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대통령 집무실...
박대통령의 싸인만 남겨놓은 보고서 책자가 두권 있었다.
한권은 '행정수도 이전을 위한 백지계획',
또 한권은 '2000년대 국토구상' 이라는 보고서이다.
26권이나 되는 어마한 분량의 책자에서 간추려 요약한
보고서 책자가 대통령의 싸인을 기다리고 있었던것이다.
76년-79년에 작성되어 20년 넘게 극비 문서로 계획되던
박정희 기간중 가장 많은 시간과 인력이 동원된 백년대계 프로젝트
바로 백지계획인 것이다.

박정희는 왜 수도를 옮기려고 했을까?
당시 서울의 인구집중문제는 상당한 고민거리였다.
매년 20만명의 사람들이 몰려들면서 서울에는 심각한 도시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급등하는 인구로 주택난이 가중됐고,공해문제도 점점 심각해져가고 있었다.
전국토의 0.6%되는 공간속에 인구의 20%와 산업의 30%가 몰려있었다.
1955년만해도 150만명이었던 인구는 매해 폭발적으로 증가해 77년에는 750만명을 넘어서고 있었다
세계적으로 한지역이 폭발적으로 인구가 늘어나는 도시는 찾아보기 힘들다.
지방의 수많은 농민들은 서울의 빈민층으로 탈바꿈했고
변두리에 위치한 판자촌들은 나날이 늘어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수도이전이였던 것이다.
수도이전 계획은 총15년동안 3단계에 걸쳐서 진행될 예정이였다.

박정희 정부는 부동산 투기를 방지하기 위해서 2급 대외비로 정하고 철저히 보안을 시켰다.
그래서 그 프로젝트의 이름 또한 백지계획이였던 것이다.
위치선정에는 구체적인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 메모가 기준이 되었다.
휴전선에서 평양까지의 거리와 비슷할 것.
서울에서 자동차로 2시간 이내의 거리일 것.
낮은 구릉과 야산이 많은 곳일 것 등
박 대통령은 구체적인 11가지 입지선정 기준을 구체적으로 정해놓고 있었다.

기후와 기온, 강우량 뿐 아니라 지진발생도까지 고려해 후보지를 선정했다.

서울에서 80키로미터이상 200키로미터 이하인 거리에 있는 곳으로
해안선에서 40키로미터 이상 떨어져 있는 지역.
그리고, 전 국토의 인구와 산업,
그리고 면적의 중심점으로부터 80키로미터 이내 떨여져 있는 지역이다.

세부 항목별 평가결과, 장기와 논산이 유력 후보지로 압축됐다.
'백지계획' 보고서에 나타나는 지역은 두 곳 중에 장기지구다.
백지계획에서 눈에 띄는 것은 조경계획이다.
보행자도로는 산책로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나무와 잔디가 이어지는
녹지 공간으로 계획됐다. 도시를 하나의 대형 공원처럼 만드는 것이었다.
도시의 외곽에는 대규모의 수림지대를 계획했다.

보행자도로와 차도가 완벽하게 분리돼있을 뿐 아니라
자전거 전용도로도 따로 만들어져 있다.
지하공동구는 상하수도, 전기 등 지하매설이 가능한 모든 것을 수용하는 도시공급처리시설이다.

지금은 신도시에서 간혹 볼수 있지만 당시만 해도 획기적인 시설이었다.
신행정수도가 미래형 도시라는 것은 교통체계에서도 드러난다.
교통체계에서 고속화 도로와 철도는 동시를 지나고
지하철은 서시에서 중심지구를 지나 동시까지 이어진다.
여기서 특이한 것은 중심지구를 관통하는 고속전철이다.

현재 시범운행되고 있는 노선을 바꿔놓을 수도 있었던 24년전의 고속전철 건설 계획.
이것은 당시 서울과 신행정수도를 같은 생활권으로 만들기 위해서 구상된 것이었다.
서울은 경제도시로서 남을 것이다.
서울 사람들이 새로운 행정수도에 올 일이 많은 것이다.
1시간 이내에 올 수 있게금하는 교통수단이 필요하다고 생각..그것은 고속전철밖에 없었다.
두 권의 책중 또 한권의 책은 '2000년대 국토구상' 이라는 보고서이다.

수송비용과 시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수도를 중심으로 새로운 도로망이 계획됐다.
전국을 거미줄처럼 덮고 있는 4개의 환상선 도로와
7개의 방사선 도로는 지금의 고속도로망과 유사하다.
또 하나의 문제는 산업단지가 일부 지역에 치우쳐 있다는 것이었다.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계획이 필요했다.

연안지역에 대규모 산업기지를 만들고,
교통의 교차점에 내륙 공업단지를 만들어
전국 국토를 활용하는 계획인 것이다.
서해안과 남해안이 거의 동등하다.
1970년대 이미 중국이 문이
시장경제에 의해 열릴 것이다는 것을 예측한 것이다.

해안과 내륙 곳곳에 위치한 산업단지는 모두 새로운 교통망을 통해 연결된다.
이렇게 국토구상은 한반도 전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초대형 프로젝트였다.
몇몇 대도시에만 또 다시 인구가 집중되는것을 막기위해 계획된 것이 중핵도시건설이었다.
창원같은 인구 50만 도시가 이상적인 도시가 돼서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다.
창원같은 도시를 전국에다가 세우겠다는 이야기다.
이것이 중핵도시의 첫 출발이었다.
행정도시를 중심으로 퍼져나가는 중핵도시는 전국의 산업단지 주변에도 위치해
특정지역에 인구와 성장이 집중되는 것을 예방해준다.
박정희 대통령은 이 프로젝트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국토개조라는 사업은 엄청난 사업이다. 옆나라 일본도 하려다가 실패했다.
이것은 큰 계기가 있어야한다. 국가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볼 때 대단히 큰 사업이다.
지금 이 기회를 놓치면 국토 개편 사업이라는 것을 하기가 영영 힘들어진다."
새로운 행정수도를 중심으로
전 국토가 골고루 발전해나가는 것
이것이 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백지계획이 담고 있는 최종목표였으며,
이 프로젝트는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모두 물거품이 되었다.
첫댓글 이 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프로젝트가 실현되고 성공했더라면!!!
아무리 봐도 다시는 보기 힘든 위대한 민족의 지도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