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2년 32세의 적지 않은 나이에 한 선교사가 조선에 입국했습니다.그는 선교사들의 집단 거주지가 아닌 가난한 조선인 마을에 집을 얻어 생활하며
조선의 가장 낮은 자리에 시선을 두었습니다.
그는 도착한지 몇 주 만에 집안일을 돕던 여인을 전도했고
반년만에 우리 말로 대화와 기도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는 매일 20~30명의 사람들을 만나서 성경을 가르쳤습니다.
8년만에 25개의 예배처소를 마련했으며,
850여명의 교인들이 예배하는 놀라운 일을 이루었습니다.
조선의 계급제도에서도 가장 밑바닥이었던 백정들이 모여 살던 곳을 찾아 다니던 그는
전염병을 앓고 있던 백정 박가를 위해 고종 임금의 주치의였던 의료선교사
에비슨을 불러 돌보기도 했습니다.
조선인들의 사랑방을 찾아다니는 파란 눈의 외국인.. 천민들의 친구, 백정 전도의 개척자,
사랑의 사도로 존경받았던 이 선교사는 바로 사무엘 무어
(Samuel F. Moore 모삼열, 1860~1906)입니다.
그는 기도와 눈물로 곤당골 교회 (현대 승동교회,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소재)를 세웠습니다.
이름도 갖지 못한 채 인간대우를 받지 못했던 백정 박가는 무어 선교사의 사랑에 감동받아
개신교도가 되었고 무어 목사에게서 성춘이라는 이름을 받았습니다.
백정 박성춘이 세례를 받고 교회에 다니자 곤당골 교회의 양반교인들은 백정과 함께 예배
드릴 수 없다며 최소한 자리만이라도 구별해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무어는 주님의 몸된 교회 안에서 어떤 경우에도 그런 차별적인 행위를 할수 없다,
우리 모두는 똑 같은 하나님의 자녀라며 그 제안을 거부했고,
이에 양반들은 갈라져 홍문동 교회를 세웠습니다.
(후에 두 교회는 다시 화합하였고 양반들은 하나님께 자신들의 교만함을 회개하였다고 합니다.)
박성춘은 교회의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수많은 백정들을 인도했고,
승동교회의 장로가 되어 신분제도 철폐를 주도했을 뿐 아니라
1898넌 만민공동회에서 기조연설을 했습니다.
후에 허틀리 여사는 무어 선교사에 의한 조선의 백정의 해방을
‘세계를 뒤집어 놓은 사건’이라고 명명하면서 “링컨 대통령의 노예해방선언을 얻은
미국 흑인들의 기쁨은 한국 백정들의 기쁨보다 결코 더 크지 않았다.” 라고
그의 책에 기술했습니다.
가난과 질병, 억눌림받는 사람들의 곁을 지키며 복음을 끝까지 전하던
그는 결국 전염병으로 순교했습니다. 조선에 온지 14년만의 일이었습니다.
양화진의 묘비에는 “조선 사람을 사랑하였고 또 그들을 예수께 인도하기를 원하였다.
예수 그리스도의 충실한 일꾼”으로 새겨져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