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라 국(囗,囯,国,囶,囻,圀,國)자는 國境, 울타리만을 표시한 큰 입 구(囗)자와 국토(國土) 안에 임금이 있다는 고대(古代)방식의 국가 개념에서 생긴 나라 국(囯,国)자와 국토(國土)와 국민(國民)이 있는 국가를 표시한 나라 국(囶,囻,圀)자와, 국토(國土), 영토(領土), 국민(國民)의 요소를 다 갖춘 나라 국(國)자가 있습니다. 나라 국(囶,囻,圀)자에서 여덟 팔(八)자는 사람 인(人)자의 모사(模寫)입니다. 나라 국(囗,囯,国,囶,囻,圀,國)자의 변천사(變遷史)는 바로 인지(認知)의 변화입니다.
囗
國
돌아올 회(囘)자는 돌 회(回)자의 모사(模寫)입니다. 돌 회(回)자를 여러 형태로 사용한 예입니다. 계속 돈다는 뜻의 돌 회(回)자에 대해서 큰 입 구囗자를 아래를 터놓아서 돌아 왔음을 나타냈습니다.
回
넉 사(四)자는 본래 셈대를 4 개 상하(上下)로 배열한 글자였습니다. 넉 사(亖)자로 썼습니다. 넉 사(四)자가 된 것은 글자의 모양을 세련되게 만들게 된 이후의 글자입니다.
四
어질다 인(囜)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사사 사(厶)자를 해서 개인의 행동을 막아서 억제한 모양을 한 글자입니다. ‘어질다’는 것은 자신의 이익과 자신의 욕망을 참아낸 결과입니다. 어질다 인(囜)자에서 사사 사(厶)자는 개인(個人)을 뜻합니다.
+
= 囜
사사로이 취하는 모양 닙(㘝)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손을 그린 글자인 또 우(又)자를 해서 손으로 물건을 취했음을 나타냈습니다.
㘝
아이 건(囝)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아들 자(子)자를 했습니다. 집안에 가두어 둔 아들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아이이니까, 아직 밖이 위험해서 마음대로 돌아다니게 내놓을 수 없는 사정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囝
정수리 신(囟)자는 큰 입 구(囗)자에 뿔(丶)을 그려서 정수리가 머리에서 가장 높은 곳임을 표시했습니다. 그리고 다섯 오(㐅)자를 해서 정수리를 지적한 글자입니다. 점 주(丶)자나 다섯 오(㐅)자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囟
인할 인(囙,因)자는 큰 입 구(囗)안에 큰 대(大)자를 해서, 모든 원인이 국경(囗)을 표시한 네모 안에서 일어난다는 표시입니다. 나라(囗)의 백성(大)임으로 하여 삶의 원인이 된다는 말이지요.
囙,因
가둘 수(囚)자는 죄수 수(囚)자로 전주(轉注)되어 쓰기도 합니다. 가둔 범위 즉 옥을 뜻하는 나라 국(囗)자 안에 사람 인(人)자를 했습니다. 가두었다는 표시지요.
囚
아이 닙(囡)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여자 여(女)자를 했습니다. 울타리 안에서 아이를 잘 돌보는 사람이 여자임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囡
돌 회(回)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작은 입 구(口)자를 해서 회랑처럼 빙그르 도는 표시(回)를 했습니다. 글자를 구성하는 두 개의 글자의 뜻이 합하여 하나의 뜻을 표시하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回
무리 단(团tuán,団)자는 둥글 단(團)자의 간체자(团tuán)이고, 둥글 단(団)자는 둥글 단(團)자의 약자(略字)입니다. 큰 입 구(囗)자 안에 재주 재(才)자를 해서 간체자(团tuán)를 만들고, 마디 촌(寸)자를 해서 약자(略字)를 만들었습니다.
團
구멍 창(㘟)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스물 입(卄)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스물 입(卄)자는 뻥 뚫어진 창문을 약간 가려서 새들이나 다른 물건들이 날아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아놓은 표시입니다. 스물 입(卄)자는 창문의 창살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입니다.
