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순위 |
重要 史實 (年代) |
選定 理由 |
1 |
후삼국 통일(936) |
궁예를 몰아낸 뒤 추대 형식을 빌려 왕위에 오른 왕건이 고구려 계승을 내세워 국호를 고려라 하였다. 그 후 왕건은 대내외 안정을 이룬 뒤 그 힘을 바탕으로 936년에 후삼국을 통일 하였다. 그 후 왕건은 발해가 멸망 하였을 때, 고구려계 유민을 비롯한 많은 이들을 포용하고 우대하였다. 이것은 우리 민족의 완전한 통합을 이룩한 신라의 통일보다 더 발전적인 민족의 통합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2 |
광종의 개혁정치(960년경) |
광종이 즉위 했을 때는,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호족세력을 통합하기 위해 취했던 혼인 정책 때문에 왕권이 불안하고, 호족의 세력이 강대했다. 이런 상황에서 광종은 공신이나 호족의 경제적 군사적 기반을 약화시키고, 과거제도를 시행해 신구 세력의 교체를 도모 하였다. 이로 인해 고려는 이후의 성종 때 이르러 통치체제를 이룩할 수 있었다. 광종의 개혁은 이 후 고려의 문화적 정치적 안정의 기반이 되었다. |
3 |
무신정변(1170) |
묘청의 난 이후 문벌 귀족 지배 체제의 모순은 더욱 깊어졌다. 지배층은 이와 같은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채 정치적 분열을 거듭하였다. 의종 역시 측근 세력을 키우면서 이들에 의존하고 향락에 빠지는 등 실정을 거듭하였고, 문신 우대와 무신 차별에 따른 무신들의 불만이 커졌다. 여기에 군인전을 제대로 지급 받지 못한 하급 군인들의 불만도 고조 되고 있었다. 이러한 지배 체제의 모순이 정치적으로 폭발한 것이 무신 정변이다. |
4 |
묘청의 난(1135) |
이자겸의 난 이후 김부식을 중심으로 하는 보수 세력과, 묘청을 중심으로 하는 개혁 세력 간의 대립이 벌어졌다. 묘청 세력은 정권 장악이 어렵게 되자 서경에서 대위국이란 나라를 세우고 난을 일으켰으나 1년 만에 진압 되었다. 묘청의 난은 단순한 난이 아니라 진취 사상 대 보수 사상의 싸움이다. 신채호 선생은 이 싸움에서 묘청이 졌기 때문에 조선사가 진취적이고 독립적이지 못했다고 했다. 그렇기 때문에 묘청의 난의 거시적으로 봤을 때 고려시대의 최고의 사건이 되는 것이다. |
5 |
삼별초 항쟁(1219) |
13세기 초 몽고족이 통일된 국가를 형성하면서 중국을 점령하였다. 이로 인해 거란이 쫓겨서 고려를 침입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몽고와 접촉하게 된다. 그 후 몽고 사신 피살 사건으로 몽고와 고려는 대립하게 되고, 최우 정권의 강경책으로 몽고의 침입을 받게 되고, 끈질기게 저항 했지만, 결국 굴복하고 만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무능한 지배층을 대신해 민중들의 단결력을 통해 몽고의 침입에 대항 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6 |
팔만대장경 완성(1251) |
국보 제 32호로 지정된 팔만대장경은 초조대장경과 속장경이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된 뒤 1236년(고종 23) 당시의 수도였던 강화에서 시작하여 1251년 9월에 완성되었다. 팔만대장경은 몽고 침입기에 국민의 힘을 모으기 위해 조판되었고, 지금까지도 국보 제32호로서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문화재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
7 |
위화도 회군(1388) |
1388년 5월 요동정벌에 나선 우군도통사 이성계가 압록강 하류 위화도에서 군사를 회군한 사건. 이를 계기로 이성계는 정치적·군사적 권력을 한손에 잡아 조선창업의 기반을 구축하게 되었다. |
다음 발표자 : 유주민
다음 발표 주제 : 붕당정치는 어떻게 변질되었는가?
