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왕산(104m).만우봉(100m).본향산(97m).일출봉(93m).상양봉(144m).가인봉(134m).군자산(198m)/경기 시흥
산행일자;2021년5월1일. 날씨;흐림. 산행거리;15.0km. 산행시간;6시간05분.
교통편 및 비용;(시니어 무료)
<갈때>가양역-9호선-동작역(환승) - (4호선)- 오이도역 3번출구(산횅들머리)
<올때>시흥능곡역 2번출구(산행날머리)-(서해선)-소사역(환승)-(1호선)-노량진역-(9호선)-가양역
산행코스; 오이도역3번출구(산행시작)- 수인분당선 전철길 옆 비포장도로- 봉황로를 정왕지하차도 위로 통과 -좌측 포장도로(봉황로143번길)- 정광산업에서 좌향 마을길 오르막길 -좌측 임도길-능선을 향한 오름-능선 태양광발전소 울타리 따라 오름길 좌향 능선길 -정왕산정상(대삼각점)-서해안로-뒷방울낚시터 입간판 -뒤방울저수지-시흥시 동물보호센터 조성 공사장- 우향 능선길 -만우봉(솔빛길 안내판)-4거리이정표-돌탑봉- 115봉(산불감시탑봉)- 달월길 동물이동통로- 본향산-달월길 동물이동통로-115봉(산불감시탑봉)-일출봉- 정자봉 - 솔빛길 따라 마유로 진행 -건설자재 철계단 -절개지법면과 사유지 녹색철망 사이 블럭계단길-능선길-동물이동통로-상양봉-마전로 구름다리-가인봉-황고개로 구름다리-한전철탑봉-작고개-산뒤마을 갈림 이정표-능선오름길-300여계단 오름-군자산- 좌측 하산길-300여계단 입구-능선-산뒤마을 갈림 이정표-아파트공사장-한여울초등학교-시흥능곡역2번출구 (산행종료)
■정왕산(正往山)경기도시흥시 정왕동에 소재한 산이다. 정왕산이 최초로 등장하는 것은 조선 영조 때 편찬한 『여지도서』이다. 이 지도의 「안산군」 산천조(山川條)에는 “正往山在郡西三十里 熢燧在此(정왕산재군서삼십리 봉수재차)”라 하여 정왕산이 안산군 읍치(邑治)에서 서쪽으로 30리[약 11.8㎞] 떨어진 지점에 있으며 봉수가 있음을 전하고 있다. 일설에는 정왕산이라는 이름이 봉수대를 관리하는 벼슬하는 이들이 왔다갔다 하는 곳이라고 해서 관리의 조건인 바를 ‘정(正)’을 따서 정왕산이라 했다는 구전도 있다.정왕산은 봉수대가 있어 공직자(正)들이 왕대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 이름은 정왕동 [봉우재]이다.
그런까닭에 정왕산은 정왕본동에 있는 정왕2공원 북쪽에 접해있고 봉화산의 서쪽에 잇는 숲이 전왕산이다. 원래는 해발220m나되는 산이었지만 멀지않은 과거의 일이고 지금은 산이라는 것을 알아보기 힘들다. 1980~90년대 시화지구 간석지를 매립하여 공업단지로 개발할때 정왕산의 흙을 사용 했기 때문이다. 정왕산을 헐어서 그 흙을 시화지구 간석지에 퍼부은 것이다. 산의 절반이상이 깎여나가는 바람에 그 흔적을 쉽게 알아보기 어렵다.
현재 오로스맵지도상 정왕산(104m)은 옛 정왕산이 아니고 정왕산 한켠 끝자락에 살아 남은 봉에 그이름을 얻었던 것이다. 그런 까닭인지 네이버나 다음지도에는 정왕산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본향산(97m)은 시흥시 월곶동에 소재한 산이다. 등로는 양호하고 달월길 생태이동통로를 통해 만우봉~일출봉 능선과 연결된다. 만우봉~ 일출봉 능선상 115봉에서 왕복하는 것이 정답이다. 본향산 정상에는 삼각점(안양457/1990재설). 지적삼각점표시석과 다른 1개의 삼각점(판독불가)이있고 시흥시장의 안내문 표시판에 매직으로 쓴 글씨가 본향산 정상 표시판을 대신한다.
