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 품목코드 | 품목명 | 규격명 | 소비자가 | 뉴소비자가 | 비고 |
1 | BV0700 | PHOTOETCHED PARTS | 05097 | 43,000 | 44,000 | 소비자가 인상 |
2 | BV0707 | Photoetched parts | 05098 | 42,000 | 44,000 | 소비자가 인상 |
3 | BV0710 | Photoetched parts | 04688 | 60,000 | 63,000 | 소비자가 인상 |
4 | BV0715 | Photoetched parts | 04696 | 70,000 | 72,000 | 소비자가 인상 |
5 | BV3093 | BV3093 1/35 GTK Boxer (GTFz) | - | 50,000 | New | |
6 | BV3094 | WIESEL 2 LeFlaSys | AFF | 35,000 | 36,000 | 소비자가 인상 |
7 | BV3180 | BV3180 1/72 Leopard 2A6/A6M | - | 17000 | New | |
8 | BV3994 | BV3994 1/72 Arado Ar196 A-3 | Seaplane | - | 14,000 | New |
9 | BV3996 | BV3996 1/144 F-15E Strike Eagle | Eagle | - | 11,000 | New |
10 | BV3997 | 1/144 F/A-18E Super | Hornet | 11,000 | ||
11 | BV3999 | BV3999 1/450 Boeing 747-200 | Jumbo Jet | - | 9,000 | New |
12 | BV4193 | DORNIER DO 28D2 SKYS | ERVANT | 15,000 | ||
13 | BV4209 | A340 AUA WIENER | PHILHARMONI | 38,000 | ||
14 | BV4218 | 1/144 AIRBUS A380 | FIRST FLIGHT | 44,000 | ||
15 | BV4261 | 1/144 Boeing 787 | Dreamliner | 38,000 | 40,000 | 소비자가 인상 |
16 | BV4271 | BOEING 737-800 TUIFL | Y HARIB | 28,000 | 29,000 | 소비자가 인상 |
17 | BV4282 | 1/144 Eurofighter Ty | phoon (single seater | 10,000 | 11,000 | 소비자가 인상 |
18 | BV4312 | 1/72 HORTEN GO-229 | 18,000 | |||
19 | BV4317 | 1/72 EUROFIGHTER TYP | HOON SEANGLE SEAT | 22,000 | ||
20 | BV4476 | 1/48 BELL UH-1C/B | HUEY HOG | 20,000 | 18,000 | 소비자가 인하 |
21 | BV4583 | F-4 C/D Phantom | 37,000 | 38,000 | 소비자가 인상 | |
22 | BV4655 | 1/72 Dornier Do 17Z | 26,000 | 28,000 | 소비자가 인상 | |
23 | BV4658 | 1/72 Gloster Meteor | Mk.4 | 28,000 | ||
24 | BV4672 | BV4672 1/72 Junkers Ju88 A-4 Bomber | A-4 Bomber | - | 33,000 | New |
25 | BV4674 | 1/144 C-17 Qatar | Qatar / RAF | 52,000 | ||
26 | BV4676 | 1/72 Stearman KAYDET | 9,000 | |||
27 | BV4680 | 1/72 F-8F Bearcat | 12,000 | 11,000 | 소비자가 인하 | |
28 | BV4687 | 1/48 A-10 Thunderbol | t | 37,000 | 38,000 | 소비자가 인상 |
29 | BV4696 | 1/32 Heinkel He 111P | -1 | 128,000 | ||
30 | BV4744 | 1/20 FOKKER DR.1 | 33,000 | |||
31 | BV4832 | 1/200 Apollo Lunar | Module Eagle | 9,000 | ||
32 | BV4880 | BV4880 1/600 U.S.S. Enterprise NCC-1701 | NCC-1701 | - | 55,000 | New |
33 | BV4881 | BV4881 1/600 Klingon Battle Cruiser D7 | Battlecruiser | - | 55,000 | New |
34 | BV5091 | FLETCHER-CLASS DESTR | OYER (WW | 135,000 | ||
35 | BV5097 | DT. ZERSTORER Z1/A5 | 135,000 | |||
36 | BV5203 | 1/570 QUEEN MARY | 45,000 | 40,000 | 소비자가 인하 | |
37 | BV5241 | COLOMBO EXPRESS | 59,000 | |||
38 | BV5413 | 1/200 Portuguese Fre | gate D.FernandoIIe G | 55,000 | 58,000 | 소비자가 인상 |
39 | BV5899 | 1/450 Spanish Galeon | 9,000 | |||
