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내용을 삭제하지 마세요!!
아래 선 아래에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
우주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공기는 보이지는 않으나 존재하고 있습니다. 에너지도 보이지는 않으나 존재하고 있습니다.
우주변화의 원리는 보이는 것(有形)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無形)도 동시에 설명해줄 수 있어야 합니다. 보이지 않으나 존재하는 것을 ‘상(象)’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상(象)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설명하기에 개인의 견해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상(象)을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출현한 것이 바로 수(數, 자연수)입니다.
예를 들어 서양에서 ‘펜타그램’은 5이며 이는 성배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사(死)’는 4와 같은 것으로 인식되며 죽음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숫자는 상징(象)의 실제 내용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숫자를 통해 사물의 내면을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만물의 변화는 대체로 오르고 내림(乘降), 나아가고 물러남(進退), 커지고 작아짐 등으로 나타납니다.
우리가 숫자를 1, 2, 3, … 8, 9, 10으로 쓴다면 이를 보고 오르고, 나아가고, 커진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반대로 10, 9, 8, … 3, 2, 1로 쓰면 내려가고, 물러나고, 작아진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이렇게 수는 보이지 않는 사물의 변화를 표현하기에 가장 알맞기 때문에 상(象)의 내용을 증명하는데 사용합니다.
그래서 피타고라스는 “수는 만물의 근원이다.”라고 했으며,
플라톤은 “기하학(幾何學)을 모르는 사람은 나의 학교에 오지 말라.”고 했습니다.

우주의 진리를 밝히는 음양오행 철학(앞으로 ‘우주변화의 원리’로 통칭)은 상징[象, 기호]과 숫자[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우주변화의 원리를 ‘상수학(象數學)’이라고도 합니다.
“음양오행의 운동법칙이란 우주의 변화법칙(變化法則)이며, 만물의 생사법칙(生死法則)이며, 정신의 생성법칙(生成法則)이므로 우주의 모든 변화가 이 법칙 밖에서 일어날 수는 없다.” (『우주변화의 원리』 11쪽)

피타고라스도 이 수로서 이 우주의 법칙을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그것을 그의 제자들이 발전시키고 이어져 왔는데 동양의 상수학이라 할 수 있는 수비학이
그것입니다
숫자로 이루어진 우주
3+2=5 ,3-2=1 ,3×2=6, 3÷2=1.5
이것이 지금까지 우리가 배워온 수학[하드Hard수학(산수算數)]입니다.
사물을 측정하고 계산하는 수학에 힘입어 인간은 과학의 상아탑을 쌓아 올렸습니다.
하지만 인간은 계산을 위한 수학을 발견하기 이전부터 수를 사용했습니다.

하늘에는 북두칠성이 있고, 땅에는 5대양 6대주가 있습니다. 인간의 몸에는 9개의 구멍, 10개의 손가락·발가락이 있습니다. 인간은 숫자를 통해 인간과 만물을 낳은 조물주의 뜻을 알고자 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이수(理數, 법수法數, 소프트Soft수학)인데, 성인(聖人)들은 하늘의 도움(천수상天垂象, 우주가 자기의 운행법칙을 상(象)으로 드리워(垂) 주었다는 뜻)을 받아 마침내 우주운행의 법칙을 ‘상징과 숫자’에 담아냈고 후인들로 하여금 이를 통해 우주의 비밀을 깨우치도록 하였습니다.
유형문화가 발달한 서양[음陰]에서는 이를 기하학에 담아 물질문명을 발전시켰고, 무형문화가 발달한 동양[양陽]에서는 이를 음양오행 철학에 담아 정신문명을 발전시켰습니다.

수비학(數祕學, 영어: numerology)은 숫자와 사람, 장소, 사물, 문화 등의 사이에 숨겨진 의미와 연관성을 공부하는 학문입니다.
칼데아의 수비학, 피타고라스의 수비학, 카발라의 수비학(게마트리아•노타리콘) 등이 있습니다.