■만우봉(100m).본향산(97m).일출봉(93m). 상양봉(144m).가인봉(134m)은 시흥시 뒷방울 저수지 와 마전 수지 주변의 산군들로 다음이나 네이버지도에는 그이름이 나오지 않으나 오록스맵 코리아지도와 로커스지도에 그 이름이 나오는 산 아래마을 마을 주민들이 오래전부터 부른 시흥시의 야산들이다.
■ 군자산(君子山) 군자봉(君子峰)은 경기 시흥시 군자동 위치한 산으로 높이는 199m이다. 군자봉 정상에는 산불감시초소, 대삼각점 원형동판(국립건설연구소), 119표시판(군자봉 1-2 군자봉), 산지정화벌칙계도판, 군자봉조망안내도, 이정표(굿당 700m, 만남의숲 230m, 군자,성황사지), 뭔가를 만들려는 하얀표시판과 벤치5개가 있으며, 수백년 수령의 느티나무가 있는 성황당이 있다.
군자산은 군자봉이라 부르기도 하며, 서촌(西村, 옛 군자면 지역)을 묵묵히 지켜온 수호산으로 봉우리가 하나라고 하여 일봉산이라고 부르며, 또 산의 내령이 서쪽으로만 뻗혀 있어 서령산이란 별칭이 붙여졌다.
산의 유래에 대하여는 언어학자들은 '굿'봉에서 유래하였다고 주장한다. 이 산 정상에 있었던 성황사에서 굿을 했었던 사실에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알려지기는 조선조 제6대 임금인 단종이 안산 능안(陵內, 현 안산시 목내동)에 있는 생모 현덕왕후의 묘소에 참배하러 가는 길에 이 산을 보고 산봉이 흡사 연꽃처럼 생겨 군자의 모습과 같다하여 군자산이라 했다는 것이다.
군자산은 서해연안에 있는 산으로 삼국시대에는 한강 유역과 남양만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지키는 요지로 산성(君子山城)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무속 신앙에서는 영험이 있는 산으로도 빼놓을 수 없는 영산으로, 산 정상에는 수백 년 수령의 느티나무가 있다.
군자산은 영험한 산이라 그런지 많은 전설이 구전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고려 성종 때 서희장군과 경순왕의 빈인 안씨 및 그녀의 친정 어머니인 홍씨와 얽힌 이야기라든지, 군자봉이 석 자 세 치 깎인 얘기 등 무수한 얘기가 전해지고 있다.
군자산은 삼국시대 한강유역과 남양만의 교통요지 이기도 하지만 우리 무속신앙에서는 빼놓 을수 없는 영산으로도 유명하다. 산정상에는 수백 년 수령의 느티나무가 있는데 이곳 소원당에서 매년음력 10월 3일 신곡 맞이 행사로 1천여년간 한해도 빠짐없이 군자성황제를 지내오고 있다. 군자봉은 행정구역상 시흥시 군자동과 장현동 능곡동 사이에 위치한 높이 199미터의 봉우리로서 주변지역을 대표하는 명칭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경기도 유일의 내만갯벌이라는 점도 멋지다. 우리시만의 독특함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군자봉 또는 군자산이란 명칭은 조선시대 문종(文宗)과 단종(端宗)의 안산 거둥과 관련하여 전해지는데, 문종실록(文宗實錄)을 통해 문종의 안산 행차는 찾을 수 없고, 『단종실록(端宗實錄)』에는 재위 2년째인 1454년 9월 29일에 어머니 현덕왕후의 능인 소릉昭陵을 참배한 뒤 다음날 안산에 머문 사실이 있어서, 문종보다는 단종이 군자봉을 보고 이름을 붙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각종 지지자료(地誌資料)중에서 현재의 군자봉을 가리키는 ‘군자(君子)'란 이름이 가장 먼저 등장하는 것은 18세기 중엽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안산군조이다. 여기에는 산명山名이 ‘군자산'으로 나와 있는데, 부가된 설명에 성황사城隍祠가 있다고 하였고, 이어 1843년에 편찬된 경기지(京畿誌) 안산군조에 성황단(城隍壇)과 함께 군자봉이 나오며, 1864년 김정호(金正浩)가 편찬한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군자봉만 표시되어 있다. 