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옷감의 비유 경
M7 Majjhima Nikàya I 1. 7 Vatthuupamasuttaü'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사왓티의 제따 숲에 있는 아나타삔디까의 승원(급고독원)에 머물고 계셨다. 거기에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라고. 그러자 비구들도 받들었다. "존귀하신(세존)이시여."라고.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2. "비구들이여, 만일 옷감이 더럽고 때가 묻으면 염색공이 그 옷감을 파랗거나 노랗거나
빨갛거나 심홍색으로 물들이기 위해 그 각각의 염료에 담그더라도 그것은 염색이 잘 되지도 않고
그 색깔도 선명하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비구들이여, 옷감이 깨끗하지 않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마음이 오염되면 악처(惡處)가 예상된다.
비구들이여, 만일 옷감이 희고 깨끗하면 염색공이 파랗거나 노랗거나 빨갛거나 심홍색으로
물들이기 위해 그 각각의 염료에 담근다면 그것은 염색이 잘되고 그 색깔도 선명할 것이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비구들이여, 옷감이 깨끗하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마음이 오염되지 않으면 선처(善處)가 예상된다."
3. "비구들이여, 무엇이 마음의 오염원들인가?
욕심과 그릇된 탐욕이 마음의 오염원이다.
악의가 마음의 오염원이다.
분노가 마음의 오염원이다.
적의가 마음의 오염원이다.
모욕이 마음의 오염원이다.
얕봄이 마음의 오염원이다.
질투가 마음의 오염원이다.
인색이 마음의 오염원이다.
속임이 마음의 오염원이다.
사기가 마음의 오염원이다.
완고함이 마음의 오염원이다.
뻔뻔스러움(수치심이 없음)이 마음의 오염원이다.
자만이 마음의 오염원이다.
거만이 마음의 오염원이다.
허영이 마음의 오염원이다.
방일(게으름)이 마음의 오염원이다."
4. "비구들이여, 비구는
'욕심과 그릇된 탐욕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욕심과 그릇된 탐욕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악의가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악의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분노가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분노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적의가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적의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모욕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모욕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얕봄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얕봄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질투가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질투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인색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인색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속임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속임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사기가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사기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완고함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완고함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뻔뻔스러움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뻔뻔스러움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자만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자만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거만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거만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허영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허영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방일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방일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린다."
5. "비구들이여, 비구가
'욕심과 그릇된 탐욕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욕심과 그릇된 탐욕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악의가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악의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분노가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분노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적의가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적의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모욕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모욕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얕봄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얕봄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질투가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질투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인색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인색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속임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속임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사기가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사기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완고함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완고함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뻔뻔스러움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뻔뻔스러움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자만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자만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거만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거만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허영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허영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방일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방일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방일이 마음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아 방일이라는 마음의 오염원을 버릴 때,
그는 부처님께 흔들리지 않는 깨끗한 믿음[淸淨信]을 지닌다.
'이런 [이유로] 그분 세존께서는 아라한[應供]이시며, 완전히 깨달은 분[正等覺]이시며,
명지와 실천을 구족한 분[明行足]이시며, 피안으로 잘 가신 분[善逝]이시며, 세간을 잘 알고 계신 분[世間解]이시며, 가장 높은 분[無上士]이시며, 사람을 잘 길들이는 분[調御丈夫]이시며, 하늘과 인간의 스승[天人師]이시며, 부처님[佛], 세존(世尊)이시다.'라고."
6. "그는 법에 흔들리지 않는 깨끗한 믿음을 지닌다.
법은 세존에 의해서 잘 설해졌고, 스스로 보아 알 수 있고, 시간이 걸리지 않고,
와서 보라는 것이고, 향상으로 인도하고, 지자들이 각자 알아야 하는 것이다.'라고."
7. "그는 승가에 흔들리지 않는 깨끗한 믿음을 지닌다.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잘 도를 닦고,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바르게 도를 닦고,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참되게 도를 닦고,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합당하게 도를 닦으니,
곧 네 쌍의 인간들이요[四雙] 여덟 단계에 있는 사람들[八輩]이시다.
이러한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공양받아 마땅하고, 선사받아 마땅하고, 보시받아 마땅하고,
합장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밭[福田]이시다.'라고."
