에 짓눌리고 급기야는 좌절하게 되며, 구원 계획도 차질을 빚게 된다. 옷감을 짤 때 씨실과 날실이 교차하며 서로 보완하듯이, 모든 성공적인 삶에도 고통의 자리가 있게 마련이다. 현실의 고통이 인간의 삶을 가로막고 방해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인간은 이 고통을 통해서 완성에 이른다. 성서의 가르침대로, 우리는 "그리스도를 믿을 특권뿐만 아니라 그분을 위해서 고난까지 당하는 특권, 곧 그리스도를 섬기는 특권을 받았으며"(필립 1, 29) 또한 "우리가 그분과 함께 죽었으니 그분과 함께 살 것이고, 우리가 끝까지 참고 견디면 그분과 함께 다스리게 될 것"(2 디모 2, 11-12)이기 때문이다.
십자가는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죽는 순간을 잘 드러내고 있다. 신비체의 머리이신 그리스도께서는 십자가 위에서 피를 흘리며 구원 사
업을 마치셨다. 십자가 아래에는 너무도 상심하여 더 이상 삶을 지탱하기도 힘들 것처럼 보이는 한 여인이 서 계신다. 이 여인이 바로 구원을 주시는 그리스도의 어머니요 동시에 구원받는 이들의 어머니이시다. 십자가의 피는 오늘날 온 세상에 아낌없이 뿌려져 있으며 결국 이 피로써 세상은 구원받았다. 그런데 이 피는 당초 이 여인의 혈관으로부터 흘러나온 것이다. 이제 이 고귀한 성혈은 신비체를 통하여 흐르며 신비체의 모든 빈자리를 생명으로 채워 넣는다. 그러나 우리가 이 은총을 누리려면 성혈의 흐름이 어떤 결과를 가져다주는가를 올바로 이해해야만 한다. 고귀한 성혈이 영혼 안에 흘러 들어오면 영혼은 그리스도를 닮게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그리스도는 온전한 그리스도이시다. 즉, 베들레헴이나 타보르에서 드러나신 환희와 영광의 그리스도이실 뿐만 아니라 갈바리아에서 십자가에 매달려 돌아가신 고통과 희생의 그리스도이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모든 면을 받아들여야 하며, 자신의 취향대로 그리스도 안의 어느 한쪽 면만을 골라 선택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성모님은 환희 속에서 주님을 잉태하시던 순간에 이미 이 사실을 온전히 깨닫고 계셨다. 성모님은 당신이 오직 기쁨의 어머니로서만 부르심을 받은 것이 아니라 슬픔의 여인이 되리라는 것도 아셨다. 그러나 성모님은 언제나 자신을 온전히 하느님께 맡겨 왔으므로 하느님의 뜻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었다.
이렇듯 성모님은 하느님의 섭리하심을 충분히 알고 계셨으므로, 당신의 몸을 통해 이 세상에 오신 예수님의 탄생이 드러내는 모든 것을 기꺼이 받아들이셨다. 아드님과 함께 기쁨을 누리는 것은 물론 고통도 기꺼이 함께 하셨다. 그 순간 두 분의 성심은 하나가 될 만큼 온전히 일치하여 신비체 안에서 신비체를 위하여 두 분의 맥박은 함께 고동치고 있다. 성모님은 모든 은총의 중재자, 곧 우리 주님의 지극히 고귀한 성혈을 받아 담으시고 나누어 주시는 영신적 그릇이 된 것이다. 우리는 성모님의 자녀로서 성모님이 보여 주신 모든 것을 그대로 따라야 한다. 어떤 사람이 하느님께 어느 정도 쓸모 있는 사람인지를 알아보려면 그가 예수 성심께 얼마나 가까이 일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된다. 성혈의 원천은 예수 성심이며, 예수 성심과 일치함으로써 예수 성심으로부터 성혈을 퍼 올려 다른 영혼들에게도 나누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가 그리스도 생애의 두 요소(고통과 영광) 중 어느 한쪽 면만을 받아들여서는 그리스도께 온전히 일치할 수가 없다. 그리스도의 성심 성혈과의 일치는 오직 당신 생애의 모든 요소를 동시에 받아들임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영광스런 왕의 모습은 환영하면서 십자가 위에서 고통받는 인간 예수의 모습을 외면한다면, 이는 헛되고 가치 없는 일일 따름이다. 이 두 다른 모습이 합하여 오직 한 분이신 그리스도를 이루기 때문이다. 고통의 인간 예수와 함께 하지 않는 사람은 주님의 구원 사업에 아무런 역할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뒤에 이어질 영광도 차지하지 못하고 만다.그러므로 고통은 언제나 하나의 은총이다. 고통은 (신체적으로) 병을 고쳐 주거나, (정신적으로) 힘을 북돋아 준다. 고통은 결코 죄에 대한 벌이 아니다. "고통은 병을 고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우리가 고통을 겪을 때 벌을 받고 있는 것이 아님을 깨달아야 한다."고 아우구스티노 성인(St. Augustine)은 말했다. 한편, 우리 주님이
겪으신 고통은 죄 없는 사람과 성스러운 사람들의 몸 안으로 흘러 넘쳐 들어가 그들이 더욱 완전히 그리스도를 닮도록 측량할 수 없는 특
전을 베풀어 준다. 이처럼 고통을 함께 섞고 나누는 일은 모든 고행과 보속의 근본이 되는 것이다.
쉬운 예로, 사람 몸 안에서 피가 움직이는 것을 보면 왜 고통이 필요하며 그 역할이 무엇인지 더욱 뚜렷이 알 수 있다. 손목에서 뛰고 있는
맥박은 바로 심장의 고동이다. 심장으로부터 흐르는 더운 피가 손안에 흐르는 것이다. 즉, 손은 몸의 일부로서 몸과 하나를 이루고 있다. 손이 차가워지면 혈관이 수축되어 피의 흐름이 지장을 받게 되며, 손이 더욱 차가워지면 동상에 걸리게 되고 세포가 죽기 시작하여 손은 생기를 잃고 쓸 수 없게 된다. 그런 손은 죽은 것과 같아서 그대로 두면 결국 썩어서 잘라내야 한다. 이와 같이 동상에 이르는 여러 단계는 그리스도 신비체의 지체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신앙 상태를 잘 보여 준다. 신비체의 지체가 거기서 흘러나오는 고귀한 성혈을 받아들일 수 없을 정도로 차가워지면, 썩어서 잘라내야 하는 팔다리처럼 죽을 위험에 놓여 있는 것이다. 동상에 걸린 손발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누구나 다 잘 알고 있다. 물론 다시 생기를 찾게 하기 위하여 피를 순환시켜 주어야 한다. 수축된 혈관에 피를 밀어 넣는 일은 고통스러운 과정이지만, 그것은 바로 희망과 기쁨의 징조이다. 신앙 생활을 하는 대부분의 신자들은 사실상 동상을 입지 않은 팔다리와 같다. 설사 다소 차가운 상태에 있는 신자의 경우라도 대부분 자만심 때문에 자신들이 동상을 입었다고 여기는 일이 거의 없다. 이들은 주님께서 주시고자 하는 만큼 주님의 성혈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주님께서는 이들에게 당신의 생명을 억지로라도 밀어 넣어 주시는 것이다. 주님의 성혈이 흘러 들어가면서 이들의 오므라진 혈관을 억지로 넓히게 되므로 고통이 따른다. 이것이 바로 삶의 고통이다. 그러므로 고통이 가지는 이러한 의미를 알게 된다면 그 고통을 기쁨으로 바꿀 수 있지 않겠는가? 고통을 느낀다는 것 자체가 그리스도께서 내 가까이 현존하심을 느끼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이 겪어야 할 고통을 모두 겪으셨다. 당신이 받아야 할 고통은 조금도 모자람이 없이 다 받으셨다. 그렇다면 주
님의 고통이 다 끝났다고 할 수 있는가? 그렇다. 머리로서의 고통은 끝났다. 그러나 몸의 고통은 그대로 남아 있다. 그러므로 몸의 고통을 아직도 겪고 계시는 그리스도께서 인류를 위한 당신의 속죄 행위에 우리도 함께 참여하기를 바라시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우리가 그리스
도와 한 몸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함께 참여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이고 지체이므로, 머리가 겪는 고통을 지체들도 당연
히 참고 견뎌야 하기 때문이다."(성 아우구스티노 / St. Augustine)
제 10 장 레지오 사도직
1. 사도직의 존엄성
레지오 마리애가 단원들에게 이해시키고자 하는 사도직의 존엄성과 그 사도직이 교회에 대하여 지니는 중요성을 설명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권위 있는 선언보다 더 힘찬 말씀은 없다. "평신도의 사도직 수행에 따르는 권리와 의무는 머리이신 그리스도와의 일치로부터 솟아난다. 평신도는 세례성사로써 그리스도 신비체의 지체가 되고 견진성사로써 성령의 힘을 받아 굳건해지므로, 그들에게 사도직 사명을 내리시는 분은 주님 자신이시다. 평신도가 거룩한 백성, 왕의 사제(1 베드 2, 4-10 참조)로 축성됨은 그들의 모든 행위를 영적 제물로 봉헌하고 세상 어디서나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게 하기 위해서이다. 모든 성사, 특히 성체성사는 사도직을 수행하는 모든 영혼 안에 사랑을 심
고 자라게 한다."(평신도 교령 3)"교황 비오 12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신자들은, 더 정확히 말해서 평신도들은, 자신들이 교회 생활의 일선에 서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그들에게 있어서 교회는 인간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근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평신도들은 그들이 교회에 속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이 바로 교회라는 사실을 더욱 명확히 의식하고 있어야 한다. 교회는 모든 신자들의 으뜸인 교황과 교황을 따르는 주교들의 인도를 받는 지상의 신자 공동체이다. 즉, 평신도와 주교와 교황, 이 모든 요소가 바로 교회이다.'"(평신도 그리스도인 9)
"성모님은 인류에게 도덕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신다. 우리가 그분의 영향력을 보다 바르게 헤아리려면 자연 질서 안에서의 물체와 그 구
성 부분을 이어주는 인력, 친화력, 응집력과 비교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 우리는 성모님께서 우리들을 통하여 사회 생활과 그 사회의 참된 문명을 만들어내는 모든 위대한 운동에 참여하고 계신다는 사실을 믿고 있다."(페치탈로 / Petitalot)
2. 가톨릭 공동체와 평신도 사도직
가톨릭 공동체는 사도직 정신을 실천하는 평신도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만큼 건전하다고 말할 수 있다. 사제와 같은 안목을 지니고 사람
들을 사제에게로 이끌어 들이며 그들을 가까이에서 지도할 수 있는 평신도들이 많을수록 건전하다는 것이다. 사제와 신자들 사이에 이와 같은 온전한 일치가 이루어질 때 가톨릭 공동체는 더욱 튼튼해진다.사도직의 근본 정신은 교회의 복지와 교회가 펴는 사업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관심은 참여 의식이 없이는 마음속에서 우러나기가 어렵다. 따라서 사도직 단체는 사도들을 만들어 내는 거푸집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공동체 안에 사도직 정신을 꾸준히 길러 놓지 않으면 교회에 대한 모든 관심과 책임감이 점점 부족하게 되어 다음 세대에 가서는 심각한 문제가 일어난다. 그러한 성숙치 못한 가톨릭 정신으로부터 무슨 좋은 열매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 세상이 평온하여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면 몰라도, 그와 같이 어린 가톨릭 정신으로는 교회를 안전하게 지키기도 힘들 것이다. 역사를 보면 가톨릭 정신으로 무장되어 있지 않은 무기력한 무리들은 사나운 이리떼가 쳐들어와 그들의 목자들이 짓밟혀도 꽁무니를 빼거나, 아니면 그들 자신이 쉽게 이리떼의 밥이 되고 말았다는 사실을 가르쳐 주고 있다. 뉴만 추기경(Cardinal Newman)은 "어느 시대에 있어서나 가톨릭 정신의 잣대는 평신도였다."라고 그 원리를 밝힌 바 있다.
"레지오 마리애의 위대한 기능은 평신도의 성소 의식을 일깨우는 것이다. 우리 평신도들이 교회를 성직자나 수도자와 동일시하여 하느님께서 그들에게만 성소를 주셨다고 생각하는 것은 위험 천만한 일이다.
평신도들은 자신도 모르게 스스로를 한낱 이름없는 군중으로 여겨 최소한의 규정된 의무를 지키기만 하면 구원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주님께서 당신의 양들을 하나하나 불러내어 데리고 나가신 것(요한 10, 3)을 잊고 있는 것이다. 우리들처럼 주님께서 수난당하신 갈바리아의 현장에 있지 않았던 바오로 성인이 '지금 내가 살고 있는 것은 나를 사랑하시고 또 나를 위해서 당신의 몸을 내어 주신 하느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으로 사는 것이다.'(갈라 2, 20)라고 한 말을 잊고 있는 것이다. 우리들은 예수님처럼 동네 목수이거나 아니면 주님의 어머니처럼 검소한 주부로서 모두 성소를 받아, 한 사람 한 사람이 하느님께 사랑과 봉사를 드리고 어떤 일을 맡아 하도록 개별적으로 '부르심'을 받고 있다. 이렇게 각자에게 맡겨진 일은 설사 남이 더 훌륭히 해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남이 대신해 줄 수는 없는 일이다. 나 이외에는 아무도 나의 마음을 하느님께 드릴 수가 없고, 나의 일을 대신할 수가 없다. 이것은 신앙에 대한 매우 소중한 개인적 자각이며, 레지오는 단원들에게 바로 이러한 올바른 신앙관을 심어 준다. 따라서 각 단원은 결코 수동적이거나 기계적인 자세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각자는 하느님을 위한 존재가 되어 무엇인가 해야 한다. 아무리 평범한 인생이라 하더라도 이제 신앙은 옆으로 미루어 놓을 문제가 아니라 그의 삶에 영감을 불어넣어 주는 중요한 요소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각자가 부르심을 받았다는 확신이 서게 되면, 사도직 정신으로 채워지고, 그리스도의 사업을 도우려는 열망으로 스스로가 또 하나의 그리스도가 되어 그분의 가장 보잘것없는 형제들 안에서 주님을 뵈옵고 섬기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레지오는 수도 단체에 갈음하는 평신도 단체로서, 평신도 생활 속에 완덕을 향한 그리스도교적 이상을 불어넣어 오늘날 세속 세계 안에서 그리스도 왕국을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몬시뇰 알프레드 오래힐리 / Msgr. Alfred O'Rahilly)
3. 레지오와 평신도 사도직
다른 여러 원리와 마찬가지로 사도직도 그 자체로서는 다소 냉정하고 추상적인 것이다. 그래서 사도직이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하
고 평신도들은 그들에게 맡겨진 거룩한 사명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여, 심한 경우에는 사도직을 수행할 능력이 없다고 생각할 위험성마저 있다. 그렇게 되면 교회가 펴고 있는 싸움에서 평신도가 반드시 맡아야 할 고유한 역할을 포기하는 비참한 결과를 낳게 된다.이러한 문제를 올바로 판단할 수 있는 분으로서 아프리카 주재 교황 사절이었고 그 후 중국에서 교황 대사를 지낸 리베리 추기경(Cardinal Riberi)의 말씀을 들어 본다.
"레지오 마리애는 참으로 매력적인 형태의 사도직 활동이다. 레지오는 활기에 찬 모습으로 모든 사람들을 끌어들이며, 교황 비오 11세가
정하신 방법, 즉 하느님의 동정 성모께 온전히 의지하는 방법으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레지오는 단원의 질적인 면을 중시하여 이를 밑바탕으로 삼으며, 단원 수를 늘리는 데에도 요긴하게 이 방법을 활용한다. 레지오 마리애는 많은 기도와 자기 희생, 정밀한 조직 체계, 그리고 사제와의 온전한 협력을 통하여 튼튼해진다. 레지오 마리애야말로 현 시대의 하나의 기적이다."레지오는 정해진 규율에 따라 사제에게 존경과 순명을 드리지만, 단순히 그 정도로 그치지는 않는다. 이는 레지오 사도직이 사제가 집전하는 미사와 성사를 가장 중요한 은총의 수로로 삼고 있음을 보아도 알 수 있는 일이다. 레지오의 모든 노력과 활동의 방법은 병들고 굶주린 이들에게 하느님께서 허락하신 생명의 양식을 가져다주려는 데 있다. 그러므로 레지오 활동의 근본 원리는 이러한 사람들에게 사제를 모셔다 드리는 일이 되어야 한다. 물론, 항상 사제를 직접 모셔 가기는 사실상 힘들고 거의 불가능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레지오가 할 일은 사제의 영향력이 어느 곳에나 미치도록 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사제가 하는 일을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이다.이것이 레지오 사도직의 기본 사상이다. 레지오는 평신도를 그 단원으로 삼아 사제들과 일치하고 사제들의 지도를 받아 사제들과 전적으로 똑같은 관심을 지니고 활동하게 한다. 레지오는 사제들의 노력을 보완하고 사람들의 삶 속에 사제가 차지하는 자리를 넓혀, 사람들이 사제를 받아들임으로써 마침내 이들을 보내신 하느님을 받아들이도록 온갖 열성을 다 바치는 것이다.
"정말 잘 들어 두어라. 내가 보내는 사람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나를 받아들이고 또 나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나를 보내신 분을 받아들인
다."(요한 13, 20)
4. 사제와 레지오
일손을 돕고자 모여든 열심한 신자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사제의 모습은 바로 우리 주님께서 보여 주신 모습이다. 주님께서는 온 세상을
회개시키려고 준비하실 때 당신이 뽑은 사람들을 주위에 불러 모아 가르치시고 당신의 정신을 넣어 주셨다. 이와 같이 주님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은 사도들은 그 가르침을 배운 대로 실천에 옮겨, 그들을 도와서 영혼을 구하는 일에 나설 사람들을 모두 불러 모았다. 비싸르도
추기경(Cardinal Pizzardo)이 지적한 바와 같이, 가장 먼저 로마에 예수 그리스도를 알려 로마가 어머니 교회로 자리 잡도록 씨를 뿌린 사
람들은 아마도 성령께서 내려오시던 날 사도들의 강론을 들은 '로마에서 온 나그네들'(사도 2, 10)이었을 것이다. 그 뒤 베드로와 바오로 두 분 성인이 로마에 가서 정식으로 교회를 세우게 된 것이다.
"만일 열두 사도들이 '우리는 하늘의 보화를 간직하고 있소. 이 보화를 두루 전파하는 일을 도와 주시오.'라고 말하면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주위에 있는 사람들을 불러 모으지 않았더라면, 사도들만으로는 이 드넓은 세상에서 아무런 일도 하지 못하였을 것이다."(교황 비오 11세 / Pius XI)온 세상을 회두시키는 일에 주님과 사도들이 보여 주신 모범을 모든 사제들이 그들의 작은 세계, 이를테면 본당, 교구 또는 특수 사목 활동 등을 통해서 본받아야 한다는 것을 다른 교황님의 일화를 들어 강조하고자 한다.
"어느 날 추기경들과 함께 한 자리에서 성 비오 10세 교황께서는 '지금 이 세상을 구원하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오?'라
고 물으셨다. 추기경 한 분이 '가톨릭 학교를 세우는 일입니다.'라고 대답하자 다른 추기경이 '아닙니다. 성당을 배로 늘리는 일입니다.'라고 말했다. 세 번째 추기경이 '아닙니다. 오히려 사제 양성을 위해서 신학생 모집 인원을 늘리는 일입니다.'라고 주장하였다. 그러자 교황은 '아니오, 그렇지 않소.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각 본당에 덕망 있고 명석하고 결단력과 참다운 사도직 정신을 지닌 평신도들이 있어야 하는 것이오.'라고 말씀하셨다.이 교황은 그의 말년에 이르러, 열심한 평신도들을 훈련하여 말과 행동으로 좋은 표양을 보이게 하며 사도직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야말로 세상을 구원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 분은 교황이 되기 이전에 여러 교구에서 사목하는 동안, 본당 신자 교적부보다는 사도직을 수행할 능력이 있는 신자 명단을 더욱 중요시하였다. 이분은 어느 계층에서든지 이런 선택된 평신도들을 모을 수 있다고 믿고 있었으며, 사제들을 평가할 때 그들이 이 점에 쏟은 열성과 노력으로 얻은 성과를 기준으로 삼았었다."(쇼타르 / Chautard : 사도직의 정신)
"사람이 되신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신비체를 이 세상에 남겨 둘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셨다. 그렇지 않았더라면 주님의 사업은 갈바리아에
서 끝나고 말았을 것이다. 주님의 수난은 인류에게 구원을 얻어 줄 수 있는 가치를 지녔지만, 막상 십자가로부터 생명을 가져다줄 교회가 없었다면 과연 몇 사람이나 하늘나라를 얻을 수 있었겠는가? 그리스도께서는 특별한 방식으로 당신을 사제와 일치시키신다. 사제는 영혼들 안에 초자연적 생명의 피를 퍼올려 주는 보조 심장과 같다. 사제는 그리스도 신비체의 각 지체들을 영신적으로 서로 연결시켜 주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부분이다. 만일 사제가 실수하게 되면 그 연결 체계가 막히게 되어, 사제에게 의지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리스도께서 주시려는 생명을 받지 못하게 된다. 사제와 신자들과의 관계는 일정한 범위 안에서 그리스도와 교회와의 관계와 같아야 한다.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또다른 모습이며, 결코 단순한 고용인이나 추종자나 문하생이나 후원자가 아니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생명을 지니고 있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활동을 거들어 드린다. 그들은 그리스도와 같은 마음으로 모든 것을 대해야 한다. 사제들은 가능한 모든 면에서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어야 한다. 그리스도는 당신을 위해 신비체를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기셨으므로 사제도 이와 똑같이 해야 한다. 그러므로 사제 역시 자신을 위해 하나로 일치하고 있는 신자들이 있어야 한다. 자신과 일치를 이루고 있는 살아 있는 신자들이 없는 사제는 활동이 보잘것없게 되고, 고립되어 아무런 희망도 가질 수 없을 것이다. '눈이 손더러 너는 나에게 소용이 없다고 말할 수도 없고, 머리가 발더러 너는 나에게 소용이 없다고 말할 수도 없다.'(1 고린토 12, 21)그러므로 만일 주님께서 그리스도 신비체를 영혼들에게 이르는 당신의 길이요 진리요 생명의 원리로 삼으셨다면, 이와 동일한 질서가 새로운 그리스도인 사제를 통하여 정확히 작용하게 될 것이다. 만일 어느 사제가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4, 12 참조)에서처럼 그리스도 신비체를 완전히 세우는 일에 맡은바 열성을 쏟지 않는다면, 그리스도의 생명이 영혼들 안에 들어가 결실을 맺는 일이 줄어들게 될 것이다.더구나 그러한 사제는 아무런 힘을 쓰지 못하게 되고 만다. 머리가 하는 일은 몸에 생명을 주는 일이지만 머리는 몸의 생명 때문에 살아 있으므로, 결국 머리의 생명은 몸의 생명이 커지면 더불어 커지고, 몸이 시들면 더불어 쇠퇴하여 아무런 힘을 쓸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사제 직분의 이런 원리를 파악하지 못하는 사제는 평생 그의 능력의 일부밖에는 쓰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그가 그리스도 안에서 부여받은 참된 사명은 그리스도를 위해서 땅 끝까지 헤쳐 나가는 일이 아니던가."(뤼플리 신부 / Fr. F. J. Ripley)
5. 본당에서의 레지오
"현재의 상황으로 볼 때 평신도들은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비신자들 및 신앙을 포기하거나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생활을 소홀히 하는 사람들을 향한 공동체적 선교 열정을 다시 일깨우기 위해 각자의 본당에서 참다운 친교의 성장에 매우 힘써야 한다."(평신도 그리스도인 27)레지오 마리애를 설립하게 되면 본당 안의 참된 공동체 정신이 크게 성장한다. 레지오를 통하여 평신도들은 본당 안에서 사제와 일치하여 사목적 활동에 동참하는 일에 익숙해진다. 정기적인 주 회합을 통하여 여러 가지 본당 활동을 조절하는 것은 그 자체로서 이점이 있다. 그런데 특히 강조하는 바는, 본당 활동에 참여하는 신자들을 레지오 단원으로 만들어 영적인 성장을 통해 본당이 성체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임을 알게 한다면, 이들은 이러한 본당 공동체의 건설을 위하여 지역 안의 모든 사람들을 보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찾아나서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본당에서 레지오 사도직을 수행하는 방법은 제37장 [활동의 예와 방법]에 설명되어 있다.
