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서 및 시간 | 내용 | 공연 | 준비 사항 및 기타 |
3:40-4:00 (20분) | 마을감사장터 영상 | - | 감사장터 영상 작업 여부 확인, 빔 프로젝터, 스크린, 스피커 |
4:00-4:15 (15분) | 사회자 첫 인사 및 최봉실 선생님 개장식 인사(?) | 사회자, (최봉실 선생님) | 마이크, 배경음악 |
4:15-4:20 (5분) | 눈물) 생명의 만남, 그 간절함으로 공연1 | 공연1 | 마이크, MR(?) |
4:20-4:25 (5분) | 눈물) 생명의 만남, 그 간절함으로 시낭송 | 시낭송 | 마이크, 배경음악 |
4:25-4:40 (15분) | 방명록 뽑아 인터뷰 | 사회자 |
|
4:40-4:45 (5분) | 신명) 함께 가는 길, 더 없이 신명나게 공연2 | 공연2 | 마이크, MR(?) |
4:45-4:50 (5분) | 한마디 같이 불러보기 | 사회자, 공연2 |
|
4:50-4:55 (5분) | 신명) 함께 가는 길, 더 없이 신명나게 공연3 | 공연3 | 마이크, ? |
4:55-5:00 (5분) | 신명) 함께 가는 길, 더 없이 신명나게 공연4 | 공연4 | 마이크, 피아노 |
5:00-5:05 (5분) | 신명) 함께 가는 길, 더 없이 신명나게 공연5 | 공연5 | 마이크, ? |
5:05-5:20 (15분) | 방명록 인터뷰 및 신명나는 무대 즉석 자원 | 사회자 |
|
5:20-5:25 (5분) |
|
|
|
5:25-5:30 (5분) | 울) 지금, 이곳에서 전개될 우리의 만남을 기리며 공연6 | 공연6 | 마이크, 악보대, 의자 |
5:30-5:40 (10분) | 울) 지금, 이곳에서 전개될 우리의 만남을 기리며 공연 7 | 공연7 | 마이크, 마이크스탠드, 의자, 악보대 |
5:40-5:45 (5분) | 참석하신 소감 및 앞으로의 만남의 기대 인터뷰 | 사회자 | 마이크 |
5:45-6:00 (15분) | - 사회자 마지막 멘트 및 모두 함께 합창 ‘사랑의 의무’ 단체 사진 찍고 마무리 | 문화사업 분과 선창 | 마이크, 피아노 반주 |
- 공연식까지 일정 계획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22 | 23 | 24 | 25 | 26 | 27 공연 기획 발표 및 일정관련 의견 공유 | 28 |
29 | 30 공연 조율 완료되는대로 섭외, 이후 일정 관련 의논 시작! | 31 | 11/1 | 2 | 3 공연 실무 준비 및 이후 일정 확정 | 4 |
5 | 6 | 7 | 8 | 9 | 10 공연 준비 및 최종 리허설 | 11 마을허브 공간 개장 공연 |
12 | 13 마을허브공간 개장식 | 14 | 15 | 16 | 17
| 18 |
2. 허브공간 개장식 이후 진행할 문화사업
(1) 분과원들이 제시하신 의견
⓵ 토종씨앗/모종 나눔 행사 : 마을에 텃밭 하시는 분들이 많으니 마을 농부&농사준비 분과와 협력해서 우리가 토종씨앗을 남기고 전하려는 이유와 가치를 소개하면서 정기적으로 <토종씨앗 나눔행사>를 진행
⓶ 정기적인 문화의 날 : 한두 달에 한 번 정도 공연이나 강연, 화장품 만들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 진행
- 일상의 생활용품을 함께 만들어보는 DIY 모임 / 마을 밴드나 오케스트라(조금 더 큰 공간 필요할 수도)
기타 강습이나 연주 모임 등, 컴퓨터 프로그램(한글, 엑셀, PPT) 강좌
⓷ 만남의 장 : 독서 모임 / 시를 쓰거나 그림 그리고, 엽서 만들어 허브공간에 게시하는 모임 / 인문학 강좌 / 교육에 대한 책 모임이나 양육에 대한 고민을 토로할 수 있는 모임
⓸ 캠페인 진행 : 우리가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알아야 하지만 잘 인지하지 않고 지내는 문제들, 예를 들면 먹거리중요성, 학교폭력, 정신대문제, 역사적으로 알아야하는 인물 같은 사회적 역사적 이슈들을 가지고 한두 달 기간을 정해서 캠페인 형식으로 엽서나 그림 ,글 ,음악 같은 문화적인 방법으로 허브공간에 전시
⓹ 개장 초반(우리 계획하는 5주 정도까지)에는 우선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우리 취지나 연구소, 경당 등을 소개하면서 관계를 잘 맺어가는 데 집중하기 위해 최대한 나눠 드릴 수 있고(물질적으로 정서적으로), 관심을 끌 수 있는 것들로 진행. 예를 들면, 공연 및 장터특별기획전(아주 저렴하고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것들 위주로 구성), 강연(말씀하신 컴퓨터 강좌, DIY, 화장품 만들기 등) 순으로.
