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오(肩吾)가 손숙오(孫叔敖)에게 물었다.
“선생께선 세 번 초나라의 재상이 되었으나 영화(榮華)라 여기지 않고,
또 세 번 그 자리를 물러났지만 걱정하는 빛이 없었습니다.
저는 처음에 선생의 참 뜻을 의심했지만, 지금 이렇듯 선생의 얼굴, 코 둘레를 보니
아주 부드럽고 즐거운 모습을 하고 계십니다. 선생께선 어떤 마음으로 계십니까?”
손숙오가 대답했다.
“내가 어찌 남보다 나은 데가 있겠소.
나는 저절로 찾아오는 걸 물리치지 못하고, 또 물러가는 걸 멈추지 못하는 법이라 생각하오.
즉 이해득실(利害得失)은 내가 마음대로 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므로 걱정하지도 기뻐하지도 않소.
또 내가 재상이 되면 남이 존경하는데
그 존경받는 일이 재상이라는 벼슬에 있는지 나 자신에 있는지 알 수가 없소.
만약 그것이 재상에 있다면 나 자신에게는 없으니 기뻐할 일이 없고,
나 자신에 있다면 재상이라는 벼슬이 없으니, 그런 자리를 잃어도 근심할 일이 없소.
나는 그저 유유자적하며 사방을 바라보는 경지에 있으므로,
어찌 부귀와 빈천 따위에 마음 쓸 틈이 있겠소!”
공자가 이 말을 듣고 말했다.
“옛날의 진인(眞人)은 어떤 지자도 설득할 수가 없었고 어떤 미인도 유혹할 수 없으며,
어떤 도둑도 겁줄 수 없었고, 복희나 황제조차도 벗 삼을 수가 없었다.
죽음과 삶은 역시 이 세상의 큰일이기는 하지만 그것까지도 그의 마음을 변화 시킬 수가 없었다.
하물며 세속적인 벼슬이나 봉록 따위야 더 말할 것 있겠는가.
이와 같은 이들은 그 정신이 큰 산을 거쳐도 방해받지 않고, 못물에 깊이 들어가도 젖지 않으며,
천한 지위에 있어도 고달프지 않은 채, 온 천지에 가득 차 있다.
모든 것을 남에게 주면서도 그 스스로에게는 차츰 더 많은 것이 갖추어지게 되고 만다.”
-《장자(전 자방 제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