40 | BV5901 | SUNSEEKER PREDATOR 1 | 08 | 58,000 | 60,000 | 소비자가 인상 |
41 | BV6675 | BV6675 1/65 TIE Fighter | - | 50,000 | New | |
42 | BV6676 | BV6676 1/14 X-34 Landspeeder | - | 50,000 | New | |
43 | BV6727 | BV6727 STAR WARS Millennium Falcon | - | 12000 | New | |
44 | BV7001 | BV7001 1/24 Mercedes Benz 540 K Cabriolet A | 540 K Cabriolet A | - | 38,000 | New |
45 | BV7004 | BV7004 1/25 Porsche Carrera RS 3.0 | RS 3.0 | - | 38,000 | New |
46 | BV7005 | BV7005 1/24 VW Golf GTI | - | 38,000 | New | |
47 | BV7095 | BV7095 1/24 Citroen 2CV | - | 38,000 | New | |
48 | BV7099 | 1/24 Ferrari F10 | 42,000 | |||
49 | BV7128 | 1/.24MercedesC-Klass | eDTM 2009RalfSchumac | 42,000 | ||
50 | BV7291 | 1/24 Jaguar | XK-E-Type | 38,000 | ||
51 | BV7399 | VW TI SAMBA BUS | 59,000 | |||
52 | BV7459 | BV7459 1/16 Phantom II Continental (1934) | Continental (1934) | - | 70,000 | New |
53 | BV7461 | BV7461 1/16 VW Kafer 1951/1952 | 1951/1952 | - | 70,000 | New |
54 | BV7463 | 1/24 Dumper Trailer | 96,000 | 88,000 | 소비자가인하 | |
55 | BV7522 | PETERBILT BILL SIGN | TRUCK | 109,000 | ||
신제품 몇개만 살펴보죠~~
BV3093 1/35 GTK Boxer (GTFz) 50,000 원
;독일군의 최신 장륜식 장갑차량 BOXER 가 드디어 레벨에서도 출시됩니다. 이미 하비보스사에서 나왔지만 본가인 독일인 레벨에서 나오는 제품이라 더 기대가 큽니다.
BOXER MRAV 장륜식다목적장갑차
( WHEELED MULTI-ROLE ARMOUREDVEHICLE )
BOXER MRAV는 영국과 독일이 1999년부터 개발을 시작한 다목적 장갑차량으로 영국에서는 Multi Role Armoured Vehicle (MRAV),
[BOXER MRAV 장륜식다목적장갑차 ( WHEELED MULTI-ROLE ARMOURED VEHICLE ) 는 독일과 네덜란드가 개발 배치중인 최신 장륜식 다목적 장갑차 입니다.]
독일은 Gepanzertes Transport-Kraftfahrzeug (GTK)라는 명칭으로 불립니다.
2001년 네덜랜드가 Pantser Wiel Voertuig (PWV)라는 명칭으로 사업에 추가로 참가합니다.
이들은 영국의 Alvis Vickers Ltd, 독일 Krauss-Maffei Wegmann (KMW)와 Rheinmetall Landsysteme, 그리고
네덜랜드 Stork사로 구성된 ARTEC GmbH사를 설립하고 European Armaments Agency, OCCAR (Organisation for Joint Armament
Cooperation)을 구성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BOXER는 전세계의 고강도긴장지역이나 신속하게 평화적인 지원과 구호활동의 배치가 필요한 지역에서 고도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각국은 합계 600대의 차량을 일차로 주문하여 2005년부터 2007년사이에 배치될 것입니다.
독일은 총 1000대를 배치하여 M113과 Fuchs Tpz 1장갑차를 대체하게 되고 네덜랜드는 YPR765와 M577을 대체할 384대를
발주하였습니다.
Boxer는 향후 30년동안 운용을 목표로 개발 배치되는 장갑차량입니다.
이차량은 다목적활용이 가능하도록 최대한의 유연성을 갖도록 모듈식구조의 설계를 적용하였습니다.
8X8형은 최대 8톤의 적재량에 내부용적이 14m³에 달합니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병력수송형이외에 특별한 임무, 즉 지휘소, 야전병원,
전술센터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모듈교체작업은 1시간이내에 가능합니다.
기본셀은 고경도강판으로 제작되었으며 모듈장갑은 볼트체결식으로 된 샌드위치구조의 3중구조로 되어있으며 세라믹으로 보강된
장갑에 의해 방어력이 뛰어나며 지뢰의 폭풍을 주변으로 흩어지게 하는 차체구조로 인해 피해를 최소화시킵니다.
또한 스텔스설계로 인해 적의 열상관측기나 레이더의 탐지로부터 탐지율을 최소화하였습니다.
MTU 750마력 디젤엔진과 Allison자동변속기로 항시 8륜 구동을 하며 독립식 현가장치와 중앙집중식 공기압제어장비로 뛰어난
야지주행능력을 발휘하며 행동거리는 1000km에 달합니다.
