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형 모두 EBS 교재 연계 두드러져
EBS 연계 확대로 수능 난도 낮아질 듯
| 난도 |
A형
지난 해 수능(1등급 97)과 비슷하거나 조금 쉽게 출제됐고, 지난해 6월 모의평가(1등급 97점)와 비교해서도 유사한 경향으로 출제됐다. 이과 국어A형은 전년도 수능(만점자 1.37%) 수준이었다.
B형
지난 해 수능(1등급 91점)에 비해 상당히 쉽게 출제됐다. 지난해 6월 모의평가(1등급 94점)보다도 난도가 낮았다. 문과 국어B형은 전년 수능(만점자 0.09%로 최근 5년간 가장 어렵게 출제된 영역임)에 비해 매우 쉽게 출제됐다. EBS 지문활용이 매우 높아졌다. 비문학도 내용 자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었을 정도로 평이하게 출제됐다.
| 출제 경향 및 특징 |
지난해 6월 모의평가는 이전 시험에 비해 지문 구성상 변화가 주목되는 시험이었다. 오늘 치러진 모의평가의 경우 A형에서 이전과 달리 현대시 영역의 작품 구성을 한 작품에서 ‘두 작품’으로 한 것이 구성상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지난해 6월과 마찬가지로 A형과 B형 모두 <독서 영역> 4개 지문과 <문학영역> 4개 지문, 총 8개의 지문을 제시했다.
<화법, 작문, 문법 영역>은 각 영역에서 1-2문항씩 A형과 B형에서 공통으로 출제됐다. 특징이라면 A형 작문에서 빈칸을 채우는 방식으로 글을 수정하는 문항이 출제됐다는 점과 8-10번 문항이 세 문항으로 묶여서 출제됐다는 점, B형 화법에서 빈칸 채우기 문제, 그리고 토론의 평가표를 작성하는 문제가 출제됐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러나 난도는 높지 않았다.
<독서 영역>에서는 사회 영역을 A형과 B형의 공통으로 출제하고, 다른 영역은 모두 EBS 교재에서 주제와 개념을 뽑아 재구성한 지문으로 제시했다. 예술 지문을 A형과 B형 모두에서 배제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문학 영역>에서는 현대시와 희곡 영역이 A형과 B형에서 공통으로 출제된 것이 눈에 띈다. 지난해 평가원 시험에서는 수필과 희곡을 출제하지 않았던 것에 비하면 다소 주목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나머지 고전시가와 고전소설은 EBS 교재에서 작품을 뽑아 출제했다.
A형
◇화법
대화, 수업발표를 제재로 해 전반적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 4번은 소재의 기능에 대한 메모를 제시한 후 듣기 태도를 묻는 문제로, 참신한 신유형이다.
◇작문
봉사활동 소감문 초고, 협동작문 과제를 제재로 해 전반적으로 평이하게 출제했다.
◇문법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한 수험생은 쉽게 풀 수 있는 문제들이 출제됐다. 음운변동, 사전정보, 단어의 의미, 문장 수정, 담화상황을 고르게 다루었다. 12번 문항이 다소 변별력이 있는 문항이다.
◇독서
작년 수능과 달리 예술독서 제재가 빠지고, 인문독서 제재가 출제됐다.
-기술독서 : 지문은 지문 인식 시스템을 다룬 것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
-과학독서 : 지문은 원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
-인문독서 : 도덕 실재론과 정서주의를 비교 분석한 것으로, 25번은 지문에서 제시한 두 개의 관점을 적용해 사례를 분석하는 문항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사회독서 : 불법행위에 대한 세 가지 금전적 제재 수단의 특성에 대한 것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
◇문학
-고전시가 : 남구만, 위백규의 시조와 정학유의 농가월령가를 묶어 출제했는데, 평이하게 출제됐다.
-현대소설 : 김유정의 ‘봄봄’이 출제됐는데, 평이하게 출제됐다.
-고전소설 : 홍계월전이 출제됐는데, 40번은 여성영웅 소설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는 문항이라는 점이 인상적이다.
-현대시 : 고은의 ‘성묘’와 서정주의 ‘외할머니의 뒤안 툇마루’가 출제됐는데, 42번이 제목의 상징적 의미를 바탕으로 시적 공간의 의미를 분석하는 문항이라는 점에서 특이하다.
-극 : 이강백의 ‘결혼’이 출제됐는데, 45번이 실험극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문항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
B형
◇화법
토론과 대화를 제재로 활용했고, 전체적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
◇작문
신문 기고를 위한 글쓰기 과정과 봉사활동 소감문 초고를 다룬 문항들이 출제됐다. 7번 문항은 문항의 정보량이 많아서 문제 해결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며, 신유형 문항이다.
◇문법
표준발음법, 맞춤법, 사전 활용하기, 문장 수정하기, 담화 상황, 중세국어 ㅎ종성체언을 다룬 문항들이 출제됐다. 문법의 기본 개념을 충실히 익힌 수험생은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11번은 <보기>에 제시된 조건을 정확하게 답지에 적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난도가 다소 높았다.
◇독서
예술독서 제재가 빠지고, 사회독서 제재 두 개가 출제된 점이 특이하다.
-인문독서 : 장자의 물아일체의 진정한 의미를 다룬 지문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 20번은 수험생들이 어려워하는, 고유어와 한자어 바꾸어 쓰기를 다룬 문항으로, 변별력이 있는 문항이다.
