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의 청정한 의식 - '도량석(道場釋)'
도량(道場)은 모든 불보살이 성도(成道)를 얻은 곳, 또는 성도하려고 수행하는 곳을 말한다. '도량석(道場釋)은 새벽녘에 게송을 외우고 목탁을 치며 사찰 도량을 도는 의식을 말한다. 도량을 청정하게 하고 정화한다는 의미와 함께 모든 생명을 어둠과 잠에서 깨우고 도량의 수행자도 깨우고 경책하기 위한 뜻도 들어있다.
옛부터 ‘하늘은 자시(밤11시~1시)에 열리고, 땅은 축시(1시~3시)에 어둠에서 풀리며, 사람은 인시(3시~5시)에 잠에서 깨어난다’는 말이 전해오는 것에 연유해서, 산사에서 도량석은 새벽 3시에 시작한다.
도량석의 의식은 목탁을 치면서 신묘장구대다라니, 사방찬(四方讚), 도량찬(道場讚), 참회게(懺悔偈) 등을 염송한다. 또 《금강경(金剛經)》 등이나 짧고 훌륭한 조사(祖師)들의 게송(偈頌)을 염송하기도 하고,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등을 염불 하기도 한다.
도량석에는 처음 요령이 사용되었지만, 선종의 영향으로 목탁을 사용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선종사찰에서 수행의 지침으로 삼았던 《백장청규》에 보면, ‘물고기는 밤낮으로 눈을 감지 않는다’면서 ‘수행자로 하여금 잠을 자지 않고 도를 닦게 하기 위해 목어를 만들었다’고 한다. 목어를 두드려 수행자의 잠을 쫓고 혼미한 정신상태를 경책한다는 의미이다.
도량석 목탁소리는 고요한 상태에서 작은 소리로 시작해 점점 커졌다가 마칠 때에는 큰 소리에서 점점 작아져 마침내 본래의 고요 속에 묻히고 만다. 여기에서 작은 소리는 어둠과 고요한 본체를 상징하고, 큰 소리는 밝음과 힘찬 움직임을 상징한다.
[출처] 새벽의 청정한 의식 - '도량석(道場釋)'|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