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미 텔레다인사, '로그 1' 차세대 자폭 드론 공개 - AI
US company Teledyne FLIR unveils Rogue 1 next-gen suicide drone
2024.5.10
최근 미국 플로리다(Florida)주 템파(Tampa)시에서 열린 특수작전부대(SOF, Special Operations Forces) 주간전시회에서 텔레다인(Teledyne)사가 '로그 1(Rogue 1)' 자폭 드론을 공개하였다. 군사장비 부문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룩한 '로그 1' 체계는 수직이착륙(VTOL) 능력을 갖추어 다양한 환경에서의 작전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고정밀 타격 능력으로 정지 및 이동 목표물을 모두 정확히 타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향상된 광학, 열감지 장비로 주야간 우수한 정찰능력을 제공하며 모듈형 탑재화물 체계를 이용해 폭발성형관통자(EFP: Explosively Formed Penetrators)와 비살상 무기 등 작전적 필요에 따라 다양한 화물를 적재할 수 있다. 해당 드론은 시속 112km 이상의 최대 속도와 최대 30분의 비행 시간을 가져 역동성을 요구하는 현대전에 적합하다.
1. US company Teledyne FLIR unveils Rogue 1 next-gen suicide drone
On May 7, 2024, during the Special Operations Forces (SOF) Week convention in Tampa, Teledyne FLIR Defense unveiled its latest innovation in unmanned aerial technology, the Rogue 1 loitering munition system. Known as a "suicide drone," this new system represents a significant advancement in military equipment, designed to carry out high-precision lethal strikes across a variety of battle scenarios.
The Rogue 1 stands alone in its category, with vertical launch and landing capabilities that enhance its operability in diverse environments. It is engineered to strike targets with surgical precision, making it a reliable tool against both stationary and mobile targets.
Equipped with advanced electro-optical and FLIR Boson 640+ thermal cameras, the Rogue 1 provides exceptional reconnaissance capabilities, both day and night. Its gimballed payload system enables extremely precise targeting, which, combined with a variety of modular payloads, offers adaptability for numerous military tasks. These payloads range from explosively formed penetrators (EFPs) to non-lethal options, catering to different operational need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drone is underscored by its 30-minute flight time, speeds exceeding 70 mph, and a range of over six miles. These specifications not only allow it to surpass current systems but also to adapt seamlessly to the evolving dynamics of modern warfare.
During the presentation, Dr. JihFen Lei, Executive Vice President and General Manager of Teledyne FLIR Defense, emphasized the strategic value of the Rogue 1. "This system is designed to provide our troops with an unmatched advantage on the battlefield," said Dr. Lei. "Its integration into the U.S. Marine Corps as part of the Organic Precision Fires-Light (OPF-L) program is a testament to its potential to change the face of military engagements."
The Rogue 1, introduced at SOF Week, enhances modern warfare technology by incorporating advanced sensors for improved reconnaissance, precision targeting systems for accurate strikes, and robust defensive features for increased survivability. This drone is designed to operate in various combat environments, offering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in strategic deployments. Its impact on U.S. military operations lies in its ability to execute precise attacks from a distance, reducing risk to personnel and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missions.
월간번역
미국 승리의 군사이론
-중국과의 전쟁에서-
(p1)
미국과 중국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대만해협에서 분쟁 발생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미국 정책들은 이러한 전쟁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미국의 방위계는 억제가 실패할 경우에 대비하여 대만에서의 전쟁에서 승리는 어떤 모습이고 이를 어떻게 쟁취할지를 주의깊게 고민해야 한다. 전쟁에서는 종전보다 개전이 쉬우며, 미국은 파멸적인 확전을 회피하면서 유리한 정치적 입장에서 전쟁을 끝내는 방법에 대한 명확한 비전을 가져야 한다 (월트 2022; 아이클, 2005). 세르비아나 이라크와 같이 미국이 그동안 싸워온 지역적 적대국과는 달리, 핵무기를 보유한 강대국과의 전쟁은 미국이 냉전 이후 마주한 적 없던 확전 위협을 수반한다.