또 1871년 편찬된 경기읍지(京畿邑誌) 안산군조에는 군자산이, 1894년 편찬된 기전읍지(畿甸邑誌) 안산군조에는 ‘성황(城隍)'과 함께 군자산이 나오고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지지자료(地誌資料)의 표기방식으로 보아 ‘군자산'과 ‘군자봉'은 별 의미 없이 혼용되었으며, 현재 주민들은 주로 군자봉이라 부르고 있다. 조선의 정조 임금은 1797년에 수원 현륭원으로 행차하는 도중 시흥시 지역을 지나면서, “깃발을 펄럭이며 바닷가로 돌아드니(風海門廻), 소래산의 수려한 빛 눈이 번쩍 열리도다(秀色蘇來眼忽開), 드높은 군자봉 바로 앞에 솟았으니(君子峰高入指點), 혹여 그 안쪽에 숨은 인재 있으려나(非中有隱淪才)”라는 시를 지었는데, 널리 인재를 등용하고자 하는 임금의 뜻과 함께 너른 평지에 우뚝 솟아있는 군자봉의 모습을 잘 전해주고 있다. 본래의 산명은 군자산인데 조선 말엽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서촌(西村, 옛 군자면 지역)을 묵묵히 지켜온 수호산으로 봉우리가 하나라고 하여 일봉산(一峰山)이라고 부르며, 또 산의 내령이 서쪽으로만 뻗혀 있어 서령산(西嶺山)이란 별칭이 붙여졌다. 산의 유래에 대하여는 설이 구구하다. 군자동 구지정 출신인 풍수지리 연구가인 지창룡(池昌龍, 1922~1999) 씨는 산세가 군자의 모습과 같기 때문에 '군자봉'이란 산명이 유래되었다고 주장한다. 군자봉은 사방 어느 곳에서 보아도 군자의 위엄한 자태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언어학자들은 '굿'봉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산 정상에 있었던 성황사(城隍祠)에서 굿을 했었던 사실에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알려지기는 조선조 제6대 임금인 단종(端宗)이 안산 능안(陵內, 현 안산시 목내동)에 있는 생모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묘소에 참배하러 가는 길에 이 산을 보고 산봉이 흡사 연꽃처럼 생겨 군자의 모습과 같다하여 군자산(→ 군자봉)이라 했다는 것이다.옛 시흥군의 군자면은 1914년에 부ㆍ군ㆍ면 통폐합 때 안산군의 대월면(大月面), 마유면(馬遊面), 와리면(瓦里面)의 세 개 면을 합하면서 이 산명을 따서 명명. 군자동의 법정동 및 행정동명과 군자초ㆍ중ㆍ공고의 교명, 군자농협, 군자우체국, 군자파출소 등의 명칭이 모두 이 산명에서 취한 것. 군자봉은 서해연안에 있는 산으로 삼국시대에는 한강 유역과 남양만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지키는 요지로 산성(君子山城)이 있었다.(성지의 둘레: 400m, 높이: 약 10m). 우리의 무속 신앙에서는 영험이 있는 산으로도 빼놓을 수 없는 영산(靈山)이다. (산 정상에는 수백년 수령의 느티나무가 있다.)
군자산(君子山)은 옛 안산지역의 명승이자 현재도 명산이다. 예전에는 봉우리가 하나로 일봉산(一峰山)으로 불려오다가 조선 제6대 단종이 현재 안산구 단원구 목내동 능안(陵內)에 있는 제5대 문종왕후로 단종의 모후인 현덕왕후 권씨의 묘소를 참배하러 가는 길에 이산을 보고 군자처럼 의젓하게 생겼다고 해서 군자산이라 했다가 조선조 말엽에 군자봉으로 개칭되었다고 전한다.
또 다른 이름으로는 산의 내령이 서쪽으로 뻗어 있어 '서령산'이라 부르며 능곡동 류자신 묘역이 옥내국부형의 지세를 가진 명당으로 그 앞산이 군자봉인데 대칭되고 조화되는 의미해서 '남근산(남자산)'으로 부르기도 한다. 정상은 시흥시 형토유적 14호로 군자성황사지로 지정되어 있다.
1960년대까지 성황사가 있었는데 화재로 불탔다. 연유는 이웃한 곳에 사는 개신교 목사와 신도가 벌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매년 음력 10월 3일이면 산 정상에서 성황제를 지내고 있다.