"사제들은 평신도 사도직을 자신들이 수행하는 사목 활동의 확고부동한 부분으로 여겨야 하며, 신자들은 이를 크리스천 생활의 의무로 여
겨야 한다." (교황 비오 11세 / Pius XI)
6. 높은 이상과 진취적 행동의 견인차인 레지오
진리의 수호자인 교회가 몸을 사리고 틀에 박힌 모습만을 보인다면, 이로써 교회는 오히려 진리를 위태로운 상태로 몰아넣게 되는 것이
다. 젊은이들이 그들의 순수하고 활동적인 이상을 순전히 세속적인 단체나 심지어 반종교적인 조직에서 찾으려는 습성에 물들게 되면 무서운 해악을 입게 되며, 다음 세대에까지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레지오는 조직의 사업 계획을 수행하는 데 진취적인 노력과 희생 정신을 발휘하여 이상과 행동이라는 두 낱말이 교회의 가르침에 따라 쓰여지도록 힘써 도와야 한다.그런데 이기주의로 가득 찬 요즘 세상에 레지오 단원으로서의 무거운 짐을 지려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라는 반대 의견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생각은 옳지 않다. 하찮은 활동에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응답하지만 대부분 곧 식어 버려 아무런 흔적도 남지 않으나, 큰일을 하도록 부름받고 이에 응하는 사람은 비록 소수이지만 그들은 끝까지 견뎌내 그 정신은 다른 사람들에게 점점 널리 알려지게 된다.
레지오의 쁘레시디움은 이러한 점에서 사제를 돕는 강력한 단체이며, 사제가 돌보아야 할 사람들, 즉 복음화하는 일에 쓸 힘센 도구의 역
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제는 일주일에 한 번씩 주회합에 참석하여 단원들을 지도하고 격려하며 영성을 높이는 데 사용하는 한 시간 반 정도의 시간으로, 모든 물리적 제약을 초월하여, 단 한 번으로 여러 곳을 방문하여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려 다양한 이야기를 듣고 그들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쁘레시디움을 지도하는 데서 얻는 효과만큼 사제의 열성이 확실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법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사제가 레지오 단원들로 무장을 하게 되면 (단원들이 비록 막대기, 가죽 주머니, 돌팔매 끈, 자갈 따위의 볼품 없는 도구에 지나지 않을지는 모르나, 성모님이 그들을 하늘의 무기로 만드셨기에) 사제는 또 하나의 다윗이 되어, 죄악과 불신이라는 교만한 골리앗을 반드시 무찌를 수 있다는 확신을 지니고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여러분의 신앙을 확고히 하고 승리를 보장하는 것은 물질적 힘이 아니라 영신적인 힘이다. 위대한 사람만이 큰일을 하는 것은 아니다. 보라, 베들레헴 성지는 얼마나 작은 마을이었던가! 그런데도 온 세상을 굴복 시켰다. 아티카(Attca)는 얼마나 초라한 고장ㅇ었던가! 그런데도 훌륭한 여러 현인들을 배출하지 않았는가! 모세, 엘리아, 다윗, 바오로, 아타나시오, 레오가 바로 그 분들이다. 은총은 언제나 몇 안 되는 사람들의 공로로써 얻어진다. 이 몇 안 되는 사람들의 날카로운 통찰력, 확고 부동한 신념, 굽힐 줄 모르는 의지력, 순교자의 피, 성인들의 기도, 영웅적인 행위, 집중적으로 쏟아내는 한마디 말이나 시선의 힘이 바로 하늘나라가 쓰는 도구인 것이다. 그러니 작은 이들이여, 두려워하지 말라. 여러분 가운데 계시는 하느님께서는 전능하신 분이시고, 여러분을 위하여 큰일을 하실 것이기 때문이다."(뉴만 추기경 Cardinal Newman : 가톨릭 신자의 현 위치)
7. 단원 양성을 위한 도제 제도
사도 양성을 거론할 때면 일반적으로 강의를 듣고 교재를 공부하는 정도로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레지오는 활동이 따르지 않는 사도 양
성이란 있을 수 없다고 믿는다. 실제로, 활동을 떠나서 사도직을 논하는 것은 그 의도와는 반대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활동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논의할 때에는 먼저 활동의 어려움을 설명해 주고, 어려운만큼 높은 정신력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알게 하며, 동시에 수준 높은 활동이 어떠한 것인지를 제시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새로 입단한 단원들에게 활동을 소개할 때, 실제 모범을 보여 줌으로써 그들의 능력으로 충분히 해낼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 주지는 않고 말로만 설명한다면, 그들로 하여금 두려움을 갖게 하여 활동을 못하게 만들 뿐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강의 제도는 이론이나 지식의 힘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배출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게 되면 사람들은 대개 보잘것없는 일이나 개인 접촉을 꾸준히 해야 하는 일에 몸 바치기를 꺼려하게 된다. 그러나 사실상 평신도 사도직의 모든 일들이 대개 이렇게 사소해 보이는 실질적인 활동에 달려 있기 때문에, 레지오는 이러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이다.레지오가 단원 양성에 쓰는 방법은 도제제도(徒弟制度)이다. 이 제도는 어떤 직종이나 기능 분야에서도 예외 없이 쓰이는 이상적인 훈련 방식이라고 레지오는 주장한다. 지루한 강의 대신 스승이 제자에게 활동거리를 내놓고, 시범을 통하여 활동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하고, 실제로 함께 해 나가면서 드러난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하여 설명해 준다. 제자는 스스로 그 활동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가운데 고쳐 나가게 된다. 이러한 훈련을 통하여 유능한 단원을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단원들을 교육하기 위한 강의가 실시될 때에는 모든 강의는 활동 그 자체를 바탕으로 하여 진행되어야 하며, 강의 내용 한마디 한마디가 실제 활동과 연결되는 것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강의 제도는 결실을 맺지 못한다. 강의 내용을 기억하기란 쉽지 않다. 정규 학생들마저도 강의 내용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는 실정
아닌가?또다른 측면에서 볼 때, 강의 제도를 이용하여 신자들을 사도직 단체에 이끌어 들이고자 한다면, 가입하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몇 안 될 것이다. 사람들은 대개 학교를 졸업하면 공부가 끝난 것으로 생각하고 있고, 특히 단순한 사람들은 비록 종교를 강의하는 곳이라 하더라도 교실 같은 장소로 돌아가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이 사도직 학습 제도가 널리 호응을 받지 못하는 이유이다. 레지오는 이보다 더 간단하고 심리적인 방법을 이용한다. 그 방법은 단원들이 '우리가 하는 일에 참여하여 함께 일해 봅시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강의실로 가는 것이 아니라, 자기들과 비슷한 사람들이 이미 하고 있는 일에 참여만 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자기들도 능히 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그 단체에 쉽게 가입하게 된다. 가입한 후 선배 단원들이 활동하는 모습을 보고 들으며 스스로 참여함으로써 가장 좋은 활동 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의견을 배우고 익혀, 얼마 가지 않아서 능숙한 솜씨를 발휘하게 된다.
"레지오는 가끔 그 단원들의 경험이 부족하던가 또는 단원들에게 열심히 공부하도록 강조하지 않는다는 비난을 듣는다. 이에 대한 대답은
다음과 같다. (가) 레지오는 더 유능한 단원들이 공헌할 수 있도록 이들을 조직적으로 활용한다. (나) 레지오는 극단적으로 공부를 강조하지는 않으나, 단원들이 각자의 고유한 사도직에 알맞게 쓰이도록 힘쓴다. (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목표는 레지오가 일반 신자들에
게 '자, 어서 레지오에 들어와 당신의 재능을 조금만 보여 주시오. 그러면 우리는 그것을 성모님을 통하여 더욱 크게 하고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 쓰이도록 가르쳐 드리겠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레지오가 역량 있는 사람들의 단체일 뿐만 아니라, 낮고 힘없는 사람들의 단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토마스 오프린 신부 / Fr. Thomas P. O'Flynn, C.M. / 꼰칠리움 전 지도신부)
제 11 장 레지오의 기본 요소
1. 개인 성화 - 그 목적과 방법
레지오 마리애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편적이고도 필수적인 방법은 단원 한 사람 한 사람의 봉사이다. 각기의 단원들은
성령의 도우심으로 얻게 되는 하느님의 은총을 원동력으로 맡은 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레지오는 이 봉사를 통하여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는 일과 영혼들을 구원하는 일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는다. 그러므로 개인 성화야말로 레지오가 단원들에게 적극 권장하는 으뜸가는 실천 방법이다.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다. 누구든지 나에게서 떠나지 않고 내가 그와 함께 있으면 그는 많은 열매를 맺는다.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요한 15, 5)
"이 거룩한 공의회가 교회의 신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듯이, 교회는 틀림없이 거룩하다. 성부와 성령과 더불어 '홀로 거룩하시다'고 칭송
받으시는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당신의 신부로 삼아 사랑하셨고, 교회를 거룩하게 하기 위하여 당신 자신을 바치셨으며(에페 5, 25-26),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 교회를 당신과 결합시켜 당신 몸으로 삼으시고 성령의 특은으로 가득 채워 주셨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느님의 뜻은 여러분이 거룩하게 되는 그것입니다.'(1 데살 4, 3 ; 에페 1, 4 참조) 하신 사도 바오로의 말씀대로 성직자나 성직자의 사목을 받는 평신도가 모두 다 성화의 성소를 받은 것이다. 교회의 이 거룩함은 성령께서 신자들 안에서 만들어 주시는 은총의 열매로서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나타나야 한다. 거룩함은 신자들이 각자의 삶을 살아가는 중에 사랑의 완덕을 지향하면서 남들이 거룩하게 자라도록 도와 주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나는데, 흔히 '복음화'라고 불리는 교회의 권유를 실천하는 데에서 특히 그 독특한 모습을 드러낸다. 성령께서 움직이시는 대로 많은 크리스천들이 개인적인 생활 형태를 통해서 또는 교회가 인정하는 생활 형태 안에서 복음적 권유를 실천하는 일은 이러한 거룩함을 증거하고 모범을 보여 주는 것이며 또한 마땅히 그래야 한다." (교의 헌장 39)
2. 강력한 질서 체계
엄청난 힘을 만들어 내는 천연 자원이라도 그대로 버려두면 아무 쓸모가 없게 되고 만다. 이와 마찬가지로 열성을 바르게 조절하지 못하
거나 정열을 방임하게 되면, 내적으로나 외적으로 큰 성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오래 지탱하지도 못한다. 레지오는 이러한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단원들에게 활동을 수행하라고 강조하기에 앞서 삶의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레지오는 규칙의 힘을 바탕으로 강력한 질서 체계를 마련하여 단원들이 모든 세부 규칙을 철저히 지켜 나가는 정신을 지니도록 하고 있다. 바로 이것이 다른 단체에서 조직원들에게 단순히 규칙을 지키라고 권장하거나 알아 둘 사항 정도로만 여기는 것과는 아주 다른 레지오만의 특징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레지오는 단원들이 크리스천의 완덕을 꾸준하고 뚜렷하게 쌓아 나가도록 바탕을 마련해 준다. 여기서 말하는 크리스천의 완덕이란 믿음, 성모님께 대한 사랑, 대담성, 자기 희생, 형제적 우애, 기도하는 마음, 신중, 인내, 복종, 겸손, 기쁨, 그리고 사도적 정신이다.
"'평신도 사도직'이 발전하는 현상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현 시대의 두드러진 특징이며, 이에 참가하는 신자들의 수만 보아도 무한한 잠재력
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큰 운동을 위해 마련되어 있는 규정들은 충분치 않다. 세속을 떠날 수 있는 신자들을 위해 세워진 훌륭한 수많은 수도회에 비하면 세속에 머물러 있는 평신도들을 위한 단체는 아무리 조직이 잘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차이가 너무나 크게
드러난다. 한쪽은 깊이 있고 정확한 지식으로 수도 생활을 택한 이들을 높은 신앙의 경지로 이끄는데, 이와는 대조적으로 다른 한쪽은 그
규정이 얼마나 초보적이고 피상적인가! 대부분의 평신도 단체는 회원들에게 약간의 봉사를 하도록 요구하기는 하지만, 한 주간에 한 번 정도 봉사 활동에 나서도록 하는 정도일 뿐, 그 이상의 보람을 가질 수 있는 역할을 권유하려는 노력은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 그러므로 평신도 단체 역시 차원 높은 개념 설정이 필요하다. 무릇 믿는 이들의 단체는 회원들이 이 세상을 순례하는 데 필요한 지팡이, 즉 영성 생활을 떠받치는 받침대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수도 단체는 활동하는 일반 신자들의 표본이 되어야 하며, 평신도 단체의 경우도 추구하는 이상이 대부분 수도 단체와 같기 때문에 규율이나 규칙이 수도회의 개념에 가까울수록 활동의 수준도 향상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회원들이 지켜야 할 규칙을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정하느냐 하는 어려움이 뒤따른다. 규율이나 규칙은 능률을 올리기 위해서는 필요하지만 지나칠 정도로 엄격하게 될 위험성이 있으며, 그로 인해 단체의 매력을 줄어들게 만든다. 꼭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은, 우리가 달성하려는 평신도 단체의 목표란 영구적인 평신도 단체이지, 어떤 새로운 수도 단체나 간혹 역사에서 보아 왔듯이 결국 수도회로 그 모습이 변해 버린 그런 단체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우리의 목표는 오로지 평범한 생활을 하는 평신도들이 참여하여 효과적인 사도직 활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즉, 평신도들의 생활은
순전히 신앙적인 측면 이외에도 다양한 취미와 욕구가 허용되어야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러한 평신도들의 특성에 알맞는 잘 조직된 단체를 만드는 것이 우리의 목표이어야 한다. 규칙의 수준과 범위는 단체에 가입하려는 일반 신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하며, 물론 그 이하의 수준이 되어서도 안 된다."(미카엘 크리든 신부 / Fr. Michael Creedon : 레지오 마리애 꼰칠리움 초대 영적 지도자)
3. 이상적인 단원
레지오는, 단원이 훌륭한 자격을 갖추고 있는가를 평가할 때, 레지오 조직에 대한 확고한 충성을 기준으로 삼는다. 따라서 레지오는 단원
이 수행한 활동의 결과가 만족스럽다거나 혹은 밖으로 드러나는 성공의 정도가 크다거나 하는 것으로 그 단원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지 않도록 바라고 있다. 쁘레시디움의 영적 지도자와 단장은 이러한 단원 평가 기준에 대하여 모든 단원들이 항상 명심하도록 앞장 서야 한다. 조직에 대한 충성은 능력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누구나 달성할 수 있는 이상이다. 충성이라는 이상이 실현될 때 비로소 단조로움을 벗어나 활동의 재미를 느끼게 되며, 실제로 부딪치거나 또는 예상되는 실패를 극복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처음에는 가장 유망하게 보이던 사도직 활동이라도 어쩔 수 없이 막다른 벽에 부딪치게 되고 만다.
"성모님께 대한 우리의 봉사는 우리가 어떠한 직책을 맡고 있느냐에 따라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성모님께 대한 초자연적인 정신의 깊이
와 열성도에 따라 평가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 말은 우리에게 맡겨진 임무가 아무리 미천하고 드러나지 않는 것이라 하더라도 순명으로 헌신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마리아회 편찬 : 성모학 소론)
4. 으뜸가는 의무
레지오는 조직 안에서 단원이 지켜야 할 으뜸가는 의무가 회합에 참석하는 것임을 가장 우선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회합과 단원의 관계는
마치 돋보기 렌즈와 태양 광선의 관계와도 같다. 돋보기 렌즈의 초점이 태양 광선을 집중시키면 불을 일으키고 가까이 있는 모든 것을 불붙게 만든다. 레지오를 있게 만드는 것은 바로 회합이다. 회합을 통한 결속이 끊기거나 존중받지 못한다면 단원들은 떨어져 나가고 활동을 올바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단원들이 회합을 소중하게 여길 때, 레지오 조직의 힘은 굳세어진다.
레지오의 초창기에 지적되었던 사항들이 오늘날에도 그대로 적용되는데, 레지오의 조직과 이 조직의 핵심인 회합의 중요성에 관해 밝힌
다음과 같은 레지오의 견해가 그러한 예이다.
"레지오 조직 내에서 각 단원은 개인적으로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톱니바퀴의 역할에 만족한다. 각각의 톱니는 독자성을 포기할 때 다른
톱니와 더불어 서로 한 몸을 이루게 되며, 전체 기계의 동작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로써 각각의 톱니는 수백 배의 작업 성과를 올린다. 이와 마찬가지로, 개인으로서는 능률을 내지 못하고 우두커니 서 있을 수밖에 없는 사람들일지라도 한데 어울리게 되면 적극적으로 변하게 된다. 각자는 조직 안에서 자신의 약점을 드러내기 보다는 오히려 장점에서 나오는 열정과 능력으로 조직에 이바지하기 때문이다. 아직 화롯불에 얹어 놓지 않은 숯덩어리들과 화로 안에서 뜨겁게 타고 있는 숯덩어리들을 비교해 보면 개인과 조직의
차이가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 레지오 안에서 단원과 조직의 관계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잘 조직되어 있는 단체는 그 단체를 구성하는 개개인을 떠나서도 스스로 지탱하는 뚜렷한 생명력을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은 새로운 단원들을 끌어들일 때, 그 단체가 펴고 있는 활동의 매력이나 필요성을 보여 주는 것보다도 오히려 더 큰 자석의 역할을 한다. 레지오 조직은 전통을 세우고 충성심을 갖게 하며 존경과 순명을 바치는 단원들에게 영감을 불어넣어 준다. 단원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면 그들이 마치 지혜로운 노모에게 의지하듯이 조직에 의탁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는 당연한 일이다. 레지오가 단원들을 온갖 함정에서 구해 주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함정이란 지나친 열성이 가져오는 경솔한 행동, 실패로 인한 낙심, 성공이 만드는 교만, 자신의 의견이 지지를 받지 못했음에도 끈질기게 집착하는 행위, 외로움에서 오는 소심증, 그리고 대개의 경우 경험 부족으로 인한 온갖 경솔한 행동 등이다. 레지오는 착한 의향을 지닌 신자들을 근본으로 하여 이들을 가꾸고 교육시키며 정상적인 사업 계획에 따라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성장하고 발전한다." (미카엘 크리든 신부, 레지오 마리애 꼰칠리움 초대 영적 지도자)"마리아회는 회원인 우리들과 관련시켜 보면, 천상의 모후이신 성모님을 널리 퍼뜨리고 눈에 보이도록 해 드리는 단체이다. 성모님은 당신의 사랑으로 가득 찬 품에 우리들을 안아 주듯이 우리들을 본회에 받아 주시어 예수님과 닮도록 만들어 주시고, 성모님의 특별한 대우를 받는 자녀가 되게 하셨다. 아울러 성모님은 우리들에게 사도직 활동을 맡겨 주시고, 당신께서 맡고 계시는 사명에 우리가 영혼들의 '공동 구원자'로서 한몫 거들도록 해주신다. 본회의 목적과 이익은 성모님 자신의 목적과 이익에 부합된다."(마리아회 편찬 : 성모학 소론)
5. 쁘레시디움 주회합
쁘레시디움은 풍성한 기도와 신심에 찬 말씨, 감미로운 우애의 정신이 깃든 초자연적인 분위기 속에서 주회합을 갖는다. 또한, 주회합을
통해서 활동을 배당하고 동시에 수행한 활동에 대한 보고를 듣는다. 주회합은 레지오의 심장이며, 이 곳으로부터 생명의 피가 모든 동맥과 정맥의 혈관으로 흘러 들어간다. 주회합은 레지오를 밝히는 전력과 동력을 생산하는 발전소이며, 레지오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들을 제공해 주는 보화의 곳간이다. 주회합은 보이지 않는 하느님께서, 약속하신 대로, 단원들과 더불어 앉아 계시는 위대한 공동체의 수련 도장이며, 주회합을 통해 그분은 우리의 활동에 필요한 독특한 은총을 베풀어 주신다. 또한 각 단원은 쁘레시디움 주회합을 통하여 절제된 신앙 정신이 몸에 배게 되어, 우선 하느님을 기쁘게 해 드리고 개인 성화에 힘쓴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이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데 최선이라고 판단되는 레지오에 마음의 눈을 돌려, 자신의 취향을 억누르고 배당받은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레지오 단원들은 주회합에 참석하는 일이 레지오의 으뜸가는 의무이며 가장 신성한 의무라고 생각해야 한다. 이 주회합 참석의 의무는 무엇으로도 대신 채울 수가 없다. 주회합 참석에 소홀한 단원들의 활동은 마치 영혼이 없는 육체와 같다. 이 으뜸가는 의무를 게을리 하게 되면 어떠한 활동도 성과를 거두지 못하게 되고 곧 레지오 대열에서 탈락하고 만다는 사실은 이치로 보아도 그렇고 이미 경험상으로도 잘 드러나 있다. "성모님과 더불어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 사람들을 향하여 아우구스티노 성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대가 잘 달리기는 하나, 바른길에서 벗어나 있다.' 그러므로 만일 우리가 성모님을 소홀히 한다면, 우리가 도달하는 끝은 어디이겠는가?"(페치탈로 / Petitalot)
제 12 장 레지오의 외적 목표
1. 실제 다루어야 할 일
레지오는 어떤 특별한 일을 하는 데 목표를 두지 않고 단원들을 성화시키는 일을 그 으뜸가는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
하여 레지오는 무엇보다도 먼저 단원들이 레지오의 여러 회합에 참석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레지오의 회합은 기도와 신심이라는 두 요소가 조화를 이루며 동시에 드러나도록 잘 짜여져 있다. 레지오는 단원들을 성화시키기 위하여 독특한 방법을 사용한다. 즉, 단원 각자의 신심이 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사도적 열성과 결합되어 더욱 뜨거워져서, 각자의 내면으로부터 그 거룩함을 스스로 발산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 말은 레지오가 단원 한 사람 한 사람이 이미 쌓아 올린 신앙의 힘을 단순히 이용하려 한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신앙의 열정은 발산하면 할수록 - 일종의 상승 작용에 의해서 - 더욱 커진다. 이 원리에 따라 레지오는 단원들이 스스로 성화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사도직 정신은 사도직 활동을 통하여 가장 뚜렷하게 향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레지오는 쁘레시디움이 배당하는 주간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대단히 중요한 의무로 부과하고 있다. 활동은 순명하는 몸가짐에서부터 비롯된다. 쁘레시디움은, 뒤에 설명하게 될 예외적인 경우를 빼놓고는, 적극적으로 활동한 것이면 무엇이든 해당 단원이 주간 활동 의무를 채운 것으로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레지오는 현실적으로 필요한 일,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일을 주간 활동으로 배당하기를 바란다. 단원들을 열성적으로 활동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활동의 대상도 그 열성에 알맞게 선택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탐탁치 않은 활동은 달갑지 않은 반응을 일으킨다. 그렇게 되면, 영혼들을 위해 자신을 바치고 그리스도의 사랑에 대한 응답으로 이웃을 사랑하며 주님의 고난과 죽으심에 노력과 희생으로 보답하려던 단원들의 마음은 얼마 가지 않아서 움츠러들고 미지근하게 되고 말것이다.