승리 이론은 적을 패배시키는 방법에 대한 인과관계 이야기이다. 이는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일이 해결될 것이라 생각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줄거리"를 제공한다(코헨, 2022b). 그 서술은 데이비드 패트레이어스 장군이 이라크에서 제기했던 질문: "이것은 어떻게 끝날 것인가?"에 답해야 할 것이다. 이는 적이 패배를 받아들일 조건을 밝혀내는 일, 그리고 분쟁에서 그러한 조건들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일을 필요로 한다. 승리 이론은 전략 자체보다 전략이 작용하는 이유와 방법을 설명하는 "주요 교리"로, 원하는 결말과 가능한 수단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고려를 포함한다(코헨, 2022a, p. 33; 호프만, 2020, p. 61; 로버츠, 2020, pp. 27–28). 좋은 승리 이론은 명확한 정치적 목표를 가지고, 간결하며, 적이 (군사적, 정치적으로) 어떻게 대응할지 숙고하고, 관련국(예: 동맹국)들이 어떻게 반응할지 고려해야 한다. 승리 이론은 모든 국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또 그래야 하지만, 미 국방부는 군사작전들이 어떻게 그 전쟁의 정치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뼈대를 특별히 필요로 한다. 군사적 승리 이론은 역사적으로 미 대통령과 최고위 군사고문의 논의를 통해 만들어져 왔으며 일례로 제 2차 세계대전 중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과 윌리엄 D. 리히 제독의 논의를 들 수 있을 것이다(오브라이언, 2019).
여기서는 평시 경쟁에서 성공하는것에 대한 이론보다는 전시 승리 이론에 초점을 둔다. 전쟁이 시작되면 중심 임무는 억제에서 강압으로 전환되며, 이는 다른 분석적 접근을 요구한다.[1] 중국이 대만과 전쟁에 도박을 걸지 못하도록 최적화된 이론적 틀와 정책들은, 중국이 도박은 실패했으며 위험을 무릅쓰고 전력을 다하기보다는 전쟁을 중단해야 한다고 납득시키는 이론과는 다를 수 있다.
(p1-2)
각주
[1]억지력은 분쟁이 시작된 후에도 여전히 중요한 보조 역할을 할 수 있는데, 특히 적이 확전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중요한 지원이 될 수 있다.
이 보고서는 대만을 둘러싼 중국과의 전쟁에서 미국의 잠재적 승리 이론의 윤곽을 그리고 관련된 확전 위험들을 분석한다. 우선 강대국 간 가상의 전쟁의 이해관계가 주어질 때 승리 이론을 진지하게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작한다. 그런 다음 미국과 연합국 의사 결정권자들에게 주어진 5가지 승리 이론들을 확인한 후, 그 실행 가능성을 살펴 보고 수반되는 확전 위험 수준에 따라 이론들을 분류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실행 가능한 두 가지 승리 이론들인 '거부'와 '군사적 피해 강요'의 성공 전망을 고려해볼 것이다.
대만을 둘러싼 중국과의 가상 분쟁에서 미국의 승리 이론들에 대한 조사에서, 우리는 거부 승리 이론이 파멸적인 확전을 피하면서 가장 좋은 승리의 기회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가장 일반적인 대안인 군사적 피해 강요 이론은 성공 전망이 낮으며 파멸적 확전의 가능성이 높다. 이는 특히 우리가 "골디락스 문제"라고 부르는 것을 처리할 때 잠재적 위험성 때문인데, 골디락스 문제란 중국의 의사결정을 바꿀만큼 중대하면서 우리가 받아들일 수 없는 중국의 확전 대응을 피할 수 있는, 최상의 중국에 대한 압박 지점을 찾아내는 일을 말한다.
