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盧武鉉) 전 대통령측이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사저에 보관 중인 국정기록 사본을 18일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 직접
반납하겠다며 이날 오후 일방적으로 기록물을 보냈다.
노 전 대통령측은 이날 기록물을 보내면서 정부에 경찰의 호위 등 별도의 보호
조치를 요청하지 않은 채, 자신의 비서관 등 민간인 인사 7명이 일반 차량 3대에 나눠 싣고 기록물을 이송하게 해 "중요 국가기밀이 들어 있는
기록물을 아무런 보호조치 없이 운반하는,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
기록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불순세력에 의한 탈취나 분실 사고 등이 발생할 위험성이 있는데도, 정부에 별도의 보호조치 요청없이 일방적으로
국가기록물을 이송하게 한 것은 기록물을 불법유출한 것 못지않게 무모하고 중대한 일탈행위란 비판이 나온다.
정진철 원장 등 국가기록원
관계자 6명은 이날 오후 2시15분부터 봉하마을 노 전 대통령 사저를 방문, 오후 5시30분까지 노 전 대통령 비서진과 기록물 반환 방법 등을
놓고 협의를 벌였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노 전 대통령측은 기록물이 수록된 하드 디스크 14개와 백업본 14개 등 2질 28개의 하드
디스크를 반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국가기록원측은 이송 과정의 안전성 문제 등을 들어 "저장된 기록이 깨질 수도 있는 만큼 똑같은 사본
하나를 더 복사해 가져가겠다"는 입장을 견지, 기록물을 반환받지 않고 돌아갔다.
국가기록원 관계자들이 돌아간 직후 사저 김경수
비서관은 브리핑을 통해 "국가기록원측이 '18일까지 반환하지 않으면 법적조치를 취하겠다'는 공문을 보내온 만큼 국가기록원이 요구한 시일 내에
반환하기 위해 안전하게 봉인하고 그 과정을 기록한 뒤 직접 이송하겠다"고 밝혔다.
노 전 대통령측 김경수 비서관, 김정호 전
기록관리비서관 등 7명은 이날 오후 7시30분 예비차량을 포함, 차량 3대에 기록물을 나눠 실은 뒤 경기도 성남시 대통령기록관으로 출발했다. 노
전 대통령측은 이날 자정이 넘어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대통령기록관에 도착, 갖고 온 기록물 사본을 넘겼으며, 기록관측은 "이송과정에서 훼손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공식접수는 할 수 없다"고 밝히고 "그러나 일단 기록물을 갖고 온 만큼 임시 수령 조치하겠다"며 기록물을 넘겨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