"내가 다시 태어날 때에는 처음 태어날 때처럼 그렇게 쉽지가 않았다. 하느님께서는 말씀으로 만물을 창조하셨다. 그래서 처음에는 나를
단 한마디 말씀으로 만드실 수 있었다. 그러나 나를 다시 만드실 때에는 말씀도 여러 차례 하셨고, 기적도 여러 번 보여 주셨고, 숱한 어려움마저 겪으셔야 했다." (성 베르나르도 / St. Bernard)
2. 더 멀고 큰 목표-지역 사회의 누룩이 되는 일
단원들이 수행하는 주간 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레지오는 그 의무의 완수만으로 단원들이 펴는 사도직 활동의 궁극적인
목표가 이루어졌다고 여기지 않는다. 그러한 활동을 위해서 레지오 단원들은 대체로 한 주간에 두세 시간 또는 그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레지오는 단원들이 활동에 바치는 이러한 시간적 제약을 넘어서서 한 주간의 모든 시간을 레지오의 벽난로에서 타오르고 있는 사도직 불꽃으로 밝혀 주기를 희망한다. 영혼들에게 사도직의 불꽃을 나누어 주는 레지오는 이 세상 방방곡곡에 막강한 군단을 투입해 놓고 있다. 사도직 정신은 우리들의 마음을 지배하는 주인이 되어 우리들의 생각과 말과 행실을 모두 다스리며,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스스로 그 불꽃을 밖으로 드러내 보인다. 사도직 정신이 타오르면, 남을 감화시키는 능력이 다소 부족한 사람이라도 그 능력을 얻게 되므로, 비록 그가 의식적으로 사도직을 추구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죄와 냉담이 사도직 열성이라는 더 큰 힘에 눌려 사라지고 말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이미 수많은 경험을 통해서 잘 알고 있다. 그러므로 장군이 중요한 전투 거점을 장악한 후 만족해 하듯이, 레지오는 가정, 가게, 공장, 학교, 사무실 그리고 그 밖의 일터와 유흥 장소에 까지도 참된 레지오 단원이 적재 적소에 배치되는 것을 보며 흐뭇해 한다. 타락과 불신앙이 최악의 상태로 뿌리 박고 있는 지역이라도, 이른바 또 하나의 '다윗의 탑'이 버티고 있는 한, 죄악은 더 이상 뻗어 나가지 못하며 패배하여 소멸되고 만다. 사도직 정신은 부패가 자라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으며, 그것을 바로잡으려고 노력한다. 부패를 보면 슬퍼하고 기도하며, 단호하고 줄기찬 싸움을 벌임으로써 마침내 승리를 거두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레지오는 우선 단원들을 회합에 한데 모아, 모후이신 성모님과 함께 한마음으로 기도를 바치면서 꾸준히 노력할 것을 다짐한다.
그런 다음 죄악과 슬픔에 찬 곳으로 단원들을 파견하여 좋은 일을 하게 하며, 이렇게 활동하는 동안 사도직 열정에 불이 붙어 더욱더 큰일을 하도록 만든다. 마침내 레지오는 더욱 영광스러운 사명을 완수하기 위한 목표로 일상 생활의 크고 작은 길들을 모두 살핀다. 레지오는 한정된 인원으로 이미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더욱이 레지오 대열에 동참할 만한 인재들이 앞으로도 수없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레지오는 알고 있으므로, 만일 교회의 사목자들이 레지오를 활발히 이용하기만 한다면, 레지오는 죄로 물든 세상을 깨끗하게 만드는 데 신기할 정도로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레지오는 단원의 수를 여러 배로 늘려서 군단이라는 그 이름에서도 드러나듯이, 단원의 수가 끝없이 불어나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우리들의 지역 사회는 대개 적극적으로 활동을 하는 이들과 보조적으로 봉사하는 이들 그리고 그러한 활동의 대상자로서 남아 있는 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 신앙 생활이 나태하거나 타성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사람들도 모두 끌어올려 열심한 신자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마을이나 도시 전체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칠까 생각해 보라. 이 변화의 힘은 단지 교회 안에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한 고장 전체를 이끄는 강력한 힘이 되며, 직접적으로나 또는 성인들의 통공을 통하여 그 충격을 땅 끝까지 보낼 수 있게 된다. 하느님을 위하여 모든 주민들을 조직화한다는 것은 얼마나 이상적인가! 그런데 이 일은 단순히 이상으로만 머무르지 않는다. 이 이상은 우리가 눈을 들어 한동안 하늘을 보며 마음을 모아 두 팔을 벌린다면 현실 세계에서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일이 될 것이다.
"평신도는 진정으로 '선택된 백성, 거룩한 사제'이며, 아울러 '땅의 소금'이며 '세상의 빛'이 되도록 불리었습니다. 평신도들에게 주어진 명
확한 성소와 사명은 그들의 삶을 통하여 복음을 선포하고, 그들이 살아가며 일하고 있는 세상의 현실 속에 복음의 누룩을 집어 넣는 것입니다. 정치, 언론, 과학, 기술, 문화, 교육, 산업이나 직장 등 세상을 이루는 큰 세력들이야말로 바로 오늘날의 평신도들이 그들의 사명을 수행하기에 알맞는 활동 영역입니다. 이러한 세력들이 그리스도의 참된 제자들이며, 동시에 세속 해당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는평신도들에 의하여 인도된다면, 세상은 참으로 그리스도의 구속 은총 안에서 변화하게 될 것입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1979년 10월 아일랜드 리메릭에서 행한 연설 중에서)
3. 모든 이를 하나로 만드는 일
"너희는 먼저 하느님의 나라와 하느님께서 의롭게 여기시는 것을 구하여라."(마태 6, 33) 우리 모두가 영혼들을 위하여 직접 나서야 한다는
이 주님의 말씀은 레지오의 사명을 온전히 드러내고 있다. 뿐만아니라, 레지오는 그 외의 다른 역할도 함께 해 오고 있는데, 레지오가 지니고 있는 사회적 가치가 그 한 예이다. 이 가치는 국가적으로는 자산이 되며, 그 나라의 국민들에게는 정신적인 혜택을 가져다준다.사회라는 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되려면, 일반 기계들이 그렇듯이, 모든 구성 부분들이 조화를 이루며 협동해야 한다. 따라서 기계의 각 부분처럼 각기 다른 역할을 하는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다른 시민들과의 마찰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자신이 맡은 일을 정확히 해 나가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불필요한 힘의 낭비가 생겨 균형이 깨어지고 기계의 모든 톱니바퀴들이 서로 어긋나게 되고 말 것이다. 이렇게 되면 고장의 원인이나 상태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므로 수리가 불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데 더 많은 인력과 비용이 들게 된다. 더욱이 이렇게 얽힌 문제들을 시정하려다 보면, 순수하게 봉사하려는 마음이나 자발적인 협동 정신에 상처를 주게 되어 점점 더 잘못 되어 가는 일도 생긴다. 공동체는 그 자체로서 생명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가령 구성원의 절반이 제대로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 하
더라도 계속 기능을 발휘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러한 공동체는 엄청난 빈곤과 좌절감, 그리고 불행이라는 대가를 치러야 한다. 또한 힘의
원천이어야 할 구성원들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므로 그러한 공동체를 제대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돈과 노력을 쏟아 부어야 한다. 게다가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많은 문제거리나 혼란 또는 위기만 가득하게 된다.
이러한 일들은 오늘날 질서가 가장 잘 잡혀 있다고 하는 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이기주의가 개인의 생활을 지배하고 있고,
증오심은 많은 사람들을 무서운 세력으로 변질시키고 있다. 이에 새로운 나날을 맞이할 때마다 다음과 같은 말이 생생한 진리로 떠오른다. "하느님을 부인하는 사람은 하느님을 배반하는 사람이며, 하느님께서 만드신 모든 사람들과 만물, 즉 땅 위와 천상에 있는 모든 것에 대해서 잘못을 저지르고 있다."(브라이언 오히긴스 / Brian O'Higgins) 국가란 개인의 삶을 합해 놓은 집합체일 따름이다. 따라서 각 개인의 삶이 그렇게 잘못되어 있다면, 그런 개인들이 모여 이루어진 나라가 어찌 높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겠는가? 그리하여 나라 자체가 위기와 어려움에 처해 있는데, 그런 나라가 혼돈 이외에 이 세상에 내놓을 것이 무엇이 있겠는가? 그런데 이러한 위기의 공동체 안에
남을 위해서 희생하고 이웃 사랑이라는 이상을 실천하는 한 무리의 새로운 힘이 일어난다고 생각해보라. 이 새로운 정신과 이상이 마치
공기처럼 공동체의 모든 사람들에게 퍼져 나가게 된다면 얼마나 큰 변화가 일어나겠는가! 염증은 치유되고 삶은 차원이 달라지게 될 것이다. 한 나라가 발전하여 삶의 질이 높아지고, 국민들이 신앙을 생활화하여 모든 문제를 신앙 안에서 해결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 그러한 나라는 틀림없이 세상을 비추는 찬란한 빛이 될 것이며, 세상은 그 나라를 본받으려고 몰려올 것이다.
레지오가 평신도에게 신앙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게 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는 점과 만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강렬한 이상을 전파하
는 힘을 발휘한다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레지오는 그들이 접촉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세속의 분열과 차별이나 상호 반목을 벗어나 오직 인류를 위하여 일하고 사랑하려는 열망으로 활기를 띠게 한다. 이러한 열망은 신앙 안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므로 단순한 감상에 그치지 않으며, 모든 일을 봉사라는 관점에서 생각하도록 만들고 위대한 희생 정신을 이끌어 내며, 영웅적인 경지에까지 이르게 한다. 이 이상은 어느 순간 갑자기 증발해 없어지는 것이 아니다. 왜 그럴까? 레지오는 단원들의 활동에 확실한 동기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모든 힘은 반드시 그 원천이 있다. 그리고 레지오는 사회 공동체를 위하여 봉사하겠다는 강력한 동기를 지니고 있다. 이는 예수님과 성모님께서 일찍이 나자렛 마을의 주민이셨다는 사실로부터 유래한다. 이 두 분은 깊은 신앙심으로 자신들의 마을과 나라를 사랑하셨다. 유다 민족에게 신앙과 조국은 신비롭게도 오직 하나로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예수님과 성모님은 그 고장의 평범한 주민으로서 모든 면에서 어긋남이 없는 생활을 하셨다. 두 분은 고장 사람들과 풍물 하나하나를 모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대하셨다. 예수님과 성모님께서 어느 것 하나 무관심하셨거나 등한히 하셨다고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오늘날의 세상은 바로 이 두 분의 나라이며, 어느 곳이나 두 분이 사셨던 나자렛 마을이다. 더욱이 믿는 이들의 공동체에서는 이 두 분과
주민들과의 관계가 혈육의 관계보다도 더욱 밀접하게 맺어진다. 다만 이제는 이 두 분의 사랑이 공동체 안에서 그리스도 신비체를 통하여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신비체의 지체들인 우리가 자신의 고장을 위해 봉사하겠다는 정신을 드러내기만 하면, 예수님과 성모님께서도 우리 고장에 오시어 영혼들뿐만 아니라 모든 주위 환경에 풍성한 은총을 내려 주신다. 이렇게 되면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은 눈에 띄게 향상되고 문제는 줄어든다. 이러한 진정한 개선 효과는 예수님과 성모님이 아닌 다른 어느 누구로부터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지역 사회 안에서 믿는 이로서의 의무를 다하려는 마음가짐은 조국에 대한 애국심을 더욱 튼튼하게 만든다. 이 조국이라는 낱말은 지도에
나타나 있지 않은 영토를 가리킨다. 그렇다면 참된 애국심이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이 세상에는 애국심을 나타내는 지도나 모델이 없다. 애국심과 비슷한 것이라면 전쟁중에 드러나는 충성과 자기 희생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사랑보다는 미움으로부터 출발하여 파괴를 일삼고 있다고 말함이 타당하다. 따라서 순수한 애국심의 올바른 유형을 마련하는 일이 중요하다.레지오가 '조국에 대한 참된 충성'이라는 제목으로 단원들에게 강조하는 바는 사회 공동체를 위하여 바치는 영성적인 봉사이다. 이러한 봉사는 신앙이 동기가 되어 우러나야 할 뿐만 아니라 그 봉사와 봉사를 통한 모든 접촉 기회를 신앙심을 높이는 데 이용해야 한다. 물질적인 면에 치중하는 봉사 활동은 '조국에 대한 참된 충성'의 전체 취지를 그르치게 한다. 그러기에 뉴만 추기경은 이 충성의 근본 취지를 말하면서, '도덕성이 뒷받침되지 않은 물질적 진보는 결코 있어서는 안 될 위험한 것'이라고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따라서 양자는 반드시 균형을 유지하며 발전해야만 한다. 이 주제에 관한 소책자는 꼰칠리움에서 구할 수 있다.
세상 사람들이여, 보라! 레지오야말로 하느님의 숭고한 사업을 위해 모든 사람을 하나 되게 하는 신비의 기사단이 아닌가? 레지오는 이 기
사단을 언제라도 부릴 수 있게 준비해 두고 있지 않은가? 시인 테니슨은 아더 왕의 무용담에 나오는 기사들의 봉사 정신을 가리켜 "각기 다른 세상의 곳곳에서 기사들을 불러들여, 원탁의 기사로 함께 모았네. 영광의 무리, 사나이들의 꽃, 세상을 가꾸는 무리들의 모범이며, 한 시대를 여는 보람찬 출발이여!"라고 아름답게 읊었다."교회는 '볼 수 있는 영적 공동체'로서 전 인류와 함께 같은 길을 걸으며 세상과 운명을 함께 한다. 교회는 누룩이 되고자 하며, 언제나 그랬듯이 그리스도에 의하여 하느님의 가족으로 새롭게 변화하는 인류 사회의 영혼이다.
본 공의회는 크리스천들이 하늘나라와 이 땅의 백성으로서 복음 정신에 따라 그들의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도록 간곡히 권고한다. 우리는
이 땅 위에 영원한 나라를 가지지 못했으며, 장차 올 나라를 기다리고 있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 때문에 현세의 임무를 등한시해도 좋다고 생각한다면 잘못이다. 왜냐하면, 우리들의 신앙은 각자가 부여받은 사명에 따라 지상에서의 임무를 충실히 이행하도록 강력히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목 헌장 40, 43)
"공의회 교령에서 강조하는 이러한 필요성과 의무에 대한 실제적인 대답은 1960년에 시작된 '조국에 대한 참된 충성'으로 알려져 있는 레
지오 운동에서 볼 수 있다. 이 운동은 이미 상당한 성공을 거두고 있고, 앞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레지오가 현세에 제공하는 것은 특수한 지식이나 뛰어난 기술이 아니고, 일꾼의 숫자가 많은 것도 아니며, 오직 영성적인 활력이라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것이 레지오를 세계적인 단체로 이끌었고, 어떤 분야에서 일하는 하느님 백성이라 해도 그들이 레지오를 올바로 이해하는 안목과 양식을 지니고만 있다면, 그들의 명성을 높이는 데 레지오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모든 것은 반드시 레지오에서 정한 규율과 규칙을 지키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레지오는 세속적인 것을 부추기는 일은 모두 멀리하지만, 위에 언급한 공의회 교령의 가르침에 비추어, 세속에서 일어나는 일에 늘 마음을 써야 한다. 사람은 물질 속에서 살아야 하기 때문에 구원도 물질 세계와 큰 관련을 맺고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토마스 오프린 신부/ Fr. Thomas P. O'Flynn 꼰칠리움 전 영적 지도자)
4. 하느님을 위한 고귀한 사업
오늘날처럼 신앙이 위기에 처해 있을 때에는 기사도 정신이 절실히 필요하다. 세속의 물질주의와 무종교적 세력들이 거대한 힘을 가진 선
전 매체의 도움으로 온 세상을 휩쓸고 삼켜 버릴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엄청난 세력에 비한다면 레지오는 얼마나 온순한 작은 양떼에 불과한가! 그러나 바로 이 점이 우리에게 용기를 준다. 레지오는 지극히 큰 능력을 지니신 동정녀와 결합하고 있는 단원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레지오는 훌륭한 원리 위에 세워져 있으며, 그 원리를 효과적으로 응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전능하신 하느님께서는 레지오 안에서 레지오를 통하여 큰일을 이루고자 하신다고 말할 수 있다.레지오 마리애가 목표로 하는 것은 '오직 한 분이신 지배자시며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유다 1, 4)를 부인하는 다른 무리들이 목표로 하는 것과는 정반대이다. 레지오의 목적이 하느님과 신앙을 모든 영혼들에게 가져다주는 일임에 반하여, 다른 세력들은 그와는 정반대의 일을 성취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레지오가 그러한 불신앙의 제국에 대항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계획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그보다는 훨씬 단순한 동기로 시작되었다. 작은 무리의 사람들이 성모상 둘레에 모여 앉아 "저희를 이끌어 주십시오." 하고 기도드렸다. 성모님과 일치된 그들은 도시의 어느 큰 병원을 방문하기 시작했고, 그 곳에서 그들은 질병으로 신음하고 인생의 파탄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로하면서, 그들 한 사람 한 사람 안에서 성모님이 사랑하시는 아드님을 만났다. 그들은 또한 이 세상에 사는 모든 사람들 안에도 주님께서 계신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들 안에 계시는 아드님을 위하여 성모님이 하시는 어머니 역할에 함께 나서기로 하였다. 그들은 처음에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성모님과 손잡고 소박한 봉사 활동을 펴기 시작하였는데, 어느덧 군단을 이룰 정도로 크게 성장하였다. 이제 레지오는 온 세상에 뻗어나가 모든 이들 안에 계시는 하느님을 사랑하고, 또한 하느님을 위하여 모든 이들을 사랑하는 소박한 활동을 펴고 있다. 이 사랑의 실천은 어느 곳에서나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사로잡는 힘을 드러내고 있다.
세속주의자들도 사람을 사랑하고 사람을 위하여 봉사한다고 선언하기는 매한가지이다. 그러나 그들은 겉만 번듯한 형제적 사랑이라는 거
짓 복음을 퍼뜨리고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말을 믿고 있으며, 오히려 자신들이 지니고 있던 올바른 신앙을 무력하다고 생각하여 버리기도 한다. 그러나 아직 절망적인 상황은 아니다. 이렇게 다른 길로 빠져 나간 수많은 사람들을 다시 신앙으로 돌아오게 하고 또다른 많은 영혼들을 구하는 길이 있기 때문이다. 세상을 다스리는 큰 원리를 적용해 보면 이러한 희망을 가질 수 있다. 아루스의 성자 요한 마리아 비안네 성인(St. John M. Vianney)은 "세상을 가장 사랑하고 그 사랑을 증거하는 사람이 세상을 차지한다."고 말하였다. 세상은 이제, 인류를 위해 보여 주신 예수님의 진정한 사랑을 통해 자라난 참된 신앙을 보며, 마음이 움직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가 세상을 가장 사랑한다는 사실을 확신시켜라. 그러면 그들은 모든 것을 물리치고 참된 신앙으로 돌아올 것이다. 그들은 참된 신앙을 위해서 목숨까지도 바칠 수 있게 될 것이다.
평범한 사랑으로는 사람들의 마음을 그처럼 사로잡지는 못한다. 미지근한 신앙 생활로 자기 자신도 돌보지 못하는 신자 역시 아무런 일을
하지 못한다. 주님이신 그리스도를 온전한 마음으로 사랑하고, 어떠한 계층의 사람들을 보더라도 그들 안에 계시는 주님을 뵙고 사랑하는 사람만이 다른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다. 그런데 그리스도께 대한 이러한 지극한 사랑의 실천은, 이를 지켜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단지 몇 사람의 훌륭한 가톨릭 신자가 보여주는 일시적인 선행 정도로 받아들이게 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되며, 그 선행이 진정한 가톨릭 교회의 특성이라고 인정할 수 있게 될 만큼 적극적인 것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 사랑은 신자들의 일상 생활 속에서 드러나지 않으면 안 된다.이처럼 교회가 신자들을 온통 충천하는 정신으로 불붙게 하는 일은 가능성이 없는 일인가? 과연 그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많은 장애가 앞길을 가로막고 있고, 세속에 젖은 무리의 숫자가 워낙 많아서, 강심장을 지닌 용기 있는 사람이라도 좌절하고 말지도 모른다. 그러나 성모님은 레지오의 심장이시며, 이 심장에는 이루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믿음과 사랑이 담겨져 있다. 따라서 레지오가 성모님을 생각하면서 세상을 바라다보면, 곧 희망이 솟구친다. 세상은 세상을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이 차지한다. 레지오는 처음부터 항상 그렇게 해 왔듯이 '저희를 이끌어 주소서'하며 위대하신 모후께 간청하고 있는 것이다.
"레지오는 세속주의와 무종교주의라는 적대 세력과 서로 대결하고 있다. 이 적대 세력은 신문, 텔레비전, 비디오 등을 통한 끊임없는 선전과 광고 활동으로, 낙태나 이혼, 임신 중절이나 마약 등 온갖 유해하고 잔인한 내용을 각 가정 깊숙히 내보내고 있다. 그 결과로 순수하고 때묻지 않은 아이들이 이러한 파괴적인 영향으로부터 무방비 상태에 놓여 있다.이러한 해로운 영향력을 막기 위해서는 가톨릭 신자들이 모두 나서는 길밖에 없다. 레지오 마리애는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완벽한 조직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충분한 추진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그 조직 자체만으로는 아무 쓸모가 없게 된다. 레지오의 추진력은 성령과 그 배필이신 복되신 동정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을 깊이 깨닫고 의지하며 생명의 떡인 성체로 양육되는 레지오의 영성으로부터 나온다.이 두 세력이 대결하게 되면 레지오의 정신이 승리할 것이다. 단원들이 매일 주님의 십자가를 짊어지고, 오늘날 우리 사회를 좀먹고 있는 무사안일주의와 타협주의 그리고 우유부단과 효과적인 싸움을 벌여 최후의 승리를 거두게 될 것이다."(이든 맥그래드 신부 / Fr. Aedan McGrath, S.S.C.)
제 13 장 단원의 자격
1. 레지오 마리애는 다음과 같은 가톨릭 신자라면 누구에게나 단원이 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고 있다.
(가) 신앙 생활을 충실히 하는 사람
(나) 레지오 단원으로서 평신도 사도직을 실천하려는 의욕이 있는 사람
(다) 레지오의 행동단원으로서 모든 의무를 완수하려는 각오가 되어 있는 사람
2. 레지오에 입단을 원하는 신자는 쁘레시디움에 입단 신청을 해야 한다.
3. 18세 미만의 후보 단원은 소년 쁘레시디움에서만 받아들일 수 있다.
4. 입단 신청을 받은 해당 쁘레시디움의 단장은 그 신청자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아야 하며, 가입 요건을 갖추었다고 인정할 수 있을 때
까지 입단을 보류 할 수 있다.
5. 예비단원은 적어도 3개월의 수련 기간을 거친 후 정단원으로 등록될 수 있다. 그러나 예비단원은 처음부터 레지오 활동에 온전히 참여
할 수 있다.
6. 예비단원에게 뗏세라를 지급해야 한다.
7. 예비단원이 정단원이 되려면, 반드시 단원 선서를 한 후 쁘레시디움 단원 명부에 그의 이름이 기재되어야 한다. 레지오 선서문은 제15
장에 실려 있으며, 낭독하기 쉽게 되어 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그가 몬시뇰이었을 당시 교황 비오 12세를 대신하여 쓴 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사도직 선서이자 성모님께 드
리는 서약문인 레지오의 선서는 온 세상에 그리스도 왕국을 세우기 위하여 싸우는 레지오 단원들, 특히 신앙 때문에 박해를 받는 단원들을 한층 더 굳세게 만들어 주었다."