BOXER MRAV제원
길이 7880mm
높이 2370mm
전폭 2990mm
적재중량 7.9톤
기본형 차량중량 25.2톤
승무원밒 탑승원 11명
최고속도 103km/h
호통과 넓이 2m
수직장애물 0.8m
행동거리 1050km
BOXER 개발 역사
전술개념설립 1990년 2월
첫 기슬제원 협의 1996년 2월
영국 참가 1996년 7월
네덜랜드 참여 2001년
UK 병원수송용 계약 2001년 8월
OCCAR에 계약 이관 2003년 4월
복서 전투장갑차는 독일과 네덜란드가 야심차게 개발중인 장륜식 장갑차로 미육군의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비유되는 우수한 성능의 최신 장륜식 장갑차 입니다.
[역시 본가인 독일 제품답게 실기체의 특징을 제대로 재현하고 있습니다.]
[병력실과 조종석을 제대로 재현.. 무장은 12.7 밀리 기관총 버전과 40밀리 유탄발사기 무장중 택1이 가능!!]
BV3180 1/72 Leopard 2A6/A6M 17,000 원
; 레오파트II 전차의 최신 버젼인 A5/A6M 버젼이 1/72 스케일로 출시됩니다.
★LEOPARDII TANK ★
2차 세계대전 패전국인 독일은 1957년 프랑스와 유럽형 전차의 개발에 착수하기까지 전차개발이 중단되었었다. 1965년부터 양산되기 시작한 Leopard Ⅰ의 우수한 성능, 특히 뛰어난 기동성은 독일 전차기술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Leopard Ⅰ은 80년대 초까지 각부분의 성능개량을 통하여 Leopard 1A1, 1A2, 1A3, 1A4, 1A5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화력측면에서 볼 때 Leopard 1의 105mm강선포와 APDS탄은 곧 이어 등장한 구 소련 T-64의 125mm 활강포 및 APFSDS탄에 비해서 열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독일은 1979년 세계최초로 120mm 활강포를 탑재한 Leopard Ⅱ를 독자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LeopardⅠ은 6,000대 이상이 벨기에, 덴마크, 독일, 그리이스, 이탈리아, 캐나다, 네덜란드, 노르웨이, 터키, 호주 등에 공급되었으며, Leopard 2는 Austria (100), Denmark (51), Finland (124), Germany (2.125), Greece (170), Netherlands (350), Poland (128), Switzerland (380), Sweden (120 A4 (S121) and 120 A5(S) (S 122)), Spain (108), 등이 사용중입니다.
특 성
[[구 조]]
LeopardⅡ의 몸체는 앞쪽의 주행장치, 중앙의 화기, 뒤쪽의 엔진 등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조종석에는 세 개의 관측용 조준경이 장착되어 있으며 조종석 왼쪽 공간에는 탄약저장고가 있다.
[[사격통제장치]]
전차장 해치에 장착되어 있는 PERⅠ-R17 조준경은 주야간 구분없이 관측 및 목표를 식별한다.현재 전차장용 열영상 장비를 채용한 전차는 독일의 LeopardⅡ와 미국의 M1A1, 일본의 90식 뿐이다.또한 포수의 열 영상은 CC회로를 통한 비디오 영상으로 전차장의 모니터에 보여준다. 열영상시스템은 2,500m정도를 관측할 수 있으며 야간과 연막 등에서도 목표를 추적하여 사격할 수 있다. 레이저 거리측정기는 최대거리 약 10,000m로 10m 이내의 정밀도를 갖고 있다.
[[무 장]]
L55 신형 120mm 활강포는 포신 내에서 운동에너지를 증대시켜 포구속도를 높여준다. 부무장으로 2정의 7.62mm MG3 기관총을 동축과 전차장 해치에 각각 탑재한다. 연막탄 발사기는 포탑후부에 16발을 적재하며 60~150m까지 연막지역을 만들어 전차를 보호한다.
[[기 타]]
LeopardⅡA5는 1992년에 개발이 완료되었는 바, 주요 성능개량사업은 장갑방호력을 보강, 전차장 조준경을 열상장비를 추가, 포/포탑 구동장치를 전기식으로 전환 등 포탑전면의 대대적인 형상변경과 관련하여 포탑전면에 있던 포수조준경이 포탑 상부로 이동하여 장착되었다. 이로 인하여 전투중량이 약 5톤 증가하였으나 현수장치 등에 보완이 이루어져 엔진은 1,500마력을 유지하였다.
□ 참고사항
ㅇ LeopardⅡA5형 : LeopardⅡ형에 「쇼트장갑」이라 불리는 신형강화 장갑으로 방어력을 보강한 전차로 스웨덴의 차기전차로 채택되어 운용된다.
ㅇ LeopardⅡA6형 : LeopardⅡA5형에 구경장을 44구경에서 55구경으로 늘려 관통력을 향상시킨 전차로 독일 육군의 차기 전차로 채택 운용된다.
※ LeopardⅡA5형으로도 종합적인 전투능력에서 미군의 M1A2보다 우수한 점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여기에 주포의 강화까지 이루어짐으로써 LeopardⅡA6는 21세기 최강의 전차로 불리어지고 있다.