+
= 㘟
창고 돈(囤)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진칠 둔(屯)자를 했습니다. 진칠 둔(屯)자는 진을 친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어두울 돈(沌), 밝을 돈(旽), 어두울 돈(伅), 창고 돈(囤), 근심할 돈(忳), 움직일 돈(扽), 바람 불어 불길이 성할 돈(炖), 돼지 새끼 돈(㹠), 다질 돈(砘), 찐만두 돈(飩), 복 돈(魨)자들은 진칠 둔(屯)자가 들어 있어서 ‘돈’으로 읽습니다.
+
= 囤
숨을 강(囥)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목 항(亢)자를 했습니다. 목 항(亢)자는 사람의 목 부분을 가리킨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평상 강(匟), 소금밭 강(䴚), 대 나란할 강(笐), 고슴도치 강(犺), 강개할 강(忼), 고을 이름 강(邟)자들은 목 항(亢)자가 들어 있어서 ‘강’으로 읽습니다.
+
= 囥
못 연(囦)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물 수(水)자를 해서 물을 가두어 놓은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못은 물을 가두어 둔 곳입니다.
囦
빛날 경(冏)자와 빛날 경(囧)자는 동자(同字)입니다. 빛날 경(囧)자도 빛날 경(冏)자처럼 빛이 더 들어오도록 가리개를 더 연 모양입니다.
冏
침 뱉는 소리 편(囨)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아닐 불(不)자를 했습니다. 아닐 불(不)자는 화살표를 하늘 방향으로 해서, 새가 날아가 없다는 뜻을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
= 囨
돌 운(囩)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이를 운(云)자를 했습니다. 이를 운(云)자는 구름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囩
온전할 홀(囫)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말 물(勿)자를 했습니다. 말 물(勿)자는 새의 날개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새가 날아가 없어져 버렸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냅니다. 소홀히 할 홀(忽), 옛 그릇 홀(匢), 온전할 홀(囫), 홀 홀(笏)자들은 말 물(勿)자가 들어 있어서 ‘홀’로 읽습니다.
+
= 囫
돌 회(囬)자는 돌 회(回)자의 또 다른 글자입니다. 돌 회(囬)자와 돌 회(回)자는 같은 글자라는 말입니다. 큰 입 구(囗)자 안에 작은 입 구(口)자를 해서 빙글빙글 돌아갈 길을 만든 글자입니다.
回
깎을 완(园)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으뜸 원(元)자를 했습니다. 으뜸 원(元)자는 한 일(一)자 아래에 우뚝할 올(兀)자를 해서 제사상에 제물을 차려놓은 모양을 하면서, 높아서 으뜸임을 나타냈습니다. 완전할 완(完), 희롱할 완(玩), 관 이름 완(阮), 가지고 놀 완(翫), 깎을 완(刓)자들은 으뜸 원(元)자가 들어 있어서 ‘완’으로 읽습니다.
+
= 园
괴로울 곤(困)자는 네모나게 경계를 표시한 큰 입 구(囗)자 안에 나무 목(木)자를 해서 나무가 제재를 받아 마음대로 자유롭게 자라지 못함을 표시했습니다. 나무로 치면 얼마나 괴롭겠습니까.
困
후림새 와(囮)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될 화(化)자를 했습니다. 될 화(化)자는 사람 인(人,亻)자에 비수 비(匕)자를 해서 사람이 칼에 찔려서 죽은 것을 뜻합니다. 주검으로 변한 것이야말로 큰 변화지요. 그릇될 와(訛), 움직일 와(吪)자는 될 화(化)자가 들어 있어서 ‘와’로 읽습니다.
囮
에워쌀 위(囲)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우물 정(井)자를 했습니다. 우물 정(井)자는 우물을 파고 가장 자리에 나무토막으로 흙이 무너지지 못하도록 만든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그 우물을 에워쌌다는 뜻에서 큰 입 구(囗)자를 했습니다.
+
= 囲
그림 도(図,图tú) ; 그림 도(圖)자의 약자(略字)는 그림 도(図)이고, 그림 도(圖)자의 간체자(簡體字)는 그림도(图tú)자입니다. 그림 도(圖)자는 큰 입 구(囗) 안에 천할 비(啚)자를 했습니다. 천할 비(啚)자는 ‘낮다’ ‘더럽다’ ‘부끄러워하다’ ‘인색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말하기가 부끄러워서 그림으로 그렸음을 표시했습니다. 큰 입 구(囗)는 일정한 종이에 그렸다는 뜻입니다.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더러울 비(鄙)자는 읍 읍(邑)자 변에 천할 비(啚)자를 했습니다. 천할 비(啚)자를 설명 하면서 어려서 마을 양지쪽 담벼락이나 화장실 벽에 그려져 있던 흔한 낙서 그림이 떠올랐습니다.
