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 22일 목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1900년 무렵부터 성모 마리아께 ‘여왕’의 영예가 주어져야 한다는 요청이 많았다. 1925년 연중 시기의 마지막 주일이 ‘그리스도왕 대축일’로 정해지면서 이러한 요청은 더욱 늘어났다. 이에 따라 1954년 비오 12세 교황은 마리아께서 여왕이심을 선언하고, 해마다 5월 31일에 그 축일을 지내도록 하였다. 그 뒤 보편 전례력을 개정하면서 마리아를 천상 영광에 연결하고자 성모 승천 대축일 뒤로 옮겼으며, 축일 이름도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로 바꾸었다. 이날 교회는 성모 승천의 영광을 거듭 확인하며 복되신 동정 마리아께서 우리를 위한 구원의 도구가 되신 것을 기린다.
<아무나 만나는 대로 잔치에 불러오너라.>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2,1-14
그때에 예수님께서는 여러 가지 비유로 수석 사제들과 백성의 원로들에게 1 말씀하셨다.
2 “하늘 나라는 자기 아들의 혼인 잔치를 베푼 어떤 임금에게 비길 수 있다.
3 그는 종들을 보내어 혼인 잔치에 초대받은 이들을 불러오게 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오려고 하지 않았다.
4 그래서 다시 다른 종들을 보내며 이렇게 일렀다. ‘초대받은 이들에게, ′내가 잔칫상을 이미 차렸소.
황소와 살진 짐승을 잡고 모든 준비를 마쳤으니, 어서 혼인 잔치에 오시오.′ 하고 말하여라.’
5 그러나 그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어떤 자는 밭으로 가고 어떤 자는 장사하러 갔다.
6 그리고 나머지 사람들은 종들을 붙잡아 때리고 죽였다.
7 임금은 진노하였다. 그래서 군대를 보내어 그 살인자들을 없애고 그들의 고을을 불살라 버렸다.
8 그러고 나서 종들에게 말하였다. ‘혼인 잔치는 준비되었는데 초대받은 자들은 마땅하지 않구나.
9 그러니 고을 어귀로 가서 아무나 만나는 대로 잔치에 불러오너라.’
10 그래서 그 종들은 거리에 나가 악한 사람 선한 사람 할 것 없이 만나는 대로 데려왔다.
잔칫방은 손님들로 가득 찼다.
11 임금이 손님들을 둘러보려고 들어왔다가, 혼인 예복을 입지 않은 사람 하나를 보고,
12 ‘친구여, 그대는 혼인 예복도 갖추지 않고 어떻게 여기 들어왔나?’ 하고 물으니, 그는 아무 말도 하지 못하였다.
13 그러자 임금이 하인들에게 말하였다. ‘이자의 손과 발을 묶어서 바깥 어둠 속으로 내던져 버려라.
거기에서 울며 이를 갈 것이다.’
14 사실 부르심을 받은 이들은 많지만 선택된 이들은 적다.”
공경은 바로 사랑의 중심입니다.
우리가 어렸을 때는 잔치는 참으로 엄청난 일이었습니다. 부자들은 동네 사람들이 모두 집에서 밥을 해 먹지 않고 잔칫집에서 잔치 음식을 먹도록 했고, 모든 사람들을 초청했습니다. 차일을 치고, 떡을 하고, 술을 나누고, 사람들이 풍장(풀무 놀이)을 치고, 전 부치는 냄새가 동네에 진동을 하고, 시끄럽게 떠들고, 한 편에서는 불을 피우고, 윷을 놀고, 웃음소리가 끊어지지 않아야 잔치 기분이 났습니다. 그리고 모든 걸인들을 초청해서 배부르게 먹이고 싸 가지고 가게 해야 한다고 그랬습니다. 어머니들은 자식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먹이려고 애들을 부르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리고 그렇게 며칠 동안 요란스러운 것이 잔치였습니다.
그렇게 해야 섭섭한 사람이 없고, 또 마음에 담아 둔 것이 모두 풀린다는 것이 옛날 사람들의 생각이었습니다.