이 선서문의 해설서로는 쉬넨스 추기경(Cardinal L. J. Suenens)의 <사도직 신학〉이 있는데, 이미 여러 나라 말로 번역되어 있다. 이 소중
한 책을 단원들은 항상 가까이 지녀야 하며, 또한 책임 있는 가톨릭 신자라면 모두 읽어야 한다. 이 책에 크리스천 사도직에 관한 여러 원리가 훌륭히 설명되어 있기 때문이다.
(가) 예비단원이 수련 기간을 만족하게 끝냈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일주일 전에 입단을 사전 통보하여 준비시킨다. 이 준비 기간중 예비 단
원은 선서문의 내용과 뜻을 익혀야 하며, 실제로 입단 선서를 할 때에는 그 뜻을 새기면서 진지하게 선서를 바치도록 해야 한다.
(나) 선서는 쁘레시디움 주회합에서 실시한다. 정해진 주회합의 순서에 따라 까떼나를 바치고 난 다음, 모든 단원들이 서 있는 상태에서
선서할 예비단원 곁으로 벡실리움을 옮겨 놓는다. 그런 다음 예비단원은 선서문을 왼손에 들고, 지정된 대목에 자신의 이름을 넣어 큰소리로 낭독한다. 선서문의 셋째 단락에서 '레지오 단기를 손에 쥐고'를 낭독하면서 벡실리움 깃대를 오른손으로 잡고 선서가 끝날 때까지 손을 떼지 않는다. 선서가 끝나면 영적 지도자(사제 참석시)가 선서한 단원에게 강복을 준다. 그리고 그 단원의 이름을 정식으로 단원 명부에 올린다.
(다) 선서가 끝나면, 단원들은 자리에 앉아 훈화를 들으며, 회합은 평소의 순서대로 진행된다.
(라) 만일 쁘레시디움에 벡실리움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예비단원은 벡실리움의 그림을 대신 손에 들어야 한다. 이 경우 벡실리움
그림이 들어 있는 뗏세라를 사용한다.
8. 일단 예비단원이 자격을 갖추었다고 인정되면 입단 선서를 미루어서는 안 된다. 두 사람 이상의 예비단원이 한꺼번에 선서를 할 수는
있다. 그러나 여러 명이 한꺼번에 바치는 선서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선서하는 단원의 수가 많을수록 각자가 선서를 통해서 느끼는 엄숙함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9.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에게는 선서식이 마음의 부담이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의식이 엄숙하고 진지할수록 앞으로 그가 단원 생활을
해 나가는 데 더욱 큰 효가가 있을 것이다.
10. 예비단원을 따뜻이 받아들여 임무를 가르쳐 주고, 수련 기간과 신단원 생활을 하는 동안 돌보는 일은 주로 부단장의 임무에 속하지만
단원 모두가 함께 거들어야 한다.
11. 만일 어떤 사유로 예비단원이 입단 선서를 하려고 하지 않는다면 수련 기간을 3개월간 연장해 줄 수 있다. 한편, 쁘레시디움으로서는
예비단원의 적격성에 대한 확신이 설 때까지 입단 선서를 연기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마찬가지로 예비단원에게도 결심을 하는 데 충분한 기회를 주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3개월의 연장 기간이 끝나면, 예비단원은 선서를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쁘레시디움을 떠나야 한다.
만일 어느 단원이 입단 선서를 한 후에도 마음속에 거부감이 생기면, 도의상 쁘레시디움을 떠나는 것이 옳다.
수련 기간과 선서는 레지오에 들어오는 관문이다. 레지오 단원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사람들이 레지오에 들어와서 레지오의 수준을 떨어
뜨리고 그 정신을 약화시키는 일이 벌어지는 이유는, 바로 이 관문을 올바로 통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2. 영적 지도자는 선서할 의무가 없다. 그러나 영적 지도자도 선서할 수 있으며, 만일 선서를 한다면 쁘레시디움으로서는 기쁨과 영광이
될 것이다.
13. 선서문은 다른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아치에스나 기타 행사 때의 봉헌 행위로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단원의 사사
로운 신심 행위에 이 선서문을 사용하는 것은 무방하다.
14. 그럴 만한 사정이 있어서 쁘레시디움에 출석하지 못할 때에는 상당한 이해심을 가지고 지켜보아야 한다. 특히 몸이 아파서 결석하는
경우에는, 비록 주회합 불참이 오랫동안 불가피한 경우라 하더라도 가볍게 퇴단시켜서는 안 된다. 그러나 어떤 단원이 퇴단하여 그의 이름이 단원 명부에서 정식으로 삭제되었을 경우, 그가 다시 입단하려면 3개월의 수련 기간을 거치고 선서를 다시 해야 한다.
15. 레지오에서는 동료 단원들에게 '형제' 또는 '자매'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16. 필요한 경우 꾸리아의 허가를 얻어서, 남성이나 여성, 소년이나 소녀 또는 혼성 쁘레시디움을 만들 수 있다. 레지오는 맨 처음에 여성
들의 조직체로 태어났으며, 그로부터 8년이 지난 뒤에 첫 남성 쁘레시디움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레지오는 남성들의 단체로서도 알맞은 기틀을 갖추고 있으며, 현재는 남성 쁘레시디움과 혼성 쁘레시디움이 아주 많이 운영되고 있다. 미국과 아프리카 그리고 중국에서는 첫 번째 쁘레시디움이 남성으로 이루어졌었다.이처럼 레지오에서는 여성이 영예로운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나, 이 책에서는 남성 대명사가 남녀 단원을 가리키는 데 쓰이고 있다. 이는 법률상의 관례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 또는 그 여자'라는 번거로운 되풀이를 피할 수 있게 된다.
"교회 창립의 목적은 하느님 아버지의 영광을 위하여 그리스도 왕국을 전세계에 펴고, 모든 사람을 구원에 참여케 하며, 또한 그들을 통하
여 전세계를 그리스도께로 향하게 하는 일이다. 이 목적을 위한 신비
체의 활동을 모두 '사도직'이라고 부른다. 교회는 모든 지체들을 통하여 이 사도직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실천한다. 사실, 그리스도 신자로
부르심받는 것은 본질적으로 사도직에 부르심받는 것과 마찬가지이
다. 살아 있는 몸의 모든 지체가 그저 단순히 피동적이 아니고 모름지기 몸의 생명과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처럼,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도 '우리의 몸은 각 부분이 자기 구실을 다함으로써 각 마디로 서로 연
결되고 얽혀 있으므로'(에페 4, 16), 자신의 능력대로 교회 발전에 기여하지 않는 지체는 교회를 위해서나 또 그 자신을 위해서나 아무 쓸
모없는 지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평신도 사도직 교령 2항)
제 14 장 쁘레시디움
1. 레지오 마리애의 기본 단위 조직은 쁘레시디움(Praesidium)이다. 이 명칭은 라틴말로서 특수 임무를 수행하던 로마 군단의 파견대를 가
리키는 말이었는데, 전방의 한 분대, 요새(要塞)로 쓰는 진지, 수비대 등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쁘레시디움이란 용어는 레지오 마리애의 기초 조직을 가리키기에 적합한 말이다.
2. 쁘레시디움의 이름을 지을 때는 '자비의 모후'처럼 성모님의 칭호를 따를 수도 있고, '원죄 없으신 잉태'와 같이 성모님의 특전을 드러
내거나 또는 '엘리사벳을 찾아보심'처럼 성모님의 행적을 가리키는 말에서 따 올 수도 있다. 호칭 기도 안에 들어 있는 성모님의 칭호만큼 많은 쁘레시디움의 레지오 단원들이 자신의 교구 내에서 열심히 활동하고 있는 모습을 바라보는 주교의 마음은 얼마나 흐뭇하겠는가!
3. 쁘레시디움은 소속된 모든 단원들을 통솔하고 단원들의 활동을 관리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 단원들은 쁘레시디움의 모든 정당한 명령
에 충실히 복종해야 한다.
4. 쁘레시디움은 직접적으로나 또는 평의회를 통해 간접적으로 꼰칠리움(Concilium Legionis)에 가입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레지
오에 소속되어 있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꾸리아나, 가까이에 꾸리아가 없는 경우에는 그 상급 평의회, 또는 최상급기관인 꼰칠리움의 정식 인가를 받지 않고서는 새로운 쁘레시디움을 설립할 수 없다. 쁘레시디움은 반드시 그와 같은 관리 기관에 직속되어야 한다.
5. 본당 안에 쁘레시디움을 설립할 때는 본당 주임신부나 교구장의 승인을 얻어야 하며, 쁘레시디움 창립식에는 본당 신부나 교구장을 초
빙해야 한다.
6. 쁘레시디움은 매주 회합을 가져야 하며, 주회합은 교본 제18장 [쁘레시디움 회합의 순서]에서 설명한 방식대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 규칙은 절대로 변경할 수 없다. 매주 회합을 갖기 어려운 여러 가지 그럴듯한 이유를 내세우면서, 한 달에 한 번 또는 두 주일에 한 번만
회합을 가져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제안이 거듭해서 나올 것이다. 이런 제안에 대한 답변은 다음과 같다. 레지오는 어떠한 경우에도 주회합 이외에는 승인할 수 없으며, 어떤 평의회에도 이 규칙을 변경하는 권한이 주어지지 않았다.
쁘레시디움이 단원들의 활동을 관리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설사 주간 활동을 바르게 통제하기는 어렵다 해도, 한 달에 한
번의 회합만으로도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회합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매주 함께 모여 기도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목적이 주회합을 통하지 않고서 이룰 수 없다는 것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매주 회합에 참석하려면 자기 희생이 따를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레지오가 확신을 가지고 이 같은 자기 희생을 요구할 수 없다면, 레지오
라는 조직을 서 있게 하는 그 원동력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겠는가?
7. 쁘레시디움은 사제를 영적 지도자로 모셔야 하며, 단장, 부단장, 서기, 회계를 둔다. 그들은 쁘레시디움의 간부로서 꾸리아에서 자신의
쁘레시디움을 대표한다. 간부들의 임무에 대해서는제34장에 설명되어 있으나, 그 첫째 임무는 일반 단원으로서의 활동 의무를 다하여 모든 단원들에게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8. 간부들은 꾸리아 월례회의에 참석하고, 그 회의 내용을 쁘레시디움 주회합을 통해서 단원들에게 보고함으로써 단원들이 토의된 모든
내용들을 잘 알고 있게 해야 한다.
9. 영적 지도자는 본당 주임신부 또는 교구장이 임명하며, 임명권자의 뜻에 따라 직무를 수행한다. 영적 지도자는 한 개 이상의 쁘레시디
움을 지도할 수 있다. 영적 지도자가 쁘레시디움 회합에 참석할 수 없을 때에는 다른 사제나 수도자, 또는 특별한 경우에, 자격을 갖춘 레지오 단원을 지명하여 그 임무를 대신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지명된 단원을 트리뷴(Tribune)이라 부른다.
쁘레시디움은 영적 지도자에게 회합의 개최를 알려야 한다. 그러나 영적 지도자가 실제로 회합에 참석하지 않더라도 회합은 성립된다.
영적 지도자는 쁘레시디움의 간부 직위에 있으며, 레지오의 모든 합당한 권위를 인정하고 밑받침해 준다.
10. 영적 지도자는 쁘레시디움 회합에서 제기된 신앙이나 윤리에 관한 문제에 대하여 결정권을 갖는다. 또한 본당 주임신부나 교구장의
결정을 얻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진행 중인 쁘레시디움의 활동이나 기타 업무 등을 잠정적으로 보류시킬 수 있다.
"이 유보 권한은 반드시 필요한 무기이다. 다만 모든 무기가 그러하듯이, 이 무기는 조직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어
떠한 경우에도 이 유보 권한이 파괴성 무기로 바뀌지 않도록 매우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어느 단체이든 조직이 잘되어 있고 올바른 지도를 받고 있는 단체라면 이런 무기는 전혀 쓸모가 없을 것이다."(치바르디 / Civardi : 가톨릭 운동 지침서)
11. 영적 지도자를 제외한 쁘레시디움 간부들은 모두 꾸리아가 임명한다. 꾸리아가 설립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서는 바로 그 위 상급 관리
기관이 쁘레시디움 간부를 임명한다. 당사자가 참석한 자리에서 간부가 될 만한 사람의 능력에 관해서 공개적으로 논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간부 중에 결원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르는 것이 관례이다. 즉, 꾸리아 단장은 간부 후보자에 관해서-누구보다도 해당 쁘레시디움의 영적 지도자에게-신중하게 알아본 다음, 가장 적격자로 확인되면 꾸리아에 그 단원의 이름을 제출한다. 꾸리아는 그 단원이 적격자라고 인정되면 그를 간부로 임명한다.
12. 영적 지도자를 제외한 모든 간부의 임기는 3년이며, 한 번의 임기를 연장할 수 있으므로 계속해서 총 6년간 동일 간부직을 맡을 수 있
다. 6년의 임기가 끝난 간부는 어떠한 경우에도 계속해서 동일 직책을 맡을 수가 없다. 간부가 다른 직책으로 옮기거나 다른 쁘레시디움에서 동일한 직책을 맡는 경우는 새롭게 임명된 것으로 간주한다. 임기를 마치고 나서 3년이 경과된 후에는 같은 쁘레시디움의 같은 직책을 다시 맡을 수 있다. 간부가 어떤 사유에서든 3년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그만 두었을 경우에는 그 직책을 그만둔 날짜로 3년 임기를 마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그 단원을 다시 간부로 임명하려면 다음과 같은 일반 규칙에 따라야 한다.
(가) 만일 그가 첫 번째 임기중에 간부직을 떠났다면, 그 첫 번째 임기가 미처 끝나지 않은 때라도 동일한 직책의 두 번째 임기에 임명될
수 있다.
(나) 그러나 그가 두 번째 임기중에 간부직을 그만두었다면, 그 직책을 떠난 날부터 3년이 지난 다음에야 동일 직책에 다시 임명될 수가 있
다.
"간부의 임기 문제는 일반 원칙에 따라 다루어야 한다. 어떤 단체에서든, 특히 자발적인 신심 단체에서, 항상 명심해야 할 사항이 있다. 그
것은 바로 단체가 화석화되는 일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실로 큰 문제이다. 우리가 맞서 싸워야 할 악은 끊임없이 변화된 모습으로 공격해 오는데, 악에 대항하여 싸우는 우리의 열정은 시간이 흐르면서 타성에 젖어 시들해지고, 결국 판에 박은 듯한 방법만을 쓰게 되는 것이 우리들의 일반적인 경향이기 때문이다. 이런 퇴보가 계속되면 활동은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무관심으로 치닫게 되어 마침내 그 단체는 가장 바람직한 회원들을 끌어들이지도 못하고 붙잡아 두지도 못하게 되어, 결국 빈사 상태에 놓이게 된다. 레지오는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모든 평의회와 모든 쁘레시디움에서 열정의 샘이 끊임없이 솟아오르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레지오는 먼저 열정의 원천이어야 할 간부들에게 관심을 쏟지 않을 수 없다. 간부들이 처음에 지녔던 열정을 항상 유지하도록 만드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간부를 교체하는 것이다. 간부가 잘못되면 모든 것이 시들어 버린다. 간부들이 열기와 정열을 잃으면 이들이 관리하는 단체도 같은 길을 걷게 된다. 더욱 경계해야 할 일은, 단원들이 이런 잘못된 현상에 길들여져서 안주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때에, 외부의 도움이 없다면 치유될 가망도 없다. 이론상으로는, 간부의 임기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규칙이 있으므로 이것이 하나의 해결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규칙이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이유는, 평의회조차도 소속 쁘레시디움이 침체되어 있음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임기 연장을 자동적으로 허용하는 일이 실제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장 확실한 방법은 능력이나 사정에 개의치 않고 간부를 바꾸는 제도일 것이다. 레지오는 이 제도를 마련하면서 수도 단체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식을 참고로
하였다. 즉, 첫 번째 3년의 임기를 마친 후 연임 요청이 있을 때 한 번에 한하여 연임을 허락하며, 총 6년으로 간부의 임기를 제한한다."(간
부 임기를 제한하는 제도에 대한 레지오의 결의)
13. "나쁜 장교가 있을 뿐, 나쁜 사병은 없다."고 나폴레옹은 말했다. 사병은 장교가 이끄는 대로 따라간다는 사실을 지적한 말이다. 레지오
의 경우에도 일반 단원들은 간부들이 불어넣어 주는 정신과 활동의 수준을 뛰어넘기는 힘들 것이다. 훌륭한 간부를 찾는 일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일꾼이 응분의 품삯을 받는 것이 마땅하다면, 레지오 단원들도 훌륭한 간부들의 지도를 받는 것이 마땅한 일이 아니겠는가! 훌륭한 간부가 대대로 임명된다면 쁘레시디움의 질적 수준은 끊임없이 향상된다. 왜냐하면, 새로 임명된 간부는 자신의 쁘레시디움을 현재 수준 이하로 떨어뜨리지 않으려고 힘쓸 것이고,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쁘레시디움에 공헌하여 하나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서 노력할 것이기 때문이다.
14. 특히 단장을 임명하는 일은 신중히 다루어야 할 과제이다. 단장을 잘못 임명하게 되면 쁘레시디움이 무너질 수도 있다. 단장을 선택할
때는 제34장 2절에 나와 있는 단장의 자격 요건에 비추어서 각 후보자를 살펴본 후 결정해야 한다. 그런 자격 요건을 갖추지 못한 단원은 비록 다른 방면에 뛰어난 능력이 있다하더라도 단장으로 선택되어서는 안 된다.
15. 꾸리아에서 문제 있는 쁘레시디움을 개편할 때,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단장도 함께 교체해야 한다.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쁘레시디움
이 잘못되는 원인은 단장이 직무를 게을리 했거나 통솔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16. 성인 쁘레시디움에서 수련중에 있는 단원도 임시로 간부직을 대행하거나 또는 간부 서리(임시 간부)로서 직책을 맡을 수 있다. 수련
기간이 끝났을 때에도 그 직책을 계속 맡아 해 오고 있었다면, 그는 선서와 동시에 정식 간부가 되며, 수련기 동안의 임시 간부직도 3년 임기의 일부로 계산한다.
17. 한 단원이 다른 쁘레시디움으로 소속을 옮기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현 쁘레시디움 단장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전입하는 쁘레시
디움에서는 교본의 규정과 새 단원 입단 규칙에 따라 절차를 밟으며, 다만 수련기와 선서는 필요치 않다. 쁘레시디움을 옮기겠다는 신청이 있을 때, 이를 이유 없이 거절해서는 안된다. 이 문제로 말썽이 생겼을 때에는 꾸리아에 그 해결을 요청할 수 있다.
18. 쁘레시디움 단장은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판단될 때에는, 다른 간부들과 의논하여, 단원의 자격을 정지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그
러나 그와 같은 자신의 결정에 대하여 쁘레시디움에 설명할 필요는 없다.
19. 꾸리아는 쁘레시디움 단원을 제명하거나 자격을 정지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해당 단원은 꾸리아 바로 위의 상급 평의회에 제소
할 수 있으며, 그 상급 평의회의 결정은 최종적이다.
20. 쁘레시디움 사이에 활동 분담 문제로 서로 의견이 대립되는 경우에는 꾸리아가 판정한다.
21. 쁘레시디움이 주변에 굳건한 협조단원들을 조직하고 돌보는 것은 그 본질적인 의무이다. 우수한 장교의 지휘 아래 용감하고 완벽하게
훈련된 무장한 병사들의 충천하는 사기를 보라! 하지만 장병들의 용맹성만으로는 이 부대의 힘을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없다. 매일매일 탄약과 식량, 피복, 의료품 등 여러 가지 지원을 받아야만 한다. 만일 이런 지원이 끊어진다면, 아무리 훌륭한 군대라도 과연 며칠이나 전선에서 버틸 수 있겠는가! 보급 부대와 전투 부대 사이의 관계는 협조단원과 쁘레시디움 사이의 관계와 같다. 협조단원은 레지오 조직의 한 부분이며, 협조단원이 없는 쁘레시디움은 불완전한 쁘레시디움이다. 협조단원을 돌보는 데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은 개인적으로 접촉하는 것이다. 회람을 만들어 돌리는 것만으로는 이 중요한 의무를 충실히 채우지 못한다.
22. 군대는 각종 훈련소나 군사 학교를 운영함으로써 장래에 항상 대비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각 쁘레시디움에서도 소년 쁘레시디움을 운
영하는 것을 그 조직 체계의 필요한 한 부분으로 삼아야 한다. 두 사람의 성인 단원을 소년 쁘레시디움의 간부로 파견하는데, 소년 단원들을 지도하려면 특별한 소양이 있어야 하므로 간부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아무에게나 소년 쁘레시디움의 간부를 맡겨서는 안 된다. 소년 쁘레시디움의 성인 간부는 그 직책을 수행함으로써 성인 쁘레시디움의 주간 활동 의무를 채울 수 있다. 그들은 꾸리아에서 그 소년 쁘레시디움을 대표하며, 소년 꾸리아가 설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소년 꾸리아에 간부로서 참석해야 한다. 소년 쁘레시디움의 나머지 두 간부 직책은 소년 단원이 맡는다. 이들은 간부직을 통하여 놀라울 만큼 책임감에 대한 훈련을 받게 될 것이다. 이 두 소년 간부는 소년 꾸리아에서 소년 쁘레시디움을 대표한다. 그러나 소년 간부들은 성인 꾸리아에 참석하지 않는다.
"태양에서 나오는 광선은 여럿이지만 그 빛의 근원은 하나이다. 나무의 가지는 많지만 그 줄기는 하나이며, 그것은 흔들리지 않는 뿌리에
단단히 매어 있다."(성 치프리아노 / St. Cyprian : 교회의 일치)
제 15 장 레지오의 선서문
지극히 거룩하신 성령이시여, 저(성명과 세례명)는(은)
오늘 레지오 마리애 단원으로 등록되기를 간절히 바라옵니다.
그러나 저 스스로는 합당한 봉사를 드릴 만한 능력이 없사오니
저에게 오시어 저를 당신으로 채워 주소서.
제가 하는 보잘것없는 일들을 당신 힘으로 받쳐 주시며
당신의 위대한 목적을 이루는 도구가 되게 해주소서.
당신은 이 세상을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하려고 오셨으나
성모 마리아를 통하지 않고서는 역사하지 않으시고
저희 또한 성모 마리아 없이는 당신을 알아 뵈올 수 없고
사랑할 수도 없음을 아옵니다.
당신은 저희에게 모든 재능과 성덕과 은총을 내려 주시오나
성모 마리아를 통하여, 성모 마리아가 원하시는 사람들에게,
성모 마리아가 원하시는 때에, 성모 마리아가 원하시는 만큼,
성모 마리아가 원하시는 방법으로,
베풀고 계심을 제가 아옵니다.
또한 제가 레지오 단원으로서 충실하게 봉사하는 비결은
당신께 완전히 하나 되어 계시는 성모 마리아와 온전히 일치하는 것임도
잘 알고 있나이다.
그러므로 이 모든 사실을 우리 눈앞에 드러내 보이는
레지오 단기를 손에 쥐고 (선서하는 단원은 이때 벡실리움 깃대를
자신의 오른손으로 잡고, 선서가 끝날 때까지 그대로 유지한다.)
저는 지금 성모님의 병사요 자녀로서 당신 앞에 서서,
성모님께 온전히 의탁함을 선언하나이다.
성모님은 제 영혼의 어머니시옵니다.
성모님의 마음과 제 마음은 하나이오며,
이 하나인 마음으로
'주님의 종이오니'라고 다시 사뢰오니,
당신은 성모님을 통하여 큰일을 하시고자 다시 오시나이다.
지극히 거룩하신 성령이시여,
당신의 권능으로 저를 감싸 주시고 제 영혼 안에 사랑의 불을 놓으시어
이 세상을 구하고자 하는 성모님의 사랑과 뜻에 일치하게 해주소서.