+
= 圖
둘레 위(围wéi,圍) ; 둘레 위(围wéi)자는 둘레 위(圍)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둘레 위(圍)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다룬 가죽 위(韋)자를 했습니다. 다룬 가죽 위(韋)자는 가죽을 사용하기 편리하게 하려고 부드럽게 만들기 위하여 발로 짓밟아 가죽을 부드럽게 만드는 표시입니다. 가죽으로 보면 발로 밟히는 시련을 겪어낸 뒤에 비로소 이용 가치가 있는 가죽으로서 태어나는 것입니다. 위대한 사람도 많은 시련을 겪은 후에 위인(偉人)으로 태어나는 법이라는 교훈이 담긴, 아니 삶의 지혜가 담긴 글자입니다.
+
= 圍
완전할 륜(囵,圇) ; 완전할 륜(囵)자는 완전할 륜(圇)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완전할 륜(圇)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둥글 륜(侖)자를 했습니다. 둥글 륜(侖)자는 합할 집(亼)자 아래에 나무 막대기를 여러 개 엮어서 둥글게 만든 새장처럼 묶어 놓은 ‘𠕁’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둥글다고 하는 것은 새 조롱이나 닭장처럼 평면적인 표현이 둥글 뿐만이 아니라, 위에서 내려다볼 때 둥글다는 말입니다.
+
= 圇
창고 균(囷)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벼 화(禾)자를 했습니다. 벼 화(禾)자는 벼 이삭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노루 균(麇)자도 벼 화(禾)자가 들어 있어서 ‘균’으로 읽습니다.
囷
날 일(囸)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바를 정(正)자를 했습니다. 날의 뜻은 그날그날 바르게 지내한다는 것입니다. 바를 정(正)자는 한 일(一)자 아래에 그칠 지(止)자를 해서 걷다가 멈추고 바로 서 있는 사람을 그린 글자입니다.
+
= 囸
아이 밸 태(囼)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별 태(台)자를 했습니다. 별 태(台)자는 의부(義符)로 입 구(口)자에 성부(聲符)로 별 태(台)자는 사사 사(厶)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별 태(台)자에서 사사 사(厶)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한 것은 별이 여러 가지 형태로 빛나는 것을 나타낸 것입니다. 별 태(台)자는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빛의 모양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囼
옥 령(囹)자는 가두어 둔 옥을 형상화하여 표시한 큰 입 구(囗)자 안에, 글자의 발음을 표시하는 명령 령(令)자를 했습니다. 명령 령(令)자는 상관으로부터 명령을 받는 아랫사람이 무릎을 꿇고 명령을 받는 자세를 그려서 만든 글자입니다.
+
= 囹
굳을 고(固)자는 견고하고 굳은 표시로 큰 입 구(囗)자를 하고 그 안에 발음을 표시하는 옛 고(古)자를 했습니다. 옛 고(古)자는 세월이 많이 지난, 죽은(十) 입(口)을 표시해서 오래 되었음을 표시했습니다.
固
닫을 벽(㘠)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반드시 필(必)자를 했습니다. 닫을 때에는 반드시 네모난 상자가 필요합니다. 닫을 벽(㘠)자에서 반드시 필(必)자를 한 것은 닫으려면 반드시 상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반드시 필(必)자는 창 과(戈)자를 좌우(左右)에서 싼 글자입니다. 무기를 보관해 둔 표시입니다. 전쟁을 하려면 반드시 무기는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
= 㘠
우리 합(㘡)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갑옷 갑(甲)자를 했습니다. 갑옷 갑(甲)자는 거북의 겁질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마실 합(呷), 우리 합(柙), 비늘이 많을 합(魻)자들은 갑옷 갑(甲)자가 들어 있어서 ‘합’으로 읽습니다.
+
= 㘡
동산 유(囿)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있을 유(有)자를 했습니다. 있을 유(有)자는 왼손 좌(屮)자 아래에 육 달 월(月,肉)자를 해서 고기가 있음을 표시했습니다. 고기가 있다는 말은 먹을 것이 있다는 뜻입니다.
