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장
善行, 無轍跡, 善言, 無瑕謫, 善計, 不用籌策, 善閉, 不關鍵而不可開, 善結, 無繩約而不可解. 是以聖人常善救人, 故無棄人, 常善救物, 故無棄物, 是謂襲明. 故善人, 不善人之師, 不善人, 善人之資. 不貴其師, 不愛其資, 雖智大迷. 是謂要妙.
(도道로써, 수레) 몰기를 잘하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은) 수레의 바퀴 자국을 가지는 바가 없고, 말하기를 잘하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꾸짖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으며, 계산하기를 잘하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계산 도구를 쓰지 않고, 잠그기를 잘하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빗장과 자물통을 채우지 않는데, 열 수가 없으며, 묶기를 잘하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새끼줄로 묶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데, 풀 수가 없다. 따라서 성인은 늘 그러하게 세상 사람들을 (저절로 그러하게) 구제하기를 잘하고, 따라서 세상 사람들을 (일부러 일삼아) 내버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으며, 늘 그러하게 사물을 (저절로 그러하게) 구제하기를 잘하고, 따라서 사물을 (일부러 일삼아) 내버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데, 이것이 이른바 (세상을 구제함에 있어서 있어서, 유위가) 밝은 바를 드러내지 않는 (성인의) 모습이다. 따라서 (도道를 일삼기를) 잘하는 사람은 잘하지 못하는 사람의 스승이 되고, 잘하지 못하는 사람은 잘하는 사람(이 자신)의 (덕스러움德을 닦는) 도구가 된다. (따라서) 그 스승을 귀하게 여기지 않고, 그 도구를 아끼지 않는 사람은 비록 (스스로 자신을)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일컬을지라도, 크게 어리석은 사람이 되(는 바에 이르)게 된다. 이것이 이른바 (세상을 구제함에 있어서, 유위가) 어렴풋한 바(妙; 無爲)를 구하는 (성인의) 모습이다.
轍, 車迹也. 謫, 責也. 鍵, 鑰也. 約, 束也. 行, 以無迹爲善. 疾行, 非善也. 言, 以無責爲善. 多言, 非善也.
철轍은 (일부러 일삼아 나아간) 수레의 바퀴 자국을 뜻한다. 적謫은 (일부러 일삼아) 꾸짖는다는 말이다. 건鍵은 (일부러 일삼아 채운) 자물통을 뜻한다. 약約은 (일부러 일삼아) 묶는다는 말이다. 수레를 모는 일, (일부러 일삼은 수레의) 바퀴 자국을 가지는 바가 없는 것이 (수레를 몰기를) 잘한 바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은 수레의 바퀴 자국을 가지는 바가 있는) 수레 몰기로 치달은 것은 (수레를 몰기를) 잘한 바가 아니다. 말, (일부러 일삼아) 꾸짖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것이 (말하기를) 잘한 바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꾸짖는) 말이 많은 것은 (말하기를) 잘한 바가 아니다.
世之, 所謂善者, 能其事, 而有其功也. 有道者, 則不然. 以無爲而爲爲善. 有得者, 必有失. 有成者, 必有敗. 夫唯無爲而爲者, 無得而無失, 無成而無敗. 孫武曰, 百戰而百勝, 非善之善者也. 不戰而屈人之兵, 善之善也.
세상이 일컫는 “잘함”은 그 일을 (일부러 일삼기를) 잘하고, 그 공功을 (일부러 일삼아) 가지는 바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道; 自然·性·無爲·德·命)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다.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爲로써, (그 일을) 일삼(고, 그 공功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를 “잘함”으로 삼는다. (일부러 일삼아) 얻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은 반드시 (일부러 일삼아) 잃어버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된다. (일부러 일삼아) 이루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은 반드시 (일부러 일삼아) 어그러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된다. 이른바, 오로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爲로써 일삼는 사람만이 (일부러 일삼아) 얻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데,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잃어버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고, (일부러 일삼아) 이루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데,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어그러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중국 춘추春秋시대 제齊나라의) 손무(孫武, BC.545~470)는 (『손자병법孫子兵法』 「모공편謀攻篇」에서) 일컬었다. “(일부러 일삼아) 백번을 싸워서, 백번을 이기는 것은 (싸움을) 잘하는 바 중에서 잘하는 바가 아니다. (일부러 일삼아) 싸우지 않고, 상대의 군대를 엎드리게 하는 것이 (싸움을) 잘하는 바 중에서 잘하는 바이다.”