당신의 권능으로 티 없이 되신 성모님 안에서 저 또한 깨끗하게 하시고
우리 주 그리스도께서 제 안에서도 자라시게 해주소서.
그리하여 저 또한 그리스도의 어머니이신 성모님과 함께
이 세상과 영혼들에게 그리스도를 모셔다 드리게 해주시고
그들과 제가 이 세상 싸움에서 이긴 다음 성모님과 함께
복되신 성삼위의 영광 안에서 영원히 살게 해주소서.
오늘 저는, 당신께서 저를 받아 주시고 저를 써 주시며
저의 나약함을 굳센 힘으로 만들어 주시리라 확실히 믿으며 다짐하나이다.
저는 감히 레지오의 대열에 한 자리를 차지하여 충실하게 봉사하겠나이다.
저는 레지오 규율에 온전히 복종하겠나이다.
이 규율은 동료 단원들과 저를 하나로 묶어
군단을 이루도록 하며,
또한 성모님과 함께 진군하는
우리의 대열을 가다듬어,
당신의 뜻을 이루고 은총의 기적을 일으키게 하나이다.
그리하여 마침내 땅의 얼굴은 새롭게 되고
온 누리에 하느님의 나라가 펼쳐지게 될 것이옵니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레지오의 선서는 성령께 바쳐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볼 때 가톨릭 신자들이 성령께 드리는 신심은 너무나 미약하다.
그러므로 레지오 단원들은 성령께 각별한 사랑을 드려야 한다. 레지오 단원이 펴는 활동, 즉 자신과 그리스도 신비체의 다른 모든 지체들을 성화시키는 일은 성령의 권능과 활동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성령과 일치해야 한다. 이 일치에는 두 가지 요소가 반드시 필요한데, 성령께 대한 깊은 공경과 성령과 불가분의 일치를 이루어 일하시는 성모님께 대한 신심이다. 성령께 관한 많은 책과 강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령께 대한 참된 신심이 일반적으로 부족한 까닭은 성령께 대한 신심 부족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성모님께 대한 신심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아야 한다. 레지오 단원들은 이미 그들의 모후이신 성모님을 열렬히 사랑하고 있다. 단원들이 성모님께 대한 사랑을 성령께 대한 확고한 신심과 결합시킨다면, 이 땅을 새롭게 하는 사업에 성령과 성모님이 일치하고 협동하기를 바라시는 하느님의 계획에 가장 완전하게 참여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레지오 단원은 자신이 현재 기울이고 있는 노력보다도 더욱 큰 힘을 쏟지 않더라도 실패하지 않고 오히려 성공을 거두게 될 것이다. 레지오 단원들이 맨 처음 바친 기도는 성령께 대한 호도와 기도였고, 그 다음은 묵주기도였다. 그 후 오늘날까지 모든 레지오 회합을 시작할 때마다 같은 기도를 바치고 있으므로, 레지오 단원으로서 출발하는 입단식도 이처럼 성령의 주관하에 거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러한 입단식은 성령 강림을 연상시켜 준다. 그때 성령께서 베푸시는 은총이 성모님을 통하여 내려졌던 것처럼 성모님을 통하여 성령의 은총을 간구하는 레지오 단원들은 많은 은총을 입게 되며, 이 은총 중 한 가지는 성모님이 단원들을 얼마나 사랑하시는가를 스스로 밝혀 주시는 것이다. 그뿐 아니라 레지오의 선서문은 레지오 단기에 나타나 있는 레지오 신심과 잘 어울리고 있다. 단기에는 비둘기 모상의 성령께서 영혼을 구하기 위하여 활동하는 레지오와 그 사업을 성모님을 통하여 주관하시는 모습으로 잘 나타나 있다."(레지오 마리애 꼰칠리움 제88차 월례회의 회의록에서)[위 인용문은 레지오 단원 입단 선서문의 일부가 아님]
제 16 장 일반 행동단원 이외의 단원 등급
레지오에는 일반 행동단원 외에 다른 두 등급의 단원이 있다.
1. 쁘레또리움 단원
쁘레또리움 단원(Praetorian)이란 일반 행동단원보다 높은 등급의 단원을 말하는데, 단원으로서의 통상적인 의무 이외에 다음과 같은 신
심 행위를 추가로 실천한다.
(1) 뗏세라(Tessera)의 모든 기도문을 매일 바친다.
(2) 매일 미사에 참례하고 매일 영성체한다. 그러나 매일 미사와 영성체 의무를 지키지 못할까 두려워서 쁘레또리움 단원이 되는 것을 망
설일 필요는 없다. 이 같은 의무를 엄격히 지키는 일은 아무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주일에 한두 번 이상 빠지지 않는다면 누구든지 확신을 가지고 쁘레또리움 단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3) 교회가 공인한 일과(Office)를 매일 바친다. 특히 성무일도나 성무일도의 주요 부분인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 또는 성모소일과처럼 아
침 기도, 저녁 기도, 끝기도로 짜여진 소성무일도를 바쳐도 된다. 간혹 일과를 바치는 대신 묵상을 하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제안은 그리스도 신비체의 공적인 기도 행위에 레지오 단원을 일치시키고자 하는 쁘레또리움의 근본 취지에 어긋난다. 레지오 단원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일은 교회의 공식적인 사도직에 참여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단원에게 쁘레또리움의 자격을 주는 것은 그 단원이 교회 공동체와 함께 하는 삶 속으로 더욱 깊이 들어가도록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미사와 영성체야말로 그리스도의 숭고한 희생을 날마다 새롭게 하는 교회의 중심 전례이므로, 쁘레또리움 단원은 매일 미사와 매일 성체를 모셔야 하는 의무를 마땅히 지켜야 하는 것이다.
성무일도는 교회가 바치는 공동체 기도로서, 그리스도께서도 이 기도에 함께 참여하신다. 그리하여 성무일도는 교회의 전례에서 미사 다
음가는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시편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성무일도는 성령께서 감도(感導)하신 기도문을 사용하므로, 우리는 이 성무일도를 통해 하느님께서 가장 즐겨 받으시는 공동체 기도에 깊이 젖어들고 다가서게 된다. 이 점이 바로 쁘레또리움 단원에게 묵상이 아닌 성무일도를 의무적으로 바치라고 요구하는 이유이다.
린(Leen) 대주교가 레지오 단원들에게 말했듯이 "은총을 많이 받을수록 우리의 사랑도 새로운 형태로 확대되어야 한다." 만일 성무일도
전체를 바칠 수 있는 형편에 있는 단원이 이를 실천에 옮긴다면, 그는 자신의 영혼 안에서 하느님께 대한 사랑이 더욱 확장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 된다. 다음의 몇 가지 사항을 유의해 주기 바란다.
(가) 쁘레또리움 단원은 레지오 마리애 단원의 한 등급일 따름이며 결코 독립된 별개의 조직이 아니다. 그러므로 쁘레또리움 단원만으로
구성된 별도의 쁘레시디움을 조직해서는 안 된다.
(나) 쁘레또리움 단원 자격은 단원 자신의 개인적인 약속 이상의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다) 쁘레또리움 단원을 확보하기 위한 어떠한 강요도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쁘레또리움 단원 자격을 갖도록 권고할 수 있고 또 자주 그렇
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정 단원을 지칭하거나 공개적으로 거명해서는 안 된다.
(라) 쁘레또리움 단원은 별도로 마련된 쁘레또리움 단원 명부에 이름이 오르면 자격을 얻는다.
(마) 영적 지도자와 단장은 쁘레또리움 단원 수를 늘리기 위해 노력해야 하지만, 기존 쁘레또리움 단원들이 기사도적 정신으로 자신의 의
무를 게을리 하지 않도록 돌보는 것 역시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만일 영적 지도자가 자신의 이름을 기꺼이 쁘레또리움 단원 명부에 올리도록 허용한다면, 그는 레지오 간부로서의 자격을 더욱 견고히 하
고 자신이 지도하는 쁘레시디움과 더욱 밀접하게 자신을 결합하는 것이며, 그 쁘레시디움의 쁘레또리움 단원 증가에도 분명히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레지오가 쁘레또리움 단원들에게 기대하는 바는 매우 크다. 쁘레또리움 제도는 단원들로 하여금 기도를 통하여 하느님께 더욱 가까워지는 삶을 살도록 이끌어 주기 때문이다. 이는 레지오 조직 안에 '기도하는 심장부'를 하나 더 마련하는 것이며, 이로써 점점 더 많은 단원들이 그 안에 들어와 기도 생활에 깊이 젖어들게 만들어 준다. 그렇게 되면 이 심장부는 레지오의 몸에 영성이라는 혈액을 제대로 순환하게 만들어, 레지오가 수행하는 모든 활동 안에서 기도에 의존하는 신심이 자라게 한다.
그리하여 레지오 단원들은 레지오의 으뜸이요 궁극적인 목표가 단원의 성화임을 훨씬 더 완전히 깨닫게 되는 것이다.
"그대는 성장해야 한다. 나는 이것을 확실히 알고 있다. 이것이 그대의 운명이며 가톨릭 신자의 필수적 요소이다. 성장은 또한 사도직을 물
려받은 우리들의 특권이다. 그러나 도덕적인 성장 없이 물질적인 성장만 있다면 그것은 상상하기조차 끔찍한 일이 될 것이다."(뉴만 추기경 / Cardinal Newman : 가톨릭 신자의 현 위치)
2. 협조단원
사제나 수도자 또는 평신도 모두가 레지오의 협조단원이 될 자격이 있다. 협조단원은 행동단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지만 레지오의 이름
으로 바치는 기도로써 레지오에 협력하고자 하는 사람들이다.
협조단원의 자격은 다음 두 등급으로 나누어져 있다.
(가) 기초 등급 : 단순히 협조단원이라 부른다.
(나) 상위 등급 : 특별히 아듀또리움 단원(Adjutorian)이라부른다.
협조단원의 경우 나이 제한은 없다. 협조단원의 기도는 직접 레지오를 위해서 바칠 필요는 없고, 다만 복되신 동정 성모님께 바치는 것으
로 충분하다. 그런데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어쩌면 레지오가 협조단원으로부터 아무것도 얻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할 수도 있다. 더욱이, 협조단원들의 기도가 오히려 다른 곳에 더 도움이 된다면 레지오가 굳이 이들의 도움을 받으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나 협조단원이 바치는 기도가 근본적으로 레지오의 기도인 만큼, 레지오의 모후께서는 레지오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아서 배려하실 것이다. 따라서 협조단원의 봉사와 그 밖의 다른 모든 레지오의 봉사를 성모님께 남김없이 바쳐 드릴 것을 강력히 권고하며, 성모님이 원하시는 곳에 쓰시도록 해 드려야 마땅한 일이다. 이렇게 하면 우리는 훨씬 더 여유 있는 마음으로 봉사하게 될 것이며, 우리가 드리는 봉사의 가치 또한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협조단원은 "티 없으신 마리아, 모든 은총의 중재자시여, 저에게 허락된 기도와 수고와 고통을 바치오니 당신 뜻대로 쓰시옵소서."와 같은 기도로써 매일 자신을 봉헌함이 바람직하다.
이 두 등급의 협조단원은 레지오의 양쪽 날개와 같다. 그러므로 협조단원이 많을수록 레지오는 그만큼 넓고 큰 날개를 갖게 되며, 그들이
충성스럽게 바치는 힘찬 기도의 날개짓으로 레지오는 초자연적인 이상과 더 큰 봉사를 향해 높이 치솟아 오른다. 이로써 레지오는 가고자 하는 곳 어디든지 재빠르게 갈 수 있고, 아무리 높은 산도 이를 막을 수 없다. 그러나 만약 이 두 날개가 접힌다면, 레지오는 볼품 없이 뒤뚱거리며 땅 위를 기다가 조그마한 장애물에도 완전히 멈춰 버리고 말 것이다.
기초 등급 : 협조단원
기초 등급의 협조단원은 그냥 협조단원이라 부르며, 레지오 기도 군단의 왼쪽 날개와 같다. 협조단원은 매일 뗏세라에 있는 기도문, 즉 성
령을 초대하는 호도(呼禱)와 기도를 시작으로 묵주기도 5단과 그 뒤를 잇는 호도, 그리고 까떼나를 바친 다음 마침 기도로 끝을 맺는다. 이 기도는 사정에 따라 하루 중 몇 번에 걸쳐 나누어 바칠 수도 있다.
이미 어떤 지향을 두고 매일 묵주기도를 바치고 있는 사람은 협조단원이 된 후 추가로 묵주기도를 더 바칠 의무는 없다.
"기도하는 사람은 모든 사람의 영혼을 돕는다. 하느님께 대한 믿음과 지식과 의지를 지닌 그의 영혼은 다른 이들의 영혼을 세속으로부터
이끌어내 구해 주는 영혼의 자석(磁石)과 같다. 그는 바오로 성인이 우리에게 특별히 당부하는 기도와 청원과 감사를 모든 영혼을 대신하여 행하고 있는 것이다. '쉬지 말고 기도하십시오. 그리고 언제나 성령의 도움을 받아 기도하십시오.'(에페 6, 18 참조) 그러므로 만일 여러분이 자신을 잘 살피지 않고 간절히 기도하지 않거나 노력하지도 않아 결국 굳건히 버티지 못하고 만다면, 만사가 해이해져 세상은 타락할 것이며, 여러분의 형제들은 의지할 데를 잃고 힘 없이 늘어지고 말지 않겠는가? 분명 그렇게 될 것이다. 우리들은 각자 주어진 몫에 따라 어느 정도는 자신의 힘으로 세상을 떠받치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몫을 다하지 않는 사람들은 결국 자신의 일을 남에게 떠넘기고 있는 셈이다."(그라트리 / Gratry : 원천)
상위 등급 : 아듀또리움(Adjutorium) 단원
이 등급의 협조단원은 기도하는 레지오 군단의 오른쪽 날개와 같다. 아듀또리움 단원은 다음과 같은 신심 행위를 한다.
(가) 뗏세라의 모든 기도문을 매일 바친다.
(나) 매일 미사에 참례하고 매일 영성체한다. 또한 교회가 인정하는 일과(성무일도나 성모소일과)를 바친다.
성무일도의 특별한 가치에 대해서는 '쁘레또리움 단원' 항목을 참조하기 바란다. 아듀또리움 단원과 일반 협조단원의 차이는 쁘레또리움
단원과 일반 행동단원의 차이와 같다. 그러므로 아듀또리움 단원에게 추가되는 의무 또한 쁘레또리움 단원과 동일하다.
아듀또리움 단원의 경우에도 일주일에 한두 번 정도 이 의무를 이행하지 못했다 해서 의무 이행에 실패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소속 수도회의 규칙에 따라 성무일도를 바치지 않아도 되는 수도자의 경우에는 아듀또리움 단원이 된 후에도 성무일도를 바치지 않아도
된다. 아듀또리움은 단원들을 참된 삶의 길로 이끌어 주므로, 일반 협조단원이 아듀또리움 단원으로 등록하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레지오는 사제와 수도자들이 아듀또리움 단원으로 등록해 주기를 특별히 바라고 있다. 이들은 신자들을 기도의 삶으로 이끌어 하느님과의 관계를 친밀하게 해주는 특별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교회 안에 영적인 힘을 일으키는 발전소의 역할을 하도록 부름받은 축성된 분들이다. 레지오는 이러한 성직자 수도자들과 일치를 이루기를 소망하며, 이 영적 발전소에 효율적으로 연결만 된다면 레지오라는 기관은 아무도 당해 낼 수 없는 거대한 힘으로 고동치게 될 것이다.사제나 수도자들이 아듀또리움 단원이 되는 경우, 이미 바치고 있는 성무일도 외에 추가되는 의무 사항이 그리 많지 않다. 까떼나와 레지오의 기도문, 그리고 호도 등 불과 몇 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 기도들이 고작이다. 그러나 레지오와 유대를 맺은 이 분들의 기도는 강력한 추진력이 되어 레지오를 끌어 준다.일찍이 아르키메데스(Archimedes)는
"나에게 지렛대와 받침목을 주면 지구를 들어올리겠다."고 말하였다. 레지오와 하나된 아듀또리움 단원들은 그들이 바치는 기도가 긴 지렛대라면 그 지렛대를 받쳐 주는 버팀목이 바로 레지오임을 알게 될 것이다. 이로써 그들의 기도는 엄청난 힘이 되어 이 세상의 짓눌린 영혼들을 들어올리고, 산처럼 쌓인 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내는 능력을 갖게 될 것이다.
"성령께서 강림하시어 교회를 굳건히 세우신 그 다락방에서, 성모님은 함께 있던 사도들과 제자들 가운데에서 그 후로도 계속 은밀하고
친근하게 행사하셨던 어머니의 역할을 뚜렷이 보이기 시작하셨다. 성모님의 역할은 사람들의 마음을 기도 속에서 일치시키고, 당신의 힘있는 중재로써 영혼들에게 생명을 나누어 주시는 일이다. '그 자리에는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비롯하여 여러 여자들과 예수의 형제들도 함께 있었다. 그들은 모두 마음을 모아 기도에만 힘썼다.'(사도 1, 14)"(뮈라 / Mura : 그리스도 신비체)
협조단원들이 알아 두어야 하는 일반 사항
(1) 주어진 의무보다 더 많이 봉사하자. 레지오는 두 단계의 협조단원들에게 다음과 같이 당부한다. 즉, 협조단원으로서의 기본 의무를 봉
사의 최대치로 받아들이지 말고 오히려 최저치로 생각하여, 동일한 지향을 두고, 여러 가지 다른 기도와 신심 행위도 함께 실천하기를 바라고 있다. 레지오는 아듀또리움 단원인 사제들이 모든 미사 중에 성모님의 의향과 레지오를 위해서 특별히 기도 바쳐 주기를 부탁드리며, 동시에 같은 지향으로 때때로 미사를 봉헌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평신도 협조단원들도 미사 예물이 다소 부담이 되더라도 가끔 이와 같은 지향으로 미사를 봉헌한다면, 이는 레지오에 대단히 유익한 일이 될 것이다.
협조단원들이 레지오를 위해 많은 기도를 바친다면 그들은 곧 백 배, 천 배, 아니 백만 배를 되돌려 받는다. 그것은 레지오가 행동단원들뿐
만 아니라 협조단원들에게도 성모님이 얼마나 위대한 분이신지를 가르쳐 주고, 성모님의 군사로서 복무하도록 해주며, 성모님을 올바로 사랑하도록 이끌어 주기 때문이다. 이 은총은 너무나 커서 '몇 백만 배'라는 등의 인간의 말로는 알맞게 표현할 수가 없다. 그리하여 그들은 이 은총의 힘으로 한층 더 높은 차원의 영성 세계로 올라서게 되며, 더욱이 영원한 삶을 보장받게 될 것이다.
(2) 성모님이 내리시는 이러한 선물을 마다할 사람이 과연 있을까? 성모님은 레지오의 모후이시며 동시에 온 세상의 모후이시다. 따라서
성모님은 세상 모든 분야의 일과 사건을 관장하신다. 그러므로 우리가 무엇인가를 성모님께 바친다는 것은 그것을 가장 필요로 하는 곳에 보내 주는 것과 같으며, 우리가 바치는 기도가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곳으로 가게 됨을 의미한다.
(3) 은총의 창고를 맡아 관리하시는 티 없으신 성모님은 우리의 일상 생활과 의무 수행에 무엇이 필요한지를 배려하여 은총을 나누어 주신
다. 그런데 이러한 의문이 나올 수가 있다. "협조 단원이 되고 싶기는 하지만, 나는 이미 내가 가진 것을 몽땅 털어서 성모님께, 연옥 영혼들에게 또는 선교 사업에 바쳤다. 이제 레지오를 위해서 드릴 만한 몫이 남아 있지 않으니 협조단원이 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이에 대한 레지오의 대답은 이렇다. "당신처럼 헌신적인 사람을 얻었다는 것만으로도 레지오로서는 큰 은총이다. 레지오를 돕고 싶어하는 마음 자체가 하나의 기도이며, 당신이 매우 순수한 지향을 지닌 사람이라는 것을 확실히 증명해 주고 있다. 따라서 당신의 기도는 하느님의 보화를 관리하는 무한히 자비로우신 성모님으로서는 물리치실 수 없는 청원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당신이 레지오에 참여한다면 성모님은 틀림없이 응답해 주실 것이며, 당신이 지금까지 기도를 바칠 때 지녔던 지향은 조금도 유실되지 않은 채 새로운 지향이 열매를 맺게 되는 것이다. 이는 우리의 지극히 놀라운 모후이신 성모님이 기묘한 능력을 지니셨기 때문이다. 성모님은 우리가 바친 영신적 보화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들을 아낌없이 도우실 뿐만 아니라, 신기하게 우리 자신마저도 더욱 풍요롭게 해주신다. 성모님이 어떤 일을 중재하실 때는 그 일을 통하여 다른 일들마저 중재의 은총을 입는 놀라운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몽포르의 루도비코 - 마리아 성인은 이를 두고 '은총의 비결'이라 불렀고, "우리의 선행이 성모님의 손길을 거치면 더욱 순수해져서, 그 선행이 지향한 바에 따라 공로가 커지며, 속죄와 청원의 힘이 더욱 커진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선행이 성모님의 정결하고 너그러운 손길을 거치지 않았을 때보다 연옥에 있는 영혼들을 더 많이 위로할 수 있게 되고 죄인들을 더 많이 회개시킬 수 있게 된다."고 설명하였다.
모든 생명은 이같이 놀라운 능력의 손길을 필요로 하고 있다. 성모님은 우리가 드린 것을 필요한 곳에 알맞게 쓰신 다음, 오히려 우리가 드
린 것보다 더 크게 불려서 되돌려 주시는 은총의 손길을 지니고 계신다. 그런데 충실한 협조단원이 성모님께 드리는 기도 속에서도 이 놀라운 힘을 발견할 수 있다.
(4) 레지오가 접촉하는 영혼들 가운데는 대개 고통받고 있는 이들이 많기 때문에, 아마도 성모님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만드는 당신
능력의 일부를 당신의 군사들인 레지오에 나누어 주시는 듯하다. 그렇기에 레지오 단원들은 별로 어렵지 않게 주위 사람들을 협조단원으로 봉사하도록 입단시킬 수 있고, 그들로부터 활력을 얻으며, 협조단원 자신 또한 매우 유익한 은총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이렇게 하여 협조단원은 행동단원과 함께 레지오의 대열에 서서 레지오의 모든 기도와 사업에 한몫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5) 레지오의 협조단원이 되어 기도하는 대열에 참가하게 되면 행동단원과 똑같은 이상(理想)을 품게 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전에는 매
일 묵주기도 바치는 일을 엄두도 내지 못하던 신자들이 이제는 뗏세라에 실린 모든 기도를 매일 바치며 협조단원으로서 의무를 다하고 있다. 병원에 입원중이거나 사회복지기관 등에 수용되어 삶에 대한 애착을 잃어버린 신자들이 레지오의 협조단원이 되면서부터 삶의 흥미를 되찾는 경우가 수없이 많다. 주위 환경 탓으로 미지근한 신앙 생활을 하던 신자들이 협조단원이 되면서부터 자신들도 교회에 쓸모 있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고, 우연히 마주치는 교회 소식을 관심 있게 읽으면서 어느새 자신이 레지오에 애착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또한 그들은 어디에선가 벌어지고 있는 영혼을 구하는 레지오의 싸움에 자신들도 동참하고 있음을 알게되고, 더욱이 그 싸움의 승패가 자신의 기도에 달려 있다는 사실마저 깨닫게 된다.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영혼 구제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단조롭던 그들의 삶은 그 이야기들로 활기를 되찾고, 그들의 영적 상상력은 자신이 마치 십자군에라도 참가하고 있는 듯한 생각으로 뿌듯해 하며, 과거와는 전혀 다른 사람으로 바뀐다. 아무리 경건한 삶을 사는 사람들일지라도 이러한 신앙의 자극은 필요한 법이다.