8. "그가 [각각의 오염원을 완전히 남기없이 버릴 수 있는] 그 각각의 법으로써 [그 오염원을]
포기하고, 토해내고, 풀어주고, 버리고, 완전히 놓아버릴 때 '나는 세존에게 움직이지 않는
깨끗한 믿음을 지닌다.'라고 생각하면서 결과에서 영감을 얻고 원인에서 영감을 얻으며 법과
관계된 환희를 얻는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있다. 희열이 있는 자는 몸이 경안하다.
몸이 경안한 자는 행복을 경험하고 행복한 자는 마음이 삼매에 든다."
9. " 그가 [각각의 오염원을 완전히 남기없이 버릴 수 있는] 그 각각의 법으로써 [그 오염원을]
포기하고, 토해내고, 풀어주고, 버리고, 완전히 놓아버릴 때 '나는 법에 움직이지 않는 깨끗한 믿음을 지녔다.'라고 생각하면서 결과에서 영감을 얻고 원인에서 영감을 얻으며 법과 관계된 환희를 얻는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있다. 희열이 있는 자는 몸이 경안하다. 몸이 경안한 자는 행복을 경험하고 행복한 자는 마음이 삼매에 든다."
10. "그가 [각각의 오염원을 완전히 남기없이 버릴 수 있는] 그 각각의 법으로써 [그 오염원을]
포기하고, 토해내고, 풀어주고, 버리고, 완전히 놓아버릴 때 '나는 승가에 움직이지 않는 깨끗한 믿음을 지녔다.'라고 생각하면서 결과에서 영감을 얻고 원인에서 영감을 얻으며 법과 관계된 환희를 얻는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있다.
희열이 있는 자는 몸이 경안하다. 몸이 경안한 자는 행복을 경험하고 행복한 자는 마음이 삼매에 든다."
11. "이제 그는 '나는 [각각의 오염원을 완전히 남김없이 버릴 수 있는] 그 각각의 법으로써
[그 오염원을] 포기하고, 토해내고, 풀어주고, 버리고, 완전히 놓아버렸다.'라고 반조하면서
결과에서 영감을 얻고 원인에서 영감을 얻으며 법과 관계된 환희를 얻는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있다. 희열이 있는 자는 몸이 경안하다. 몸이 경안한 자는 행복을 경험하고 행복한
자는 마음이 삼매에 든다."
12. "비구들이여, 비구가 이런 계를 지니고, 이런 법을 지니고, 이런 통찰지를 구족하면
깨끗한 쌀밥과 여러 가지 국과 여러 가지 반찬을 먹더라도 그것은 그에게 장애가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더럽고 때묻은 옷감이 맑은 물을 만나 청정해지고 깨끗해지고, 금이 용광로를 만나
청정해지고 깨끗해지듯이, 비구가 이와 같이 계를 지니고 이와 같이 [삼매의] 법을 지니고
이와 같이 통찰지를 구족하면 깨끗한 쌀밥과 여러 가지 국과 여러가지 반찬을 먹더라도
그것은 그에게 장애가 되지 않는다."
13. "그는 자애(자비)가 함께한 마음으로 한 방향을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그처럼 두 번째
방향을, 그처럼 세 번째 방향을, 그처럼 네 번째 방향을 자애가 함께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이와 같이 위로, 아래로, 옆으로, 모든 곳에서 모두를 자신처럼 여기고, 모든 세상을
풍만하고, 광대하고, 무량하고, 원한 없고, 악의 없는, 자애가 함께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14. "그는 연민이 함께한 마음으로 한 방향을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그처럼 두 번째 방향을,
그처럼 세 번째 방향을,
그처럼 네 번째 방향을 연민이 함께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이와 같이 위로, 아래로, 옆으로, 모든 곳에서 모두를 자신처럼 여기고, 모든 세상을 풍만하고,
광대하고, 무량하고, 원한 없고, 악의 없는, 연민이 함께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15. "그는 더불어 기뻐함이 함께한 마음으로 한 방향을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그처럼 두 번째
방향을, 그처럼 세 번째 방향을, 그처럼 네 번째 방향을 더불어 기쁘함이 함께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이와 같이 위로, 아래로, 옆으로, 모든 곳에서 모두를 자신처럼 여기고, 모든
세상을 풍만하고, 광대하고, 무량하고, 원한 없고, 악의 없는, 더불어 기쁘함이 함께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16. "그는 평온이 함께한 마음으로 한 방향을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그처럼 두 번째 방향을,
그처럼 세 번째 방향을, 그처럼 네 번째 방향을 평온이 함께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이와 같이 위로, 아래로, 옆으로, 모든 곳에서 모두를 자신처럼 여기고, 모든 세상을 풍만하고,
광대하고, 무량하고, 원한 없고, 악의 없는, 평온이 함께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17. "그는 '이것이 있다. 저열한 것이 있다. 수승한 것이 있다. 이런 인식에 의지한 것보다 더 높은 벗어남이 있다.'라고 꿰뚫어 안다."