길이 : 9.67 m
전폭 : 3.70 m
높이 : 2.79 m
중량: 55.150 kg
장갑 : Spaced, multi-layer (Chobham).
엔진: V12-cylinder MTU MB-873-Ka501, 47.600 cm3 (2903 cubic inches), turbo charged, liquid
cooled.
출력: 1500 at 2.100 rpm.
변속기: Renk HSWL 354 gear and break system.
전압: 24 volt, negative ground.
출처 유용원의 군사세계 중 (http://bemil.chosun.com/)
궁극의 전차로 불리는 LEOPARD II A5/A6
레오파트II 전차를 1970년대 개발된 이후 꾸준하게 진화를 계속해왔습니다.
이중 1980년대 후반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최신 버전이 바로 A5/A6 버전 입니다. 예전에는 LEOPARD II TVM 이라고 불리우기도 했습니다.
[ 급가동중인 LEOPARDIIA5형의모습 이는 LEOPARDII KWS(Kampfwertsteigerung, 전투 능력 강화) 프로젝트중 하나로 1980년대 중반 차기전차로 계획된 "Panzerkampfwagen-2000" (흔히 Leopard 3로 알려진) 의 프로젝트가 잇따른 동독의 붕괴와 소련연방의 붕괴로 더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자 기존의 레오파트2 전차를 개량하여 사용한다는 계획을 의미했다]
이는 냉전이 한참이던 1980년대 중반으로 그 유래가 넘어갑니다. 당시 서독은 "Panzerkampfwagen-2000" (흔히 Leopard 3로 알려진) 의 프로젝트로 차기전차를 개발하려던 참이였습니다. 그러던중 1990년대 초반 동독이 무너지고 이어 소련연방도 해체되면서 주적이던 소련이 사라지자 그 필요성을 못느끼고 바로 페지하기에 이르죠.. 그리고 이를 대신하게 된 것이 바로 기존의 레오파트II 전차를 개량하는 사업입니다.
바로 LEOPARDII KWS(Kampfwertsteigerung, 전투 능력 강화)로 불리던 프로젝트로 이는 총 3단계에 걸쳐 이루어지게 됩니다.
KWSI은 기존의 44구경 120mm활강포를 55구경 120mm활강포로 변경하여 공격력의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고.
KWSII는 격벽장갑(Schottpanzerung) 혹은 쇼트장갑이라 불리는 공간 장갑을 포탑 전면의 좌우와 포탑 측면 앞부분의 좌우에 장착하였으며(포탑 측면 앞부분 - 좌우에 장착된 격벽 장갑은, 바깥으로 90도 이상 기울일 수 있다. 엔진 착탈시의 편의를 위한 조치임), 360도 선회가 가능한 차장용 열영상 사이트를 포탑에 장착하여, 방어력과 탐색 능력을 향상시키는 사업입니다.
[KWSII는 격벽장갑(Schottpanzerung) 혹은 쇼트장갑이라 불리는 공간 장갑을 포탑 전면의 좌우와 포탑 측면 앞부분의 좌우에 장착하였으며(포탑 측면 앞부분 - 좌우에 장착된 격벽 장갑은, 바깥으로 90도 이상 기울일 수 있다. 엔진 착탈시의 편의를 위한 조치임), 360도 선회가 가능한 차장용 열영상 사이트를 포탑에 장착하여, 방어력과 탐색 능력을 향상시키는 사업으로 오늘날의 빼족한 포탑형상을 가진 레오파트의 이미지가 이때 이루어졌다 이는 방어력을 배 이상 높이는 장갑으로 내부에는 세라믹과 각종 강재들을 혼합한 복합장갑으로 알려져 있다]
KWS III는 주포에 140mm 활강포를 채택하기 위한 Test 용도의 개량 계획이었습니다.
[KWS I 은 44구경의 120밀리 주포를 55구경장으로 KWS III 프로젝트는 140밀리급 55구경장 주포를 장착하는 계획이 있었지만 KWS I은 A6버젼으로 발전한것이 비해 140밀리급 주포 장착은 테스트용 1대만 생산되었을뿐 진행되지 못했다. 이는 현재 55구경장 120밀리 급 주포로도 현존하는 모든 주력전차를 격파할수 있기도 하지만 역시 140밀리급 주포를 개발하고 그에 맞는 포탄의 개발은 역시 기술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먼저 실용화된 것은 KWS II 개량을 실시한 레오파드2A5이며, 레오파드 2A5에 KWS I 개량을 실시한 차량이 레오파르도2A6가 되었다.(주포가 기존의 44구경장에서 더 긴 55구경장으로 이로인한 공격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독일의 KMW(Krauss-Maffei Wegmann)사는 공식적으로 독일 육군에 최신의 개량 전차인 Leopard 2A6 표준형 주력전차를 인도하였다.
