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의 종류]
● 순청자(純靑磁)
순청자는 상감기법이나 산화철:산화동(酸化銅)등과 같은 광물질 안료로 시문하지 않고 태토 위에 유약만 입혀 소성한 기법으로 무문, 음각, 양각, 투각, 상형청자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 상감청자(象嵌靑磁)
청자의 소지로 성형된 기벽(器壁)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을 파내고 그 홈에 백토나 적토를 메꾸어 넣어 문양이 나타나게 한 후 초벌한 다음 유약을 입혀 재벌한 기법을 상감기법이라고 한다.
이러한 기법은 고려인들이 독자적으로 개발해낸 도자의 장기법으로 문양이 선명하며 생동감이 있어 아름다움을 더한다. 고려시대의 문화의 절정기인 12세기 전반에 많이 제작되었으며 문양으로 雲鶴, 菊花, 牧丹, 蒲柳水禽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 철회청자(鐵繪靑磁)
철회청자란 철분이 많이 함유된 적토를 물에 개어 태토위에 무늬를 그리고 그 위에 유약을 입혀 소성시킨 기법이다
이 청자는 비색을 띠는 순청자나 상감청자와 달리 황갈색이나 녹갈색을 띠는 경우가 많으며 그림의 필치가 추상적인 것이 특징이다.
● 진사채청자(辰砂彩靑磁)
진사채청자란 산화동을 주성분으로 한 진사채를 초벌한 기면위에 채색하여 환원염소성을 시켜 진홍빛을 띠게 된 청자를 말한다. 이 기법은 고려시대의 전성기인 12세기 전반에 많이 발달하였다.
● 연리문청자(練理文靑磁)
청자의 태토에 白土와 赤土를 합쳐서 다시 반죽하면 세가지 태질이 서로 번갈아 포개져서 木理文 비슷한 무늬를 나타내게 된다. 그 위에 투명유를 씌워서 구우면 靑磁胎는 灰色으로 白土胎는 白色으로 赤土胎는 검은색으로 發色되어 여러 무늬의 조화를 이루는 변화를 갖게 된다.
청자상감=국화모란문"신축"명 벼루

청자상감=모란당초문 대접

청자상감=모란당초문 분합

청자상감=연당초문 소호

청자음각=연화문 매병

청자=광구병

청자=구룡모양 삼족 향로

청자=복숭아모양 연적

청자=쌍사자모양 베개

청자=어룡모양 인장

청자=오리모양 연적

청자음각=보상당초문 광구병

청자=정병

청자=탁잔

청자=골호

청자=매병

청자반양각=모란문 장경병

청자반양각=연 당초문 호

청자상감=갈대문 용머리 주전자

청자상감=국화 모란문 장경각 병

청자상감=국화 운학문 주전자

청자상감=모란문 정병

청자상감=모란문 주전자

청자상감=봉황 연 당초문 대접

청자상감=어문 대접

청자상감=연판문 꽃모양 접시

청자상감=연화유문 주전자.승반

청자상감=용봉 모란문 개합

청자상감=운문 표형 주전자

청자상감=운학 모란 국화문 매병

청자상감=운학문 병

청자상감=운학문 표형 주전자

청자상감=운학문 화분

청자상감=초화문 팔각향로

청자상감=포도 동자문 대접

청자상감=포도 동자문 병

청자상감=포도 동자문 사이개 호

자상감=표류 운학문 편호

청자상감=진사채 국당초문 기름병

청자상감=진사채 모란문 기름병

청자상감=진사채 모란문 표형 주전자

청자상감=진사채 운학문 분합

청자양각=모란 당초문 주전자

청자양각=모란 당초문 호

청자양각=연판문 주전자

청자양각=죽절.음각 당초문 원숭이장식 개호

청자양각=죽절.음각 초화문 백퇴점 주전자

청자양각=죽절문 병

청자양인각=도철문 방형 향로

청자양인각=보상당초.상감 운학문 대접

청자양인각=파어 포연문 접시

청자음각=만표문 표형 주전자

청자음각=연당초.상감 국화 절지문 대접

청자음각=운룡문 잔받침

청자음각=철채 영락문 합

청자 =철채상감 삼엽문 매병

청자=철화 조충문 매병

청자=퇴화 작양문 주전자.승반

청자=투각상감 연화 칠보문 베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