종교에서 수비학은 수를 사용해서
사물의 본성, 특히 인물의 성격ㆍ운명이나 미래의 일을 해명ㆍ예견하는 서양 고래의 점술.
영어로는 numerology. 수는 만물의 원리이며,
우주의 일체는 수에 측량되어서 질서화 된 것으로 생각합니다.
수비학은 알파벳에 1에서 9까지의 수를 적용해서 이용하기도 합니다.
ABC순으로 1에서 9를 해당시켜서 J와 S에서 1로 돌아갑니다. 그러면 A, J, S는 1, B, K, T는 2의 수치를 가지게 됩니다. 이하 동일.
가령 Adam은 1+4+1+4=10, Eva는 5+4+1=10이 됩니다.
10 이상의 수는 각 자리의 숫자를 다시 더해서 한 자리로 환원시킵니다.
이런 Adam 과 Eva는 모두 1(1+0=1)의 수를 가지며, 1이 지니는 원초, 창조, 통합의 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됩니다.
역학(易學)에서 상수학
<우주 원리>에서 상象이라 하면 우주의 법칙(法則), 진리(眞理), 원리(原理), 이치(理致)가 기미(機微)와 징조(徵兆), 조짐(兆朕)으로 드러나 있는 모습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無形)이 보이는 유형(有形)으로 전환하는 과정 속에 나타난다고 봅니다.
무극, 태극, 음양, 4상, 8괘, 16괘, 32괘, 64괘로 분화하는 자연 법칙 모형에서 4상(四象)이 바로 이 ‘상象’을 말합니다.
사상체질(四象體質)이라는 말도 유추가능합니다

<상象에 대한 몇 가지 개념 알아보기>
1) 형形 속에 드러나는 상징적 모습이다.
2) 상象을 통해 자연 법칙, 이법理法, 진리眞理를 파악한다.
3) 진리를 담고 있는 생명의 본질과 모습, 생명의 율동律動이다.
4) 형形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기미, 징조, 조짐 등으로 우주의 변화 현상을 탐색할 수 있다.
5) 상象에는 항상 수數가 동반되어 상象에 객관성을 부여한다. 象은 數의 창조 점이다.
6) 진리를 파악하는 수단과 방법이다. 진리의 거울이다. 수를 통해서 상을 파악 한다.
7) 무형에서 유형으로 전환하는 과정 속에 있어서 象은 아무나 파악을 못한다.
볼 수 있는 혜안을 갖춘 사람이 따로 있다.
8) 천지天地의 이치理致가 징조와 기미로써 현상계에 드리워져 있는데(天垂象) 성현들의 통찰안(洞察眼)에 의해 알려진다.
볼 수 있는 사람이 따로 있다.
<상象을 파악하는 3단계>
- 세 번 변화하고 제곱 변화하는 자연의 이치에서 볼 때 3변성도(三變成道)의 과정을 거쳐야
1) 수상(數象) - 수의 의미를 통해서 상을 파악할 수 있다. - 하도(河圖) 낙서(洛書)
2) 괘상(卦象) - 사물이 기미나 징조를 제시한 것으로 8괘 64괘를 통해서 상을 파악할 수 있다.
3) 물상(物象) - 상을 현실적인 사事와 물物에서 파악한다. 수상과 괘상은 물상을 통해서 관찰할 수 있다. 만물의 형체 속에 간직하고 있는 진리의 모습이다.
<상수象數에 대한 유학자들의 정의>
至微者 理也, 至著者 象也
(지미자 이야, 지저자 상야)
지극히 미세한 것은 리요, 지극히 드러나는 것은 상이다. -역 전서易 傳序-
明理者 象(명리자 상).
이치를 밝히는 것이 상이다. -내구당-
有理而後 有象 有象以後 有數
(유리이후 유상 유상이후 유수)
이치理致가 있은 후에 상象이 있고, 상象이 있은 후에 수數가 있다.