현재의 계획에 의하면 독일 육군은 350대의 Leopard 2A6 전차를 구매할 예정인데, 이중 225대 분은 예산이 이미 확보된 상태이고 나머지 125대 분도 추가 계약을 통하여 향후 확보할 계획이다.
[KWSII 프로젝트는 장갑강화에 있었는데 그와 더불어 신형 열영상장비등도 추가되어 탐지 및 조준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런 일련의 개량이 가해진 레오파트II 는 A5형으로 불리우게 되었으며 이중 44구경장 포에서 55구경장의 장신의 주포로 교체된 것이 바로 A6 버젼이 되었다]
최근 Rheinmetall사가 개발한 120mm DM53 APFSDS-T(Armour Piercing Fin- Stabilized Discarding Sabot Tracer)탄을 사용하여 신형 Rheinmetall 120mm L/55 활강포를 사용했을 경우, 사거리가 5,000m로 Leopard 2 전차의 초기 버전에 사용한 120mm L/44 활강포 사거리인 3,400m에 비하여 매우 증가된 것이다. 또한 이 주포는 크게 향상된 장갑관통 특성을 가지고 있다.
[주포의 포신변화와 더불어 DM53 이라 불리는 신형 철갑탄도 개발되었는데 이는 세계최초로 무탄피 APFSDS 대전차포탄으로 발사시 장약이 모두 소진되고 왼쪽 화살모양의 탄두만 날아가는 방식이다 날개안정분리철갑탄(속칭 날탄) 이라고도 불리우며 L44 주포를 가지고 DM 53탄을 발사할 경우, 포구 에너지는 11.6 MJ이지만 L55 포로 발사하는 경우에는 포구 에너지가 13MJ로 증가되어 장갑 관통 특성이 크게 증가된다. 55구경장의 장포신을 이용하여 발사시 현존하는 모든 전차를 격파가능하다]
DM 53탄은 감손 우라늄보다는 텅스텐 관통자를 사용하며 최초 고객은 스위스, 독일, 네델란드가 될 전망이다.
Rheinmetall사는 KMW사에 장착용 L/55 Kit를 공급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포구 조준경이 달린 120mm포, 철제 shell case holder, 포미 및 breech guard 그리고 barrel용 thermal shield가 포함되어 있다.
현존 breech 기구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recoil 브레이크와 trunnion 베아링을 강화시켰다. L/44 주포의 중량은 1,190 kg인 반면에 L/55 주포는 무게가 1,347 kg이다.
[날개안정분리철갑탄(속칭 날탄)의 발사 시뮬래이션.. 영상과 같이 포구에서 포탄이 발사되는 동시에 탄두를 감싸던 장약통이 분리되고 화살과 같이 생긴 탄두가 날아가는 방식으로 서양 활강포의 대표적인 철갑탄중 하나이다. 이는 구경인 120밀리 모다 훨씬 작은 탄두지만 장약의 폭발력에 의해 음속의 서너배의 속도로 날아가 적의 장갑을 꿰둟게 된다]
사격통제 컴퓨터에도 개조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탄도 회로판이 추가되고 진단 절차가 개선되었으며 전자부품의 안정화를 위하여 새로운 회로기판을 사용하였다.
L/44 주포 버전은 일본과 미국에서 만들고 있으며, 미 육군은 M1A2 전차의 시험용으로 소수의 L/55 주포를 구입한 바 있다.
이외에도 업체 투자형인 Leopard 2A6 Ex 전차는 수출용으로 개발된 것이며, 추가적인 개선 사항으로 보조 동력 장치, 공기조절 장치 그리고 개선된 장갑 방호가 있다.
Leopard 2A6 Ex 전차는 최근 터키의 주력전차(MBT)사업에 경쟁자로 참여하여 3,000km의 기동 시험과 400발의 화력 시험을 수행한 바 있다.
기존의 L44 주포를 가지고 DM 53탄을 발사할 경우, 포구 에너지는 11.6 MJ이지만 L55 포로 발사하는 경우에는 포구 에너지가 13MJ로 증가되어 장갑 관통 특성이 크게 증가된다.
Rheinmetall사에 따르면 DM53탄은 모든 첨단 장갑 표적물을 파괴할 수 있으며, 특히 이중 반응장갑의 관통을 위하여 최적화 설계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독일의 전문가들은 이 탄의 관통자를 "Wolfram penetrator(텅스텐과 중금속 WSM IV로 제작)"라고 부르는데, 최신 기술을 사용하여 감손 우라늄을 사용시 야기되는 생태학적, 의학적 우려를 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chamber volume의 개선된 활용결과로, 새로운 추진 모듈은 L44 주포를 사용할 때에도 포구 속도가 15% 이상 증가하고, L55 주포를 사용할 경우에는 포구 속도가 약 30% 증가한다.
