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거듭제곱(power, repeated square): 어떤 수나 문자를 거듭하여 곱한 것
2 - 결합법칙(associative law): 결합률이라고도 하며 덧셈 곱셈에 대하여
x + ( y + z ) = (x + y ) + z
x(yz) = (xy)z 이 성립하는 것을 말함
3 - 계수(coefficient): 어떤 식에서 한 문자에 착안할 경우 그 문자의 이외의 수를 말함
4 - 공역(codomain): X에서 Y에로의 함수에서 Y의 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의 영역
5 - 공집합(empty set, null set): 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 기호로는 { }, Ф를 사용함
6 - 교집합(intersection set)
집합 A와 집합 B의 어느 쪽에도 포함되는 원소 전체의 공통부분의 집합
7 - 교환법칙(commutative law): 두 수 a , b에 대하여 a + b = b + a 가 성립하는 것을 말함
8 - 근(root): 방정식의 해 또는 해집합을 말한다.
9 - 다항식(polynomial): 두 개 이상의 단항식들이 대수적으로 합해져 있는 식
10 - 단항식(monomial): 숫자와 몇 개의 문자의 곱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식
11 - 대입(substitution)
식 또는 함수에 있어서 그 안에 포함되는 문자나 변수를 그것과 같은 다른 것으로 바꾸어 놓는 것
12 - 동류항(like term, similar terms): 수계수 이외의 문자인수가 모두 같은 단항식
13 - 등식: 양변에 각 항들을 등호로 연결한 식
14 - 무한집합(infinite set): 한 집합에 속한 원소의 개수가 무한개인 집합
15 - 미지수: 아직 결정되지 않은 수 혹은 아직 구체적인 값이 안 알려진 수
16 - 밑: 거듭 제곱수에서 지수 밑에 쓰여진 수
17 - 방정식(equation)
등식에서 한 문자에 어떤 특정한 값을 대입할 때에 한하여 등식이 성립하는 식
18 - 상수항(constant term): 미지수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항
19 - 서로소(relatively prime): 두 정수 사이에 1 이외의 공약수가 없을 때를 서로소라 함
20 - 소수(prime number): 1이 아닌 자연수 중에서 1과 그 수 자신만을 약수로 갖는 자연수
21 - 소인수(prime factor): 어떤 자연수의 약수를 인수라 하며 이 인수 중에서 소수인 수
22 - 소인수분해(factorization in prime factors)
합성수를 그의 소수들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
23 - 순서쌍(ordered pair): 순서가 정해진 두 원소의 쌍 ( a , b )를 말함
24 - 식의 값(numerical value of expression): 일정한 식의 문자에 수치를 대입하여 얻은 값
25 - 십진법(decimal system)
10개씩을 모아 한 자리씩을 윗자리로 올라가게 하는 수의 표기법
26 - 양수(positive number): 0 보다 큰 수를 의미한다
27 - 양의 정수: 정수 중에서 양수인 집합
28 - 여집합(complement)
전체집합과 그 부분집합이 있을 때 이 부분집합에 속하지 않는 원소들로 구 성된 집합
29 - 역수(invers number): 1을 어떤 수 a로 나누어 얻은 수, 즉 1/a
30 - 원소(element): 요소라고도 하며, 집합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사물들을 원소라고 함
31 - 원소나열법: 집합을 표시하는데 원소를 일일이 나열하여 표시하는 방법
32 - 원점(origin): 직선 상에서 좌표를 정하는 기준이 되는 점
33 - 유리수(rational number)
두 개의 정수 a, 0이 아닌 b를 취하여 분수 a / b의 꼴로 나타내어지는 수
34 - 유한집합(finite set): 원소의 수가 유한 개로 이루어지는 집합
35 - 음수(negative number): 0보다 작은 수
36 - 음의 정수(negative integer)
음의 정수 -1, -2, -3, ....을 말하는 정수 중에 음수를 말함
37 - 이진법(binary notation)
숫자 0, 1만을 사용하여 2개씩을 묶어서 윗자리로 올리는 표기법이다.
