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주론은 지인의 추천으로 다시 읽은 책이다. 하지만 이 책만큼 읽을 때마다 새로움을 느끼게 하는 책도 드물다. 마키아벨리의 의견은 단지 정치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대부분의 분야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느낀다. 스스로 군주가 되는 자는 되기는 어렵지만 지키는 것은 용이하며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는 내용은 사업이나 능력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무릇 상속받은 기업은 지키키 어렵고 천부적인 능력만을 과신하는 자는 실패하기 쉽다.
카르타고가 그러했듯이 로마도 용병으로 망했다. 타인의 명령을 받는 지원군보다는 좋지만 돈때문에 복무하는 용병은 스스로를 위한 자국군과는 비교할 수 없다. 조선말 왕조는 자국군을 무시하고 용병도 아닌 지원군에 의지했으니 친청파와 친러파 등은 그들이 지면서 같이 멸망했고 친일파는 볼모가 되어 자국군만으로의 패배보다 나쁜 최악의 결과를 가져오게된 것이다.
그는 공자처럼 나름 이상적인 군주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현실에서 그를 실현해보려 했지만 번번히 좌절하고 말았다. 그가 좋은 사상을 가지고 제자를 양성함으로서 그의 이상을 펼치려했다면 더 좋지않았을까 생각해본다.
https://www.gdlibrary.or.kr/intro/member/login.do
「군주론」의 이해를 위한 지도
「군주론」의 이해를 위한 당대의 이탈리아 역사 개관
헌정사 :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로렌초 데 메디치 전하께 올리는 글
제1장 _ 군주국의 종류와 그 획득 방법들
제2장 _ 세습 군주국
제3장 _ 복합 군주국
제4장 _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정복했던 다리우스 왕국은 왜 대왕이
죽은 후 그의 후계자들에게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제5장 _ 점령되기 이전에 자신들의 법에 따라서 살아온 도시나
군주국을 다스리는 방법
제6장 _ 자신의 무력과 역량에 의해서 얻게 된 신생 군주국
제7장 _ 타인의 무력과 호의로 얻게 된 신생 군주국
제8장 _ 사악한 방법을 사용하여 군주가 된 인물들
제9장 _ 시민형 군주국
제10장 _ 군주국의 국력은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는가
제11장 _ 교회형 군주국
제12장 _ 군대의 다양한 종류와 용병
제13장 _ 원군, 혼성군, 자국군
![]() | |||||||
| |||||||
![]() |
![]() |
|
![]() | <죽음은 어떻게 정치가 되는가>,<Comparative Political Theory without Borders : A Journey across Ideological Times and Spaces>,<탈서구중심주의는 가능한가 :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우리 학문의 이론적 대응> … 총 52종 (모두보기) |
![]() |
![]() | <생각하는 십대를 위한 고전 콘서트>,<공존의 정치>,<비타 악티바 세트 11-15 - 전5권> … 총 8종 (모두보기) |
![]() | 성신여자대학교 교양교육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훔볼트 대학에서 마키아벨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공화주의」, 「공존의 정치 : 마키아벨리 군주론의 새로운 이해」, 역서로는 「공화주의」(공역), 논문으로는 “국가와 공공선―마키아벨리의 stato론”, “국가와 공공선/공동선─절대선과 개별선 사이의 마키아벨리” 등이 있다. |
![]() |
|
총 : 4편 |
| 작성 유의사항 ![]() |
현재 0 / 280byte (한글 140자 이내) | ![]() |
![]() ![]() ![]()
| |||
![]() ![]() ![]()
| |||
![]() ![]() ![]()
| |||
![]() ![]() ![]()
| |||
총 : 12편 |
총 : 10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