출처 Leopard 2A6 - 국방과학연구소 전자저널 2001년 5월호.
|
M1A2 에 견줄 현용전차의 걸작 LEOPARD II A5/A6
LEOPARD II A5/A6
1980년대 말~1990년대 전반에 걸쳐 개발된 레오파르트 2의 개량•발전형 전차이다. 독일과 네덜란드, 스위스에서는 2001년부터 재래형 레오파르트 2를 개조하여 레오파르트 2A5를 만들어내고 있지만, 스웨덴과 에스파냐 육군용으로는 각 국내에서 라이선스생산으로 신규 제작되고 있다.
주요한 개선점은 장갑방어와 사격통제장치에서 볼 수 있다. 장갑방어로는 포탑의 전반부에 쐐기 모양의 두터운 유니트식 장갑을 부착하여 외관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사이드스커트도 신형의 복합장갑판으로 바꾸어 달았다. 또, 사격통제장치로는 포탑 위에 독립형의 적외선 암시(暗視)장치를 결합시킨 선회식 잠망경을 장비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차장은 목표물을 수색하고, 포수는 지시 받은 목표물에 대하여 계속 공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떤 기후 조건에서도 연속 공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밖에 신형의 레이저 거리측정 데이터 프로세서의 도입으로, 적 전차나 장갑차량뿐 아니라 저속으로 낮게 비행하는 헬리콥터에 대한 주포의 공격력이 개선되었다. 레오파르트 2A5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사양을 갖춘 것은 스웨덴 육군의 Strv 122이다. Strv 122에서는 TCCS(전차 지휘•통제장치)와 각종 전자장치가 데이터 버스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서 베트로닉스(차량용 전자시스템)의 전투정보 처리기능이 미국의 M1A2 전차 수준으로까지 향상되었다.
또한, 장갑방어력에서도 차체의 전면에 추가로 유니트 장갑을 부착하여, 기존의 차체를 개조하여 생산하고 있는 독일이나 네덜란드의 레오파르트 2A5보다 강화되어 있다. 다만, 이런 사양의 강화로 인하여 Strv 122의 전투중량은 레오파르트 2 시리즈 중에서는 가장 무거운 62t에 이르고 있다.
승무원은 4명이며, 주무장은 120㎜ 활강포 1문과 7.62㎜ 기관총 2정, 발연탄 발사기 16대이다. 제원은 전투중량 59.7t, 차체길이 7.722m(포신 포함한 경우 9.97m), 너비 3.74m, 높이 3m이다. 노상 운행거리는 500㎞이며, 노상 최대속도는 72㎞/h이다. 공기흡입관을 사용하여 수심 4m의 강을 건널 수 있다.
출처 네이버
|
앞서 설명했듯 독일은 1980년대 후반 새로운 차기 전차를 개발하려했으나 마침 일어난 동독의 붕괴와 이어진 소련의 해체로 더 이상 새로운 전차의 필요성이 없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새로운 전차를 개발하는 대신 기존의 레오파트 II 전차를 개량하여 사용하기로 했는데 그런 결과로 탄생하게 된 것이 바로 A5/A6형입니다.
현재 이들 A5형과 A6형은 독일육군의 주력전차를 차지함을 물론이고 이웃의 덴마크 ,스웨덴, 그리스 및 스위스의 주력전차로 선정 도입되었으며 캐나다 역시 최신 버전인 Leopard 2A6M 형을 도입중에 있습니다.
이중 레오파트 전차의 가장 최신버젼이라 할 수 있는 몇 가지를 소개하자면…
독일육군은 약 2,350대의 Leopard 2 전차 각 형식을 운용했습니다. 그러나 냉전이후 많은 전차들을 대부분을 다른 국가에 매각하거나 제공하고 예비물자로 비축하고 있습니다, 현재 운용중인 전차는 408대의 Leopard 2형을 운용중인데 이중 225대는 Leopard 2A6 전차이고 2012년까지 395대의 Leopard 2 전차를 유지할 예정입니다.
[독일육군 주력 전차 Leopard 2A6 기동 훈련]
Leopard 2 Hel은 2A6형의 파생형으로 그리스가 2003년 발주하였습니다. "Hel"은 "Hellenic"의 약자입니다. 170대가 2006년부터 2009년사이 납품되었는데 140대는 그리스 ELBO사에서 면허생산하여 2006년말부터 납품합니다.
