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PS 953 | PER 6.69 | 업종PER -10.15 | PBR 0.62 | 배당수익률 4.70%
![079960_주가변동차트](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stock.daum.net%2Fitem%2Fenterprise%2Fc1010001%2Fchartimg%2FWC10103_079960.png)
PER 을 보는 이유 : 주식 1주의 가격과 1주당 이익을 비교하는 데 사용하는 측도이다.
PER가 0 이거나 음수이면 이익금이 0 이거나 마이너스라는 뜻이 되고,
10 이하이면 매우 건실한 회사에 속하며 30 이상이면 구매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PER가 낮아도 부실한 기업인 경우 PER 가 높더라도 우량한 대기업이 더 매력적인 구매력을 갖고 안정성이 높다.
즉 PER에는 안정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자에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다.
단, PER 가 투자에 중요한 수치로 작용할 만큼 믿을 만한 신뢰를 가졌다고 보는 경우는
대략적으로 5년 이상 된 코스닥기업과 10년 이상 된 코스피 주식의 경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ER 를 맹신하여 투자에서 많은 손해를 보는 개인투자자가 많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PBR 을 보는 이유 :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비율이다.
즉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PBR이 2라는 의미는 회사가 망했을때 10원을 받을 수 있는 주식이 20원에 거래된다는 의미다.
즉, PBR이 1 미만이면 주가가 장부상 순자산가치(청산가치)에도 못미친다는 뜻이다.
<기업개요>동양이엔피는 전기전자부품 업종의 제조업체이다. 1987년도에 설립되었고,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다.
수년 동안 주당순이익이 감소하다 증가세로 전환하고 있는 기업으로써, 매출액으로 359위(1725개), 시가총액은 785위(1748개)에 오르고 있다.
동양이엔피의 최근분기 까지 실적을 보면 187,621백만원의 매출액을 거두고 있으며, 최근 분기에만 69,958백만원을 달성하여 전년 동기와 비교해 39.6%의 확대를 이룩하고 있다.
전년도와 비교해서 13.7%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데, 최근 분기만 놓고 보면 전년 동기에 비해 8.1% 증가하고 있으며, 9월까지의 순이익은 10,368백만원이다.
이에 따라 주당순이익은 지난 4분기 동안 1,698원을 달성했는데, 최근 분기의 주당순이익 증가율은 전년도와 비교해 8.1%증가하고 있고, 제조업 평균 증가율보다 20.4%앞서고 있다.
주가는 세 달전에 비해 41.9% 상승하고 있다.
내수 및 수출구성
(%)매출유형 | 제품명 | 2006/12 | 2007/12 | 2008/12 |
---|
내수 | 수출 | 내수 | 수출 | 내수 | 수출 |
---|
제품 | 프린터복사기네트워크장비용SMPS | 20.00 | 80.00 | 18.00 | 82.00 | 16.03 | 83.97 |
제품 | PDP-TV SET-TOP 박스 | 10.00 | 90.00 | 8.00 | 92.00 | 6.48 | 93.52 |
제품 | 충전기 | 7.00 | 93.00 | 6.00 | 94.00 | 3.00 | 97.00 |
![079960_주요제품 매출구성 chart](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stock.daum.net%2Fitem%2Fenterprise%2Fc1020001%2Fchartimg%2FWC10201_079960.pn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stock.daum.net%2Fitem%2Fenterprise%2Fc1020001%2Fchartimg%2FWC10202_079960.png)
" style="WIDTH: 330px; HEIGHT: 198px" alt="079960_주요제품 시장점유율 chart"/>
수출항목을 볼때의 참고 및 주의사항 : 기업의 주력 판매처가 해외 수출인가 내수인가를 확인할때에 가장 중요한 잣대는 환율이다.
노무현 정권때에는 지속적인 환가치 상승으로 내수품목이 성장하였으나, 이명박 정부는 임기초부터 1200원대를 고집하면서
임기가 끝날때까지 1100원 ~ 1500원의 밴드를 형성 할것으로 보여 수출품목의 성장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079960_손익계산서 주요재무 항목 chart](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stock.daum.net%2Fitem%2Fenterprise%2Fc1030001%2Fchartimg%2FWC1030111_079960.png)
![079960_손익계산서 수익성지표 chart](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stock.daum.net%2Fitem%2Fenterprise%2Fc1030001%2Fchartimg%2FWC1030121_079960.png)
![079960_대차대조표 주요재무 항목 chart](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stock.daum.net%2Fitem%2Fenterprise%2Fc1030001%2Fchartimg%2FWC1030211_079960.png)
![079960_대차대조표 안정성지표 chart](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stock.daum.net%2Fitem%2Fenterprise%2Fc1030001%2Fchartimg%2FWC1030221_079960.png)
![079960_현금흐름표 주가현금흐름 chart](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stock.daum.net%2Fitem%2Fenterprise%2Fc1030001%2Fchartimg%2FWC1030311_079960.png)
![079960_현금흐름표 현금흐름지표 chart](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stock.daum.net%2Fitem%2Fenterprise%2Fc1030001%2Fchartimg%2FWC1030321_079960.png)
지분변동 추이
![079960_지분변동 추이 chart](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stock.daum.net%2Fitem%2Fenterprise%2Fc1060001%2Fchartimg%2FWC106011_079960.png)
6,440">
주주 변동내역 요약(최근 20개)
실거래일 | 주주명 | 주주구분 | 변동후 보유지분율(%) | 변동후 보유주식수 | 거래단가 | 변동사유 |
---|
09/03/25 | Sanlam Global Funds .. | 기타주주 | 4.71 | 370,000 | 5,027 | 장내매도(-) |
09/03/24 | Sanlam Global Funds .. | 5%이상주주 | 6.10 | 479,400 | 4,921 | 장내매도(-) |
