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92편
김 씨 할머니와 단비 엄마
김정연
할머니를 뵙고 돌아온 뒤 마음 한편이 좋지 않았습니다.
이제 남은 일은 ‘사례관리 종결보고서’뿐이었습니다.
복지관 회의를 통해 할머니께서 요양원 가신 뒤 적응하실 때까지 종결을 미뤘습니다.
종결을 준비하다 마침 할머니 생신이 한 달 뒤임을 알았습니다.
할머니께 드리는 마지막 선물이라 생각하고 ‘생신 잔치’를 궁리했습니다.
제가 혼자 축하하는 건 의미가 없겠다 싶었습니다. 평소 할머니께서 가까이 지내던 둘레 이웃을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잠깐씩 스쳐 만난 분들이었기에, 연락할 길이 없었습니다.
이번에도 중국집 사장님 부부께 여쭙고 부탁했습니다. 그간 있었던 일과 제 생각을 말씀드렸습니다.
연락처를 남기고 혹시 할머니와 가깝게 지내던 분이 중국집에 오시거나 길에서 만나면
제게 연락해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이번에도 흔쾌히 도와주시겠다고 하셨습니다.
요양원은 사회적 삶을 마무리하는 곳이 아닐 겁니다.
김정연 선생님 글 읽다 보니,
요양원으로 이사하는 순간,
사회적 관계는 끝나고 주는 대로 받고 시키는 대로 하는
수동적 연명이 시작되는 것 같은 걱정이 앞섭니다.
아닐 겁니다. 그래도 사회사업가가 일하는 곳이라면
끝까지 어르신의 삶을 거들 겁니다.
어르신의 사회적 관계를 생각하여
김 씨 어르신과 가깝게 지냈던 분과 생신 잔치를 진행하려 한
그 마음이참으로 고맙습니다.
김정연 선생님, 고맙습니다.
'김 씨 할머니와 단비 엄마'를 읽은 뒤,
댓글로 '읽었습니다' 하고 남겨주세요.
소감이나 질문을 써도 좋습니다.
첫댓글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동네의 이야기를 이웃들과 함께 풀어가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작은 인연들이 모여 더 큰 인연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 동네의 힘으로!! 동네 이웃의 어려움을 지원하고자 함께 고민하고, 논의하신 모습이 계속 기억에 남습니다.
작은 만남을 지속하며 인연과 관계가 쌓인다면, 우연치 않게 더 크게 피어날 수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접하게 될 작은 만남들이 기대가 됩니다.
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김정연 선생님의 글을 보며 참 이쁘게 마음들을 잘 전하신다 생각이 듭니다.
중국집 사장님께 여쭙고 어르신과 이야기하고 그냥 복지관에 복귀하지 않고 다시 생각을 전하고 상의하는 그 과정, 거처를 옮기시기 전에 나들이로 사시던 동네를 즐겨보도록 도운 일, 생일을 구실로 이웃들과 만날 수 있도록 거들고 함께 했던 일들이 지역에서 함께 하도록 힘껏 도왔던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멋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바쁘게 하루를 살아가다 보면, 사회에서 어르신들의 존재를 잊을 때가 있어요.
어르신들은 어떤 마음으로 하루를 살아가실지.. 걱정되기도 하고
또 그래도 살아가심에 존경스럽기도 합니다.
김씨 할머니 이야기를 읽으며 어르신들이 더 살맛나는 삶을 살아가실 수 있는 사회가 되면 좋겠다 생각했습니다.
노인복지론 시간에 배우는 것과 동떨어진 현실 말고.. 김정연 선생님이 돕는 이야기처럼
어르신들이 기뻐하시는 이야기가 더 많아지면 좋겠어요.
고맙습니다.
다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