Leopard 2E는 2A6형의 스페인 도입형으로 장갑방어력이 더 커진 독일과 스페인의 합작 전차입니다. 스페인은 108대의 Leopard 2A4 전차를 독일육군으로부터 임대하여 2016년까지 운용할 계획입니다. 대신 10년간 15,124,014 유로를 독일에 지급하기로 하였습니다
독일과 스페인의 협의에 따라 1998년 219대의 Leopard 2E 전차와 16대의 Leopard 2ER (Bufalo) 구난전차및 4대의 훈련용 전차를 도입키로 하며 Santa Bárbara Sistemas사가 주계약자로 면허생산을 시작합니다. 총 예산은 1,939.4백만유로입니다. 2004년부터 납품을 시작하여 2008년 완료되었습니다
포르투갈은 네덜란드로부터 37대의 중고 Leopard 2A6 전차를 도입하여 운용중입니다
Rheinmetall 120 mm L55 활강포를 장착하고 수군데가 변경된 Leopard 2A6 전차는 독일군 "crisis intervention forces" 의 모든 전차대대가 보유하며 네덜란드, 캐나다가 보유하고 있습니다
[Leopard2 전차의 최신버젼인 Leopard 2A6M 현재 독일을 비롯 캐나다등에 도입되고 있는 최신형 전차이다]
Leopard 2A6M은 2A6의 차대에 대지뢰 장갑방어력을 강화한 형으로 승무원의 생존성을 향상시켰습니다. 캐나다는 독일로부터 20대의 A6M형을 임대하여 2007년부터 아프칸에서 운용중입니다. 모든 포탑은 전기식으로 구동합니다,.
[레오파트 전차중 가장 최신기종이 바로 사진의 Leopard 2A6M 버젼이다. 이는 레오파트 A6를 기반으로 대지뢰와 대전차 무기로의 방호력을 높은 버젼으로 최근 캐나다군이 도입중에 있는 최신 전차이다. 사진은 케나다군에 도입되는것을 축하하는 행사중의 모습]
Leopard 2A6M CAN은 Leopard 2A6M의 캐나다형으로 포탑 버슬 후부에 뚜렷하게 검은 박스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원래 에어컨으로 추정하였으나 캐나다군 제식 무전기 장비등을 장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stand-off slat 장갑도 추가되었습니다.
최근 아프칸에 배치된 Leopard 2 전차들은 신형 에어컨을 장착했고, 스웨덴 Saab사의 Barracuda 위장매트를 갖춰 태양열 흡수를 50%이상 감소시켰습니다,.
[캐나다군은 최근 아프가니스탄전에 참전하면서 도입하기 시작한 신형 Leopard 2A6M CAN 을 투입 성능테스트겸 작전을 완벽하게 마칠수 있었다. 바라쿠다 위장막과 에어컨등을 장착한 캐나다군의 Leopard 2A6M CAN 버젼은 완벽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Leopard 2A6M전차는 캐나다군이 발주한 것으로 A6전차를 바탕으로 대지뢰방어를 위한 몇가지가 추가된 전차입니다.
[캐나다군이 도입한 Leopard 2A6M 버젼은 지뢰로 부터 승무원을 보호하기 위해 바닥에 추가 장갑이 장착되었고 RPG 같은 보병용 휴대용 로켓포를 차단하기 위해 사진과 같은 슬랫아머 장갑이 도입되었다. 그밖에 캐나다군 사양의 무전기와 데이타버스 시스템등이 추가 장착되었다]
캐나다는 지난 4월 100대의 Leopard 2전차를 네덜란드로부터 도입한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또한 20대의 A6M형을 독일로부터 임대하여 즉시 Afghanistan으로 파견하여 화력지원과 방어력을 향상시킬 계획이라고 하였습니다.
캐나다군이 기존에 보유한 Leopard 1 C2는 60도가 넘는 아프칸 여름의 환경하에서 유압식 포탑구동장비가 장착되어 운용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새로 배치하는 A6M형은 전기구동식에 내부에 에어컨을 장착하여 운용환경이 월등히 개선되었습니다.
실질적으로 조상이 같은(모두 1970년대 후반 꿈의 전차로 불리던 Kpz. 70/ MBT70 에서 시작되었다) M1 에이브람스 전차와 레오파트II 는 이들 프로젝트 해산이후 각자의 길을 걷게 되었는데.. M1 전차가 M1A1로 그리고 M1A2 로 진화해 나갔다면 레오파트II 전차는 A2~A4 까지의 형식이 M1A1 에 해당되고 A5/A6 형은 M1A2 에 비교될 정도로 M1A2 와 더불어 서방을 대표하는 3.5 세대급 전차라 할 수 있습니다.
Leopard 2A5 에 이르면 기존부터 꾸준하게 문제가 제기되었던 방호력의 강화를 이루어 포탑부분에 쇄기형태의 쇼트장갑을 추가하게 되어 방호력이 비약적으로 증가되게 되고 A6에 이르면 44구경장의 120밀리 포대신 55구경장의 장포신의 주포로 교체 기존의 약 13MJ보다 증대된 파괴력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현대전차의 필수장비라 할 수 있는 열영상장비의 성능개량과 데이터버스 공유등의 기능을 추가한 타입들도 등장하게 되는데 덴마크군이 도입한 A5타입이나 스웨덴군이 도입한 LEOPARDII A5 타입인 Strv-122 들이 대표적인 레오파트전차의 신형 타입입니다.
이중 현재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는 최신 버전인 바로 Leopard 2A6M 라 불리는 타입으로 이는 기존의 레오파트II 시리즈의 모든 장점과 더불어 2A6의 차대에 대지뢰 장갑방어력을 강화한 형으로 승무원의 생존성을 향상시킨 타입이라 하겠습니다.