象以定數 數以證象
(상이정수 수이증상)
象으로써 數를 결정하고, 數로써 象을 증명한다. -정이천-
(이곳저곳 퍼옴)
첫댓글 바람과 비님이 상수학을 말씀하셔서 허접하지만 이곳저곳에서 옮겨 짜집기해서 올려봅니다
마지막 유학자 정이천의 말..
象으로써 數를 결정하고, 數로써 증명한다...
象이 먼저 있고, 數가 있네요~
그렇다면 象(物의 본질?,事?)가 數를 결정하는 것이고, 數는 다만 사후에 증명할 뿐이 되나요?
바람과 비님은 無와有 사이를 象으로 보고? 無와有로 변해가는 움직임이 數로 나타난다고 했는데...
그 과정에도 나타난다는 것인지, 그 결과에 나타난다는 것인지 궁금해집니다
과정에서 동시에 함께 가는것이 맞을까 합니다.
소가 중요하다 함은....
선천에는 甲子로부터 시작하고 60 번에 癸亥로 끝났는데
지구지각변동인지 인간의식변화인지 甲子에서 己丑이 맨 앞에
온다고 합니다.
선천에는 (갑자 갑술.갑신.갑오 갑진 갑인)이었고
후천에는 (기축.기해.기유.기미.기사.기묘)로 바뀐다고 합니다
10간 12지에도 고유한 數가 있지요
品階.輔職 數가 각각 있어서 여러 數를 터득하면 탐구하는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아직 공부중이며 한참 멀었으니 어려운것은 모릅니다
甲質 갑질...의 시끄러웠던 배부른자들의 사건들도 뒤안길로 사라지고
다시 말해서 천대받았던 상놈이 앞으로 나오는 ...남자에게 눌려 살았던
여자들이 대접받는 임무교대...己位親政의 세상이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數는 고대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자연과 숫자의 신비에 매료되어 온 것 같습니다.
서양은 진리를 탐구하기위해 철학과 함께 수학,기하학,물리학이 발전해왔고 ,그 증명을 數로써 하고 있습니다.
현대 서양의 논리철학은 이 3학문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반면 동양은 주로 주역에서 數를 가지고 진리를 찾고 있네요~
우리 천부경에도 數로써 이치를 밝히고 있다지만 워낙 분량이 적어서...ㅎㅎ
암튼 허접한 글에 숨은 고수님들이 나타나실지 궁금해 집니다~
신(神)이라 불리우는 존재들과 인간들이 함께 생활을 할때는 상수학이 필요없었습니다.
서로가 보여서 인간이 신에게 바로 물어보면 되니까, 굳이 숫자로 증명할 이유가 없었지요.
성경의 바벨탑이 무너진 사건은 인간들끼리 언어가 달라진게 아니라,
인간과 신들과의 소통이 불가능하게 된 사건입니다.
신이 안보이니, 이때부터 인간들은 숫자를 통해서 신들과 대화를 간접적으로 시도하게 되었습니다.
神이라는 존재와 이을 수 있는 인간들의 마지막 희망의 끈이 數일까요? ㅎㅎ
@인향만리 우주와 만물은 숫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과학기술의 발전은 신뿐만 아니라, 만물과 소통할 수 있는 경계까지 올라갈 것 입니다.
무지한 자는 신을 믿고, 조금 공부한 자는 신을 부정하고 깨친자는 신을 인정한다고 하였지요!
수로써
천부의 이치인
우주구성과 운영법칙을
간단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절대 심오하거나 난해하지 않습니다
단순해지기가 더 어려울 수가 있을 뿐...
그런데
오행 /목화토금수/은
사실 천부증리에는
배제하여야 하는 개념입니다.
음양팔괘/입자파동/가 정확한 개념이지요
오행이 개입되면
수로써 천부의 이치는 증리가 안되거든요
부도지
오행의 난이 그 사실을 말하고
수리에 있어서는 9수 중5는 방위도 아니고 오행/목화토금수/을 가르키는것이 아니라서 그렇습니다.