09/03/23 | Sanlam Global Funds .. | 5%이상주주 | 6.55 | 515,000 | 4,830 | 장내매도(-) |
09/03/20 | Sanlam Global Funds .. | 5%이상주주 | 7.01 | 551,000 | 4,890 | 장내매도(-) |
09/03/13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74 | 372,510 | 4,800 | 장내매수(+) |
09/03/13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72 | 370,679 | 4,795 | 장내매수(+) |
09/03/13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70 | 369,810 | 4,790 | 장내매수(+) |
09/03/13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68 | 367,530 | 4,785 | 장내매수(+) |
09/03/13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67 | 367,140 | 4,780 | 장내매수(+) |
09/03/13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64 | 364,647 | 4,775 | 장내매수(+) |
09/03/13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64 | 364,480 | 4,770 | 장내매수(+) |
09/03/13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62 | 362,780 | 4,765 | 장내매수(+) |
09/03/13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61 | 362,610 | 4,760 | 장내매수(+) |
09/03/13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58 | 359,640 | 4,750 | 장내매수(+) |
09/03/12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50 | 353,424 | 4,730 | 장내매수(+) |
09/03/12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50 | 353,400 | 4,725 | 장내매수(+) |
09/03/12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49 | 352,900 | 4,720 | 장내매수(+) |
09/03/12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47 | 351,045 | 4,715 | 장내매수(+) |
09/03/12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46 | 350,510 | 4,710 | 장내매수(+) |
09/03/12 | 오리엔텍 | 최대주주 | 4.45 | 350,010 | 4,700 |
대주주의 지분에 따른 해석 : 개인적인 잣대를 말한다면 대주주가 사면 저점, 대주주가 팔면 고점이다.
대주주의 매수기간이 상당기간 지속되더라도 매도는 일순간 진행하며 그리고, 대주주는 지분을 100% 청산하는 경우는 드물다.
100%청산의 경우는 경영자가 기업의 성장에 대한 자신감이 없거나 자금압박 및 외부의 압박등으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이 경우 눈에 띌만큼의 뛰어난 새 경영자가 아니고서는 기업환경 개선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첫댓글 이 분석표를 보면 <기업개요>에서 "수년 동안 주당순이익이 감소하다 증가세로 전환하고 있는 기업으로써"라는 말이 있습니다. 동사의 수출비중을 보면 80%가 수출입니다. 당연히 환율이 상승했으니 이익이 증가할 수 밖에 없겠죠? 간단한 논리입니다. 그럼 이같은 상승세는 언제까지 갈수 있을것이가를 생각해봤을때에 정부가 환율정책을 어떻게 관리할것인가를 생각해보아야 겠습니다.
PHP로 자동수집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놓으니 욜라 편하네요. ㅋㅋㅋ;; 4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한번에 취합해버리니 보기도 편하고 .. ㅋㅋ;;
잘 보고갑니다.^^
2008년 순이익에는 달러 KIKO에 대한 평가손을 미반영했다는 점과 그에 따라 회계법인이 감사의견을 '한정'으로 냈다는 점에 대해서, 그리고 정작 중요한 2008년 매출액과 영업이익 증가의 이유와, 향후에도 지속 가능한지에 대한 분석이 전혀 없군요. 투자판단을 전혀 할 수 없는 보고서입니다.
오늘 팔았습니다. 단기간에 좀 벌었습니다.
이 글은 보고서가 아닙니다. 그냥 게시판 내용을 추출한 것입니다.
이 회사 KIKO 고민하다가 매수시점이 한템포 늦었다는...^^;;
이 회사는 현재의 시가총액으로 단순 eps, pbr, per로 분석하면 그다지 매력적이다라 는 느낌을 받기 힘듭니다...(각각의 지표만 놓고 보면 더 괜찮은 종목이 많기 때문이져). 동양이엔피의 강점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21% 정도 성장을 해왔으며 그 기반이 되는 것은 가정용/산업용 제품의 사양이나 패러다임이 변경될 때마다 매출액 증가가 컸습니다...(메이저들은 매출증대를 위해서 항상 기능을 업데이트나 바꿀려고 노력하져...이는 지속적인 매출향상에 원동력이 되겠져)
올해도 현재까지 LCD-TV 판매증가로 인하여 매출증가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여...이는 매출 3,000억이라는 부품회사로서는 꽤 괜찮은 규모를 달성하고 있다고 보이네여...따라서 적어도 전년 영업익 160억 이상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주요 경쟁회사라고 불리는 업체(삼성전기등)들이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것을 봐서는 신규업체가 들어오기는 힘든 상황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시장재편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이는 삼성전자등의 업체와의 교섭력에도 영향이 될 듯 합니다...하여튼 현재 시가총액 550억은 매출규모, 영업익과 회사의 위치로 봤을때는 꽤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이 회사 가격이 싼 이유는 파생상품 때문인데...유로화와 달러화 두개가 있는 데...계약만료가 꽤나 깁니다...유로(10년 9월), 달러 (11년 1월)...이중 유로 KIKO는 100억이 평가손으로 잡혔으며 달러 KIKO는 220억정도 인데 현재 소송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이 소송결과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평가손이 잡힐 가능성이 있습니다...현재 이 회사 투자시 Risk요인 중 가장 큰 것으로 보이고여..
하이브리드 등 신규사업부문은 아직 시기적으로 괴리가 있어 제외한다고 하고여...위의 정황을 봐서 현재의 시가총액 550억을 어떻게 판단하느냐가 투자포인트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