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발
[Alenia C-27J Spartan 은 미국 제식명 C-27A인 알레니아 G.222를 기반으로 알레니아 및 미국의 록히드 마틴이 공동개발한, C-130J에 채택된 글라스 칵핏, 롤스로이스 AE2100 터보프롭 엔진 및 다우티(Dowty)의 6엽식 프로펠러를 장착한 강화판으로 1995년부터 개발이 추진되었다. 그 결과 전작보다 항속거리가 35%, 순항속도가 15% 향상되었다]
[JCA의 구매규모는 육군-공군 합계 100대 규모로 기존의 C-12 휴런[1], C-23 셰르파[2], C-26 메트로라이너[3]를 대체할 예정이었다. 그래서 수송기 업계에서는 놓칠 수 없는 호기였고, GMAS, 록히드 마틴에 이어 레이시온과 EADS 북미법인이 연대하여 C-295를 제시하기까지 하였다. 2007년 3월, 결국 GMAS 컨소시엄이 최종승자로 결정되어 78대 구매를 위한 20억 4천만 달러 규모의 계약이 체결되었다. 공동개발자였지만 도중에 컨소시엄을 깨고 나간 록히드 마틴의 몫은 당연히 없다.]
2 보급 현황과 전망
[C-27J 스파르탄은 최대항공기 수요국가인 미공군과 미육군에 도입됨과 동시에 제조국가인 이탈리아와 이어 불가리아. 리투아니아, 그리스등 7개국가에 30여대넘는 기체가 주문되어 수령되었거나 제작중에 있으며 최근 호주나 인도등 많은국가에서 관심을 보이는 최신기체중 하나이다]
[미군은 미공군과 미육군등에 현재 6대를 운용중에 있으며 미국은 육군이 75대, 공군 특수전사령부와 주방위공군(ANG)이 38대를 도입 예정중이며 그 중 육군이 2대, 공군이 4대를 운용하고 있다.]
[불가리아는 2011년 3월에는 불가리아 공군이 3대의 기체를 모두 인도받았다. 원래는 5대를 구매하기로 했는데 3대로 구매규모를 축소한 것이라고 한다.]
3 운용국가
이탈리아 | 12대 |
그리스 | 8대 |
미국 | 6대 |
리투아니아 | 3대 |
모로코 | 3대 |
불가리아 | 3대 |
루마니아 | 2대 |
그리스 공군은 12대를 구매하기로 하였고 그 중 8대를 인도받아 운용중이다.
미국은 육군이 75대, 공군 특수전사령부와 주방위공군(ANG)이 38대를 도입 예정중이며 그 중 육군이 2대, 공군이 4대를 운용하고 있다.
루마니아는 7대를 도입할 예정이며 그 중 2대를 운용중이다.
모로코는 4대 구매 계약을 체결하여 3대를 인수받았다.
4 AC-27J 건쉽 계획안
[원래 미공군은 노후화가 현저해지는 AC-130을 대체하기 위해 미 공군 특수전사령부(Special Operations Command)의 요구로 추진된 고정익기 건쉽 개념안이다. 미 공군은 AC-27J 도입을 위해 2008년도 예산 중 3,200만 달러를 배정해서 16대를 도입하고, 2011회계연도에 초기 생산분을, 그리고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2대씩 도입하기로 계획했다. 하지만 예산이 깍이는 바람에 무도 백지화 사진은 C-27K를 바탕으로 건쉽을 만들었을때의 에상 CG의 모습이다.AC-27J Stinger II 라 부르기로 에정되어 있었다]
[결국 AC-27J Stinger II 는 예산문제로 취소되었고 당분간은 C-130을 이용한 건쉽과 기존 건쉽을 개량하는 수준에서 유지될것이라고 한다]
5 제원
길이 | 22.70m |
날개폭 | 28.70m |
높이 | 9.64m |
승무원 | 최소 2명, 필요시 하역담당 1명 추가탑승 |
자중 | 17.00톤 |
적재량 | 11.50톤 |
이륙최대중량 | 30.50톤 |
엔진 | 롤스로이스 AE2100-D2A(4,640마력) 2기 |
프로펠러 | 6엽식 지름 4.15m |
최고속도 | 602km/h |
순항속도 | 583km/h |
항속거리 | 10톤 적재시 1,852km, 6톤 적재시 4,260km, 공중량 5,926km |
최대고도 | 9,144m |
[2] 영국 쇼츠의 박스형 수송기 셰르파의 미군 제식명.
[3] 페어차일드의 터보프롭 비즈니스기의 미군 제식명.
출처 엔하키미러 싸이트 http://mirror.enha.kr/wiki/C-27J
첫댓글 이탈리아도 이런 수송기를 만드는데 우린 언제
이런 것을 만들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