■오이도(烏耳島)는 원래 지금의 시흥시 앞바다에 있던 섬이었지만, 1920년대부터 시작된 염전 조성과 1980년대의 시화국가산업단지 개발 사업 등으로 간척 및 매립이 이루어져 육지에 연결되었다. 매립 사업 이후 해안가에는 오이도해양단지가 조성되었다.
오이도는 서해안의 돌출부에 자리하므로 조선시대에 정왕산 봉수대가 설치되었을 정도로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이었다. 군 부대가 주둔하는 산 정상부에 설치되었던 봉수대는 남쪽의 화성시에 있던 해운산 봉수대와 북쪽의 인천광역시에 있던 성산 봉수대에 연결되었다. 오이도는 본래 섬이었지만, 일제가 소금을 수탈하기 위해 1922년에 오이도 근처에 군자염전 조성을 위한 제방을 쌓으면서 육지와 연결되었다. 이후 1980년대에 들어서 시화국가산업단지 개발을 위한 매립 공사가 진행되어 1988년에 지금처럼 완전한 육지로 변모하였다. 그러나 섬이라는 명칭은 그대로 사용된다. 과거에는 여러 자연 마을이 있었지만, 섬 개발 사업과 함께 모두 사라져 버렸다.
2021.5.1.(토)(06;11) 가양역을 출발 동작역에서 4호선 오이도역행을 환승하여 (08;00) 오이도역에
도착합니다. 오이도역에서 약5분간 산행준비하고 (08;05)오이도역3번출구를 나와 바로 산행 시작합니다. 빗방울이 떨어져 우중산행모드로 바꿉니다. 그런데 비는 산행 끝날때까지 더이상 내리지 않았습니다.
0km 0분[오이도역](08;05)
오이도역 3번출구나와 (08;10)호젓한 비포장길을 직진한다. 좌측에는 수원분당선이 함께 나란히간다.
(08;13) 봉황로를 정황지하차도위 횡단보도로 건넌다. 지하차도 건너서 버로 봉황로 버리고 좌측봉황로143번길 아스팔트 1차선 도로를 따른다 . 마을 길을 지나 (구)정광산업 3거리에서 좌향 아스팔트길을 따라오른다. (08;20~08;30)[10분] 마을뒤 비포장 수레길 갈림길에서 약10분간 과일도 깎아먹고 베낭무게 줄이고 우중산행모드도 해제 하는등 산행준비후 (08;30) 컨테이너 박스있는 곳에서 우향 능선을 향한 희미한 길을 개척으로 오른다. (08;38)주능선에 붙는다. 우측 울타리 아래 태양광발전 시설이 보인다. 철조망 울타리를 우측에 두고 울타리끼고 오른다. (08;38)능선 오름길에 조망 터져 잠시 조망즐긴다.
능선 오름이 끝나는 지점에서 울타리 보내고 좌측으로 완만한 숲길 이어가니 정왕산 정상이다.[1.7km][40분]
1.7km 40분 [정왕산](08;45~08;49)[4분]
대삼각점 있고 배하사님이 부착한 작은 정산표지판이 부착되어있다. 정상은 공터로 조망이 너무나 좋아 오이도 아파트단지가 고스란히 내려다 보인다. 인증사진 남기고 (08;49)우측으로 능선길 내려간다. 등로는 뚜렷하고 좋다. (08;55)서해안로 736번도로에 내려서고 좌측으로 수원분당선 연장구간 전철길을 두고 나란히 도로를 따라간다.
(09;03) "뒷방울낚시터" 안내판을 따라 우측으로 도로를 따라 들어간다. (09;05)뒷방울낚시터 저수지에는 밤샘한 낚시꾼들이 의외로 많다. 삼거리에서 콘크리트포장 "시흥시 동물보호센터 조성공사 부지" 길을 따라 올라간다. 좌측으로 굽어 능선으로 올라선다. "시흥시 동물보호센터 조성공사 부지"
(09;10)"시흥시 동물보호센터 조성공사장 부지"정문에서 우측으로 꺾어 능선을 완만히 올라간다. 등산로는 뚜렷하고 사유지 철망울타리를 지나서고 완만한 오름길 올라간다. (09;22) 솔빛길 안내판 서있는 만우봉 정상이다.[1.8km][33분]
3.5km 77분 [만우봉](09;22~09;25)[3분]
정상은 조그만 공터다. 소나무가지에 선답자님들의 표지기 걸려있고 표지기에 만우봉 표시되어있다 . 솔빛길 안내판이 서있다. 지나온 정왕산과 뒷방울낚시터가 내려다 보인다.
