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우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하나
여러 대중들과 함께 모여 정진하는 스님들은 공양 시에 발우공양(鉢盂供養)을 하는데, 이를 대중공양이라고도 합니다. 발우란 스님들의 밥그릇인데, 발은 범어로서 응량기라고 번역하고 우는 한자로 밥그릇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범어와 중국말을 아울러 일컫는 것이 발우(鉢盂)인데, 우리말로는 흔히 ‘바리때’라고도 합니다.
발우에 밥이 담겨 있을 때에는 많은 복이 가득차 있다는 뜻이 되고, 비어 있을 때에는 온갖 괴로움과 헛된 생각을 비운다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발우공양의 순서는 발우를 펴고 깔판을 편 다음 포개진 발우를 왼쪽 아래에 놓고 하나씩 들어내어 왼쪽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꺼내놓습니다.
수저는 오른쪽 위 발우에 가지런히 놓고 먼저 천수물을 받아서 왼쪽 아래 발우에 받아 오른쪽 아래 발우, 왼쪽 위 발우 순으로 씻어 오른쪽 위 발우에 옮겨놓습니다 . 다음엔 밥을 왼쪽 아래 발우에 받고, 국은 오른쪽 아래 발우에 받으며, 마지막으로 반찬은 왼쪽 위 발우에 받아담습니다.
찬을 덜 때에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 한 가지만 많이 덜면 안됩니다. 발우를 들고 자세를 바로해서 천천히 공양을 하고 공양이 끝나면 숭늉을 나누어가면서 김치 등을 사용하여 그릇을 모두 깨끗이 씻고 그 물은 모두 마십니다. 다시 천수물로 그릇을 깨끗이 씻는데, 이때 천수물은 처음 받을 때와 같이 깨끗해야 합니다 천수물을 거두어 제일 웃어른에게 검사받은 후, 발우를 펼 때와 반대순서로 포긴 후 다시 싸서 옮겨놓습니다.
발우공양은 처음부처 끝까지 그 절차마다 소심경의 게송을 외워가며 진행합니다. 또한 발우공양은 똑같이 나누어 먹는 평등공양이며, 위생적인 청결공양, 낭비가 없는 절약공양, 단결과 화합을 고양시키는 공동공양의 의미를 갖습니다.
[출처] 발우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하나|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