⓺ 개장 초반에는 허브공간 통해 게시판 꾸미기나 캠페인 진행 등으로 오시는 분들을 만나가고, 12월 16일 토요일에 문화의 날 공연이나 장터(씨앗,모종 나눔)를 준비해 만나는 방법
첫댓글 개장식 공연 끝나고 가능하신 분들 함께 저녁 식사하는 것이 필요할까요 ? ? ~ 같이 먹어도 좋겠다는 생각도 드는데 그러면 식당 예약이 필요 할 것 같습니다. ^ ^
설계도랑 인터레어만 보고 사실 저는 공간감각이 딱 안오는데^^:: 무대 장소랑 음향이랑 본래 저희 설계도 대로 우측 안쪽에서 해야하겠지요~ ~ 데크나 밖에서 잘 보이게 공간안에서는 다 착석하면 좋을것 같고요. 초대장과 함께 현수막 제작에 대해서는 언론팀에서 함께 제작해 주실수 있을까요?? 업체 맡기고 하는건 저희 분과에서 민지가 함께 책임져 주신다고는 했는데요^^ ~ ~
구체적인 공연 계획안이 있는데 ~ 전체적인 흐름만 공유한겁니다.^ ^ 순서순서 맡으신분들은 2주정도 밖에 시간이 없으니 지금 부탁이나 안내를 드리면 좋을것 같아요 ~ ~ 저희안에서도 무르익은 공연들로 첫 개장식은 가져 가면 좋겠다 해서 전체 자원을 받지는 않았습니다. (자원하는 코너가 있기도하고요)
네 제생각에도 공연준비는 지금 부터 시작되면 좋겠어요!^^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아서...
13일에는 영업을 시작하는 것이고 별도 개장식은 없습니다~
넵 ~ ~
마을감사장터 영상이 혹 다 완성 되었는지??^.^, 피아노를 둘건 아니니 신디로 하는거겠죠. 공연, 사회자분을 추전해주심 좋을것 같아요!!!. ~
영상은 제작중입니다........
화이팅 !!!!!!!!!!!!
개장식 공연구성과 섭외는 다 이뤄진 건지요? 개별 공연 후 인터뷰는 따로 없나요? 공연마다 세팅이 달라지거나 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예상 시간이 너무 빡빡한 것 같아서요.
네 저도 인터뷰시간이나 막간 세팅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공연 확정이 아니라면 조금 줄여도 좋을 것 같습니다.
네, 저도 예상 시간이 너무 빡빡한 것 같아요. 그리고 공연이 좀 많지 않은가 싶기도 하고요. 시낭송도 공연의 일부일 수 있을 것 같고요.^^ 신명의 공연이 4개인데 1-2개 정도를 줄이면 어떨까요??
근데,, 또 아쉽기도 하겠죠?? ㅎㅎ
네 ~~ 공식적으로 섭외하고 그런것은 아니구요^ ^ 같이 논의하고 결정해야하니 ~~~ 공연 후 인터뷰 자연스레 들어가면 좋을것 같아서 공연시간등 고려해서 최종 확정 같이 해요 ~~~
배너와 초대장을 뽑아서 돌아다니는 건 조금 조심스러운 것 같아요~ 특히 아이들과 함께는요.. 어떤 분들을 만나게 될지 몰라서리...
한마디 같이 불러보기는 뭘까요?
경당 안내문과 가을겨울학기 안내문, 새들생명울배움터를 시작하며 안내문을 비치해 두면 좋을 것 같아요~
한마디 같이 불러보기는 앞선 공연2 에 대해 한 마디 배워서 불러보는 시간 갖는 거예요~
경당 안내문과 가을겨울학기 안내문, 시작하며 안내문 비치 준비할게요!!
승은 언니 처음 의견 주신 것처럼 개장식 후에 함께 식사하신 분들 하는 것 좋은 것 같아요! 식당은 많은 분들이 함께 가려면 왕재, 월수금 정도?? 다른 곳도 더 생각해 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