(6) 쁘레시디움은 주변의 모든 신자들을 협조 단원으로 입단시키도록 힘써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레지오의 다른 여러 사도직을 수행하
기에 좋은 터전이 마련된다. 협조단원을 모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친교 방문을 하면 대개의 경우 상당한 호응을 얻는다.
(7) 다른 가톨릭 단체나 교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을 협조 단원으로 끌어들일 수만 있다면, 그들의 활동을 한데 묶어 바람직한 방
향으로 일치시키는 효과를 얻게 될 것이다. 즉, 그들이 레지오의 협조단원이 됨으로써 성모님의 주관 아래 함께 기도하고, 신앙의 이상을 실현시키기 위해 함께 협동하며, 일치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자신이 속해 있는 단체의 고유 활동이나 특성은 조금도 손상되지 않으며, 협조단원으로서 이들이 바치는 기도도 결코 소속 단체와 동떨어지지 않는다. 그 까닭은, 협조단원의 기도는 레지오를 위해서 바치는 것이 아니라 복되신 동정 성모님의 영광을 위하여 바치는 것이기 때문이다.
(8) 가톨릭 신자가 아니면 협조단원이 될 수 없다. 그러나 비신자라 할지라도 매일 레지오의 모든 기도를 기꺼이 바치겠다고 하는 사람이
가끔 있는데, 이런 사람들을 만났을 때는 이들에게 뗏세라를 주고 그 넓은 마음씨를 격려해 주며, 계속 접촉할 수 있도록 특별히 그의 이름을 적어 두어야 한다. 분명히 복되신 어머니께서는 그들의 영혼이 무엇을 원하는지 귀기울여 주실 것이다.
(9) 협조단원은 기도를 통하여 레지오에 봉사한다. 그러나 어떤 한정된 지역의 레지오를 위해 봉사한다기 보다는 전세계의 영혼을 대상으
로 펼치는 레지오의 싸움과 구원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봉사한다. 그러므로 협조단원의 마음속에 깊이 새겨 주어야 할 것은 다음과 같은 점이다. 즉, 협조단원들은 비록 일선 전투 대열에 속해 있지는 않지만, 마치 탄약 공급이나 물자 보급을 담당하는 부대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협조단원이 없으면 레지오의 전투 능력은 그만큼 약해져, 전쟁에 질 수밖에 없게 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는 사실이다.
(10) 너무 가볍게 협조단원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먼저, 협조단원이 지켜야 할 의무 사항들을 충분히 숙지시킨 다음, 이 의무를 충실
히 이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어느 정도의 확신이 선 후에 입단시킨다 해도 늦지 않을 것이다.
(11) 협조단원이 기도 봉사에 더 많은 관심을 갖도록 하려면,
가) 먼저, 신심을 더욱 돈독히 하여 꾸준히 유지하도록 도와 준다.
나) 그런 다음, 레지오의 활동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도록 돌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이들을 아듀또리움 단원이나 행동단원으로 인도하도록
힘써야 한다.
(12) 협조단원들의 기도와 레지오에 대한 관심을 바르게 지속시키려면, 끊임없이 접촉하며 돌보아야 한다. 그런데 어떤 단원들은 협조단
원을 접촉하고 이끌어 주는 활동이 자신의 성향에 잘 맞기 때문에 좋은 활동거리로 받아들인다.
(13) 모든 협조단원들에게 로사리오 회 회원이 되었을 때 받을 수 있는 은혜가 얼마나 큰지 알려 주어야 한다. 협조단원은 로사리오 회에
서 요구하는 것보다 더 많은 묵주기도를 이미 바치고 있기 때문에, 이 회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단지 이름을 등록하는 것 이외에 다른 의무가 추가되지 않는다.
(14) 성모님의 예비군인 협조단원을 바르게 육성하려면, 적어도 복되신 동정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the True Devotion to the Blessed
Virgin)이나 또는 자신의 삶을 송두리째 성모님께 봉헌하는 것이 어떠한 것인지를 설명해 주어야 한다. 이 경우, 아마도 많은 협조단원들은 하늘의 보화를 관리하도록 이미 하느님의 명을 받으신 성모님께 자신의 영신적 보화를 기쁜 마음으로 맡기려 할 것이다. 성모님의 의향은 어디까지나 주님의 성심을 받드는 것이므로, 성모님께 바쳐진 어느 것도 결코 헛되이 쓰이지 않는다. 성모님은 교회가 원하는 모든 것, 모든 사도직과 모든 세계를 지향하신다. 그뿐 아니라 성모님의 지향은 연옥에서 때를 기다리고 있는 영혼들에게도 내려간다. 그러므로 성모님의 지향이 이루어지도록 열성을 다하여 돕는 일은 결국 주님의 몸에 필요한 모든 것을 돌보아 드리는 일이 된다. 왜냐하면, 성모님은 나자렛에서와 마찬가지로 지금도 여전히 자상한 어머니이시기 때문이다. 성모님의 뜻에 따라 행동하는 것은 우리의 최종 목표인 하느님의 뜻을 향해 곧바로 나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각자 제멋대로 나아간다면 꼬불꼬불한 길로 들어서게 될 것이므로, 과연 언제쯤 그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겠는가?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은 영성이 깊은 사람만이 실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몽포르의 루도비코 - 마리아 성인은 이제 막 죄의 사슬에서 벗어난 사람들이나 그 동안 잊고 있던 교리의 기초부터 다시 일깨워 주어야만 할 사람들을 대상으로 묵주기도를 가르치고, 성모 신심이나 또는 성모님께 기꺼이 사랑의 노예가 된다는 것이 우리 신앙에 어떤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는지를 널리 알리고, 실천하게 하라고 독려했다.
(15) 협조단원들에게 자유로운 분위기의 조직체를 만들어 주어 자체적으로 모임을 가지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며, 이는 실제로 필요하다.
공동체 안에 이러한 조직망을 갖추게 되면 레지오의 사도직 활동과 기도의 이념이 공동체 안에 스며들어, 오래지 않아 공동체 전체가 레지오의 이념을 실천하는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
(16) 협조단원으로 신심 단체를 만든다면 다른 어떤 단체에도 뒤지지 않는 훌륭한 단체가 될 수 있다. 더욱이 레지오의 따뜻함과 색채를
고루 갖춘 레지오다운 단체가 될 것이다. 이러한 단체가 정기적으로 모임을 가진다면 그 구성원인 협조단원들이 레지오의 정신과 레지오에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잘 알게 되어 더욱 열심히 기도를 바쳐 줄 것이다.
(17) 모든 협조단원들을 빠뜨리치안 회에 가입시켜 두 조직이 서로 이상적으로 도와 주도록 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 빠뜨리치안 회합
은 협조단원들이 정기적으로 모이는 기회를 만들어 주며, 그들이 레지오와 꾸준히 접촉함으로써 여러 면에서 중요한 발전을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빠뜨리치안 회원이 협조단원으로 가입한다면, 그들 역시 한 단계 위로 끌어올려지는 신앙의 발전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18) 협조단원에게 일반 레지오 활동을 시켜서는 안 된다. 그들을 활동에 활용하자는 제안은 얼핏 그럴듯해 보이고, 또 그들 자신으로 볼
때도 활동하는 것이 하지 않는 것보다 좋은 일인 것처럼 생각될 것이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그러한 행위는 레지오 회합 없이 레지오 활동을 하는 매우 위험한 잘못을 범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행동단원의 필수 요건이 되는 주회합 참석을 무시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19) 협조단원들도 꾸리아의 판단과 결정에 따라 아치에스 행사에 참석시킬 수 있다. 아치에스는 그들에게 매우 인상적인 행사가 될 것이
며, 동시에 행동단원들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해 주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봉헌 행위를 할 의향이 있는 협조단원은 행동단원들의 봉헌 사열이 끝난 다음 그 뒤를 이어 봉헌할 수 있다.
(20) 협조단원이 뗏세라의 마침 기도문을 바칠 때, 성모님께 대한 호도는 "티 없이 깨끗하신 마리아, 모든 은총의 중재자시여, 저희를 위하
여 빌어 주소서."이다.
(21) 레지오는 단원들에게 '영혼들을 위해 언제라도 활동에 나설 태세를 갖추도록' 요구하는데, 이러한 요구는 협조단원들에게도 해당된
다. 즉, 행동단원과 마찬가지로 협조단원도 다른 신자들을 레지오 봉사에 참여시키기 위해 전력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고리(행동단원)와 고리(협조단원)가 연결됨으로써 까떼나 레지오니스(Catena Legionis), 즉 레지오의 고리는 전세계를 에워싸는 거대한 황금의 기도망을 이루게 될 것이다.
(22) 시각 장애인이나 글을 모르는 사람 또는 어린이들도 협조단원이 되어 쉽게 기도에 참여 할수 있도록 기도문을 줄이거나 바꾸어야 한
다는 의견이 가끔 나온다. 그런데 의무라는 것은 확고하게 주어지지 않으면 구속력이 약해지기 마련이다. 더욱이, 한 번 변경이 허용되기 시작하면 또다른 변경을 불러오게 되고, 이렇게 되면 기도문을 바꾸는 일이 다반사처럼 되어, 심지어는 조금밖에 글을 읽을 줄 모르는 사람이나 시력이 약한 사람 또는 아주 바쁜 사람들을 위해서도 특별한 기도문을 별도로 만들어야 하는 경우마저 생기지 않겠는가! 결코 그렇게 되어서는 안 된다. 레지오가 바라는 것은 레지오의 기준에 맞는 봉사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준에 맞는 봉사를 수행할 수 없는 사람은 협조단원이 될 수 없다. 하지만 그러한 사람들마저도 레지오 밖에서 나름대로 레지오를 위해 기도함으로써 레지오의 사업에 대단히 소중한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행동단원들은 이들이 그렇게 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어야 한다.
(23) 협조단원에게 뗏세라나 회원증 대금 지불을 요구할 수는 있지만, 협조단원 자격과 관련된 어떠한 종류의 회비도 징수할 수 없다.
(24) 협조단원 명부에는 아듀또리움 단원과 일반 협조단원으로 구분하여 이름과 주소를 기재해야 한다. 이 명부는 쁘레시디움에서 보관하
며, 꾸리아 간부나 꾸리아가 지명한 방문자의 요구가 있을 때 열람하도록 한다. 열람자는 명단이 제대로 기재되어 있는지, 새로운 단원을 열심히 모집하고 있는지 또는 기존 협조단원들을 수시로 방문하여 그들이 '쟁기를 잡고 뒤를 자꾸 돌아다 보지 않는지'(루가 9, 62) 등을 세심히 살펴보아야 한다.
(25) 협조단원은 쁘레시디움의 협조단원 명부에 이름을 올림으로써 자격을 얻는다. 협조단원 명부는 부단장이 관리한다.
(26) 협조단원 후보자의 이름은 3개월의 수련 기간 동안 임시 명부에 올렸다가, 수련 기간이 끝나고 후보자가 단원으로서의 의무를 충실히
이행했다고 쁘레시디움이 확인하면 정식으로 협조단원 명부에 이름을 기재한다.
"착한 일을 해서 쌓은 우리의 모든 공로를 성모님의 손을 통해 예수님께 완전히 바치는 것은 영웅적인 행동이며 자신을 아낌없이 내어 놓는 행위이다. 이러한 행위에 대해 예수님께서는 과연 어떻게 갚아 주실까?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사랑하기 때문에 세속의 재산과 명예를 버리는 사람들에게 이미 이 세상에서 백배나 갚아 주신다. 그렇다면 주님을 위해 자신의 내적이고 영신적인 보화까지도 아낌없이 바치는 이들에게는 과연 그 백배의 은총이 얼마나 크겠는가?"(몽포르의 성 루도비코 - 마리아 / St. Louis - Marie de Monfort)
제 17 장 세상을 떠난 레지오 단원들의 영혼
세상에서 싸움이 끝나면 레지오 단원은 고귀한 죽음을 맞이한다. 마침내 단원으로서 그가 해 온 일들을 확인 받는 것이다. 이 세상에 사는
동안 레지오가 그에게 영원한 세상을 맞이할 준비를 하도록 하였으므로, 이제 그는 그 영원의 세상에서도 레지오 단원으로 남아 있게 될 것이다. 레지오는 그에게 영신 생활의 바탕이요 거푸집이었다. 그뿐 아니라, 모든 행동단원과 협조단원이 "저희 레지오가 한 사람도 빠짐없이 다시 모일 수 있도록 해주소서." 하며 날마다 열심히 바치는 기도의 힘으로 그는 한평생 먼 길을 온갖 위험과 고난 속에서도 잘 견디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먼저 우리 곁을 떠난 단원들에게나 남아 있는 모든 단원들에게 얼마나 큰 기쁨을 주는가! 그러므로 우리는, 지금 당장은 친구와 동료를 잃은 슬픔을 겪지만, 세상 떠난 우리 전우가 한시라도 빨리 연옥의 형벌을 면하도록 기도를 바쳐야 한다.
쁘레시디움은 행동단원이 세상을 떠나면 그 영혼을 위해 지체없이 미사 한 대를 봉헌해야 한다. 또한, 단원들은 먼저 떠난 동료의 영혼을
위해 묵주기도 5단을 포함한 레지오의 전 기도문을 적어도 한 번은 특별히 바쳐야 한다. 그러나 단원 가족이나 친척이 세상을 떠났을 경우에는 이러한 기도의 의무는 없다. 해당 쁘레시디움뿐 아니라 다른 쁘레시디움에서도 가능한 한 많은 단원들이 장례 미사에 참례해야 하며 유족과 함께 장지까지 가야 한다.장지에서의 모든 예절이 진행되는 동안 묵주기도와 그 밖의 다른 레지오 기도문을 바친다. 이러한 레지오의 기도는 교회의 공식 하관 예절에 바로 뒤이어 바칠 수 있다. 장지에서 바치는 레지오 단원들의 기도는 세상을 떠난 이에게 큰 유익이 될 뿐만 아니라, 슬픔에 잠겨 있는 유족과 동료 단원들과, 그리고 그 자리에 참석한 고인의 모든 친구들에게도 큰 위안이 될 것이다.
입관을 준비하는 동안에도 시신 곁에서 레지오의 기도문을 바치게 되지만, 이렇게 예절중에 바치는 기도만으로 세상을 떠난 이에 대한 추
모 의무를 다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되며, 단원들은 그를 위해 지속적인 기도를 바쳐야 한다. 매년 11월 위령 성월에 모든 쁘레시디움은 세상을 떠난 레지오 단원들의 영혼을 위해 미사 한 대를 봉헌해야 한다. 이 경우에도 세상을 떠난 단원들을 위해 기도하는 다른 모든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원 구분이나 등급에 관계없이 모든 행동단원과 모든 협조단원의 영혼을 위해 미사를 봉헌하는 것이다."연옥도 마리아 왕국의 일부이다. 연옥에도 성모님의 자녀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이윽고 사라질 고통을 참아 받으며, 영원히 계속될 영광으로 다시 태어나기를 기다리고 있다. 빈첸시오 페레리오, 시에나의 베르나르디노, 루도비코 볼로와 등 많은 성인들은 성모님이 연옥의 모후이심을 명백히 선언하고 있다. 특히 몽포르의 루도비코 - 마리아 성인은 우리의 모든 생각과 행동이 이러한 믿음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우리가 바치는 기도와 보속의 공로를 성모님의 손에 맡길 것을 당부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가 직접 기도드리는 것보다 훨씬 더 풍성한 구원의 은총이 우리가 사랑하는 영혼들에게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단언하고 있는 것이다."(루모 / Lhoumeau : 몽포르의 성 루도비코 - 마리아의 영성 생활)
제 18 장 쁘레시디움 회합의 순서
1. 쁘레시디움 회합의 차림은 어디에서나 같은 모양이어야 한다
탁자의 한쪽에 작은 제대를 차려 놓고 단원들은 그 주위에 둘러앉는다. 제대 차림은 넉넉한 크기의 흰 보를 깔고 그 위에 은총을 나누어 주
고 계시는 모습의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상'을 모신다. 성모상의 높이는 약 60cm라야 하며, 그 양 옆으로 꽃병 두 개와 불을 켠 촛대 두 개를 각기 하나씩 갈라 놓고, 성모상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앞쪽 오른편에는 벡실리움을 세워 놓는다. 벡실리움에 관해서는 제27장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제대의 차림새의 사진은 이 교본의 176쪽과 177쪽 사이에 실려 있다. 성모상은 모후께서 당신을 따르는 군사들의 한 가운데에 함께 계시는 모습을 드러내야 하므로, 제대를 회합 탁자로부터 분리시켜 차린다거나, 둘러앉은 단원들의 바깥쪽에 별도로 차려 놓아서는 결코 안 된다.하늘에 계신 어머니께 드리는 우리의 사랑을 드러내기 위해서 제대의 기물과 꽃은 되도록 좋은 것으로 장만해야 한다. 기물을 장만하는 비용은 한 번의 지출로 끝이 난다. 어떤 이의 기증이나 그 밖의 다른 우연한 기회에 은으로 만든 꽃병이나 촛대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원들은 벡실리움과 꽃병과 촛대 등을 늘 깨끗하게 간수하고, 쁘레시디움의 비용으로 꽃과 초를 알맞게 장만하는 일을 자랑스런 의무로 여겨야 한다. 생화를 전혀 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조화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생기를 불어넣기 위해 산 나뭇잎을 곁들여야 한다.촛불이 꺼지지 않도록 가릴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맑은 유리나 둥근 갓을 초의 위 부분에 씌울 수 있으나 초 자체의 모습을 가려서는 안 된다.
탁자에 까는 흰 보에는 Legio Mariae(레지오 마리애)라는 글자를 새겨 넣을 수는 있으나 쁘레시디움 이름을 새겨서는 안 된다. 구별보다는
일치를 더욱 중시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성모님의 중재 역할은 성모님의 모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결국 성모님의 중재 역시 예수 그리스도의 중재 역할에 참여하
는 것이지만, 성모님만이 지니고 계신 어머니로서의 특성 때문에, 그리스도의 유일한 중재에 단지 종속적으로 참여하는 다른 피조물들의 중재와는 구별된다. 실제로 '어떠한 피조물도 혈육을 취하신 말씀이시며 구세주이신 그리스도와 결코 대등한 위치에 설 수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와 동시에 '구세주의 유일한 중재는 피조물의 협력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피조물들 가운데에서 이 유일한 원천을 공유하는 여러 가지 협력이 우러나도록 만든다.' 그리하여 '하느님의 유일한 선이 피조물들에게 서로 다른 모양으로 널리 퍼지게 된다.'"(구세주의 어머니 38)
2. 정해진 시각에 회합을 시작한다
단원들은 정해진 시각에 어김없이 정해진 장소에 모여 회합을 시작해야 한다. 회합의 정시 시작은 쁘레시디움의 능률을 위해서 반드시 필
요한데, 이는 간부들이 미리 와서 필요한 준비를 해 놓지 않는다면 불가능한 일이다.어떠한 쁘레시디움도 활동 계획서라고 하는 기록된 사전 계획 없이 회합을 시작할 수 없다. 쁘레시디움 단장은 매번 회합에 앞서 이 계획서를 반드시 작성해야 하며, 작성된 계획에 따라 활동을 배당해야 한다. 단장은 이 계획서에 쁘레시디움이 추진하는 모든 활동 내용을 자세히 기록하고, 그 오른편에 활동을 배당받은 단원의 이름을 기입한다. 활동을 종류별로 매번 회합 때마다 똑같은 순서로 다룰 필요는 없으나,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단원들이 함께 활동을 하였더라도 한 사람씩 호명하여 각자 별도의 활동 보고를 하도록 해야 한다. 단장은 회합이 끝나기 전에 단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다음 주간에 해야 할 활동을 반드시 배당해야 한다.단장은 매주 계획하고 배당한 활동들을 한데 묶어 보관하는 활동 계획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아무리 열렬하고 매력적인 이상(理想)일지라도 막연하고 비현실적인 감동을 주는 데 머물러서는 안 된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이냐시
오 성인의 천재성은 신앙의 힘을 치밀하고 조직적으로 활용한 데 있었다. 증기는 실린더 안에서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동력을 생산해 내지 못한다면 아무런 쓸모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해를 끼친다. 얼마나 많은 영신적 열성들이 주의 깊게 검토되지 않거나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않기 때문에 덧없이 허비되고 있는가! 휘발유를 잘못 사용하면 자동차를 폭발시킬 수도 있으나, 조심스럽게 잘 사용하면 자동차를 산꼭대기까지 올라가게 할 수도 있다."(알프레드 오래힐리 몬시뇰 / Msgr. Alfred O'Rahilly : 윌리암 도일 신부의 생애)
3. 회합 시작
회합의 시작은 성령께 드리는 호도(呼禱)와 기도로써 이루어진다. 성령께서는 하느님께서 허락하신 은총과 생명과 사랑의 샘이시므로, 우
리는 성령께서 이 모든 은총을 성모님을 통하여 우리에게 내려 주심을 믿으며 기뻐한다.
"성모님은 하느님의 성자를 태중에 잉태하신 순간부터 성령께서 이 세상에서 하시는 모든 일에 대하여 일종의 권리나 관리권을 지니게 되
셨다. 그리하여 성모님의 중재를 통하지 않고서는 아무도 하느님의 은총을 받을 수 없게 되었다. …… 성령께서 내리시는 모든 은혜와 덕성과 은총은 성모님이 원하시는 사람들에게, 성모님이 원하시는 때에, 성모님이 원하시는 만큼, 성모님이 원하시는 방법으로 베풀어지고 있다."(성 베르나르디노 / St. Bernardine : 예수 성탄에 관한 강론 중에서)[주 : 윗글의 뒤쪽 부분과 거의 같은 내용이 베르나르디노 성인보다 200년 전에 살았던 대 알베르토 성인(St. Albert the Great)의 글(Biblia Mariana, Liber Esther Ⅰ)에도 쓰여 있다.]
4. 묵주기도 5단을 바친다
1단, 3단, 5단은 영적 지도자가 선창하고, 2단과 4단은 단원들이 선창한다. 묵주기도를 소리내지 않고 바치는 단원이 있어서는 안 된다. 또
한 성모상이 놓인 그 자리에 성모님이 은총을 내려 주시는 모습으로 실제 서 계시는 것과 같이 여겨, 엄숙하고 존경하는 마음가짐으로 묵주기도를 바쳐야 한다.
성모송을 바칠 때, 전반부가 미처 끝나기도 전에 후반부를 시작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예수님의 거룩한 이름은 경건히 불러야 한다.
묵주기도는 레지오 단원 생활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각 단원은 로사리오 회(the Rosary Confraternity 부록 7 참조)에 회원으로 등록
하기를 바란다. 교황 바오로 6세는 묵주기도가 반드시 잘 보존되어야 할 기도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 기도는 순수한 기도이며 뚜렷이 성서적이다. 즉, 전체 구원의 역사가 묵주기도 안에 효과적으로 집약되어 있으며, 그 역사 안에서 성모님이 맡아 하시는 여러 역할을 잘 드러내고 있다.
