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여과기는 이묵* ...
어찌된 일인지 1년 넘어가면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특히 side mount 형에서 특히...
또한 여과기의 표면에서 실구멍이 생겨, 여과기가 오줌을 누듯 물이 흐르는 경우도
많다. 그 발생 건수도 너무 많네요
저희가 설치한 고객사의 60%에서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여과기를 선정하여야 할 때 가격도 좋지만, 이젠 품질을 고려하려야 할 것 같다.
우선 대부분의 저가형 여과기는 2.5~2.8 Bar 압력에 맞추어져 있다.
이것은 여과기와 수영장의 높이차가 20m를 넘어서는안된다는
의미다. 또한 순간적으로 순화펌프가 가동하면 압력이 높아진다.
이를 체절 압력이라고 한다.
가동정지 후 가동시키는 순간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세히 파악하지 않으면
인지하지 못한다. 지속적으로 이런 현상이 발생하면, 충격으로 인하여, 몸체와 연결된
부분과 육방밸브가 접촉되는 곳이 벌어지면서 누수가 발생한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면 15m 이하의 환경에서 한정, 사용 하여야 한다는 의미다.
대부분 수영장의 장비는 수영장 -->순환펌프--> 여과기 -->보일러 순으로 설치를 한다.
따라서 자연압 + 순환펌프의 체절압력이 합쳐저 여과기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층고 차이가 발생하는 다층형 건물에선 여과기 선정에 신중하여야 한다.
우선 기본적으로 4Bar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장비가 선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Side Mount는
육방밸브와 접촉된 부분이 취약하기 때문에, Top Mount type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요즘은 압력에 강한 Basket Filer도 좋은 방법이다.
basket filter는 뚜껑을 open하여 Filter를 씻겨야한다.
일반 수영장 여과기를 설치방법은 수영장--> 모집망 순환펌프--> 여과기--> 보일러 --> 수영장으로 설치하는데
비하여, basket Filer는 수영장 --> Basket Filter --> 일반펌프 --> 보일러 --> 수영장으로 설치하면 된다.
수영장 물을 흡입하는 관계로 흡입양정을 체크하고, 적합한 펌프를 선정한다.
Basket Filter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재질은 소금이나 수영장 약품처리에 내성있는 STS316L로 선정하여야 한다.
Flange로 배관을 체결을 하기때문에 누수 걱정이 전혀 필요가 없다.
대형 수영장, 물놀이 수영장에선 이러한 Basket Filter를 사용한다.
물을 Filtering 하면서 분수 등 여러 물놀이를 만들어 내야 하기 때문에, 압력이 6k 이상
요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 수영장에서 사용하는 여과기로는 감당이 않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