38 - 이항(transposition of terms): 등식이나 부등식에서 항의 부호를 바꾸면서 이동시킴
39 - 인수: 어떤 수나 식이 다른 수나 식들의 곱으로 표시 될 때 이들을 인수라 한다.
40 - 일차방정식(linear equation): 정리하여 미지수에 대한 1차식 만을 포함하는 방정식
41 - 일차식(linear expression): 차수가 1차인 항을 말한다
42 - 전체집합(universal set)
하나의 집합을 정하고 이 집합의 부분집합을 고찰하는 대상으로 할 경우 이 원래의
집합을 전체집합이라고 한다.
43 - 절대값(absolute value)
양, 음의 수의 부호를 없앤 수로 양수와 0은 그 수 자신이며 음수는 부호를 없앤 수이다
44 - 정수(integer): 자연수, 0, 음의 정수를 합쳐서 정수라 한다.
45 - 정의역(domain of definition): 함수가 X에서 Y에로의 함수 일 때 X의 영역을 말함
46 - 조건제시법: 집합을 표시할 때 원소의 조건을 제시하는 방법
47 - 좌표(coordinates): 수직선상의 원점을 기준으로 단위길이를 정한다음 임의 점 p에
대하여 그 매겨진 수를 점 P의 좌표라고 한다.
48 - 좌표축(coordinates axis): 직교좌표계 또는 사교좌표계 O-xy에서 수직선 Ox와 Oy를 각각 x축, y축이라 하고 이 둘을 합쳐 좌표축이라고 한다
49 - 좌표평면(coordinate plane):
공간의 직교좌표계 O-xyz 에 대하여 x축과 y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xy평면, y축과 z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yz평면 , z축과 x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zx평면이라고 하고
이들을 총칭하여 좌표평면이라고 한다.
50 - 지수(index number): 물가나 임금 등과 같이 해마다 변하는 것의 변화를 알아보기
쉽도록, 어느 해의 수량을 기준으로 잡아 이것을 100으로 잡아 그것에 대한 다른 해의 수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다른 하나는
거듭제곱에서 밑에 대하여 제곱하게 되는 수를 말한다.
51 - 집합(set): 집합은 식별이 분명한 원소들로 구성된 모임을 말하고,
집합론에서 무정의 용어로 취급된다
52 - 차집합(difference of two sets): 집합 A에는 속하고 집합 B에는 속하지 않는 원소로 구성된 집합을 말하며 A-B로 표기한다.
53 -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measure): 두 개 이상의 공약수중에서 최대인 것을 말함
54 - 최소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 두 개 이상의 공배수 중에서 최소인 것을 말함
55 - 축: 좌표평면에서 기준이 되는 선을 말하며 평면에서는 x축, y축이 있다.
56 - 치역(range): X 에서 Y에로의 함수에서 Y의 값이 취하는 범위
57 - 함수: 두 개의 변수 사이에 어떤 대응관계가 있어 x값이 정해지면 y의 값이 오직
한 개가 대응하는 관계를 함수라 한다.
58 - 함수 값: 어떤 함수에서 정의역 x의 값을 대입하면 치역 y값이 결정되는데
이 값을 함수값이라 한다.
59 - 함수의 그래프
X 에서 Y에로의 함수를 좌표평면 위의 (x,y)좌표로서 그래프로 표현한 것
60 - 합집합(union set): 두 개의 집합 A, B에 대하여 A에 속하거나 B에 속하거나,
혹은 두 집합 모두에 속한 모든 원소의 집합을 말함
61 - 항(term): 수나 문자들의 곱(상)이나 합(차)으로 이루어진 식을 항이라 부른다.
62 - 항등식(identity)
등식에서 그 속의 문자에 어떤 값을 대입하여도 언제나 성립하는 식
63 - 해(solution): 근이라고도 하며 어떤 방정식을 만족하는 미지수의 값을 의미한다.
첫댓글 올린거 한번씩 읽어는 봤지?? ㅎㅎ 내가 창피해질 정도로 너무 열심히 했다..... 각성할게
멋지다 ㅎㅎ
오우..짱인뎀ㅁ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