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霜降)입니다.
상강에 어울리는 고사성어를 찾아봤습니다.
○ 서리가 심한 추위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홀로 꼿꼿하다.
○ 傲: 거만할 오
○ 霜: 서리 상
○ 孤: 외로울 고
○ 節: 마디, 절개 절
외로이 절개를 지키는 충신 또는 국화(菊花)를 말합니다.
傲霜孤節오상고절의 유래입니다.
조선시대 후기 대제학을 지낸 이정보(李鼎輔; 1693~1766) 선생이 쓴 시조에서 유래한 성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화(菊花)야, 너난 어이 삼월(三月) 춘풍(春風) 다 지내고, 낙목한천(落木寒天)에 네 홀로 피었나니. 아마도 오상고절(傲霜孤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傲霜孤節은 너뿐인가 하노라."라는 구절은 가을 된서리에도 상관하지 않고, 혼자서도 꿋꿋하게 아름다운 빛을 지키려는 한국인의 강한 정신력을 대변합니다.
이러한 국화의 비유적 표현인 傲霜孤節은 고난에 굴하지 않는 선비의 기개를 나타냅니다.
다른 꽃과 나무들은 서리를 맞으면 시들지만 국화는 오히려 서리가 와야 진가를 발휘합니다. 그래서 국화는 심한 서리에 굴하지 않는다고 하여 ‘傲霜孤節’이란 이름이 붙기도 했습니다.
국화는 四君子(사군자) 가운데 한 가지입니다.
梅蘭菊竹(매란국죽)으로 부르는 사군자는 겨울의 매화, 봄의 난초, 여름의 대나무 그리고 가을의 국화를 일컫습니다.
흰색 국화의 꽃말은 성실, 진실, 감사입니다. 노란색 국화는 실망과 짝사랑을 뜻합니다. 빨간색 국화는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화는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가운데 가장 역사가 오래된 꽃이라고 합니다.
국화는 뭇 꽃들이 시들고 난 늦가을에 서리를 두려워하지 않고 핀다하여 곧은 기상과 절개를 상징하게 됐습니다.
쌀쌀한 가을에 핀다하여 어려움을 이겨내는 인간의 인고와 성숙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조상들은 국화가 일찍 심어 늦게 피니 군자의 ‘德(덕)’이요, 서리를 이겨 피니 선비의 ‘志(지)’이며, 물 없이도 피니 가난한 선비의 ‘氣(기)’라고 하면서 이를 국화의 三倫(삼륜)이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