"기도드리는 여러 방법 중에서 묵주기도보다 더 뛰어난 기도는 없다. 이 기도는 우리가 성모님께 드려야 하는 모든 공경을 한데 모아 놓고
있다. 이 기도는 우리의 모든 악을 치료해 주며 또한 모든 축복의 근원이다."(교황 레오 13세 / Pope Leo XIII)
"모든 기도 가운데 묵주기도는 가장 아름답고 은총이 가장 풍부하며 지극히 거룩하신 동정 성모님을 가장 기쁘게 해 드리는 기도이다. 그
러므로 묵주기도를 사랑하고 날마다 열심히 바치기 바란다. 이것이 나의 유언이니, 이로써 나를 기억해 주기 바란다."(성 비오 10세 / St. Pius X)
"그리스도인에게는 성서가 으뜸이며, 묵주기도는 실제로 성서를 요약해 놓았다."(라코르데르 / Lacordaire)
"수많은 사람들의 기도가 단 하나의 기도 안에 합쳐진다면, 그 기도를 들어주시지 않을 리가 없다."(성 토마스 데 아퀴노 / St. Thomas de
Aquino : 마태오 복음 18장에 대하여)
5. 묵주기도가 끝나면 곧바로 영적 독서를 한다
영적 독서는 영적 지도자가 낭독하며, 불참시에는 단장이 대신한다. 영적 독서의 길이는 5분 정도로 제한하며, 그 내용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쁘레시디움 설립 후 초기 몇 년 동안은 교본을 영적 독서로 채택할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 이는 단원들 교본의 내용에 좀더 익숙해지고, 교본을 진지하게 공부하도록 격려하기 위함이다. 영적 독서가 끝나면 단원들은 함께 성호를 긋는다.
"'당신을 낳아 젖을 먹인 여인은 얼마나 행복합니까!' 의심할 바 없이 성모님은 육체적으로 예수님의 어머니가 되셨다는 사실만으로도 축
복받으시기에 합당하다. 특히 성모님은 천사가 아뢸 때, 이미 '하느님의 말씀을 믿고 따르고 받아들이셨으며, 그 말씀을 마음속에 깊이 새기어 간직하셨고'(루가 1, 38-45 ; 2, 19-51 참조) 당신 삶을 통하여 그 말씀을 이루셨기 때문에 마땅히 축복받으셔야 할 분이시다. 따라서,
우리는 예수님께서 선포하신 축복이 군중 속에 있던 어떤 여인이 이야기한 축복과 상치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다만 '주님의 종'(루가 1,
38)이라고 부른 동정녀 어머니께서 지니신 축복과 일치된다고 말할 수 있다."(구세주의 어머니 20)
6. 전주(前週) 회의록을 낭독한다
앞선 회합의 회의록을 낭독한 후 출석한 단원들의 승인을 얻으면 단장은 서명한다. 회의록은 너무 길거나 짧지 않도록 알맞게 작성해야
하며, 각 회합마다 일련 번호로 차수를 매긴다. 회의록의 중요성은 서기의 임무라는 항목에서 강조하였다. 회의록 낭독은 회합의 진행 순서 중 가장 앞 부분에서 이루어지므로, 이를테면 전략적 중요성이 크다. 그러므로 회의록 작성 요령과 낭독 방법에 따라서 그 뒤에 이어지는 모든 순서에 좋든 나쁘든 영향을 미치게 된다.훌륭한 회의록은 훌륭한 모범을 보여 주는 것과 같다. 하지만 정성이 부족한 조잡한 회의록은 나쁜 본보기를 보이게 된다. 아무리 훌륭하게 기록된 회의록이라 해도 서툴고 분명치 않거나 성의 없이 아무렇게나 낭독된다면 나쁜 회의록이 되고 만다는 점 또한 명심해야 한다. 회의록 낭독이 단원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대단히 클 뿐만 아니라 단원들의 정신 집중과 보고 방법까지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회의록 내용과 낭독 방법이 좋으냐 나쁘냐에 따라 회합 진행이 잘 될 수도 있고 잘못 될 수도 있다. 회합의 질적 수준이 높으냐 낮으냐에 따라 단원들이 수행하는 활동의 질이 높아지기도 하고 낮아지기도 한다.그러므로 서기는 회의록을 작성할 때, 남이 잘 알아주지 않는 일이지만, 이와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하며, 쁘레시디움 역시 능률적인 운영을 위하여 이러한 점들을 바르게 보살펴야 한다.
"만일 '세속의 자녀들이 자기네들끼리 거래하는 데는 빛의 자녀들보다 더 약다.'(루가 16, 8)고 하신 그리스도의 말씀이 여기서 입증된다
면, 이는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세속의 자녀들이 자신이 맡은 일을 매우 부지런하게 해내는 모습을 보게 된다. 그들은 받을 것과 줄 것을 세심하게 따져 보고 장부를 정확히 기록하며, 손해를 보면 매우 안타까워하여 이를 메우려고 열심히 뛰어다닌다."(교황 성 비오 10세 / Pope St. Pius X)
7. 상 훈
아래 적힌 상훈(常訓)은 활동 계획표 안에 함께 적어 넣거나 별도로 간직하여, 낭독할 때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상훈은 매월
첫 번째 회합에서 단장이 회의록에 서명을 마친 직후 낭독한다.
-상 훈-
단원이 지켜야 할 레지오의 의무는 :
첫째, 쁘레시디움 주회합에 규칙적으로 정각에 출석하여, 자신이 한 활동에 대하여 알맞고 또렷한 보고를 한다.
둘째, 까떼나를 매일 바친다.
셋째, 믿음의 정신으로 성모님과 일치하여, 실질적이며 적극적으로 활동을 수행하며, 그 활동 대상자와 동료 단원들 안에서 주님의 어머
니 마리아께서 우리 주님을 다시금 뵙고 섬기시듯이 한다.
넷째, 회합에서 토의된 사항이나 레지오 활동과 관련하여 알게 된 모든 일에 대하여 반드시 비밀을 지킨다.
"성모님은 나를 통하여 내가 접촉하는 모든 사람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계시는 예수님을 사랑하시기를 원하신다. 나의 사도직 활동과
끊임없는 기도가 그들의 마음속에 사랑의 불을 놓아 예수님께서 사시게 하기 때문이다. 내가 성모님과 온전히 일치할 때, 성모님은 은총과 사랑으로 나를 가득 채워 주시며, 나 또한 넘쳐 흐르는 시냇물처럼 다른 이들의 영혼을 가득 채울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성모님은 나를 통해서 예수님께 사랑을 드리고 예수님을 기쁨에 넘치게 해 드릴 뿐만 아니라, 나와 일치하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통해서도 그렇게 하신다."(드 야아헬 / De Jaegher : 신뢰의 미덕)
[이 인용문은 상훈의 일부가 아니므로 상훈과 함께 낭독하지 않는다.]
8. 회계 보고
회계는 쁘레시디움의 수입과 지출 및 잔고를 매주 쁘레시디움 회합에서 보고해야 한다.
"때때로 자금이 부족하여 영혼을 잃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자금 지원은, 다른 말로 표현한다면 사도직에 대한 더욱 완전한 협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제임스 멜레 신부 / James Mellet, C.S.Sp.)
9. 활동 보고
단원들은 자리에 앉은 채 활동을 보고하며, 수첩에 기록해 놓은 활동 내용을 참고로 하여 반드시 구두로 보고한다.
쁘레시디움은 단원이 활동 의무를 이행치 않았을 때 이를 당연한 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단원이 활동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가능하
면 그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 활동도 없고 해명도 하지 않는다면 의무를 게을리 했다는 인상을 풍겨, 동료 단원들에게 좋지 못한 본보기만을 남기게 된다. 단원들이 어느 정도 진지한 태도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면 굳이 변명을 늘어놓을 필요는 없을 것이며, 그것이 가장 바람직한 모습이다. 그러나 쁘레시디움 회합이 단원들의 변명을 듣는 분위기로 변하게 되면, 모든 단원들의 열성과 규율은 곧 시들고 만다. 활동 보고를 할 때에는 단장만을 향해 말해서는 안 된다. 말하는 사람의 심리적 작용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개별적으로 말할 때는, 자동적으로 말소리가 두 사람 사이의 거리에 알맞도록 조절되어 그 이상 커지지 않는다. 따라서, 단장 한 사람만을 향해 보고하게 되면 자연히 말소리가 작아지므로, 멀리 떨어진 자리에 앉아 있는 단원들은 알아듣기 힘들게 된다.활동 보고와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토의는 회합 장소 어디서나 들을 수 있도록 목소리를 높여 말해야 한다. 아무리 충실한 보고라 하더라도 참석한 단원들 가운데 여러 단원이 알아듣지 못한다면 회합 진행에 나쁜 영향을 준다. 그런 보고는 차라리 안 한 것보다 나을 것이 없다. 어떤 이들은 작은 목소리로 말하는 사람은 얌전하거나 겸손해서 그렇다고도 하지만,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어느 누가 감히 성모님보다 더 겸손하며 얌전하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성모님이 조그만 소리로 우물거리거나 가까이 앉아 있는 사람조차도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를 정도로 이야기하신다는 것은 상상이나 할 수 있겠는가? 레지오 단원들이여! 다른 모든 경우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말하는 태도에 있어서도 우리의 모후이신 성모님을 본받자.
단장은 알아듣기 힘든 보고는 받아들이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우선 단장 자신부터 그러한 비난을 받지 않도록 큰 목소리로 말해야 한
다. 단장의 어조(語調)는 그 회합의 어조를 결정짓게 마련이다. 단원들은 대개 단장보다 낮은 목소리로 말하므로 단장이 그저 보통 대화하는 어조로 말하면 단원들의 활동 보고는 속삭이는 어조로 떨어지고 만다. 단장이 부드럽게 말하는데 어떤 단원이 혼자 큰소리를 낸다면, 자기 혼자 소리를 지른다는 느낌이 들어, 결국 그 단원의 목소리는 겨우 들릴까 말까 할 정도로 낮아질 것이기 때문이다.그러므로 단원들은 단장을 비롯한 모든 단원이 큰 목소리로 말할 것을 요구해야 한다. 영적 지도자는, 마치 의사가 처방을 내리듯, 모든 단원들이 잘 들을 수 있게 큰소리로 말하는 것이 쁘레시디움을 건강하게 만드는 결정적 요소라는 점을 지적해 주어야 한다.활동 보고는 기도와 마찬가지로 회합의 중요한 요소이며, 기도와 보고는 서로를 보완해 주므로 쁘레시디움 회합에서 핵심을 이룬다.보고는 각 단원의 활동을 쁘레시디움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활동 보고를 통해서 각 단원이 어떠한 활동을 했는가가 분명하게 나타나야 한다. 마치 영화의 장면처럼 생생하게 표현하여, 보고를 듣는 다른 단원들이 마음속으로 그 활동에 참여하고 판단하며 논평하고 배우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보고할 때에는 어떤 활동을 시도했고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그리고 어떤 정신으로 활동에 임했으며 소요된 시간은 얼마이고,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활동을 수행했는지를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 또한, 달성하지 못한 활동은 무엇이며, 아직 접촉하지 못한 사람은 누구인가 하는 등의 내용도 밝혀야 한다. 회합 분위기는 밝고 명랑해야 한다. 그러므로 활동 보고는 회합에 정보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단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켜야 한다. 회합이 너무 지루하면 쁘레시디움이 건강하지 못하다는 증거이며, 이런 쁘레시디움이 젊은 단원들을 붙들어 둘 수 없다는 것은 너무나 분명한 사실이다. 어떤 활동은 그 내용이 다양하므로 훌륭한 보고를 하기가 쉬운 반면, 어떤 보고는 너무 단순하여 다양한 보고를 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에는 비록 사소한 것이라 해도 흔히 볼 수 없는 특징을 파악해 두었다가 보고 자료로 활용하면 좋을 것이다.활동 보고는 너무 길어도 안 되고 너무 짧아도 안 된다. 무엇보다도 판에 박은 듯한 보고가 계속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한 보고는 그 단원이 자신의 의무를 게을리 하고 있음을 스스로 나타내 줄 뿐만 아니라, 다른 단원들도 그 단원이 의무를 게을리 하도록 동조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 된다. 이러한 태도는 쁘레시디움으로 하여금 단원들의 활동을 감독하도록 한 레지오의 기본 사상에 큰 타격을 가하는 것이다. 단원들이 수행하는 활동에 대해서 쁘레시디움이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면 활동을 관리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레지오의 활동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회합에서 단원들의 노고를 세심하게 이해해 주고 북돋아 주지 않으면 단원들은 점차 몸을 사리는 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이러한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단원들은 힘닿는 대로 좋은 일을 많이 해 보겠다고 레지오에 입단했지만, 사실상 이들의 활동을 필요로 하는 곳은 인간 본성적으로 접근하기 꺼려지는 곳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레지오는 주로 회합을 통하여 단원들이 이러한 본성적인 약점을 극복하고 성공적인 활동을 해낼 수 있도록 이끌어 나가야 한다. 그런데 보고 내용이 실제 활동 상황을 확실하게 드러내지 못한다면, 쁘레시디움은 단원의 활동에 대해 단지 막연한 감독밖에는 할 수 없다. 이렇게 되면 쁘레시디움은 단원을 제대로 격려할 수도 안전하게 지켜 줄 수도 없게 된다. 결국 그 단원은 쁘레시디움의 관심과 지도를 받지 못해 더 이상 올바른 단원 생활을 지탱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레지오의 규율의 손길이 단원들에게 미치지 못하면 모든 면에서 불행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잘못된 보고는 다른 단원들까지도 쉽게 물들게 하므로, 성실하지 못한 보고야말로 레지오를 통해서 봉사의 삶을 살고자 진실로 원하는 사
람들에게는 비극적인 해악을 끼치고 만다.
레지오 단원은 훌륭한 보고를 하는 것만으로 만족해서는 안 된다. 목표를 좀더 높이 세우고 완벽한 활동을 위해 전력을 다할 뿐만 아니라
쁘레시디움에서 모범적인 보고를 하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활동 수행 방법뿐만 아니라 보고 방법까지도 서로 가르치고 배운다.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는 "훌륭한 모범이야말로 사람들을 가르치는 최고의 학교이다. 사람들은 모범을 통해서 가장 바르게 배운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한 단원이 모범을 보임으로써 쁘레시디움 전체가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려질 수도 있지 않겠는가? 활동 보고가 회합의 전부는 아니지만, 마치 중추신경처럼 쁘레시디움의 다른 모든 업무 진행에 공감 작용을 일으켜 전체를 좋게 만들기도 하고 나쁘게 만들기도 한다. 앞에서 보고할 때의 자세를 설명하면서 성모님을 떠올리라고 지적한 바 있다. 그런데 어떠한 경우라도 '성모님은 이런 경우에 어떻게 하셨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면, 그러한 생각만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활동 보고 시작 전에 쁘레시디움 소 제대에 모셔진 성모상을 한 번 바라보라. 성모님이 보고를 하신다면 어떻게 하실까를 상상하면서 좋은 보고를 하려고 힘쓰는 단원은 어느 면에서나 불성실한 보고를 하는 일이 절대로 없을 것이다.
"어떤 그리스도인들은, 성모님을 한없이 순결하고 아름다운 분이시며 지구 역사상 가장 상냥하고 온화한 여인이시라고 보지만, 그 이상으
로는 생각하지 않는다. 이러한 생각은 성모님에 대하여 단지 감상적인 신심에 빠지게 하거나, 만일 그러한 사람들이 강인한 성격을 지녔다면 성모님에 대하여 거의 매력을 느낄 수 없게 하는 위험마저 있다. 그들은 그토록 자상하시고 온화하신 동정녀요 어머니이신 마리아가
누구보다도 꿋꿋한 불굴의 여인이시며, 또한 그 누구보다도 훌륭한 인격을 갖춘 분이시라는 사실을 전혀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뇌
베르 / Neubert : 교리로 보는 성모 마리아)
10. 까떼나
회합 진행 도중 일정한 시간에 단원들은 모두 일어서서 까떼나(Catena Legionis)를 바친다.(제22장 [레지오의 기도문] 참조) 대개 단장의
회의록 서명과 회합이 끝나는 시간 사이의 중간 시간이다.(보통 한 시간 반이 걸리는 쁘레시디움 회합에서 시작한 지 한 시간 정도 지난 후이다.)후렴은 참석자 전원이 합송한다. '마리아의 노래'(Magnificat)는 영적 지도자(부재시에는 단장)와 단원들이 구절마다 번갈아서 바친다. '기도' 부분은 영적 지도자(부재시에는 단장)가 혼자서 바친다.까떼나를 시작할 때는 성호를 긋지 않고, '마리아의 노래' 첫 구절에서 다 함께 성호를 긋는다. 까떼나의 '기도'가 끝난 후에도 성호를 긋지 않는다. 바로 이어서 훈화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레지오에서 단원들이 까떼나를 함께 바치는 것보다 더 아름다운 것은 없다. 쁘레시디움이 기쁨에 넘쳐 있거나 실망에 빠져 있을 때, 혹은
판에 박은 듯한 단조로운 길을 힘겹게 걷고 있을 때, 까떼나는 마치 하늘나라에서 불어오는 산들바람처럼, 단원들로 하여금 백합이며 장미이신 성모님의 향기에 젖어들게 하여, 신기하게도 새롭고 산뜻한 분위기로 바꾸어 준다. 이것이 단순한 묘사가 아님을 레지오 단원이라면 누구나 다 잘 알고 있는 일 아닌가!
"나는 마니피캇(Magnificat, 마리아의 노래)이 특별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찬가는, 널리 알려진 사실은 아니지만, 동정녀 마리아께서
하느님의 어머니가 되신 은총을 드러내는 중요한 기록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듯이, 천사가 마리아께 아뢴 순간부터 지극히 거룩하신 동정녀는 그리스도와 온전히 일치하시어 자신이 인류의 대표자가 되었음을 선언하시고, '온 인류'와 세세대대로 긴밀하게 결합하시어, 당신의 참된 자녀가 되는 모든 이들과 운명을 함께 하신다. 이 성모님의 찬가는 성모님의 영성적 모성을 노래하고 있다."(도미니코 회 베르나르도 신부 / Bernard : 성모 마리아의 신비) "특히 이 찬가는 마리아의 기도이며, 옛 이스라엘과 새 이스라엘의 기쁨이 한데 어우러져 있는 메시아 시대의 노래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성 이레네오(St. Irenaeus)가 말했듯이, 이 찬가에는 구세주를 미리 뵈옵고 기뻐했던 아브라함의 환희(요한 8, 56 참조)가 새롭게 들려 오며, 교회의 예언자적 음성이 이 찬가 안에서 함께 울려 퍼진다. …… 실제로 '마리아의 노래'는 세상에 널리 펴져 나가서 언제나 온 교회의 기도가 되어 왔다."(교황 바오로 6세의 권고 : 마리아 공경 18)
11. 훈화(알로꾸시오)*
단원들이 다시 자리에 앉으면 영적 지도자가 짤막한 훈화(Allo-cutio)를 한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훈화는 교본에 대한 해설 형식으로 하여 단원들이 교본 내용을 완전히 익히도록 해야 한다. 훈화의 가치는 매우 크며, 단원들을 성장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레지오는 단원들을 영성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는 책임이 있으므로 단원들이 지닌 모든 잠재력을 이끌어 내지 못한다면 결국 단원 자신에게나 레지오에 대하여 부당한 행위를 저지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단원 각자가 자신이 몸담고 있는 레지오 마리애라는 단체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교본 연구도 이러한 목적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으나, 그것으로 훈화를 대신할 수는 없다. 교본을 주의 깊게 두세 번 읽는 것으로 교본 연구를 끝냈다고 생각하는 단원이 있을지 모르나, 열 번 스무 번을 읽는다 해도 레지오가 바라는 수준의 교본 지식을 쌓지는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단원들이 교본에 담겨 있는 모든 뜻과 사상을 완전히 익힐 때까지, 매주 지속적이며 체계적으로 설명하여 점차 수준을 높여 가야 한다.
영적 지도자가 참석하지 못한 경우에는 단장이나 또는 단장이 지명하는 단원이 교본을 해설하는 형식으로 훈화를 대신한다. 이때 교본이
나 다른 문헌에 실린 글을 단순히 읽기만 하는 것으로는 충분한 훈화가 될 수 없다. 훈화는 5∼6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한다.
훈화를 철저히 하는 쁘레시디움과 그렇지 않은 쁘레시디움의 차이는 훈련된 군대와 훈련되지 않은 군대의 차이와 꼭 같다.
"나는 오랫동안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해 왔다. 즉, 세상이 급격히 사악해지고 하느님께서 사람들의 마음을 더 이상 붙드실 수 없게 되었으므
로, 하느님께서는 아직까지 당신께 충실한 사람들만이라도 더큰 일을 해주기를 더욱 간절히 원하고 계실지도 모른다. 이제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깃발 아래 거대한 군단을 모으실 수는 없을지 모르나, 적어도 당신의 군단에 속해 있는 사람들만이라도 모두가 무조건 사랑하는
마음으로 당신께 헌신하는 '영웅'이 되기를 바라신다. 그러므로 만일 우리가 이처럼 아낌없이 자신을 바치는 이들의 신비의 대열에 들어
가기만 한다면, 하느님께서는 마음속으로부터 열렬히 바라고 계시는 사업, 즉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의 개인 성화를 돕기 위해 필요한 모든 은총을 우리에게 주실 것이라고 나는 믿는다."(몬시뇰 알프레드 오래힐리 / Msgr. Alfred O'Rahilly : 윌리암 도일 신부의 생애)
* '알로꾸시오'는 로마 군단의 장군이 부하 장병들에게 행한 연설을 일컫는 말이다.
12. 훈화가 끝난 후
모든 참석자는 성호를 긋는다. 이어서 활동 보고를 계속하거나 다음 순서로 이어진다.
"성모님이 하신 말씀이 뛰어나게 세련된 여성의 말솜씨라는 것은 역사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다. 성모님의 타고난 재능은 시인이 되기에 충
분했다. 성모님 입에서 나오는 말씀은 실제 시처럼 운율을 이루었다.
성모님의 말씀 한마디 한마디는 언어 예술가의 표현처럼 아름다웠다."(로드 / Lord : 현대 세계에서의 성모 마리아)
13. 비밀 헌금 주머니
훈화가 끝나면 곧바로 비밀 헌금 주머니를 돌리며, 단원들은 각자 형편대로 헌금한다. 헌금을 하는 목적은 쁘레시디움의 여러 가지 경비
를 지불하고, 꾸리아와 그 위의 평의회에 헌금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한 번 말해 두지만, 위에 말한 여러 상급 평의회들은 쁘레시디움에서 보내 주는 헌금이 없다면, 레지오를 관리하고 확장하거나 지원할 만한 재정적인 능력을 잃어버리게 된다.(제35장 [기금] 참조)
헌금 때문에 회합이 중단되어서는 안 된다. 비밀 주머니는 눈에 띄지 않게 단원들에게 차례로 돌려야 하며, 단원은 비록 헌금을 할 수 없는
경우라 해도 일단 헌금 주머니에 손을 넣어야 한다.
쁘레시디움은 적절한 비밀 헌금 주머니를 마련해야 한다. 장갑이나 봉투 사용은 적당치 않다.
쁘레시디움에는 금전적으로 여유 있는 단원과 그렇지 못한 단원 사이에 차별이 있을 수 없으므로 비밀 헌금은 말 그대로 비밀리에 이루어
져야 한다. 따라서, 헌금할 때는 비밀 원칙을 존중하여 자신이 얼마를 헌금하는지를 다른 단원들에게 드러내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한 가지 강조할 사항은, 쁘레시디움뿐만 아니라 전체 레지오 운영이 단원 각자가 비밀 주머니에 넣는 헌금에 달려 있다는 사실이다. 헌금을 단순히 형식적인 일로 여겨서는 안 된다. 아무런 부담도 되지 않을 정도의 적은 금액을 헌금해 놓고 헌금 의무를 다했다고 할 수는 없다. 사실상 헌금을 통하여 각 단원은 더 폭넓은 레지오의 사명을 나누는 특권을 누리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레지오의 기금에 헌금할 때에는, 각자 책임감을 느끼며 아낌없이 봉헌하는 자세를 지녀야 한다. 단원의 헌금 액수는 비밀로 해야 하지만 헌금 총액은 발표할 수 있으며, 반드시 장부를 사용하여 수입과 지출을 기록해야 한다.