囿
둥근 구멍 옹(㘢)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빛 광(光)자를 했습니다. 둥근 구멍으로는 빛이 통과합니다. 둥근 구멍 옹(㘢)자에서 둥근 구멍은 큰 입 구(囗)자입니다. 빛 광(光)자는 빛이 빛나는 모양을 하고 그 아래에 우뚝할 올(兀)자로 받침대를 해 놓았습니다. 빛은 감추어 두지 않고 높은 곳에 두어 모두를 비치게 합니다. 빛 광(光)자의 전서를 보면 빛이 나는 모양을 사람에 비유하여 머리 부분에 불꽃 모양을 그렸습니다.
+
= 㘢
물 이름 은(圁)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말씀 언(言)자를 했습니다. 말씀 언(言)자는 입 구(口)자 위에 넉 사(亖)자처럼 한 일(一)자를 여러 개 했습니다. 여기서 말씀 언(言)자는 나팔을 그린 글자입니다. 말은 입에서 나온 것입니다. 입에서 나와서 공기를 진동시켜서 상대방의 귀 고막을 울려 소리가 전달되는 것입니다. 그런 과정을 간략하게 표시했습니다. 온화할 은(誾), 으르렁거릴 은(狺), 논쟁할 은(訔)자들은 말씀 언(言)자가 들어 있어서 ‘은’으로 읽습니다.
+
= 圁
뒷간 환(圂)자는 경계선을 그은 큰 입 구(囗)자 안에 돼지 시(豕)자를 했습니다. 지금도 관광용으로 제주도에서는 뒷간에 돼지를 기릅니다. 화장실에 갈 때는 돼지를 쫓을 막대기를 들고 들어간다고 합니다.
圂
밭 포(圃)자는 밭의 범위를 표시하는 큰 입 구(囗)자 안에 글자의 발음을 표시하는 클 보(甫)자를 했습니다. 클 보(甫)자는 짐 보따리를 그린 글자입니다. 사로잡을 포(捕), 포도 포(葡), 펼 포(鋪), 부들 포(蒲), 저려서 말린 생선 포(脯), 먹을 포(哺)자 들은 보(甫)자가 들어 있어서 ‘포’로 읽습니다.
圃
옥 어(圄)자는 옥이 가두는 곳이니까 울타리를 표시한 큰 입 구(囗)자 안에 이 글자의 발음을 표시하는 나 오(吾)자를 했습니다. 나 오(吾)자는 나에게서 제일 중요한 생명 유지에 있어 입(口)은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먹고 사는 일에 있어서 핵심 부분이지요. 발음을 표시하는 다섯 오(五)자를 했습니다. 옥 어(圄)자나 나 오(吾)자는 모두 형성(形聲) 문자(文字)입니다.
圄
함 함(圅)자는 함의 모양을 그린 큰 입 구(囗)자 위에 ‘龴’자를 해서 함의 손잡이를 나타냈고, 함의 모양을 그린 큰 입 구(囗)자 안에 ‘𢆉’자를 해서 함 안에 넣은 내용물을 표시했습니다. 함 함(圅)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圅
둥글 원(圆,圎)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인원 원(员yuán)자나 인원 원(圎)자를 했습니다. 인원 원(员yuán)자는 인원 원(員)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인원 원(圎)자는 인원 원(員)자의 약자(略字)입니다. 둥글 원(圆,圎)자는 둥글 원(圓)자의 간체자(簡體字)와 약자(略字)입니다.
圓
둥글 선(㘣)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장구벌레 연(肙)자를 했습니다. 장구벌레 연(肙)자는 장구벌레를 그린 象形 글자입니다. 둥글 선(㘣)자는 장구벌레 연(肙)자와 通韻입니다.
㘣
동산 원(園)자는 동산의 범위를 표시한 큰 입 구(囗)자 안에 글자의 발음을 표시한 긴 옷 원(袁)자를 했습니다.
園
우리 권(圏)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쇠뇌 권(巻)자를 했습니다. 쇠뇌 권(卷)자에서 여덟 팔(八)자를 하든지 여덟 팔(八)자를 반대로 바꾸어 해도 무방합니다. 우리 권(圈)자나 우리 권(圏)자는 같은 글자입니다.