(09;25) 인증사진 남기고 능선길 따라 우측으로 완만히 내려선다. (cf.좌측솔빛길은 달월역향이다)
(09;33)임도길이 지나가는 4거리안부 이정표(솔빛길/뒷방울저수지/월곶보건진료소)에서 아무런 표시없는 솔빛길 임도를 따라오른다. 급경사 오름길이다. 급경사 오름길 극복하여 (09;43)돌탑봉(115m에 선다.
(09;44) 부드럽고 평탄한 능선을 따라가면 돌탑봉과 같은 높이의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115봉 이다. (09;50) 115봉을 오르지 않고 115봉 직전에 좌측으로 희미한 길따라 내려선다. (10;00)달월길 동물이동통로가 보이는 원각사와 (주) 한도기술이다. 우측으로 도로따라 (10;10) 본향산 들머리에서 동물이동통로 오는길 만나 좌향 부드러운 능선따라 진행후 3거리에서 우향 조금(100여m)진행하니 본향산 정상이다.[1.8km][40분]
5.3km 130분 [본향산](10;15~10;19)[4분]
본향산 정상에는 삼각점(안양457/1990재설).지적삼각점 표시석과 다른 1개의 삼각점(판독불가)이 있고 시흥시장의 안내문 표시판에 매직으로 쓴 글씨가 본향산 정상 표시판을 대신한다. 선답자님들의 표지기 걸려있다. 인증사진 남기고 Back (10;25)동물이동통로를 통해 달월길을 건너 오름길 오른다. 경사 급한 오름길 극복하여 115봉에 선다.[0.7km[20분]
6.0km 154분 [115봉](10;39)
115봉은 산불감시초소가 있고 일출봉과 본향산과 갈림길이다. 직진으로 내림길 내려선다. 안부에서 가파르게 올라서니 일출봉 정상이다.[0.3km][6분]
6.3km 160분 [일출봉](10;45)
조망이 없는 숲속의 봉이다. 선답자님들의 표지기가 일출봉임을 말해주고 '마전봉'이란 표시기도 있다. 직진으로 부드러운 능선길 따른다. 솔빛길이다. 능선이 끝나는 곳에 (11;05) 조망터 2층정자다.[0.7km][20분]
7.0km 180분 [2층정자](11;05~11;07)[2분]
정자에 올라 잠시 조망한다. 조망 양호하다. 상양봉과 가인봉.군자봉을 어림해본다. 솔빛길따라 내림길 내려 마을길 지나 군자로/마유로 교차 4거리에서 횡단보도 건너 영동고속도로 아래를 통과 마유로를 따른다. (11;25) 마유로 인도를 버리고 건설자재로 만든 철제 계단을 밟고 오른다. (11;28) 우향 사유지 울타리와 마유로 절개 법면사이 시멘트 블록계단을 완만히 따른다. 우측으로 삼양봉 아래 저수지를 조망하면서 진행하니 (11;35) 마유로 생태이동 통로다. 우측으로 생태이동통로를 건넌다. (cf 후답자는 건설자제 철계단을 오르지 말고 계속 마유로를 따르면 생태이동통로 밑을 통과하여 샛길 도로만나 되돌아 올라와 생태이동통로를 건너는 것이 힘들지 않고 편리할 것 같다.) 생태이동통로를 건너 가파르게 올라가고 통나무버팀계단을 올라서면 묘가 있으며 우측으로 꺾어서도 가파르게 계속 올라선다. (11;50)상양봉 정상이다.[1.5km][43분]
8.5km 225분[상양봉](11;50)
정상은 넓은 공터로 정자(상양정)가 있고 솔빛길 안내판 서있다. 돌무더기 옆 "솔빛길 안내판에 매직으로 "상양봉 144m" 쓰여있어 정상표지판을 대신한다. 정자에 오르면 오이도 일대가 보인다지만 정자에 오르지 않고 능선길 이어가 가파르게 로프안전가이드를 따라 내려간다.