현대의 국방 계획가들이 미래 전쟁과 전쟁의 확전 위험들을 평가하는데 시간을 할애하는 데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미국이 오늘날 선택한 전력 구조가 10년 후에 어떤 승리 이론이 실행 가능한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전력 구조 변화는 많은 소요시간을 필요로 하며, 미국이 모든 선택지에 넓고 얕게 투자하는 것은 가용 자원의 한계로 인해 타당하지 않아 보인다. 둘째, 평시에 승리 이론을 연구하는 일은 전쟁억제가 실패하고 전쟁이 발발했을 때 미래 대통령들에게 정보에 입각한 조언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위 군 장교들과 민간인들이을 준비시키는데 핵심적이기 때문이다. 미국 본토에 대한 핵 사용이나 광범위한 재래식 공격의 결과를 고려할 때, 고위 장교와 공무원들은 대통령에게 가능한 가장 명확하고 최선인 조언을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승리 이론이 초래하는 위험들에 대해 정통해야 한다. 작전 성공에 대한 열망과 핵으로 무장한 적과의 확전을 관리해야 하는 필요성 사이에서 효과적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것은 미국에 실존적 위험이 될 수 있다.
<축약어>
CCP: 중국 공산당
DoD: 미국 국방부
GDP: 국내 총 생산
IISS: 국제 전략 문제 연구소
PLA: 중국 인민해방군
PRC: 중화 인민 공화국
SIPRI: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
(p2-3)
-21세기 전략적 분쟁의 현실
냉전 종식 이후 미국은 미중 분쟁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전쟁을 수행하는데 익숙해졌다. 지역적 적대국들과 싸울때 미국은 압도적인 전력 우위를 점해왔으며 제한된 확전 선택지를 가진 적과 맞섰다. 이러한 일은 미국에 제약이 거의 없었으며, 미국은 체제 전복와 같은 최대한의 전쟁 목표를 보복의 우려 없이 추구할 수 있었다. 반면, 21세기 강대국 간 전쟁의 주요 특징은 미국의 패배와 파멸적인 확전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중국군(PLA)의 힘이 커지면서 중국이 대만을 성공적으로 점령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중국의 존속 가능한 핵 전쟁억지력과 초기 단계의 장거리 재래식 타격 능력은 미국 본토에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역량이 되었으며, 이러한 역량은 2030년까지 계속 증가할 것이다.[2] 2021년 중국군의 신형 대륙간 미사일(잠재적으로 부분궤도폭격체계일 수 있는) 실험은 언젠가 미국에 대한 핵 또는 재래식 타격을 가할 수 있는 역량의 한 예이다(세바스토풀로와 힐레, 2021). 중국의 사이버 능력은 미국 본토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가할 수 있는 추가적 수단이다.
중국은 탄탄한 핵보유고가 있기 때문에, 미국은 냉전 이후 고려할 필요가 없었던 방식으로 전쟁을 국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핵무장한 강대국 간의 제한전은 지역적 적대국들과 달리, 당사국 둘 모두 파멸적인 확전을 일으킬 힘이 있기 때문에 "의도적인 자제"가 요구된다(브로디, 1959, p. 309). 핵무기 시대의 제한전에서 필수적인 요소는 제한된 정치적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은 중국이 대만을 물리적으로 통제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으로 정치적 목표를 좁게 정할 수 있는데, 이는 중국이 대만의 독립을 인정하는 정치적 입장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거나 중국 공산당 정권을 전복하는 등의 최대한의 전쟁 목표에는 미치지 못한다. 미국은 최소 대만과, 잠재적으론 일본, 호주와 같은 국가와 연합군으로 함께 싸울 것이기 때문에, 미국은 동맹국들이 제한적인 목표를 추구하도록 설득해야 하는 연합군 관리 문제에도 직면할 것이다. 분쟁과 관련된 지형, 무기, 표적에 제한을 두는 것과 같이, 사용되는 수단을 제한하는 것은 또한 안정화 역할을 할 수 있다(할퍼린, 1963). 중국의 지도자나 핵 운용 부대를 공격하는 일은 중국에게 전쟁이 사실은 제한전이 아니었다고 확신시킬수도 있다. 최대한의 전쟁 목표를 추구해온 미국의 전적과 타국의 의도를 확실하게 파악하는 것의 본질적인 어려움을 감안할 때, 중국 공산당은 미국이 중국의 핵심 이익이나 심지어 생존까지 위협하는 원대한 목표를 추구하려는 유혹을 느낀다고 걱정할 가능성이 있다. 중국은 평시에도 미국에 대한 깊고 만성적인 불신을 보여왔으며, 전장의 안개와 적극적 적대행위가 초래하는 추가적인 의심은 이러한 우려를 더 악화시킬 뿐이다(포센, 1991; 탈매지, 2017; 리베르탈과 지시, 2012). (p3-4) 종합하면, 원하는 목표와 이를 추구하는데 사용되는 수단에 제한을 두기를 훈련하는 것이 확전을 관리하면서 성공할 수 있는 최상의 기회를 제공한다.
