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귀 랑(螂)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사나이 랑(郞)자를 했습니다. 좋을 량(良)자는 어긋날 간(艮)자에 점 주(丶)자를 더해서 어긋나지 않고 순종하는 착하고 좋은 뜻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어긋날 간(艮)자가 밥을 많이 먹어서 외면을 한 글자인데 좋을 량(良)자는 밥을 많이 먹어서 기분이 좋아 만족스러움을 나타낸 글자가 된 것입니다. 수크령 랑(莨), 물결 랑(浪), 사마귀 랑(蜋), 밝을 랑(朗), 이리 랑(狼), 옥 이름 랑(琅), 산 이름 랑(崀), 햇볕에 쬘 랑(㫰), 광랑나무 랑(桹)자들은 좋을 량(良)자가 들어 있어서 ‘랑’으로 읽습니다. 낭축(螂蹴) 당랑아(螳螂兒) 흘랑(虼螂) 면야용태랑(綿野龍太螂) 당랑(螳螂) 당랑포선(蟷螂捕蟬)
이리 랑(狼)자는 의부(義符)로 개 견(犬,犭)자에 성부(聲符)로 좋을 량(良)자를 했습니다. 좋을 량(良)자는 어긋날 간(艮)자에 점 주(丶)자를 해서 밥 그릇 앞에서 외면한 글자(艮)가 아니라는 표시를 했습니다. 긍정적 사고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시랑(豺狼) 천랑성(天狼星) 낭자(狼藉) 낭패(狼狽) 아랑(餓狼) 전호후랑(前虎後狼) 낭자야심(狼子野心)
물결 랑(浪)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좋을 량(良)자를 했습니다. 좋을 량(良)자는 어긋날 간(艮)자와 비슷합니다. 좋다, 어질다는 것은 착하다는 말입니다. 옛 글자를 보면 회랑을 그리고 거기에 사람도 그려 넣었습니다. 회랑을 도는 일과 같은 반복해서 하는 일을 표현한 것 같습니다. 착한 사람은 반복 되는 일에도 싫증을 내지 않는 사람이기도 할 것입니다. 어그러질 간자는 뒤를 돌아보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앞으로 나아가지 않고 뒤를 돌아본다는 그림으로 어그러진다는 뜻을 표시하였습니다. 모두 사람의 자세를 그려서 만든 글자이지만 그 뜻은 매우 다릅니다. 어질다는 것, 착하다는 것은 어리석기도 한 것일 수 있습니다. 사나이 랑(郞), 밝을 랑(朗), 이리 랑(狼)자들은 모두 좋을 량(良)자가 들어 있어서 ‘랑’으로 읽습니다. 낭만(浪漫) 파랑(波浪) 낭인(浪人) 부랑(浮浪) 맹랑(孟浪) 낭수(浪水)
물결 랑(浪)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좋을 량(良)자를 했습니다. 좋을 량(良)자는 어긋날 간(艮)자와 비슷합니다. 좋다, 어질다는 것은 착하다는 말입니다. 옛 글자를 보면 회랑을 그리고 거기에 사람도 그려 넣었습니다. 회랑을 도는 일과 같은 반복해서 하는 일을 표현한 것 같습니다. 착한 사람은 반복 되는 일에도 싫증을 내지 않는 사람이기도 할 것입니다. 어그러질 간자는 뒤를 돌아보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앞으로 나아가지 않고 뒤를 돌아본다는 그림으로 어그러진다는 뜻을 표시하였습니다. 모두 사람의 자세를 그려서 만든 글자이지만 그 뜻은 매우 다릅니다. 어질다는 것, 착하다는 것은 어리석기도 한 것일 수 있습니다. 사나이 랑(郞), 밝을 랑(朗), 이리 랑(狼)자들은 모두 좋을 량(良)자가 들어 있어서 ‘랑’으로 읽습니다. 낭만(浪漫) 파랑(波浪) 낭인(浪人) 부랑(浮浪) 맹랑(孟浪) 낭수(浪水)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