善, 莫善於求人. 然有所求. 有所不求, 是, 棄人也. 且以力救人者, 唯力, 所及而止. 力, 不及, 則棄之矣. 唯聖人, 修德於己, 而人, 各得其所. 無救之迹. 而有救之實. 此, 所謂善救也. 襲, 猶藏也. 其明, 不衒於外. 故曰襲明.
“잘함”은 세상 사람들을 (저절로 그러하게) 구제하는 바보다 잘하는 바가 없다. 따라서 (성인은 세상 사람들을 저절로 그러하게) 구제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을 저절로 그러하게) 구제하지 않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 이것이 세상 사람들을 (일부러 일삼아) 내버리는 일이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을 (저절로 그러하게) 구제하는 데 힘쓰는 사람은 오로지 (자신의 저절로 그러한) 힘(力; 性·命·自然·無爲·道·德)이 (세상 사람들에게) 미치게 하고, 이르게 한다. (자신의 저절로 그러한) 힘이 (세상 사람들에게 이르지 못하고) 미치지 못하게 되면, (세상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내버려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로지 성인은 (세상 사람들을 구제하는 데 있어서,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자신에게 자리하는 덕스러움(德; 無爲·命·道·自然·性)을 닦는데,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각자 그 (성인에게 자리하는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所; 德)를 얻게 된다. (따라서 성인이) 세상 사람들을 구제함은 그 (일부러 일삼는) 발자국을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성인이 세상 사람들을) 구제함은 그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無爲 발자국이) 가득 찬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된다. 이것이 이른바 (세상 사람들을) 구제하기를 “잘하는 성인의 모습”이다. 습襲은 장(藏; 숨긴다)과 (더불어 뜻이) 같다. (성인은 세상 사람들을 구제하는 데 있어서) 그 (유위有爲가) 밝은 바가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습명(襲明).”
資, 猶具也. 不善人, 得善人, 而化. 是, 固不可以不貴也. 善人, 得不善人. 以施其敎. 此, 亦吾, 所以布德行仁之具也. 可不愛乎.
자資는 구(具; 도구)와 같다. (도道를 일삼기를) 잘하지 못하는 사람은 (도道를 일삼기를) 잘하는 사람(의 모습)을 얻는데, 따라서 (도道와) 어우러지게 된다. (따라서 잘하는 사람) 그는 (잘하지 못하는 사람이 스승으로 삼아서) 귀하게 여기지 않을 수 없는 바가 된다. (도道를 일삼기를) 잘하는 사람은 잘하지 못하는 사람(의 모습)을 얻는데, 따라서 그는 (잘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가르침을 펼친다. (따라서 잘하지 못하는 사람) 그는 잘하는 사람이 (그 자신의) 덕스러움德을 넓히고, 인仁을 일삼는 도구가 된다. (따라서 잘하는 사람이 잘하지 못하는 사람을 어찌) 아끼지 않을 수 있겠는가?
善者, 貴之, 不善者, 亦愛之, 如是則天下, 無棄人矣. 若自足而忌前, 矜己而侮不能, 則雖自謂知, 亦終於大迷而已矣.
(천하가 도道를 일삼기를) 잘하는 사람이 (잘하지 못하는 사람) 그를 귀하게 여기는 일, 잘하지 못하는 사람이 (잘하는 사람) 그를 아끼는 일, 이것과 (더불어) 같이 하게 되면, 천하는 (일부러 일삼아) 내버려지는 사람을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그러나 (천하가 잘하지 못하는 바에 대해) 스스로 만족한 채, (자신보다 잘하는 바가) 앞서는 사람을 꺼리거나, (잘하는) 자신에 대해 우쭐한 채, 잘하지 못하는 사람을 업신여기게 되면, 스스로 (자신을)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일컬을지라도, 크게 어리석은 사람에 이르게 될 따름이다.
是謂要妙一句, 與上文, 意, 不相屬. 意, 或有闕譌歟.
시위요묘是謂要妙 (이) 한 문장은 앞 문장과 더불어 뜻이 서로 이어지지 않는다. (이른바) 뜻이 (앞 문장과 더불어 서로) 어긋나고 벗어난다. 〔옮긴이가 생각하기에, “묘妙”를 유위有爲가 어렴풋한 바로 풀이하면, 홍석주와 같이 볼 여지가 없어지는 듯하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
일부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