각주
[2] 미군에 도전하는 중국의 성장하는 역량에 대해서, Heginbotham 등(2015), Ochmanek(2022), 미국 국방부(2023)을 보라.
최소 및 최대 전쟁 목표를 보다 넓은 맥락에서 대비시켜 설명하기 위해, 그림 1은 완전한 승리에서 파멸에 이르는 전쟁 결과의 스펙트럼을 묘사한다. 승리는 국가가 정치적 목표를 달성한 정도이며, 패배한 상대에게 자국의 의지를 어느 정도 강요하는 것을 수반한다(폰 클라우제비츠, 1976; 바솔로뮤, 2008). 완전한 승리는 승자가 패전국의 핵심 이익을 침해하는 조건이더라도 일방적으로 평화 협정 조건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이 예시로 제 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국이 독일과 일본을 상대로 거둔 완전한 승리를 들 수 있다. 핵무장한 강대국을 상대로 완전한 승리를 거두는 것은, 핵 시대의 결정적인 특징인 '패자'가 재래식 전력이 패배하더라도 '승자'를 파괴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불가능하다(제르비스, 1989). 제한적 승리는 승자가 평화 협정 조건에 대한 완벽한 통제를 가졌더라면 원했을 것에 미치지 못하는 한정된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영국은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에게 제한적 승리를 거두었는데, 이는 영국이 포클랜드에 대한 통제를 회복했지만 아르헨티나 체제가 분쟁에서 살아남았고 포클랜드에 대한 정치적 영유권 주장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한적 패배는 제한적 승리의 반대이다. 아르헨티나가 포클랜드 점령에 실패한 것과 이라크가 1991년 걸프전에서 쿠웨이트를 지키지 못한 것은 제한적 패배의 사례이다. 광범위한 패배는 완전한 승리의 반대이다. 독일과 일본은 제 2차 세계대전에서 광범위한 패배를 겪었다. 마지막으로, 파괴는 광범위한 패배를 넘어 한 사회의 근본 토대가 완전히 파괴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단계의 패배는 드물지만, 카르타고가 제 3차 포에니 전쟁에서 그랬던 것처럼 과거의 국가들은 이를 경험했다. 핵무기는 21세기의 어떤 강대국 간 전쟁에서도, 한 쪽의 재래식 전력이 승리 직전에 있더라도, 파괴를 그럴듯한 결과로 만든다.
