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우 속 2만 명 서울 집결 총파업대회
♢일부 의료기관 운영 혼선, 환자들 불편
♢복지부,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 '관심'→'주의'
2.장마와 무더위를 잊게 해줄 힙한 예술축제 ‘어반브레이크 2023’가 13일 개막.
2022년 관객 수 5만 명을 돌파하며 MZ세대의 사랑을 받은 아시아 최대 어반·스트리트 아트페어가 올해는 네번째 행사를 맞아 한층 업그레이드된 모습으로 돌아와.
올해는 축제 컨셉의 공간 기획과 더욱 힙해진 6개의 특별전 ‘CRAZY EXPERIENCE’와 다양한 컬래버레이션을 선보여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B홀에서 열린 ‘어반브레이크 2023’을 찾은 관람객들이 전시 부스를 살펴보고 있다. 어반브레이크는 비주류와 주류의 경계를 허무는 도시와 거리 중심의 예술축제다.
올해 전시에는 세계적인 그래픽 아티스트 제이슨 네일러, 12세 신동 화가 니컬러스 블레이크 등 MZ세대의 눈을 사로잡는 젊은 예술가들이 참여했다. /사진제공=한주형 기자
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4차례 연속 동결 결정.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안정세를 찾은 가운데 미국의 통화정책과 국내 경기 회복 속도, 금융불안정 상황 등을 살피며 당분간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을 유지하겠다는 의지로 풀이.
13일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통위원 전원일치로 기준금리를 현 3.5% 수준으로 유지했다고 밝혀
♢한은 기준금리 3.5% 유지
♢"경제 성장부진 다소 완화"
♢美 물가 27개월만에 최저
♢연준 긴축종료 낙관론 확산
4.윤석열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 도착해 K-방산 세일즈 외교에 돌입.
윤 대통령은 이날 폴란드 바르샤바 시내 한 호텔에서 열린 동포간담회에 참석해 “한국과 폴란드 양국은 중요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됐다”면서 “이제 방위산업, 또 원자력을 포함한 첨단 분야로 확대되면서 전략적 관계가 한층 더 심화될 것”이라고 강조.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참석의 초점이 북한의 핵도발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안보 문제에 맞춰져 있었다면, 이번 폴란드 방문은 경제성과 쪽에 더 방점이 찍혀 있어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폴란드 경제사절단 일정을 시작했다. 구광모 회장(왼쪽)이 지난해 10월 마테우슈 모라비에츠키 폴란드 총리를 만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LG그룹
♢구광모 LG그룹 회장 움직임 주목…폴란드, 유럽 시장 공략 핵심 거점
♢韓·폴란드 MOU 3건 체결
♢방산 수출로 굳건해진 양국
♢두다 "韓무기 폴란드서 생산"
♢배터리 등 첨단기술도 협력
♢한국기업 폴란드 진출 발판
♢우크라 재건사업도 함께 논의
5.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4월부터 비밀리에 준비해오던 AI 회사인 ‘xAI’를 12일(현지시간) 공식 출범.
오픈AI와 경쟁하는 AI 회사를 만들겠다고 밝힌 지 불과 3개월 만.
xAI는 이날 웹사이트를 열고 “xAI의 목표는 진정한 우주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히면서 주요 멤버와 향후 계획을 공개.
xAI에는 구글 딥마인드, 챗GPT 개발사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MS) 등에서 일했던 AI 전문가가 대거 참여.
♢구글·오픈AI 출신 대거 영입
♢트위터·테슬라 데이터로 학습
♢"5년내 사람보다 똑똑해질 것"
♢불붙은 테크업계 속도 경쟁
♢신규서비스 출시간격 확 줄여
6. 美 긴축터널 끝 보인다 …"연준 금리인상 이달에 마침표"
꼭 1년 전 9.1%까지 치솟았던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지난달 2년3개월 만에 최저치인 3%로 둔화하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정책이 드디어 전환점을 맞이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美 소비자물가 3%로 꺾여 … 달러가치 15개월만에 최저
7. 저축銀 급전대출 늘고, 연체율도 7%로 껑충
저축은행업권의 대출 잔액이 줄어드는 가운데 소액신용대출 잔액만 나 홀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대출잔액 2조 줄었지만...소액신용대출만 80억 늘어
♢자격요건 느슨한 500만원 대출
♢금리는 年 17~19%대 달해
♢연체액 3개월새 90억 증가
♢저축銀, 급전창구 문턱 높일듯
8. 서울 7주째 상승…지방은 낙폭 커져
전국 아파트 가격이 2주 연속 보합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7주 연속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이 지난 6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7월 첫째 주(3일 기준) 전국 아파트매매가격지수는 전주와 같은 수준을 보이며 보합을 기록했다. 전주 60주 만에 하락을 멈춘 뒤 2주 연속 보합세를 유지했다.
9. 또 오르는 금리…주담대 3억에, 월 상환액 160만원
한국은행이 연 3.5%인 기준금리를 네 차례 연속으로 동결했으나 은행권 대출금리는 시장금리 상승세를 반영해 점진적으로 오르고 있다. 은행채 발행 증가와 새마을금고발 불안 등으로 채권 금리가 오르고 있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은, 4회 연속 기준금리 3.5% 동결에도
♢주담대 상단은 6%…시장금리 점진적 상승세
♢주요은행, 주담대 최장 만기 50년까지 늘렸으나
♢원리금 줄지만 이자는 늘어…차주 체감은 ‘그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