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향 전주 나들이1/2
전통과 문화를 자랑하고 선비의 향내가 풍기는 전주를
친구들과 함께 하루 나들이로 여행을 다녀 왔다.
7월28일 아침 8시에 출발하는 관광버스에 몸을 싣고
경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 양길을 누비면서 관광회사의 주선에 따라
금산을 경유하다 보니 1시가 넘어 전주에 있는 한식당에 도착했다.
만오천원 가격의 전라도의 한정식이 가지수도 많을 뿐 아니라
담백하고 정갈한 구미를 돋구어 전주의 전통음식 맛을 본 좋은 기회였다.
이날 따라 소나기가 있을걸로 일기예보는 접하고 출발한 여행이기에
도중에 소나기를 맞으면 어떠하나를 고심하던 기우는 사라지고
덕진공원을 들렸을때는 한낮의 폭염이라 모두들 구경도 좋지만
더워 못살겠디며 남아 있던 마지막 여행지 '도로공사수목원'도
그냥 두고 귀구길에 올랐다.
짧은 기간내 다섯곳을 챙길려니 구경.촬영도 제대로 못했을뿐 아니라
더위 먹을 곤경에 처할 처지였다.
아래사진에 날짜가 본인 실수로 3월6일로 세팅된줄도 모르고 바쁘게 촬영하는데만
정신을 솟다보니 큰 실수를 저질러 죄송하나, 하는수 없이
그대로 올림에 양해를 바랍니다.




한옥마을
태조로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편에 한옥마을과
전동성당 및 경기전이 위치한다.
중식후 한옥마을을 40분만에 휙~ 둘러보다.


태조로입구 돌거북 간판




한옥마을에 날아갈듯한 팔작지붕기와집들이 줄비하게 큰 마을을 이루고 있다.

전동성당
한국 최초 천주교 순교지에 성당을 세우다




잔동성당 오른쪽에 위치한 순교지

태조로 중앙지점에 위치한 한지관에 한지로 만든 샘풀부채들을 촬영할려다 금지 당해서
두컷만 거우 담았다.


일반 부채들은 개당 5천원정도 이상이며 넥타이도 한지로 실을 꼬아 천을 만든 제품으로
세탁해도 훼손되지 않는다고 한다. 한지공예의 진수를 본다.

합죽선의 경우 한개당 6만5천원 이상의 정가가 기록되어 있어
묵필 작가들의 작품임을 실증한다.
慶基殿


경기전 정문

대구의 관광안내소의 형태와 비교해 본다.


下馬碑
지차계하마(支此階下馬) :계급의 높고 낮음 신분의 귀천을 떠나 모두 말에서 내리고
잡인무득입(雜人毋得入): 잡인들은 경기전 출입을 금한다.

임구정문에서 본 홍살문

입구에 들어서서 정전 좌측에 위치한 東齋와 守僕廳(경기전의 제사를 맡아 보는 관리의 수직하는곳)

경기전 중문


이성계 어진

정전 全景


정전 우측 회랑
.

정전의 맛배지붕에 두마리의 거북이 보인다

거북이 두마리가 조각되어 있다.
물에 사는 거북이는 장수의 상징으로 목조건물인 경기전의 화마를
피하고 조선의 영원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암.수 한쌍의 거북이를 새겨 넣음.


정전 우측 뒷편에 위치한 全州史庫
임진왜란시 다른 3대사고는 화마를 입어 전소되었으나 전주사고만 남았다
현재 자료는 다른 곳에 보관하고 건물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