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말레이시아 스킨케어 제품 수입 1위 국가로 등극 –
-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고, 한류 마케팅 적극 활용 필요 -
□ 스킨케어 시장규모 및 최근 동향
ㅇ 스킨케어 제품은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뷰티제품 중 하나이며, 말레이시아인들이 피부미용에 투자하는 비용이 증가하는 추세
ㅇ 점점 더 많은 남성 소비자의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남성 스킨케어 수요도 많이 증가함.
ㅇ 2016년 말레이시아 스킨케어 수요는 2015년 대비 7%의 성장률을 보임.
ㅇ 매스 스킨케어 세트는 2016년 12%의 가장 큰 성장률을 보였음. 이는 매스 스킨케어 제품이 프리미엄군 제품보다 저렴하고 가성비가 좋기 때문으로 분석됨.
ㅇ 한국은 말레이시아 스킨케어 산업의 선두주자임. 한류 영향으로 유명 연예인을 내세운 한국의 스킨케어 브랜드가 소비자를 사로잡고 있음.
□ 수입동향 및 주요 수출국
말레이시아 스킨케어 제품 총 수출입 현황(HS Code 330499)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
수출(백만 달러) | 85.25 | 101.74 | 111.93 | 101.57 |
수입(백만 달러) | 229.26 | 230.61 | 229.48 | 240.08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스킨케어 제품 국가별 수출 현황(HS Code 330499)
- 말레이시아는 스킨케어 제품(HS Code 330499)을 싱가포르(32%)로 가장 많이 수출했으며 홍콩(15.4%), 일본(7.9%)이 그 뒤를 이음.
국가별 수출 현황(HS Code 330499)
(단위: 백만 달러)
순위 | 국가명 | 2015 | 2016 |
1 | 싱가포르 | 29.13 | 32.51 |
2 | 홍콩 | 14.37 | 15.69 |
3 | 일본 | 11.64 | 8.03 |
4 | 태국 | 7.74 | 5.71 |
5 | 인도네시아 | 6.21 | 5.33 |
6 | 파푸아뉴기니 | 10.01 | 4.76 |
7 | 아랍에미리트 | 3.38 | 3.45 |
8 | 대만 | 2926 | 3018 |
9 | 브루나이 | 2453 | 2742 |
10 | 필리핀 | 2584 | 2448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스킨케어 제품 국가별 수입현황
- 2016년 말레이시아 스킨케어 제품 수입규모는 총 2억4000만 달러에 달하며, 한국 제품이 17.9%로 1위를 차지함. 미국(13.3%), 일본(11.8%)으로부터의 수입이 그 뒤를 이음. - 2015년까지는 미국 제품이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해 1위 수입국이었으나, 한국의 스킨케어 제품이 이를 역전해 2016년 4300만 달러의 수입액을 기록함.
국가별 수입 현황(HS Code 330499)
(단위: 백만 달러)
순위 | 국가명 | 2015 | 2016 |
1 | 한국 | 31.37 | 43.07 |
2 | 미국 | 32.13 | 31.89 |
3 | 일본 | 20.49 | 28.35 |
4 | 프랑스 | 23.54 | 25.29 |
5 | 대만 | 15.85 | 13.51 |
6 | 싱가포르 | 18.83 | 13.48 |
7 | 태국 | 14.40 | 12.36 |
8 | 중국 | 11.19 | 11.37 |
9 | 스위스 | 9.11 | 9.62 |
10 | 영국 | 7.02 | 9.61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주요 판매업체 현황
말레이시아 주요 스킨케어 제품 판매업자 점유율(단위: %)
브랜드명 | 회사명 | 2014 | 2015 | 2016 |
SK-II | Procter & Gamble (M) Sdn Bhd | 9.6 | 9.8 | 10.0 |
Nu Skin | Nu Skin (M) Sdn Bhd | 6.5 | 6.7 | 6.9 |
Shiseido | Shiseido Co Ltd | 5.1 | 5.0 | 5.0 |
Artistry | Amway (M) Sdn Bhd | 4.5 | 4.6 | 4.6 |
Safi | Wipro Unza (M) Sdn Bhd | 3.8 | 3.8 | 3.9 |
Estée Lauder | Estée Lauder Cos Inc | 3.1 | 3.0 | 2.9 |
The Body Shop | Rampai-Niaga Sdn Bhd | 2.7 | 2.6 | 2.4 |
Bio Essence | Ginvera Marketing Enterprise Sdn Bhd | 2.2 | 2.3 | 2.4 |
Biotherm | L'Oréal (M) Sdn Bhd | 1.9 | 1.9 | 1.9 |
Clarins | Clarins Sdn Bhd | 1.8 | 1.8 | 1.8
|
□ 관세율 및 화장품 등록
ㅇ 2017년 말레이시아 신규 관세 규정에 따르면, 스킨케어 제품에 해당하는 HS Code 330499 제품의 일반 및 한-아세안 FTA 협정관세율은 모두 0%임.
