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이지포토

이미 다른 매체를 통하여 익히 아시겠지만 모르시는분들을 위해 다시 한번 설명합니다.
우리가 보는 사물의 빛은 태양광선 또는 인공조명의 빛이 사물에 반사되어 다시 눈에 들어오는 것들입니다.
이를 가시광선이라고 합니다.
빛은 파장이지만 입자이기도 합니다.
파장(Wave ) 는 물결치듯 파동을 치고 직사 뿐만 아니라 회절등 효과도 가져옵니다.
입자의 성질이 있기 때문에 빛은 직진성을 갖습니다.
빛은 가시광선영역뿐만 아니라 자외선, 적외선 등 우리가 볼수 없는 다른영역도 있습니다.
카메라에서 쓰는 로우패스 필터라는것은 가시광선 영역만 통과 시키고 적외선, 자외선 영역은 차단합니다.
좀더 엄밀히 차단하기 위해서 우니는 렌즈 보호용이자 자외선 차단효과가 띄어난 UV 필터를 쓰기도 합니다.
그럼 적외선 필터는 무엇일까요?
반대로 가시광선 영역을 차단하고 적외선 영역을 흡수 합니다.
그럼 DSLR 에 로우패스 필터와 적외선필터를 동시에 끼우면 어떨까요?
가시광선, 적외선 영역 둘다 차단하기 때문에 노출이 안나옵니다.
제가 해 보니 대략 13스텝정도 안나옵니다. 이는 대 낮에도 삼각대를 동원하여 수분 혹은 수십초 동안 찍어야 된다는겁니다.
이유는 완벽하게 차단하지 않고 중첩된 부분은 통과 시키기 때문에 약간이나마 빛을 흡수해 버립니다.
이 영역이 그림에서 보는 중첩된 영역.... (알파파)라 합니다.
그럼 로우패스 필터를 제거하고 적외선필터를 끼우면 어떨까요?
카메라는 적외선 이후의 영역을 다 받아 들이고 가시광선 영역은 차단해 버립니다.
위 둘다 끼운 상태와는 약간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즉 적외선 영역을 맘대로 모두 흡수해 버리고
가시광선중 일부영역(붉은 레드게통) 부분만 약간 흡수합니다. 이는 적외선 필터가 가시광선 끝부분 영역을 통과 시키기 때문입니다.
보다 엄밀히 말하면 이것도 적외선 필터마다 다릅니다. 즉 715 혹은 650nm 이후의 영역을 흡수해 버리는 필터가 있는가하면
830nm 이후의 영역만 흡수해 버리는 필터도있습니다.
적외선 필터를 선정하실때 고려해야될 부분입니다.
가시광선영역을 약간 통과 시키는 적외선 필터를 구입하시면 색 변환으로 멋진 칼라적외선 사진을 얻을수 있습니다.
반대로 오리지널 적외선 영역만 받고 싶다면 830nm 이상만 흡수해 버리는 적외선 필터를 구입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때는 가시광선 영역을 완전 차단하므로 칼라라는것은 찿아 볼수 없고 흑백 이미지만 나옵니다.
카메라중에 커스텀 화이트밸런스를 지원하는 DSLR 이나 컴팩트 카메라(일명 똑딱이)는 커스텀화벨로 잡을경우
가시광선영역중에 붉은 계통을 받지 않으므로 포토샵 색보정이 필요없이 적외선 흑백이미지를 얻을수 있습니다.
즉 커스텀화벨을 지원하는 카메라는 830nm 적외선 필터보다 715nm 혹은 그 이하의 가시광선영역까지도 흡수하는 적외선 필터를 선택하심이
더 유리합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적외선필터는 B+W 092 시리즈 093 시리즈, 헬리오펜 715 시리즈, 830 시리즈, 호야720 시리즈 등이 있습니다.
092는 650, 093은 830 이후 영역을 경계로 흡수합니다. 헬리오펜 715 역시 680 이후의 영역을 흡수해 버리고 715nm 에서 최대 픽크값을 갖습니다.
호야 역시 720 nm 부분을 경계로 약간 아래쪽과 위쪽 전부다를 흡수합니다.
왜 오토화벨로 적외선 필터를 끼우고 찍으면 붉은색 계통이 나오는지 이해 하셨죠?
그럼 붉은색 계통의 색을 어떻게 제거해야 하나요? 라고 질문이 나올겁니다.
포토샵매뉴중에 Adjustment --> 체널믹스 라는 매뉴를 누르면
RGB 값 따로 따로 0~ 값을 조정할수 있습니다.
이때 그린계통은 놔 두고 적색은 레드를 0, 블루를 100으로 하시고
반대로 푸른색은 레드를 100으로 , 블루를 0으로 하시면 됩니다. 즉 바꿔치기를 해 버리는것이죠.
그러므로 빛을 흡수해 버린 하늘이나 강가의 물은 파랗게 나오고
녹색은 적외선 에서 반사율이 가장 커서 흰색을 띄게 되는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토톤 혹은 오토레벨 한방만 먹이면 아주 깨끗한 이미지가 나옵니다.(하단 사진 참조)

보다 관심을 갖는다면 요기도 한번 찿아 주세요.
http://www.irphoto.org
설명을 돕기위해 3가지 이미지를 추가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