-사회독서(1) : 현대의 개체화 현상을 다룬 지문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
-과학독서 : 암흑물질의 존재를 다룬 지문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
-사회독서(2) : 불법행위에 대한 세 가지 금전적 제재 수단의 특성에 대한 것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
◇문학
-고전시가 : 사설시조 두 편과 민요 정선아리랑이 출제됐는데, 평이하다.
-현대소설 : 최일남의 ‘흐르는 북’이 출제됐는데, 35번이 구절에 대한 이해 문항이 다소 변별력이 높았을 것으로 보인다.
-고전소설 : 작자 미상의 ‘전우치전’이 출제됐는데, 평이한 수준이다.
-현대시 : 고은의 ‘성묘’와 서정주의 ‘외할머니의 뒤안 툇마루’가 출제됐는데, 42번이 제목의 상징적 의미를 바탕으로 시적 공간의 의미를 분석하는 문항이라는 점에서 특이하다.
-극 : 이강백의 ‘결혼’이 출제됐는데, 45번이 실험극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문항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
| EBS 연계 |
<독서 영역>에서는 ‘사회’ 영역이 A형과 B형 공통으로 출제됐는데 범위는 EBS 교재 밖이었다. 나머지 지문들은 모두 EBS에서 주제와 개념을 뽑아 재구성한 지문으로 구성됐다.
<문학 영역>에서는 A형과 B형 공통으로 현대시 영역(고은 <성묘>+서정주 <외할머니의 뒤안 툇마루>)과 희곡 영역(이강백 <결혼>)이 출제됐는데 A형 현대시가 두 작품으로 구성된 후 공통으로 출제된 점, 그리고 희곡이 공통으로 출제된 점이 특징이다.
B형의 경우 현대시, 고전시가, 현대소설, 고전소설 모두 EBS와 연계해 출제했다는 점을 특징으로 삼을 수 있다. EBS 연계율을 높이려는 의도를 두드러지게 보여줬다. 현대시 한 작품(서정주, 외할머니의 뒤안 툇마루), 고전시가 한 작품(사설시조)이 EBS 밖에서 출제됐다.
A형의 경우도 문학 네 영역이 모두 EBS 교재에서 연계해 출제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B형과 마찬가지로 고전시가 한 작품(사설시조)과 현대시 한 작품(서정주 외할머니의 뒤안 툇마루)이 EBS 밖에서 출제됐다.
지난해에는 A형과 B형 모두 EBS를 벗어난 작품을 다수 출제했다는 점에 비춰볼 때 정책상 변화가 감지된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땅콩회항 사건과 관련된 내용인 징벌적 손해배상 문제가 지문 소재로 활용됐다는 점도 눈에 띈다.(국어A, B형 공통 문제로 출제)
입시전문가들은 이번 모의평가 1교시 국어영역에 대해 ''A형은 지난해 수능과 비슷했고 B형은 다소 쉬웠다"는 의견을 내놨다.
진학사 김희동 입시전략연구소장은 “국어 A형은 작년 수능과 비슷하거나 쉬운 수준으로, B형은 작년 수능에 비해 쉽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할 점은 EBS 교재와의 연계율이 지난해 6월 모의고사와 수능 시험에서 상당히 낮아졌으나, 이번 시험에서는 8개의 제시문 중 사회 영역 지문을 제외하고, 7개 지문 모두를 EBS 교재에서 직접적으로 출제함으로써 EBS 교재와의 연계 체감도를 높였다는 것이 특징”이라며 “8개 제시문의 평이함을 고려할 때 쉬운 수능의 기조는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A형은 지난해 수능대비 비슷한 수준이었고, B형은 약간 쉬운 정도"였다며 "독서는 지난해 수능과 같이 A, B형 모두 4개 지문으로 출제됐으나 이번 모평에서는 A형, B형 모두 예술 지문이 출제되지 않은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EBS 연계 지문이라 하더라도 독서와 문학의 경우 새로운 자료를 활용해 난도를 높이거나 지문, 문제를 변형해 출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좀 더 깊이 있게 지문과 문제를 이해해 둘 필요가 있다"며 "화법, 작문, 문법의 경우 교과서에 제시된 주요 개념이나 원리, 학습 활동 내용 등을 중심으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승복 종로학원하늘교육 국어과 팀장은 “1등급 예상 커트라인은 A형 97, B형 98점이 예상되며 만점자 비율은 A형 1.5%, B형 2.0%이 점쳐진다”며 “국어B형은 전년에 비해 쉽게 출제될 것으로 보이며 과학지문 등의 소재 자체도 다소 쉽게 출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EBS 연계 지문 확대를 통해 난이도 하향이 예상, 국어 점수가 다소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남윤곤 메가스터디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이번 6월 모의평가는 작년 수능에 비해 A, B형 모두 문학 지문이 늘어났지만 평이하게 출제됐다. EBS 반영 비율도 70% 이상 유지됐다"며 "따라서 수험생들은 각 시기별, 분야별 EBS 연계 교재(수능특강, 인터넷 수능 등)에서 다룬 이론과 새롭게 선보인 유형, 고난도 문항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문학제재, 독서제재에 대한 기본 이해력을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A형과 B형에 공통 출제된 30%의 지문과 문항은 수능에서도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유념해 철저히 익혀야 한다"고 말했다.

첫댓글 고맙습니다^-^
정보 고맙습니당.^*^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