정아선배,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댓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ㅠㅠ 조아라 학우의 발표 잘 들었습니다. 무신의 반란이라 하면 문신들에 대한 불만에서 일으켰다는 점이 우선 떠오릅니다. 문신과 무신은 위상 면에서 큰 차이가 있었지요. 무신을 업신여기는 문신의 모습, 그리고 무신이 정권을 잡은 후 문신의 태도와 다를 바 없는 무신의 모습을 보면서 생각나는 것이 있습니다. 감투 하나 쓴다는 것이 결코 만만하지 않다는 것이죠. 권력이란 누구나 꿈꿔보는 강한 힘이겠습니다만 사실 그에 따라오는 책임과 의무, 무엇보다 필요한 능력이 크지요.
문신은 지배자로서, 상층으로서 가진 권력만큼 그들이 해야 할 일을 올바르게 하지 않았고, 이것이 결국 무신들이 반란을 일으키게 했지요. 또한 무신은 문신에 대한 불만으로 정권을 장악한 것이었다 한들 그들에게 한 나라를 이끌어갈 만한 능력이 있었는지 의문입니다. 이후 자신들만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문신들을 등용하기도 하지요. 문신과 무신사이의 관계, 무신정권의 등장과 이후 모습까지 보면서 책임감의 중요성을 느꼈습니다.
민족과 역사좀 알아조의 무신들은 왜 반란을 일으키게 되었는가에 대해 발표하였는데요. 문신과 무신은 큰 차이가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문신들은 지배자로서 권력을 가졌다 하여 해야 할 일들을 올바르게 하지 않아 무신들이 반란을 일으키게 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무신들은 문신에 대한 불만으로 정권을 잡기도 하였습니다. 문신과 무신 사이의 관계가 중요했더라면 이런 일은 없었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여기서 우리는 책임과 의무의 중요성을 알 수 있겠습니다. 하는 일에 대해 책임과 의무를 다해 열심히 한다면 이러한 갈등은 없을 것입니다.
* 박리아 : 1) 문신과 무신사이의 관계가 -> 문신과 무신 사이의 관계가 2) 이런 일은 없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 이런 일은 없었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3) 여기서 우리는 책임과 의무를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 여기서 우리는 책임과 의무를 중요성을 알 수 있겠습니다. 4) 갈등은 없을것입니다. -> 갈등은 없을 것입니다.
수정하였습니다.
고려 왕조 시대에 무신들은 문신에게 형편없는 대우와 함께 많은 차별을 받았다. 나이든 무신이 젊은 문신에게 뺨을 맞는 수모까지 당했다. 마침내 참다못한 무신들이 난을 일으켜 많은 문신들이 죽임을 당했다. 하지만 학우께서는 무신 반란의 원인이 차별적 대우에서 나왔다는 점과, 결과적으로도 신분의 장벽이 다소 완화되었다는 점에서 무신정변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셨습니다. 그리고 무신들의 반란을 기존의 생각과는 다른 새로운 측면에서 발표해 주셨습니다.
* 김수환 : 1) 고등학교 때 역사책을 읽었던 기억으로는, 고려왕조 무식한 무신은 문신에게 많은 차별과, 형편없는 대우를 받았었고, 심지어 한 무신은 문신에게 뺨을 맞는 등 갖가지 수모를 당했었다. ->> 고려 왕조 시대에 무신들은 문신에게 형편없는 대우와 함께 많은 차별을 받았다. 나이든 무신이 젊은 문신에게 뺨을 맞는 수모까지 당했다. 2) 그러다 참지 못 한 무신들은 반란을 일으켰고 -> 마침내 참다못한 무신들이 난을 일으켜 * '못하다'의 용법을 [바르고 고운 우리말 우리글]에 정리하세요. 3) 무신 반란의 원인으로 차별적 대우에서 나왔다는 점과, ->> 무신 반란의 원인이 차별적 대우에서 나왔다는 점과,
* 김수환 : 4) 긍정적 평가하셨습니다. ->> * 非文입니다.
정리하였습니다.
* 김수환 : 6) 받았다. ->> 받았습니다. 7) 당했다. ->> 당했습니다.
나아가 공동 삶의 원리로 편견을 깨는 시각도 함께 제시해 주셨는데요, 매우 인상 깊었습니다. 발표를 들으면서 주체적 사고를 가지고 어떠한 학문을 접하든, 좀 더 넓은 의미를 추구하고, 다양한 각도로 접근하는 자세를 가져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김수환 : 5) 그리고 -> 나아가
수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