온라인상에서 화면에 글쓰기 가지고는 이해가게끔 설명이 불가능합니다. 아쉽게도...
여러 관련 증빙 자료들과 연계되어 있는 것을 다 펼쳐놓고 설명해야해서요 시간도 필요합니다...
전시 설명하는 천부뮤지엄/커리큘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아직은 관심도 인식도 기대하기 어려운 시점 같아서
개인적인 연구 수준에만 그치고 미력이나마 실현코자 생각하고 있는 중이지요...
마고본성 선생님 우주구성과 운행 법칙을 수로써 간단히 이해 할 수 있다는 실례 몇 가지만 설명 부탁드려봅니다~^^
@인향만리
그보다 먼저
천부의 이치가 마고성 시스템에
다운로드되어 있다는걸 신뢰하실 수 있으세요...
마고성이 흙과 돌로지어진 성곽을 가르키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으로
과학적으로도
진리의 도성을 말하는 것이라는것을요
제가 이런말 하면 제정신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설명도 마고성 가지고 해야해서 그럽니다..
그리고
인터넷상으로는 올리기가
어렵습니다..
마고성을 알고
단계적 설명 끝에 이해가 쉬이
가는 것이구요
장담하건대 심오하거나 복잡다단하지는 않다는걸 말씀드려요...
@마고본성 네 선생님 신뢰합니다~
@인향만리
미비하지만
틈틈히
천부 연구교재와 초기 교안을
준비중이니 언젠가는 천부뮤지엄 커리큐럼으로 발전하게 되는 시점이 있을것입니다..
@마고본성 감사합니다~
감사드립니다
결과만이 남은 세상 ..
구성원리중 하나인 수비학은 우리가 알고 있는 일종의 역설계(리버스 엔지니어링) ..
님 말씀 일리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역설계/리버스 엔지니어링**
이라는 엑기스적인 표현이 있군요. 덕분에 알게되서 감사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우주 본바탕이 천부적으로
근본이 하나임을
엿볼수 있다는 것입니다..
강증산 선생은 바둑판도수라 하시고...
저는 마고본성의 법에 내장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바람과 비 연도는 잊었습니다
인터넷에 보시면 나올거예요
@바람과 비
60간지와는 관계없고
2013년도 가을
마고본성의 법과 연계해서
일단락 지어놨습니다..
나중에 책자로 볼수 있으세요..
@바람과 비
저는 그러한 숫자풀이는
의미를 모르고
부여할 수도 없어서요
실례지만 관심이 없습니다
@마고본성
다시는 내글에 끈덕지게 질문하지 마시구요
삭제합니다
@바람과 비
특히 나랏일에 관한 예언적인 주장에는 출처와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시라면
말씀대로 지나치겠습니다.
장치 또는 시스템의 기술적인 원리를 그 구조분석을 통해 발견하는 과정이다. 이것은 종종 대상(기계 장치, 전자 부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을 조각내서 분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지 보수를 위해 또는 같은 기능을 하는 새 장치를 원본의 일부를 이용하지 않고 만들기 위해 대상의 세부적인 작동을 분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② 소프트웨어 공학의 한 분야로, 이미 만들어진 시스템을 역으로 추적하여 처음의 문서나 설계기법 등의 자료를 얻어내는 일을 말한다.
전통적인 공학인 순공학(Forward Engineering)은 개념으로부터 실물을 얻어내는 과정이라면 역공학은 그와는 반대로 실물로부터 개념을 얻어내는 과정이라 할 수 있
이것은 시스템을 이해하여 적절히 변경하는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과정의 일부이다.
