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https://cafe.daum.net/etymo 조피디
13만년전에 인류는 아프리카에서 이동하여 전세계 각 대륙으로 퍼졌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우리 조상들도 이러한 과정을 분명히 그쳤고 이러한 민족적 이동과 혼혈에 의해서
우리가 쓰는 말들도 당연히 이 부분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한자도 메소포타미아지역에서 원시갑골문 형태가 이미 발견되었다.
한자를 만든 목적도 주술적인 즉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목적으로 처음 만든 것이다.
제작원리가 다 이런 식이다.텡그리즘.
무당이 쓰는 부적은 옛 사람들의 갑골문과 비슷하다.
동과 서를 활발히 돌아다니는 유목민족에 의해 처음 이런 문자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 사람들이 동으로 이동하면서 다시 황하문명을 재탄생시키면서 한자를 다시 만들어
낸 것이다.유목민족이 농경민족에 이런 한자를 전수해 준다.이들이 농경화하기도 한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발견된 기존의 원시한자에다 좀 더 간략화시킨 것이 상나라 은허지역의 갑골문.
------
C.J.Ball 논문 참고 책도 나와 있음.
그리고 세계 곳곳에 공통적으로 쓰는 말들을 축약시켜 만든 것이 오늘날 우리가 쓰는
한자음인 것이다.세계언어를 축약시켜 놓은 종합선물세트라 말할 수 있다.
한자음을 보면 세계곳곳에 언어에 이 발음들이 녹아 들어가 있다.
축약된 발음은 동양언어가 아닌 서양쪽 언어에 상당히 잔재가 많이 남아 있는 것은
사실이다. 알타이어 투르크어나 몽골어에 한자음의 근원의 힌트가 많다.
인도나 페르시아계 언어에도 한자음의 흔적이 많다.
사실 알고보면 한자음이나 고유어나 구분하는 의미가 없다.
고유어라고 말하는 것도 웃기는 일이다.
우리가 말하는 고유어도 우리나라 이 외에 지역에서 다 찾을 수 있는 말이다.
세계 어느 곳에서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민족이 이동하면서 그 지역에 남게 된 사람들 이동한 사람들의 흔적이 언어속에 남을 수
밖에 없다.세계에서 우리나라를 제외한 우리말의 흔적이 가장 많은 곳을 말하면
그 곳은 바로 인도와 티베트 사이다.
특히 인도 동북부 티베트 미얀마 히말라야 산맥 이 주변을 돌아보면 우리말이
넘치고 넘쳐난다.
한자음은 단지 축약된 결과일 뿐이다.
동남아시아 언어는 말 할 것도 없이 한자음 흔적이 곳곳에 녹아 있다.
동양쪽은 축약이 심하다.
문명적으로나 언어적으로나 늦게 발달한 문명이
홍산문명과 황하문명이다.
------
홍산문명 유물 흑요석같은 돌을 보면 산스크리트어가 있다.
데바나가리문자/원시한자가 있다.
이건 인더스문명 갠지스 인도문명의 영향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페르시아,인도에서 쭉 올라가고 내려간 말이 동북아 동남아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
바랄,망 望
바라다
파라 바라 마라 만 망
힌디어
मन [mān] 만<-->망 비음현상
1.갈망, 바람
2.남성형 명사 마음, 정신(력), 심성, 기질, 성향.
파랍-->하랍
파랍--바랍-->바람
인도네시아어
harap
1.요청하다, 바라다 (=mohon)
2.바램, 소망
3.부디, 제발 (=moga-moga)
harap [하랍]
1.동사 요청하다 (minta), 바라다 (mohon), 기대하다 (hendaklah)
2.명사 희망, 기대
인도네시아어
palar 파라-->바라
1.바라다, 기대하다, 희망하다 (=mengharapkan)
2.~을 받아 들이다, ~을 만족하게 여기다
페르시아어
مرام [marām] 바람-->마람
(شعار، هدف، مرامنامه)목적, 의도, 바람
مراد [morād] 바라다--> 마라다
(مقصود، قصد، هدف، آرزو)바람, 목적, 의도, 남자 이름, 원하는, 바라는
힌디어
वर [var] 바라
1.남성형 명사, 형용사 선택, 맘에 듦, 희망
2.남성형 명사, 형용사 신랑 (=दूल्हा)
3.남성형 명사, 형용사 은혜, 혜택 (→वरदान)
भरोसा [bharosa:] 바랬어
1.남성형 명사, 형용사 믿음, 희망.
2.남성형 명사, 형용사 신임, 신뢰, 의존, 의지.
일본어
望
음독
ぼう보-·もう모-
봉-->보오
몽-->모오
대만어
1 | 望 | bāng | |
2 | 名望 | bîng-bōng | |
3 | 無望 | bô-bāng | |
4 | 望 | bōng | |
5 | 願望 | guān-bōng | |
6 | 希望 | hi-bāng |
10 | 失望 | sit-bōng | |
11 | 絕望 | tsua̍t-bōng | |
12 | 欲望 | io̍k-bōng | |
13 | 慾望 | io̍k-bōng |
베트남어
vọng 望 [봉]
ㅍ-->ㅂ-->ㅁ 입술발음변천
인도네시아어
monggo 望망
부디, 아무쪼록. (=silakan)
mangga 望망
부디, 제발 ~해 주십시요 (=(= silakan))
첫댓글
극이동과 수맥이동 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면 나옵니다,극이동에 따른 지각변동과 수맥이동등을 생각하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그럼에도 지축의 중심축인 코어(코아)는 변하지 않읍니다 하늘의 천축인 북극성이 변하지 않듯이 말입니다..
하여 근원은 중심에서 나오는 겁니다..
허나 근원을 여기저기 흩어놓고 조작 왜곡
되었기에 구심점을 잃어 길을 잃어버리게 된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