동네에 초상이 나거나, 환갑잔치가 있거나, 결혼식이 있거나, 제사가 있으면 반드시 예를 갖추어 참석하는 것이 도리였습니다. 그래서 초창기에 농촌에 만들어진 농공단지의 중소기업 사장은 납품해야 할 물건을 납품하지 못해서 무척 애를 먹었다고 합니다. 농촌과 같은 공동체에서는 동네 사람들의 잔치에는 반드시 참석하고, 같이 즐거워하고, 기뻐하며, 그 애경사를 나누는 것이 예의로 되어 있습니다. 작은 동네에서 누가 참석하고 참석하지 않았는지 금방 알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렇게 정을 나누는 것이 사랑하는 방법이고, 보이지 않는 질서인 것입니다. 초청하지 않았어도 참석하고, 참석하는 사람들은 아주 소박하게 부조(扶助)를 장만해서 가지고 갔습니다. 그리고 아주 좋은 옷을 입고 예를 갖춰 참석했습니다. 아이들도 잔치에 참석해서는 반드시 주인공에게 공손하게 예를 갖춘 다음에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예를 갖추지 않으면 ‘버릇이 없는 놈’이라고 걱정을 들었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잔치를 벌일 임금님을 예로 들어 말씀하십니다. 선택 받은 특정한 사람만 초대하였으나 그들이 응하지 않자 임금은 화가 났습니다. 그래서 선택 받지 못한 사람들을 무작위로 초대합니다. 악한사람, 선한사람 가리지 않고 조건 없이 아무나 초대합니다. 선민의식(選民意識)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사상입니다. 그들은 하느님으로부터 선택 받은 민족이라고 스스로 생각하고, 믿고 있습니다. 그러나 선택 받았으나 초대에 응하지 않으면, 그 선택이 무효가 됩니다. 오히려 선택 받지 못한 사람들이 초대에 불림을 받습니다. 그들은 이방인이며, 다른 민족들입니다. 처음부터 선택 받은 백성들이 아닌 것입니다. 그렇다고 예복을 입지 않았다고 쫓아낸다는 것은 불공평하고 부당한 처사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초대할 때에는 아무나 데려오라고 하고, 막상 왔더니 예복이 없다고 쫓아내는 것은 부당하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효경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공자의 말씀인데 이를 읽기 좋도록 토를 달아서 이렇게 읽고 있습니다.
“예자는 경이이의라 고로 경기부하면 즉자열하고 경기형하면 즉제열하고 경기군하면 즉신열하나니 경일인이 이천만인이 열이라. 소경자 과요 이열자 중차지위요도니라.”
(禮者는 敬而已矣라 故로 敬其父하면 則子悅하고 敬其兄하면 則弟悅하고 敬其君하면 則臣悅하나니 敬一人이 而千萬人이 悅이라. 所敬者 寡요 而悅者 衆此之謂要道니라.)
< 예란 것은 공경할 따름이다. 그러므로 그 아버지를 공경하면 자식이 기뻐하고, 그 형을 공경하면 아우가 기뻐하며, 그 임금을 공경하면 신하가 기뻐하게 되느니라. 이와 같이 한 사람의 아버지를 공경함으로서 천만 사람이 기뻐하게 되고, 공경하는 자는 적어도 기뻐하는 자는 많게 되니, 이것이 이른바 요도(要道)이니라.>
공경은 예의 중심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다른 사람이 나의 아버지를 공경하면, 내가 기뻐하고, 다른 사람이 나의 형을 공경하면, 내가 기뻐하고, 다른 사람이 나의 임금을 좋아하면, 신하인 내가 기뻐할 것입니다. 그래서 공경하는 것이 예의 중심이 된다는 말입니다. 이것은 본래부터 제 아버지를 공경하고, 제 형을 공경하고, 제 임금을 공경하는 마음이 다 있기 때문인 것입니다. 아버지를 공경하고, 형을 공경하고, 임금을 공경하는 것은 곧 예복을 입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복을 차려 입은 것과 예복을 입지 않은 것은 엄연한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아무나 불러왔다고 하여도 공경하고, 기뻐하는 마음이 없다면, 내쳐질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말씀하시는 당초에 초대받은 사람은 세례를 받은 우리들입니다. 그리고 초대의 문은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말씀을 듣지 않는 사람들, 복음을 믿지 않는 사람들, 합당한 준비를 하지 않은 사람들이나 하느님과 세상 모든 사람들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들은 예복을 입지 않은 사람들입니다. 곧 하느님과 사람을 공경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예복이 없는 사람인 것입니다. 그래서 하느님나라에서 쫓겨날 것입니다. 세상일에 파묻혀 초대를 무시하지 말고, 초대에 달려가야 하겠습니다. 그리고 서둘러 예복을 입어야 하겠습니다. 예복은 공경하는 것입니다. 공경은 바로 사랑의 중심입니다.