안부는 갈림길로 운동시설이 있고 완만히 따르다가 살짝 올라서면 (12;03)전주이씨 해안공파 가족묘지를 지나 너른 길을 따라 내려서면서 좌측으로 아파트단지가 가까이 다가와 있다. (12;05)마진로 구름다리를 건너면 이정표(황고개 1.1km/상양봉 0.7km )를 만난다.
(12;10) 찔레나무 숲 속길을 지나고 (12;14) 애기똥풀길을 지나 다소 가파르게 오르면 통나무의자가 있고 봉우리를 우측 사면을 따라 돌아가고 있다. 가인봉 정상으로 올라서는 길은 없고 능선에서 왕복한다. 갈림길에 의자쉼터가 있고 좌측으로 꺾어 밭사이길을 지나 정상으로 올라서는 능선으로는 덩굴이 뒤덮여있어 통행이 순탄치 못하다. 희미한 족적을 따라 정상으로 올라선다.[1.5km][33분]
10.0km 258분 [가인봉](12;23)
선답자님들의 표지기가 여러장 걸려있다. 이름은 예쁘지만 뚜렷한 길을 따르다 보면 산님들이나 찾지 그냥 스쳐지나가는 봉우리에 불과하다. 트랙따라 가인봉 들머리를 찾고자 Back하지 않고 희미한 길따라 좌측으로 내려서는데 중간에 길이 끊어지고 개척으로 치고 내려서 좋은길 만나지만 추천 하고 싶지 않아 표지기 걸지 않고 좋은 등로따라 (12;33)간이 의자 쉼터로 되돌아 온다. (cf 후답자는 이곳 작은 밭 간이의자 쉼터에서 가인봉 왕복하기를 권한다.)
밋밋한 안부를 지나 오르면 (12;35)이정표(황고개 0.3km/ 삼양봉 구름다리 0.8km)를 만나면 좌측으로 틀어 가파르게 내려간다. 이어 둔덕을 지나 내려서면 (12;42) 도로위로 황고개 구름다리다.[0.5km][19분]
10.5km 277분 [황고개 구름다리](12;42).
구름다리 건너면 이정표( 군자봉 1.9km/시흥경찰서 0.6km/삼양봉 구름다리 1.1km) 서있다.
나무계단을 올라서면 우측으로 꺾어 통나무계단을 가파르게 올라간다. 가파르게 올라서면 완만한 능선이다. 봉우리에 의자쉼터가 있고 가파르게 나무계단을 내려간다. 완만한 능선 길에 군자산은 우뚝 솟아있어 오름길이 힘들어 보인다. (13;05) 구지정마을 갈림길 이정표(샛터고개 0.3km/등산로 없음/구지정마을 1.3km/ 황고개 약수터 1.0km) 를 지나 오름길 오라서니 (13;10)한전철탑이있는 능선마루다. (13;13) 작고개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틀어 완만히 내려간다. (13;13)작고개(군자봉길)에서 나무계단을 올라 완만히 따르면 갈림길이다.
(13;20)산뒤마을 갈림길 이정표(군자봉 정상/가래골 약수터 800m/산뒤마을/ 작고개 210m) 갈림길에서 능선길 이어가고 의자쉼터를 지나면 가파른 300여개의 목책계단을 힘들게 오른다. (13;30)정자가있는 군자산정상이다.[1.9km][48분]
12.4km 325분[군자산君子山](13;30~13;33)[3분]
군자봉 정상표지목 서있고 정자(군자정)가 있고 군자성황사지 설명판과 괴목나무 당산나무가 있다. 조망은 없다.
직진길은 솔빛길이나 의미가 없어 "시흥 능곡역"을 향한 하산길을 택한다. 하산길은 왔던 급경사 계단길을 Back 하여도 되나 왔던길을 되 밟기가 싫어 좌측 내림길를 따라 내려 가니 300여 계단 시작점으로 연결된다. 잠시 밟았던 길을 밟아 내려가니
(13;40)산뒤마을 갈림길 이정표(군자봉 정상/가래골 약수터 800m/산뒤마을/ 작고개 210m) 를 만나 우향 이정표(산뒤마을)길을 따라 내려간다. (13;52) 시흥 시가지가 내려다보이는 조경농원에서 소나무 밭으로 도로에 내려선다. (13;58) 한여울 초등학교를 지나 좌측으로 이동하여 큰도로 따르다가 시흥대로 4거리교차로를 건너 '시흥능곡역 2번출구'에서 산행종료한다.[2.6km][37분]
15.0km 365분 [시흥 능곡역 2번출구](14;10)
(14;10~14;40/30분)새로 생긴 역사 답게 깨끗한 화장실에서 대충 씻고 새옷 갈아입습니다.