圏
마부 어(圉)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다행 행(幸)자를 했습니다. 마부는 도망가지 못하도록 착고를 채운 죄인을 이용했던 풍속에서 나온 글자입니다. 다행 행(幸)자는 죄인을 잡아 죄인의 발에 차꼬를 채워 잡아놓은 모양입니다. 사회를 어지럽히고 언제 나를 공격해 올지 모르는 범죄인이 잡혀 감옥에 있으니 다행한 일입니다.
圉
뒷간 청(圊)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푸를 청(靑)자를 했습니다. 푸를 청(靑)자는 푸를 청(青)와 같은 글자입니다. 푸를 청(靑)자는 날 생(生)자와 날 일(日)자를 상하(上下)로 배열한 글자입니다. 풀의 빛깔을 표시하는 푸를 청(靑)자는 날 일(日)자와 날 생(生)자가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색깔은 빛이 있어야 보입니다. 여기서 날 생(生)자는 풀을 그린 글자입니다. 달 월(月)자로 보이지만 날 일(日)자의 변형입니다. 풀(艸.艹)은 푸르고(靑), 불(火)은 붉습니다(赤).
+
= 圊
둥근 대그릇 천(圌)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시초 단(耑)자를 했습니다. 시초 단(耑)자는 산 산(山)자 아래에 말 이을 이(而)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산 산(山)자는 나무를 그린 글자이고, 말 이을 이(而)자는 물을 주고 발로 밟는 모양입니다. 시초 단(耑)자는 나무를 심는 모양입니다. 헐떡거릴 천(喘), 성씨 천(歂), 장딴지 천(腨), 통 바퀴 수레 천(輲)자들은 시초 단(耑)자가 들어 있어서 ‘천’으로 읽습니다.
+
= 圌
초지 고(圐)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그물 망(罒)자 아래에 모 방(方)자를 한 글자를 했습니다. 초지 고(圐)자는 부락의 이름에 많이 사용됩니다. 그물 망(罒)자나 모 방(方)자는 모두 백성이 모여 사는 지방을 뜻하는 글자들입니다. 고대 전쟁(戰爭)은 백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했습니다. 그물 망(罒)자는 백성을 늘리고자 했던 지배 계급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초지 고(圐)자는 부락의 이름에 사용 되는 글자입니다.
+
+
= 圐
채마밭 포(圑)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펼 부(尃)자를 했습니다.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클 보(甫)자와 구별합니다. 펼 부(尃)자와도 구별합니다. 오로지 전(專)자는 실꾸리를 그린 글자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실꾸리는 푸는 모양을 나타냈고, 펼 부(尃)자는 클 보(甫)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보따리는 푸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오로지 전(專)자는 실꾸리를 푸는 글자이고, 펼 부(尃)자는 보따리를 푸는 글자들입니다. 개 포(浦), 사로잡을 포(捕), 포도 포(葡), 펼 포(鋪), 포 포(脯)자들은 클 보(甫)자가 들어 있어서 ‘포’로 읽습니다.
+
= 圑
낮은 소리 압(圔)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덮을 합(盍)자를 했습니다. 덮을 합(盍)자는 그릇을 덮는 덮개를 뜻하는 글자이기에, 그릇 명(皿)자에 그릇의 뚜껑을 그린 갈 거(去)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갈 거(去)자는 그릇의 덮개를 그린 글자입니다. 덮을 합(盍)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낮은 소리 압(圔)자와 덮을 합(盍)자는 통운(通韻)입니다.
+
= 圔
도서관 서(圕)자는 도서관에는 글을 써서 책을 맨 책들과 글이 있는 곳이니, 글 서(書)자에다가, 글들과 책들을 많이 모아 두었다는 뜻으로 큰 입 구(囗)자를 했습니다. 도서관 서(圕)자에서 글 서(書)자는 듯과도 연관이 되지마는 중요한 관계는 바로 이 글자의 발음을 표시한 글자라는 것입니다.
+
書 = 圕
둥글 단(團)자는 둥글다는 표시로 큰 입 구(囗)자에다가, 이 글자의 발음으로 오로지 전(專)자를 했습니다. 근심할 단(慱), 뭉칠 단(摶), 둥글 단(槫), 이슬 많을 단(漙)자들은 모두 전(專)자가 들어 있어서 ‘단’으로 읽습니다.