"예수님께서 '이 과부는 구차하면서도 가진 것을 전부 바친 것이다.'(루가 21, 4)라고 과부의 헌금을 칭찬하셨을 때, 아마도 당신의 어머니
마리아를 떠올리셨으리라."(올시니 / Orsini : 복되신 동정녀 전기)
14. 회합을 마침
각 단원에게 활동을 배당하고 출석을 점검하는 등 모든 업무가 끝이 나면, 레지오의 마침 기도와 사제의 강복으로 회합을 마친다.
쁘레시디움 주회합은 한 시간 반이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내가 다시 말한다. 너희 중의 두 사람이 이 세상에서 마음을 모아 구하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는 무슨 일이든 다 들어주실 것이다.
단 두세 사람이라도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19-20)
제 19 장 회합과 단원
1. 회합을 존중하자
자연계의 질서를 유지시켜 주는 힘은 그 힘을 받아 각 분야에 전달하는 연결 고리가 얼마나 튼튼한지 그 여부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이런
현상은 레지오 조직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조직의 어느 한 부분에서 연결이 끊기면 조직 전체에 치명적인 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회합에는 열심히 참석하면서도 레지오의 생명이라 할 수 있는 이른바 영성적 감화나 힘을 거의 또는 전혀 받지 못하는 단원의 경우가 바로 그런 예이다. 회합과 단원 사이에는 일치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단원 쪽에서 단지 기계적으로 회합에 참석한다면 이런 일치는 이루어질 수 없다. 회합과 단원을 효과적으로 연결시키려면 반드시 필요한 요소가 한 가지 있는데, 그것은 바로 회합을 존중하는 마음이다. 레지오 조직의 모든 것은 회합을 존중하는 단원들의 정신을 바탕으로 세워져 있다. 다시 말하면, 단원들은 순명과 충성으로 회합을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을 지녀야 하는 것이다.
2. 쁘레시디움은 존경받도록 힘써야 한다
어떤 쁘레시디움의 수준이 전체 평균에 미치지 못한다면, 이는 그 쁘레시디움을 이끌어 갈 본질적 요소인 지도력 결핍을 의미한다. 이 경
우 쁘레시디움에 대한 단원들의 존경심은 오래 지속될 수 없다.
3. 쁘레시디움은 규율을 지켜야 한다
단원들이 쁘레시디움을 존중하는 마음이 크면 클수록, 그 만큼 그 단원은 레지오의 영성적 생명력을 더 많이 받게 된다. 레지오 정신의 핵
심은 최고의 수준에 오르려는 노력에 있으므로, 쁘레시디움 자체가 단원들에게서 최고의 존경을 받도록 하여, 이를 통해 다시 단원을 감화시켜야 한다. 만일 쁘레시디움이 레지오의 규율을 지키지 않으면서 단원들에게만 규율을 지키라고 강요한다면, 이는 모래 위에 집을 지으려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회합 순서나 전반적인 회의 진행 절차를 규정대로 엄격히 따를 것을 교본의 곳곳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4. 쁘레시디움은 성실함의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
레지오는 회합에서 사용하는 말이나 행동 하나하나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흠잡을 데 없는 회합의 모습이 열심한 단
원에게까지도 모범을 보여 줄 만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레지오가 지닌 다양한 생명력은 사실상 그런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단원들은 때때로 질병이나 휴가 또는 그 밖에 피치 못할 사정으로 주어진 의무를 다하지 못할 때가 있다. 그러나 쁘레시디움의 경우에는 모든 단원이 한꺼번에 결석하는 일은 없으므로 개별 단원의 경우와 같은 제한을 받지는 않으며, 실질적으로 회합을 가질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떤 이유로도 주회합을 걸러서는 안 된다. 만약 정해진 날짜에 도저히 회합을 가질 수 없는 경우에는 다른 날로 옮겨서라도 주회합을 열어야 한다. 단원 대다수가 결석했다고 해서 그것이 회합을 가질 수 없는 이유가 될 수 없다. 단 두세 명이라도 회합을 하는 것이 전혀 회합을 갖지 않고 넘어가는 것보다 낫다. 물론 이렇게 출석률이 낮은 회합에서 다루어지는 안건은 적을 수밖에 없겠지만, 쁘레시디움으로서는 적어도 가장 중요한 의무를 스스로 이행하는 것이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후의 회합에서는 더 많은 성과를 거두게 된다. 왜냐하면, 단원들은 자신들이 나약함과 실수와 기타 잡다한 세속 일에 얽매여 있는 동안에도 의연하게 임무를 계속하고 있는 쁘레시디움을 보게 되며, 그로써 회합에 대한 그들의 존경심은 더욱 커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로써 쁘레시디움은 희미하게나마 교회의 중요한 특성을 반영하게 되는 것이다.
5. 난방과 조명
회합 장소는 밝고 쾌적한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런 준비가 미흡하게 되면 유쾌해야 할 회합 분위기가 괴로운 자리로 변해, 쁘레시디움
의 장래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준다.
6. 좌석 배치
단원들이 앉을 1인용 의자나 긴 의자를 마련해야 한다. 만일 단원들을 학생용 책상에 여기저기 앉게 하거나 좌석 배치를 산만하게 하면 무
질서한 분위기가 조성되어, 질서의 정신이라 할 수 있는 레지오의 정신이 길러지지 않는다.
7. 주회합 시간은 단원들이 편리한 시간으로 정한다
대부분의 단원들이 낮에 일을 하므로 회합은 대개 저녁 시간이나 일요일에 열리게 된다. 그렇지만 저녁이나 야간에 일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으므로, 이런 단원들 형편에 맞는 회합 시간도 마련해야 한다.또한 교대 근무자들, 즉 근무 시간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사람들도 배려해야 한다. 이들을 단원으로 받아들이려면 주회합 시간이 서로 다른 두 쁘레시디움이 협력하면 된다. 이때 교대 근무자들은 비번 시간에 맞추어 두 쁘레시디움의 주회합에 번갈아 참석한다. 이런 단원의 출석과 활동을 바르게 지속시키기 위해 해당 두 쁘레시디움은 서로 긴밀한 협조 관계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8. 회합은 정해진 시간 안에 끝낸다
회합은 한 시간 반 이상을 넘지 않도록 한다. 회합을 능률적으로 운영함에도 불구하고 시간 내에 회합을 마치기 위해 안건을 줄이거나 서
둘러야 할 때가 자주 있게 되면, 이는 쁘레시디움의 업무가 너무 많다는 적신호이므로, 이때를 쁘레시디움의 분단을 고려해야 할 시기로 받아들여야 한다.
9. 회합 시간의 길이
회합 시간이 적어도 몇 분 이내에 끝나서는 안 된다는 하한선에 대한 규정은 없지만 (기도, 영적 독서, 회의록 낭독, 훈화에 소요되는 30분
을 포함하여) 매번 한 시간도 채 안 되어 끝나게 된다면 이는 무엇인가 잘못된 것이다. 그 원인이 결석한 단원이 많아서든지, 아니면 단원들의 활동이 거의 없어서든지, 혹은 단원들의 보고 방법에 문제가 있어서든지, 어떠한 경우라도 즉시 바로잡아야 한다. 산업계에서는 제품의 판매 시장이 열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산 시설을 최대한으로 가동하지 않는 경우, 아마도 이를 중대한 잘못으로 단정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레지오 조직 역시 최대한으로 가동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영신적 은총의 산물을 최대한으로 생산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10. 지각 또는 조퇴
기도가 시작된 후에 출석한 단원은 묵주기도 앞부분의 기도문(뗏세라의 앞 부분)과 그 뒤에 이어지는 호도를 무릎을 꿇고 혼자서 소리내
지 않고 바친다. 그렇게 하더라도 쁘레시디움의 묵주기도에 함께 하지 못한 손실을 메울 수는 없다. 회합이 끝나기 전에 조퇴해야 할 단원은, 회합 시작 전에 먼저 단장의 허가를 얻어야 하며, 조퇴할 때에는 무릎을 꿇고 마침 기도 (거룩하신 천주의 성모님…)와 그 뒤에 이어지는 호도를 바친 후 조용히 자리를 뜬다.어떤 경우라도 단원이 습관적으로 늦게 오거나 조퇴하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 물론 지각하거나 조퇴를 하더라도 활동은 할 수 있고 보고도 할 수는 있다. 그러나 회합의 시작 기도와 마침 기도를 가볍게 여기고 태만히 하는 것은 레지오의 기도의 정신에서 멀어지는 것이며, 심지어는 거역하는 행위로 비쳐질 수도 있다. 이러한 단원은 좋은 열매는커녕 해로운 열매만을 맺게 될 것이다.
11. 바른 질서는 규율의 뿌리이다
레지오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단원들 안에 규율을 지키는 정신을 기른다.
(가) 회합의 차림은 규정에 따라야 한다.
(나) 하나하나의 임무를 질서 있게 이어나가도록 한다.
(다) 규정에 따라 안건을 정확히 처리한다.
(라) 질서의 원천이신 성모님의 정신이 스며들게 한다.
이러한 규율의 정신이 없으면, 회합은 마치 머리는 명석하나 몸은 마비된 것처럼 힘을 잃게 된다. 쁘레시디움 회합이 힘을 잃어버리면, 단
원들을 다스리거나 밀고 나가지 못하며, 그들이 레지오의 조직 안에서 영성적으로 성장하는 데 전혀 도움을 줄 수 없게 된다. 규율이 없으면 단원들은 인간의 본능대로, 될 수 있는 한 통제를 피해 혼자 활동하려 하거나, 순간적이고 변덕스러운 충동에 따라 제멋대로 행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 속에서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신앙 안에서 무언가 이루어 보고자 헌신하는 마음으로 스스로 규율에 매이도록 만든다면, 세상에서 비할 데 없이 큰 힘이 그 안에 항상 작용하게 된다. 그리하여 신앙단체의 규율이 지나친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질서 있게 운영되며, 특히 교회 당국자로부터 따뜻한 호응을 받을 수 있다면, 그것은 아무도 저항할 수 없을 만큼 강력한 힘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이러한 점에서 레지오는 보화를 지니고 있으며, 그 보화는 바로 규율의 정신이다. 레지오는 이 보화를 외부에 나누어 줄 수 있는 능력도 갖추고 있다. 오늘날 세상은 억압과 자유 방임의 두 극단 사이에서 방향을 잃고 있다. 이렇게 어지러운 현대 세계에서 레지오가 제공하는 규율의 정신은 그 가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귀중한 보화가 아니겠는가. 내적 규율이 없더라도 전통이나 강력한 외적 규율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개인이나 단체가 외적 규율에만 의존하고 있다가 위기가 닥쳐와 그 규율이 무너지면 개인도 단체도 곧 함께 무너지고 만다. 이와 같이 내적 규율이 외적 규율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외적 규율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다. 사실상 양자는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두 가지 규율이 감미로운 신앙적 동기 안에서 서로 얽히어 적절한 비율로 결합될 때, 우리는 성서에서 말하는 '쉽게 끊어지지 않는 세 겹의 강한 동아줄'(전도 4, 12)을 갖게 되는 것이다.
12. 시간을 지키자
시간을 정확히 지키지 않고서는 "네 왕실의 기강을 바로잡아라."(이사 38, 1)고 하신 주님의 명령을 따를 수 없다. 어떤 단체가 조직원들을
무질서에 젖도록 잘못 훈련한다면, 그러한 단체는 조직원들을 근본적으로 비뚤어지게 만드는 것이며, 더욱이 모든 올바른 교육과 규율의 바탕이 되는 단체에 대한 존경심을 없애는 것이다. 생명처럼 소중한 것을 쉽게 줄 수 있는데도 이를 게을리 한다면, 이는 마치 '배를 칠하는 데 드는 몇 푼의 돈을 아끼려다가 배를 썩히고 만다'는 속담처럼 너무나도 어리석은 일이 된다.때때로 탁자 위에 시계가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시계가 회합 진행에 아무런 구실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보게 된다. 또 어떤 경우에는, 회합의 시작과 중간 그리고 마침 시간을 지킬 때만 시계를 보고, 그 외에 활동 보고나 다른 순서를 진행할 때는 전혀 시간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시작 기도에서부터 회합이 끝날 때까지의 모든 진행 순서에 시간과 질서를 엄격하게 지키는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만일 간부들이 이 점을 지키지 않으면 단원들이 충고를 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단원들 역시 잘못을 거들어 돕는 결과를 빚고 만
다.
13. 기도는 정성스럽게 바치자
성급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기도를 바치는 데도 침착하게 하지 않고 서두른다. 그리하여 기도를 잘못 이끌어 가는 한 사람의 부주의가
전체 쁘레시디움으로 하여금 경건하지 못한 태도로 기도를 바치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온다. 사실상 일반화되어 있는 잘못 한 가지를 지적한다면, 그것은 기도를 너무 빠르게 바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잘못은, 성모상이 모셔진 자리에 실제로 성모님이 단원들과 함께 계시는 것처럼 여기며 기도하라는 레지오의 지시를 무시하는 행위이다.
14. 기도는 회합과 한 덩이가 되어야 한다
회합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성체 앞에 함께 모여 묵주기도를 바친 다음, 각 쁘레시디움 회합실로 가도록 하자는 제안이 나온 일이 있었다.
회합에 대하여 레지오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대원칙은 통일성이다. 따라서 이 원칙에 어긋나는 어떠한 제안도 받아들일 수 없다. 회합이 하나의 모습으로 통일되어야만 회합에서 다루는 모든 것이 기도의 특성을 지니게 되며, 이 통일된 힘으로 영웅적인 활동과 노력들이 더욱 두드러지게 실천에 옮겨진다. 그러므로 만일 주회합 장소가 아닌 다른 곳에서 기도를 바친다면, 레지오의 통일된 힘으로부터 나오는 이러한 기도의 특성을 잃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회합의 성격을 전반적으로 바꿔 놓게 되고, 회합을 바탕으로 세워진 레지오 조직의 특성 그 자체를 변질시킨다. 따라서 이처럼 변질된 조직체는 제아무리 큰 성과를 올린다 하더라도 이미 레지오 마리애가 아닌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를 토대로 할 때, 어떠한 경우를 막론하고 쁘레시디움 회합에서는 묵주기도를 비롯하여 기도문 중 어느 하나라도 생략하는 것을 결코 허용해서는 안 된다. 사람의 몸이 살아 있기 위해 숨을 쉬어야 하는 것처럼, 레지오 회합에서의 묵주기도는 없어서는 안 될 절대적인 요소이다.
15. 다른 신심 행사중에 바쳐진 레지오 기도문
설사 쁘레시디움 회합을 열기 전에 본당 공동체의 다른 행사에서 레지오의 기도문을 바쳤다 하더라도, 쁘레시디움 회합에서는 모든 레지
오의 기도문을 새롭게 다시 바쳐야 한다. 그 이유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16. 회합에서 레지오의 기도문 외에 다른 특별한 기도를 바치는 문제
회합에서 바치는 기도에 어떤 다른 특별한 지향을 둘 수 있느냐는 질문을 자주 받고 있다. 이에 대한 해석이 구구하여 혼란을 가져 올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그 원칙을 명확히 해 두고자 한다.
(가) 레지오 회합의 통상 기도문을 특별한 지향으로 바치는 문제:회합에서 바치는 기도는 반드시 레지오의 모후이신 복되신 동정 성모님
의 지향을 위해서 바쳐야 하며, 다른 지향을 둘 수 없다.
(나) 다른 기도문을 레지오의 통상 기도문에 덧붙여 특별한 지향을 두고 바치는 문제:레지오의 기도문 자체가 이미 상당히 길기 때문에
다른 기도문을 덧붙여 바칠 수 없다. 다만 간혹 레지오와 관련된 일로 특별한 기도를 바쳐야 할 때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한하여 통상 기도문에 덧붙인 다른 짧은 기도를 바칠 수는 있다. 그러나 추가 기도는 극히 제한적이어야 하며 자주 있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해 둔다.
(다) 어떤 특별한 지향을 위하여 기도를 바쳐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이를 단원들에게 알리어 단원들의 개인적인 신심 행위를 통하여
그 지향을 위해 기도해 줄 것을 권장한다.
17. 성실한 보고가 겸손에 어긋나는가
어떤 단원들은, 선행을 스스로 내세우는 것은 겸손의 덕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말하면서 자신의 알맹이 없는 보고를 합리화한다. 그러나
그러한 태도는 한마디로 겸손을 가장한 교만이다. 시인들은 이러한 잘못된 겸손을 일컬어 '마귀의 기분을 맞추는 죄'라고 읊지 않았던가. 그러므로 단원들은 이렇게 가장된 겸손이 자신의 생각 속에서 교묘히 작용하지 못하도록 경계해야 하며, 쁘레시디움의 세심한 지도를 벗어나려는 욕구가 암암리에 자신의 마음속에 스며들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만일 그러한 잘못된 행위가 다른 단원들에게 번지게 되면, 그 쁘레시디움은 결국 무너지고 만다. 따라서 참된 겸손이라면 결코 그러한 잘못된 행위를 드러내도록 요구하지는 않을 것이다. 절대로 그러한 일이 일어나도록 놓아 두어서는 안 된다.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순수성은 단원들이 그와 같은 특출한 행동을 삼가고 조직체의 규율과 준수 사항을 기꺼이 따르며, 단원 한 사람 한 사람이 회합을 발전시키는 데 없어서는 안 될 그들의 개인적 역할을 다하도록 요구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활동 보고는 그 하나하나가 회합을 쌓아 올리는 한 장의 벽돌이다.
18. 화합은 일치의 표시이다
화합이란 단체 활동 안에서 이루어지는 사랑의 정신이 밖으로 드러나는 것이므로 무엇보다도 큰 힘을 발휘한다. 레지오에서 말하는 능률
도 결국 화합의 정신으로부터 비롯된다. 아무리 훌륭한 성과를 거두었다 해도 화합을 깨뜨리면서 얻어낸 것이라면 그 진정한 의미를 잃어버린다. 레지오에서는 화합의 정신과 근본적으로 배치되는 결점들을 마치 전염병을 피하듯이 적극 멀리 해야 한다. 독선을 부리거나 흠잡거나 화를 내거나 비꼬거나 잘난 체하는 등등의 결점이 회합에 끼여들면 화합의 분위기는 즉시 사라져 버린다.
19. 동료 단원의 활동에 모든 단원들이 관심을 갖자
회합은 기도로써 시작되므로, 기도를 바치는 동안 단원들은 모두 동등한 자격으로 회합에 참석하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느낌은
회합을 마치는 순간까지 이어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단원들은 회합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 사사로이 잡담을 나누거나 웃거나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회합에서 발표하는 활동 보고 하나하나는 그 활동을 맡았던 단원 한 사람이나 두 사람만의 관심사가 아니라, 모든 단원들이 함께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일깨워 주어야 한다. 이를테면, 보고를 듣고 있는 동료 단원들이 보고를 하고 있는 단원과 함께 활동 대상자를 직접 방문하고 있는 모습을 마음속에 떠올릴 정도로 쁘레시디움이 모든 활동에 관심을 쏟아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없을 때, 단원들은 동료 단원이 어떤 활동을 어떻게 했는지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흥미로운 활동 보고에만 관심을 쏟을 것이 아니라 회합의 매 순간이 친밀한 동료 의식과 단원 한 사람 한 사람의 개인적인 관심으로 넘치도록 만들어야 한다.
20. 반드시 비밀을 지켜야 한다
매달 한 차례씩 되풀이해서 단원들에게 들려주는 상훈(常訓)은 레지오 조직에서 비밀을 지키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 주고 있
다. 군인은 용기가 부족하면 부끄러운 일로 여기지만, 반역 행위는 용기 부족과는 비교할 수조차 없는 나쁜 행위로 본다. 쁘레시디움 회합에서 알게 된 사실을 외부에 퍼뜨리는 것은 레지오에 대한 반역 행위이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 다소 열성이 지나친 단원들 가운데에는, 가령 냉담자 방문 활동을 보고할 때, 활동 대상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그들의 이름이나 사정을 쁘레시디움에 보고하지 않아야 하며 그것이 바로 이웃 사랑의 정신이라고 엉뚱한 주장을 펴는 단원이 있다. 모든일에는 분별력이 요구된다. 즉, 이러한 논리는 얼핏 듣기에 그럴 듯하지만 그 안에는 큰 잘못이 들어 있다. 이러한 잘못된 논리 안에서 쁘레시디움은 결코 만족할 만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결국 레지오는 그 생명마저 위협받기에 이른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가) 그러한 주장은 우선 단체의 일반적인 관례에 어긋난다. 무릇 단체란 모든 문제와 안건에 대한 조직원들의 활발한 논의에 의해서 발전
한다.
(나) 그러한 주장을 논리적으로 분석 해 보면, 결국 공동 방문자들끼리도 서로 비밀을 지켜야 한다는 모순이 나온다.
(다) 레지오에서 활동을 수행하고 활동 대상자들에 대한 정보를 나누고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등의 행동 단위체는 단원 개인이나 한 쌍의
공동 방문자가 아니라, 모든 것은 오직 쁘레시디움을 중심으로 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통상 활동은 그 내용이 모두 쁘레시디움에 보고되어야 한다. 만일 단원들이 보고를 하지 않는다면 쁘레시디움은 무용지물이 되어, 결국 이웃 사랑이라는 허울 좋은 명분 아래 참된 사랑의 열매가 상처를 입게 되는 것이다.
(라) 이 문제는 사제가 개인의 비밀을 지켜 주어야 한다는 것과는 전혀 다른 문제이다. 성직자로서의 사제의 기능은 레지오 단원과는 그
차원이 다르다. 레지오 단원이 방문 활동을 펴면서 알게 되는 일들은 대개 주위의 사람들이 이미 아는 내용을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이웃에 사는 사람들이나 동네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경우도 허다하다.
(마) 활동을 보고하는 의무를 없애 버리는 것은 단원들을 일일이 지도하고 감독하는 기능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중대한 문제가
된다. 쁘레시디움이 단원들을 적절하게 충고하고 지도하고 논평할 수가 없게 되면, 쁘레시디움의 기본 이념이 상처를 받게 되며, 활동 보고를 바탕으로 단원들을 교육하고 보호하는 기능도 불가능해진다. 쁘레시디움이 단원들의 주간 활동 보고를 세밀히 검토하지 못하게 되면, 틀림없이 여러 가지 무분별한 일들이 일어나게 되어 레지오는 해(害)를 입는다.
(바) 이상한 일은, 단원들이 쁘레시디움에 자신의 활동을 제대로 보고하지 않는 경우에 오히려 비밀 유지가 더 어려워진다는 사실이다. 현
재 놀라울 정도로 잘 지켜지고 있는 레지오의 비밀 엄수 의무는 단원들의 활동을 쁘레시디움이 일일이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장악하는 힘이 약해지면 '비밀의 띠'도 느슨해진다. 한마디로, 쁘레시디움은 이웃 사랑을 실천하고 비밀을 지켜야 하는 단위체일 뿐만 아니라, 이 두 가지를 지탱하는 기둥이다. 단원들이 쁘레시디움 회합에서 보고할 때에는 가족들이 모여 앉아서 집안 비밀을 의논하는 것과 같이 해야 한다. 비밀이 새어 나가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또는 실제 그런 일이 발생할 때까지는, 누구라도 똑같이 자유롭게 발언하도록 해야 한다. 설사 비밀이 밖으로 새어 나갔다 하더라도 보고를 제한할 것이 아니라, 의무마저 배반하는 단원이 다시는 생겨나지 않도록 노력함으로써 그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물론 전적으로 개인의 비밀을 지켜 주어야 하는 예외적인 경우가 가끔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즉시 영적 지도자(만날 수 없을 때는 다른 능력 있는 분)와 의논하여 그분으로 하여금 결정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 옳다.
21. 발언의 자유
회합의 진행 방법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해도 되는가? 쁘레시디움의 분위기는 군대식이 아니라 가족적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단원들의 '공정한 논평'은 환영해야 한다. 다만 도전적인 어조를 띤다던가 간부들에 대한 존경심을 저버리는 태도가 되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