1번출구로 나와 곽만근 갈비탕집에서 비오는 창밖풍경을 보면서, 비 맞지 않고 산행 끝낸 행운을 음미하면서 "갈비찜 과 갈비전골" 안주에 맥주1병 청하3병으로 뒷풀이(14;40~17;00/2시간20분/76,000원) 여유롭게 합니다. 서해선 타고 소사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후 노량진역에서 9호선을 타고 가양역 도착 해가 지지지 않은 시간에 일찍 귀가 합니다. 비 에보 때문에 잡은 서울근교 경기 시흥에 있는 '정왕산(104m).만우봉(100m).본향산(97m).일출봉(93m).상양봉(144m).가인봉(134m).군자산(198m)'을 비 맞지 않고 마무리 할수있어 기분 좋습니다.
08;05 오이도역 3번출구입니다.
08;10 좌측 수원분당선 따라 비포장 차도 이어갑니다.
08;13 정왕지하차도 위를 통과합니다.
0820~08;30/10분 과일먹고 산행준비후 오름길 올라 정왕산능선에 붙으니
(08;38)울터리 넘어로 태양광발전시설이 내려다 보입니다.
08;38 조망입니다.
08;38 조망2 입니다.
08;45 정왕산정상 대삼각점입니다.
08;45~08;49[4분] 정왕산정상 표지판입니다.
08;45~08;49[4분] 정왕산정상 인증사진입니다.
(08;55)정왕산 날머리 서해안로 736번도로에 내려섭니다.
(09;03) "뒷방울낚시터" 안내판 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도로를 따라 들어갑니다.
09;05 뒤방울 저수지입니다.
(09;10)"시흥시동물보호센터조성공사장 부지"정문에서 우측으로 꺾어 능선을 따릅니다.
09;22 만우봉 솔빛길 표시판입니다.
09;22 만우봉에서 조망입니다.
09;25 만우봉 선답자님들의 표지기입니다.
09;25 만우봉 인증사진입니다.
09;23~09;25[2분] 만우봉 솔빛길 표지판 인증사진입니다.
(09;33)임도길이 지나가는 4거리안부 이정표( 솔빛길/뒷방울저수지/월곶보건진료소.원각사)입니다.
09;43 돌탑봉입니다.
09;44 부드러운 능선길입니다.
10;00 <115봉 산불감시탑봉> 직전 턱밑에서 좌측으로 내려서 만나는(주) 한도기술입니다.
10;10 본향산 들머리 동물이동통로 오르는 임도 입니다.
(10;15~10;19)[4분]본향산 정상 삼각점(안양457/1990재설)입니다.
10;15~10;19[4분] 본향산정상 지적삼각점표지 석입니다.
(10;15~10;19)[4분]본향산 정상 시흥시장 안내문표시판이 본향산정상 표지판을 대신합니다.
(10;15~10;19)[4분]본향산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0;15~10;19)[4분]본향산 정상 안내문.지적표시석. 삼각점(판독불가). 삼각점(안양457/1980재설) 모습입니다.
(10;15~10;19)[4분]본향산 정상 떠나기 전 인증입니다.
10;25 동물이동통로를 통해 115봉을 오릅니다.
10;45 일출봉 정상 선답자님들의 표지기입니다. 115봉으로 돌아와 약6~7분 거리 입니다.
10;45 일출봉 정상 '배창랑과 그일행=山君들' 표지기입니다
11;05 일출봉에서 솔빛길 따라 능선이 끝날무렵 만나는 2층 정자입니다. 조망이 좋습니다.
11;05~11;07[2분] 정자에서 조망입니다.
11;05~11;07[2분] 정자에서 조망입니다.우측 멀리 가야할 군자산이 조망됩니다.
11;05~11;07[2분] 정자에서 조망입니다. 첫봉은 오르지 않고 2번째봉이 '상양봉'입니다.
