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관리 100-94편
강점 실천
장경호
사례관리 사회사업에서 강점 실천은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가.
장경호 선생님께서 자기 현장 실천에 빗대어
강점관점, 강점실천을 정리하였습니다.
이 글을 끝으로 실천 이야기는 마무리합니다.
남은 여섯 편도 실천 이야기를 보낼까 했다가,
(아직 나누지 못한 글이 조금 더 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함께 읽은 글의 의미를 정리하고,
이런 기록을 쓰고 읽는 읽이 얼마나 중요한지 설명하는
제 글로 마무리하기로 마음 정했습니다.
95편부터 100편까지는
지금까지 읽은 94편의 기록,
즉 '사회사업 글쓰기'의 개념과 의미와 목적과 방법 등을
정리해 나누겠습니다.
<강점 실천>을 읽은 뒤
댓글로 '읽었습니다' 하고 남겨주세요.
첫댓글 장경호 선생님의 <강점 실천> 원고가 보이지 않는 분들 계시지요?
PDF파일을 여는 프로그램을 달리해보십시오.
저도 해보니 엣지에서는 보이지 않는데,
크롬과 알PDF에서는 보입니다.
우선 이렇게 봐주세요.
오늘 저녁 어디서든 잘 볼 수 있는 파일로 다시 보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p.4 ... 당사자 변화 동기와 강점은 희미해지고, 욕구를 이루는 자원은 문제를 메우려는 각종 서비스로 대체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말에 깊이 찔립니다. 저도 모르게 이렇게 실천하고 있었던 모습들이 있었던 것을 되짚어봅니다.
강점 실천을 가지고 당사자를 만나는 것이 당사자를 "잘" 지원하기 위함이지만, p.15. 강점 관점 실천은.... 사회사업가에게도 실천가로서 성장의 발판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보며 다시 확신을 얻게 됩니다.
확신한 일에 더 힘을 싣어 실천해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강점관점 실천의 중요성에 대해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러한 실천이 당사자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인 나에게도 다양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사람과 함께 하는 일이다보니 정말 다양한 실천 방법과 여러 이론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중에서도 임파원먼트, 생태체계이론은 사회복지에서 가장 강조되는 것 같습니다.
관련한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겠습니다. 우리 사회가 당사자의 '유일성'을 인정해주고, 우리가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