18.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볼 때 그는 감각적 욕망에 기인한 번뇌에서 마음이 해탈한다.
존재에 기인한 번뇌에서도 마음이 해탈한다. 무명에 기인한 번뇌에서도 마음이 해탈한다.
해탈했을 때 해탈했다는 지혜가 생긴다. '태어남은 다했다. 청정범행은 성취되었다. 할 일을
다 해 마쳤다. 다시는 어떤 존재로도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라고 꿰뚫어 안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비구가 내면의 목욕으로 목욕했다.'라고 한다."
19. 그 당시 순다리까 바라드와자 바라문이 세존과 멀지 않은 곳에 앉아 있었다.
그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그런데 고따마 존자께서도 바후까 강으로 목욕을 가지 않으십니까?"
"바라문이여, 바후까 강이 무슨 소용 있는가? 바후까 강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고따마 존자시여, 많은 사람들은 바후까 강이 해탈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많은 사람들은 바후까 강이 공덕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바후까 강에서 많은 사람들은 악업을 씻어냅니다."
20. 그러자 세존께서는 순다리까 바라드와자 바라문에게 게송으로 설하셨다.
"바후까, 아디깍까, 순다리까
사랏사띠, 빠야까, 바후마띠 강에
어리석은 자 항상 뛰어들지만
검은 업을 맑히지 못한다네.
순다리까 강이 무엇을 하며
빠야까 강이 무엇을 하며
바후까 강이 무엇을 하겠는가?
[살생 등] 나쁜 업을 지었고 잔혹한 행위를 했으며
악업을 지은 그를 [이 강들이] 맑히지 못한다네.
청정한 자에게는 나날이
팍구나의 보름날이요, 포살일이니
마음이 청정하고 몸의 행위 등이 깨끗한 자는
항상 서계를 구족한 것이라네.
바라문이여, 그대는 바로 여기서 목욕을 하라.
모든 존재들에게 안은(安隱)함을 베풀라.
만일 그대가 거짓말을 하지 않고
생명을 해치지 않고, 주지 않은 것을 가지지 않고
믿음이 있고, 인색하지 않으면
가야 강에 갈 필요가 뭐 있겠는가?
우물도 그대에게 가야 강이 되리."
21. 이렇게 말씀하시자 순다리까 바라드와자 바라문은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경이롭습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경이롭습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마치 넘어진 자를 일으켜 세우시듯, 덮여있는 것을 걷어내 보이시듯, [방향을] 잃어버린 자에게
길을 가르켜주시듯, 눈 있는 자 형상을 보라고 어둠 속에서 등불을 비춰주시듯, 고따마 존자께서는 여러 가지 방편으로 법을 설해주셨습니다. 저는 이제 고따마 존자께 귀의하옵고 법과 비구 승가에 귀의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저는 고따마 존자의 곁에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고자 합니다."
22. 순다리까 바라드와자 바라문은 세존의 곁으로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았다. 구족계를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아서 바라드와자 존자는 혼자 은둔하여 방일하지 않고 열심히, 스스로 독려하며
지냈다. 그는 오래지 않아 좋은 가문의 아들들이 바르게 집을 떠나 출가하는 목적인 그 위없는
청정범행의 완성을 지금‧여기에서 최상의 지혜로 알고 실현하고 구족하여 머물렀다.
'태어남은 다했다. 청정범행은 성취되었다. 할 일을 다 해 마쳤다. 다시는 어떤 존재로도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라고 꿰뚫어 알았다.
바라드와자 존자는 아라한들 중의 한 분이 되었다.
Vatthasuttaṃ niṭṭhitaṃ sattamaṃ.
옷감의 비유 경(M7)이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