團
그림 도(圖,圗)자는 그림은 바탕이 네모난 종이나 천에 그린다고 해서 큰 입 구(囗)자에다가, 그림을 그리는 대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시골마을 비(啚)자를 했습니다. 시골 그림을 그린다는 말이지요. 여기서 말하는 그림은 아마도 지도이거나 풍경화일 것입니다.
圖,圗
초지 략(圙)자는 일정한 범위를 뜻하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여덟 팔(八)자를 하고, 얼굴 면(面)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여덟 팔(八)자는 모여 산다는 듯이고, 얼굴 면(面)자는 사람을 듯합니다. 초지 략(圙)자는 사람이 모여 사는 마을을 뜻하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 圙
물이 소용돌이치는 모양 완(㘤)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못 연(淵)자를 했습니다. 일정한 범위 안의 물이 소용돌이치는 모양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못 연(淵)자는 물 수(水,氵)자에 물이 담겨져 있는 모양을 그린 모양의 글자가 있어서 물이 담겨져 있는 연못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㘤
올가미 궤(圚)자는 올가미의 모양처럼 뜻을 표시하는 큰 입 구(囗)자에, 발음을 표시하는 귀할 귀(貴)자를 했습니다. 무너질 궤(潰), 먹일 궤(饋), 함 궤(匱), 심란할 궤(憒)자들은 귀(貴)자가 들어 있어서 ‘궤’로 읽습니다. 올가미 궤(圚)자는 전주(轉注)가 되어 함정 궤(圚)자로도 읽습니다. 귀할 귀(貴)자를 보면 지금이나 옛날이나 귀(貴)한 것은 돈이었던 것 같습니다.
貴
맴돌 역(圛)자는 맴도는 것도 둥글게 주변을 도는 것이기에, 뜻을 표시하느라고 큰 입 구(囗)자를 하고, 발음을 표시하느라고 엿볼 역(睪)자를 했습니다. 기차 전차 역(驛), 통역할 역(譯), 풀어낼 역(繹), 기뻐할 역(懌)자들은 모두 역(睪)자가 들어 있어서 ‘역’으로 읽습니다.
圛
두를 환(圜)자는 두른다는 뜻으로 큰 입 구(囗)자를 하고, 발음을 표시하려고 ‘ ’자를 했습니다. 고리 환(環), 돌아올 환(還), 성금할 환(懁)자들은 모두 ‘ ’자가 들어 있어서 ‘환’으로 읽습니다.
圜
새 후릴 와(㘥)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부역 요(繇)자를 했습니다. 새를 후리는 일도 힘든 일의 하나이며 특히 새를 후리는 일은 새를 잡는 사람을 도와서 부역(賦役)하는 일과 같은 일입니다. 역사(役事)는 토목이나 건축 따위의 공사를 뜻합니다. 역사 요(繇)자는 부역 요(繇)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부역 요(繇)자는 의부(義符)로 이을 계(系)자에 성부(聲符)로 질그릇 요(䍃)자를 했습니다. 질그릇 요(䍃)자는 달 월(月)자 아래에 장군 부(缶)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달 월(月)자는 손톱 조(爪)자의 변형으로 질그릇을 빚는 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그리고 이을 계(系)자를 한 것은 이런 일에 매여 있다는 듯으로 힘들여서 일한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새를 후린다는 말은 새를 유인한다는 말입니다.
+
+
= 㘥
둥글 란(圝,圞)자는 의부(義符)로 큰 입 구(囗)자 안에 성부(聲符)로 어지러울 련(䜌)자나 나무 이름 란(欒)자를 했습니다. 어지러울 련(䜌)자는 실 사(糸)자 두 개와 말씀 언(言)자로 구성했습니다. 실이 엉키면 참으로 어지럽습니다. 말이 엉켜도 참으로 어지럽습니다. 방울 란(銮luán鑾), 새어 흐를 란(灓), 가름대 란(欒), 둥글 란(圝), 산돼지 그물 란(羉)자들은 어지러울 련(䜌)자가 들어 있어서 ‘란’으로 읽습니다.
+
= 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