<그림 1>
전쟁 결과의 스펙트럼
*파괴
산업과 사회의 근본적 토대 파괴됨
*광범위한 패배
협상 조건을 교섭할 수 없도록 제한됨
*제한적 패배
한정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함
*제한적 승리
한정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음
*완전한 승리
협상 조건을 강압적으로 요구할 수 있으며 사회 재편이나 체제 변경을 포함함
그림 2는 냉전 이후 시대에 전쟁의 잠재적 결과의 영역이 어떻게 미국에 유리하게 치우쳤는지 보여준다. 미국의 전쟁 결과 가능 범위는 y축에 있으며, 이라크와 같은 지역적 적대국들에게 가능한 전쟁 결과는 x축에 있다. 양쪽 모두 완전한 승리를 거두는 것과 같은 일부 결과는 실현 불가능하며, 훨씬 약한 지역적 상대국들이 미국에게 광범위한 패배를 가하는 것과 같은 다른 일부 결과도 가능성이 없다. 지난 30년간 미국의 전쟁의 잠재적 결과들이 미국에 대한 심각한, 대대적인 재래식 공격이나 핵 공격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그림 2에서 녹색으로 색칠되어 묘사되었듯이), 미국의 지도자들은 최대 전쟁 목표를 추구하고 강대국 간 갈등에서 극도로 위험한 방식으로 싸우는 데 익숙해졌다. (p4-5)
2030년 미중 전쟁의 전망으로 눈을 돌리면, 그림은 완전히 다르게 보인다. 그림 3은 그림2의 전쟁 결과와 확전 위험을 그대로 재현한 것으로, x축에 지역적 적대국 대신 중국을 상대로 한 전쟁 결과가 반영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중국의 강력한 재래식 전력과 생존 가능한 핵 전쟁억지력으로 인해 더 많은 잠재적 전쟁 결과가 실현 가능해졌다. "제한전" 영역의 경계는 전쟁이 통제 불능 상태로 치닫는 것을 막으면서 동시에 한정된 목표를 추구하는 일의 내재된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모호하다. 실제로는 중국이 제한적 패배를 피하기 위해, 미국보다 기꺼이, 더 극단적 확전도 불사하려는 경우 그림 3의 이 영역의 경계는 비대칭적이 될 수 있다. 그림 3의 좁은 수용 가능한 전쟁 결과 범위는 최근의 국지전들 뿐 아니라 과거 핵무기 이전 시대 강대국 간 전쟁과도 다르다. 핵 사용으로 이어지는 확전의 악순환은 미국이나 중국이 제 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과 일본이 경험한 것과 같은 광범위한 패배나 종래의 파괴를 겪기 훨씬 전에 일어날 것이다. 중국이 궁극적으로는 스스로의 확전 역량을 통제하기 때문에, 확전의 "낮은 위험"을 목표로 한 조치들은 "위험 없음"을 보장할 수 는 없다.
<그림2>
1990년-2020년대 미국은 지역적 적대국들을 상대로 낮은 파괴의 위험으로 최대 전쟁 목표를 추구할 수 있었다.
규모
미국의 완전한 승리 가능한 결과의 영역:미국은 핵무장하지 않은 지역적 실현 불가능 미국의 파괴에
전쟁 제한적 승리 적대국과 싸울 때 이 공간에만 집중할 수 있었음 이르는 확전
결과 제한적 패배 위험은 없음
광범위한 패배 미국과 지역적 적대국들의 역량 불균형을 고려할때 불가능함 미국의 파괴에
파괴 이르는 확전
파괴 광범위한 패배 제한적 패배 제한적 승리 완전한 승리 위험 높음
지역적 적대국들의 전쟁 결과
(p5-6)
미국과 중국이 파멸적 확전을 피하기 위해 가야 할 좁은 길을 고려할 때, 미국은 분쟁을 끝낼 만큼 작전적 결정력과, 손실이 더 큰 승리를 피하기 위한 확전 관리 사이에서 어려운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승리 이론이 필요하다. 다음 장에서는 미국이 선택할 수 있는 승리 이론의 후보들을 살펴보겠다.
<그림3>
미래의 미중 갈등에서, 상호 파괴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전쟁 목표는 한정되어야만 한다.
규모
미국의 완전한 승리 실현불가능 미국의 파괴에
전쟁 제한적 승리 <제한전쟁의 영역> 이르는 확전
결과 제한적 패배 양국은 전쟁을 제한하기 위험은 없음
광범위한 패배 위해 전쟁 목표를 한정해야 함 미국의 파괴에
파괴 이르는 확전
파괴 광범위한 패배 제한적 패배 제한적 승리 완전한 승리 위험 높음
중국의 전쟁 결과
첫댓글 로그 자폭드론은 24-17호에 내가 쓴 기사에 이미 포함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