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하거나 확대하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코로나로 위기에 처한 경제에 활력을 주기 위해 추진했던 디지털 뉴딜사업에 '17만여개 국내기업이 참여해 데이터 시장이 대폭 성장(14.3%↑)하고, 220만여명의 국민이 다양한 디지털 혜택을 향유했다'고 평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는 22일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디지털 뉴딜 1주년 성과를 발표하고 향후 추진될 디지털 뉴딜 2.0의 주요 정책방향을 내놨다. 과기부는 디지털 뉴딜 기업·기관들이 참여하는 대국민 성과공유회도 개최했다.
정부가 꼽은 디지털 뉴딜의 성과는 △디지털 뉴딜에 10조1천억원을 투자해 데이터 댐 구축 △디지털 뉴딜을 뒷받침할 34개 정책방안 발표 △국가지식정보법 등 디지털 뉴딜을 위한 입법 완료 △규제샌드박스 활용 73건의 규제 처리.디지털 전문계약제도 도입 등이다. 이와함께, 비 ICT기업 12만7천개에 바우처를 지원하고 인공지능, 지능형반도체, 실감콘텐츠 등 핵심기술 787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데이터댐(5만여명), 공공데이터 청년 인턴(1.5만명), 디지털 배움터(8천여명) 등 뉴딜 주요 사업에 약 9만여명 이상의 인력이 참여해 고용위기 완화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디지털 뉴딜 추진으로 우리나라의 세계 디지털 경쟁력 지수(IMD)는 10위에서 8위, 정부 인공지능 준비지수는 26위에서 7위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SOC확충으로 초·중·고 31만개 교실에 고성능 WiFi가 구축되고, 스마트 홍수 관리(807개소), 재난대응 조기경보 시스템(170개소), 지자체 CCTV를 경찰청, 소방청 등과 연계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108개 지자체)이 가동되는 등 국민들의 디지털 서비스 체감도가 높아졌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49조원을 추가 투자해 디지털 뉴딜 2.0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뉴딜 2.0에는 분야별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 디지털 트윈산업 활성화, PIM(메모리+프로세서 통합) 인공지능 반도체, 인공지능 원천기술 등 핵심기술 개발 등 10여개 사업이 포함됐다.
과기정통부 임혜숙 장관은 이날 "다양한 채널을 통해 민간과 협업·소통해 디지털 뉴딜 2.0의 분야별 추진계획을 수립·시행함으로써,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 변화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