그를위해 기존의 강화된 쇼트장갑위에 RPG같은 보병용 휴대용 대전차 로켓에서 자체를 보호하기 위해 창살형태의 슬랫아머를 장착하는 한편 포탑의 경우 캐나다군이 기존에 보유한 Leopard 1 C2는 60도가 넘는 아프칸 여름의 환경하에서 유압식 포탑구동장비가 장착되어 운용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이에 A6M형은 전기구동식에 내부에 에어컨을 장착하여 운용환경이 월등히 개선되었습니다.
캐나다군에 도입된 Leopard 2A6M 는 총 20여대로 네덜란드로부터 리스된 100여대의 A4 2A6NL 형과 더불어 캐나다군의 주력전차로 활동중이며 2007년 중반쯤 도입되기 시작하여 아프가니스탄에 투입되어 성공적인 작전을 펼친바 있습니다.
실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
|
지난번 와이번 님이 리뷰해주셨던 1/144 F-15E 도 입고됩니다.
BV3996 1/144 F-15E Strike Eagle 11,000원
*******************************************************************************************************
F-15E STRIKE EAGLE
[F-15E STRIKE EAGLE 은 미공군이 가장 신뢰하는 공격기중 하나이다]
원래는 제공기체인 F-15를 재설계해 대지공격 능력을 부여한것으로 이와 더불어 대지공격 능력을 가지는 APG-70 레이더와 랜턴장비를 기본장착해 야간에도 정확하게 적의 목표물을 타격할수 있는 공격기 입니다.
한가지 임무에만 충실한 기존의 F-111 과는 다르게 F-15E 는 원래가 우수한 격투전용 제공 전투기인 F-15 이글의 피를 이어받아 전투기로서의 성능도 우수합니다.
[F-15E 는 제공전투기인 F-15를 재설계하여 대지공격능력을 부여한것으로 대형기체 특유의 우수한 탑재력과 강력한 추진력을 가진 쌍발엔진 그리고 강력한 레이더의 장비로 미국을 대표하는 다목적 공격기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거기에다 대지공격능력까지 갖추어 F-4 팬톰을 잇는 진정한 다목전전투기로 재탄생한 기체가 바로 F-15E 입니다.
F-15는 태생이 대형기체로 설계된다가 F-15E로 오면서 동체 측면에 공기저항을 최대한 줄인 증가연료탱크인 컨퍼멀탱크를 기본 장착함으로서 급유 없이도 반경 6,000 킬로에 달하는 엄청난 항속거리 (급유시 1만킬로 이상된다)에다 총 8톤에 달하는 다양한 폭장으로 할 수 있어 엄청난 공격력을 가진 기체로 재탄생하게 됩니다. (이는 2차대전 당시의 웬만한 중폭격기 무장탑재량의 4배나 되는 무장탑재력을 가진 기체이다.)
[무장을 만재하고 비행중인 F-15E ...F-15E 는 베트남전을 통해 화려하게 활동했던 F-4 팬톰을 잇는 대형 다목적 기체로 총 9턴이상의 각종 무장을 만재하고도 빠른 기동성으로 발휘할수 있는 기체이다]
F-15E는 현재 미공군의 가장 든든한 타격기 이기도 합니다. 1991년 걸프전에 화려하게 데뷔하여 스커드미사일과 이라크의 각종 목표물을 대상으로 정확하게 타격했으며 지난 2003년 이라크전과 아프가니스탄 전에도 많은 활약을 보인 기체이기도 합니다.
2004년에는 우리나라의 차세대 중형전투기 에도 선정되어 일부 성능을 높인 F-15K로 현재 배치되어 운영중에 있습니다.
[F-15E는 우리나라에도 배치중이다. 004년 차세대 중형공격기 사업 (F-X) 사업으로 F-15E를 한국공군의 사양에 맞춘 F-15K가 선정된것... 이미 39대가 배치되어 활동중이며 추가로 21대가 더 배치될것이다]
F-15E에 대한 자세한 실기체 내용은 아래 링크를 가보시길 바랍니다.
l 미공군의 종심타격기 F-15E STRIKE EAGLE 설정자료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실~~
|
비밀방에서 절찬리 공구중에 있습니다~~
|
첫댓글 올해...레벨에서 1/32 링스하고 슈퍼푸마가 나올 예정입니다.~^^
절반은 국산인 스트라이크 이글이 들어오는군요^^이킷가지고 컨포멀탱크만 안붙이면 이글D형 후방석 에 판대기로 가리면 C형되겠군요 정확한고증이야 1/144라고 위안삼으면 되니ㅋㅋㅋㅋ
오...강습덕수리 입고되는군요. 좋은 킷이니 많이들 사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전 이미 2대나 갖고 있으니 패스...^^;;