11;05~11;07[2분] 정자에서 조망입니다.
(11;25) 정자에서 내려와 마유로/군자로 4거리에서 횡단보도 건너 영동고속도로밑을 통과하여 만나는 건설자재로 만든 철계단입니다.마유로 인도를 버리고 건설자재로 만든 철제 계단을 밟고 오릅니다. (11;28) 우향 사유지 울타리와 마유로 절개 법면사이 시멘트 블록계단을 완만히 따릅니다. 우측으로 삼양봉 아래 저수지를 조망하면서 진행하니 (11;35) 마유로 생태이동 통로입니다. 우측으로 생태이동통로를 건넙니다. (cf 후답자는 건설자제 철계단을 오르지 말고 계속 마유로를 따르면 생태이동통로 밑을 통과하여 샛길 도로만나 되돌아 올라와 생태이동통로를 건너는 것이 힘들지 않고 편리할 것 같습니다.)
(11;28) 철사다리 올라와 우향 사유지 울타리와 마유로 절개 법면사이 시멘트 블록계단을 완만히 따릅니다.
11;30 우측아래 저수지 조망입니다.
11;32 마유로 위 "동물이동생태이동통로"를 건넙니다.
11;50 솔빛길 안내판이 상양봉 정상 표지판을 대신합니다. 정자도 있습니다.
11;50 상양봉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2;03)전주이씨 해안공파 가족묘지입니다.
12;03 부드러운 능선길입니다.
(12;05)마진로 구름다리 입니다.
(12;05)마진로 구름다리를 건너면 만나는 이정표(황고개 1.1km/상양봉 0.7km )입니다.
12;10 찔레꽃 새순입니다.
12;14 애기똥풀 군락지입니다.
12;23 가인봉 정상 입니다.
(12;35)이정표(황고개 0.3km/ 삼양봉 구름다리 0.8km)입니다.
(12;42) '황고개로' 도로위 황고개 구름다리입니다.
(12;42). 구름다리 건너 만나는 이정표( 군자봉 1.9km/시흥경찰서 0.6km/삼양봉 구름다리 1.1km)입니다.
12;42 구름다리와 오르막 계단입니다.
12;52 부드러운 등로입니다.
(13;05) 구지정마을 갈림길 이정표(샛터고개 0.3km/등산로 없음/구지정마을 1.3km/ 황고개 약수터 1.0km) 입니다.
13;10 한전 철탑봉입니다.
13;13 작고개표지목과 안내판 그리고 목책계단입니다.
13;13 작고개 계단 오름길입니다.
(13;20)산뒤마을 갈림길 이정표(군자봉 정상/가래골 약수터 800m/산뒤마을/ 작고개 210m)입니다.
서해선 '시흥능곡역' 전철은 이정표(산뒤마을)방향 입니다.군자산정상에서 Back하거나 좌측길로내려와 이곳에서 하산입니다.
13;30 300여 계단을 오르면 만나는 무인 산불감시탑입니다.
13;30 군자산 정상 정자입니다.
13;30 군자산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33 군자산정상 군자성황지 설명판입니다.
13;33 성황지 고목입니다.
(13;40)산뒤마을 갈림길 이정표(산뒤마을/가래골 약수터 800m/ 작고개 210m/군자봉 정상) 를 만나 우향 이정표(산뒤마을)길을 따라 '시흥 능곡역'을 향해 하산합니다.
(13;40)산뒤마을 갈림길 이정표(산뒤마을/가래골 약수터 800m/ 작고개 210m/군자봉 정상) 를 만나 우향 이정표(산뒤마을)길을 따라 '시흥 능곡역'을 향해 하산합니다.
13;52 조경화원 뒤 시가지입니다.
13;57시흥시가지입니다.
13;58 한여울초등학교입니다.
14;10 시흥능곡역2번출구입니다. 산행종료합니다.
로커스트랙지도입니다.
e-동아지도
산행기록표입니다.
오이도역.정왕산.만우봉.본향산.일출봉.상양봉.가인봉.군자산.시흥능곡역 트랙니다.
첫댓글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비슬님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대삼님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필코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
수고 하셨습니다.
용궁님
오랜만입니다.
건강하시고 안산즐산 이어가시길 빕니다.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푸른산하님.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매직님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