<너희에게 새 마음을 주고 너희 안에 영을 넣어 주겠다.>
▥ 에제키엘 예언서의 말씀입니다. 36,23-28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23 “나는 민족들 사이에서 더럽혀진, 곧 너희가 그들 사이에서 더럽힌 내 큰 이름의 거룩함을 드러내겠다.
그들이 보는 앞에서 너희에게 나의 거룩함을 드러내면,
그제야 그들은 내가 주님임을 알게 될 것이다. 주 하느님의 말이다.
24 나는 너희를 민족들에게서 데려오고 모든 나라에서 모아다가, 너희 땅으로 데리고 들어가겠다.
25 그리고 너희에게 정결한 물을 뿌려, 너희를 정결하게 하겠다.
너희의 모든 부정과 모든 우상에게서 너희를 정결하게 하겠다.
26 너희에게 새 마음을 주고 너희 안에 새 영을 넣어 주겠다.
너희 몸에서 돌로 된 마음을 치우고, 살로 된 마음을 넣어 주겠다.
27 나는 또 너희 안에 내 영을 넣어 주어, 너희가 나의 규정들을 따르고 나의 법규들을 준수하여 지키게 하겠다.
28 그리하여 너희는 내가 너희 조상들에게 준 땅에서 살게 될 것이다.
너희는 나의 백성이 되고 나는 너희의 하느님이 될 것이다.”
축일8월 22일 성녀 레지나 (Regina)
신분 : 예수의 어머니
활동 연도 : +1세기
같은 이름 : 마리아, 메리, 미리암
그리스도인은 세례 성사를 받을 때 새로운 이름(세례명)을 받는데, 이는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났음을 의미한다. 세례 때에 성인의 이름을 자신의 수호자로 삼고 성인을 공경하는 풍습은 이미 고대 교회 때부터 시작되었다. 유아 세례 때 성인 순교자뿐만 아니라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을 사용해 그들을 본받고자 하였다. 오늘날 교회법 제855조는 세례명에 대해 간략하게 “부모와 대부모 및 본당 사목구 주임은 그리스도교적 감정에 어울리지 아니하는 이름을 붙이지 아니하도록 보살펴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세례명은 성인들이나 성경의 인물 또는 그리스도의 구원 신비를 드러내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성인의 이름뿐만 아니라 지역 문화권에 상응하는 그리스도교적 정서와 의미를 지닌 여러 다른 이름도 사용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우리말의 ‘사랑’, ‘은총’, ‘구원’, ‘슬기’ 등도 가능하다. 다만 이런 경우 특정한 축일을 지정할 수 없기에 보통 11월 1일 모든 성인 대축일을 그 축일로 택해 기념한다.
가톨릭교회 전통은 성모 마리아의 경우 마리아(Maria)라는 이름뿐만 아니라 그 의미상 성모 마리아를 상징하거나 성모와 관련된 여러 명칭과 애칭들 또한 세례명으로 사용해 왔다. 일반적으로 성모 마리아는 8월 15일 성모 승천 대축일을 그 축일로 기념하나 성모와 관련된 다른 축일이나 기념일을 정해 사용할 수도 있다. 하늘(Caelum)에서 유래하며 하늘의 모후(Regina Caeli)이신 성모를 상징하는 첼리나(Celina) 또는 레지나(Regina)는 보통 8월 22일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을 축일로 정해 기념한다. 8월 15일 성모 승천 대축일로 축일을 정하기도 한다.
오늘 축일을 맞은 레지나 자매들에게 주님의 축복이 가득하시기를 기도합니다.
야고보 아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