- 관세가 면제된다고 하더라도 수입 시에 부과되는 물품서비스세(GST) 6%는 동일하게 부과됨.
ㅇ 수입 제품이 말레이시아 시장에 유통되기 위해서는 NPRA(National Pharmaceutical Regualtory Agency)를 통해 등록 절차를 밟아야 하며, 이를 'Notification'이라고 함.
- 화장품 및 스킨케어 제품 등록은 Control of Drugs and Cosmetics Regualtions Act 1984에 의거함.
- 화장품 등록 절차는 해로운 제품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고 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에 대해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책임지도록 하기 위한 절차임.
- 최신 NPRA 가이드라인과 절차에 대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고
· http://npra.moh.gov.my/images/Guidelines_Central/Guidelines_on_Cosmetic/Guidelines_for_Cosmetic_Control_.pdf
ㅇ 이러한 'Notification' 신청은 반드시 현지 법인 혹은 현지 파트너를 발굴해서 현지에서 신청해야 하고, NPRA Quest라는 온라인 신청 플랫폼을 이용해 온라인으로 발급신청을 진행해야 함(http://npra.moh.gov.my).
ㅇ 신청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서류들이 제출돼야 하며, 신청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1주 안에도 승인을 받는 경우가 있지만 보통 한달 정도 잡고 있음.
- 제품명, 제품 종류, 사용 목적 등 제품 관련 사항
- 제조업체 및 조립업체 명함과 주소
- 화장품사전신고기업(CNH) 이름, 주소, 연락처
- 화장품사전신고기업의 대표자 연락처
- 수입업체 이름 및 주소(신고기업과 별도 존재 시)
- 제품 성분리스트[금지성분 포함시 비율(%) 필수 명기]
- 권한 위임장(Letter of Authorisation), 신고서(Letter of Declaration), 계약서(Letter of Contract Manufacturing) 중 제출 가능서류
- 제품의 라벨
ㅇ 화장품 사전신고기업은 NPRA에서 요구하는 모든 서류와 증빙을 제출할 의무가 있음.
ㅇ 제품 정보파일(PIF)은 인쇄 서류 모음이나 전자파일 형태로 갖춰 NPRA가 제출 요구 시 바로 제출 가능한 형태로 준비해야 하며, 말레이어 혹은 영어로 준비돼야 함.
□ 진출전략 및 시사점
ㅇ 말레이시아 스킨케어시장이 포화상태인 만큼, 가격 경쟁력은 필수이며 우수한 품질 또한 보증돼야 함. 일반 스킨케어 제품 외 기능성 스킨케어 제품의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말레이시아 남성 스킨케어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함.
ㅇ 아직 새로운 브랜드의 시장 진입 전망은 좋은 편이나, 신제품 홍보에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함. 공격적인 홍보 전략과 카탈로그 배포 등 바이어 및 소비자들에게 지속해서 새롭고 경쟁력 있는 제품 특성을 홍보할 필요가 있음.
ㅇ 말레이시아인들은 한국인들의 깨끗하고 투명한 피부를 선망하고 있어, 유명 한국 연예인들을 홍보대사로 임명해 광고를 진행하는 것 또한 큰 효과를 보임.
자료원: WTA, Euromonitor, 관세청, 통계청,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