보통 문서 분실, 상품 분석, 안전 검사 등의 이유로 역공학을 수행한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역공학 자체는 위법 행위가 아니지만, 이러한 수법을 사용해서 개발한 제품은 지적 재산권을 침해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역공학 분석과 같이 악의적인 공격들로부터 소프트웨어의 주요 알고리즘 및 자료구조 등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공격으로부터 소프트웨어를 보호하는 기법은 암호화(Encryption), 워터마킹(Watermarking), 변조 방지(Modulation Prevention), 서버 측 실행(server-side execution), 본래 코드 신뢰(T
@인향만리 본래 코드 신뢰(Trusted native code), 자가 확인(Self-checking), 바이너리 변경(Binary modification), 흐리기(obfuscation)가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역공학 방지 기법이 흐리기이다.
우주가 설계되었다면, 그 설계자의 영역(지적재산권)을 침해할 위험성이 있네요~^^
그에 따른 댓가도 지불해야 할 텐데...ㅎㅎ
암튼 역설계(리버스 엔지니서링) 분석을 통해서 시스템을 적절히 변경 유지보수할 수 도 있군요~^^
또 당초 시스템 보호를 위해서 암호화, 역공학 방지 기법인 흐리기도 있어서 성공을 장담할 수 없는데,
섯부른 리버스엔지니어링 분석으로 시스템 변경, 유지보수 하다가는 시스템 자체가 망가질 수 있다?
흐음~
@인향만리
오행/목화토금수/이 바로 그것입니다.
우주구성과 운영시스템 자체에 없는 분석 분류방식이라요..
그런데 지금 그 사상과 문화가 뿌리깊으니...
기존의 학문들과 지식 충돌이 일어나고 패러다임이 바뀌기가 쉽지 않으며
더욱이 직업상
생계들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면에서
큰 틀에서 연구와 준비만 하고 있어야...시기상조라고 보는 것이지요.
실 위가 혼재되어 있는 것을
가려내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합니다..
@마고본성 꼭 천부뮤지엄이 성공하시길 빕니다~^^
@인향만리
개인이 혼자 할 수 없는 일..
제가 소명으로 알고
할 수 있는 일부분만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사실 자료를 수집해 내용을 만드는 자체가 공부라고 봅니다. ^^
감사합니다~^^
전해 내려오는 얘기로는 6.6 7.7은 해방이고 3.3 4.4은 통일이라고 하던데 6x6= 36년 기간 7.7 은 음력일자 즉 8.15라고 탄허 큰스님이 지적하셨는데 3.3 4.4 통일수에 대해 어느분이 한번 풀어 보실 수 있나요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unbee4u&logNo=221939068073&proxyReferer=https:%2F%2Fm.search.daum.net%2Fsearch%3Fw%3Dtot%26q%3D3.3%25204.4%2520%25ED%2586%25B5%25EC%259D%25BC%26nil_profile%3Dbtn%26f%3Dandroidapp%26DN%3DADDA%26nil_app%3Ddaumapp%26enc_all%3Dutf8%26DA%3DYZR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선생님..
수에 담은 의도자의 뜻을
감히 정확히 알기는 어려우나
격암유록에 바탕하여
나름 짐작한 걸 말씀드린다면
구궁 팔괘의 이치..
세상의 모든 교와 학이
십승의 이치에서 만나네**
라는 근원에서의 통일이라고
볼 수 있는
그 귀절이 떠오릅니다..
3×3=9
4+4=8
@마고본성
저는 한반도의 통일은
근본에 있어서
곧 세계적 차원의 통일*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어요.
@마고본성 네 반갑습니다 마고본성님~
님이 추론한 것도 고려해 볼만 합니다. 한반도의 통일이 당연 세계적 차원의 통일로 귀착될 것으로 봅니다. 여기서 3.3은 곱으로 기간이면 9년에 해당하고 기간에 의해 년도가 나오면 당해 음력 4.4일이니 9년의 의미를 풀면 통일원년을 추리해 볼 수 있을겁니다. 그래서 천기를 다양한 제시로 한번 점쳐 보고 싶은 겁니다.
@cibies 둘2 만나는 9년의 의미라면 = 18년
18년에 실질적 통일은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